•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북간도 교육 관련 연구

Ⅱ. 선행연구 검토와 과제

2) 북간도 교육 관련 연구

만주지역 이주 조선인 역사의 연구는 기본적으로 독립운동사를 핵심 연구주제 로 하고 있는바 그에 따른 항일무장투쟁사, 독립운동단체, 민족운동사 등 거시사 적 연구가 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상당한 연구 성과를 가져왔다. 즉 민 족독립과 구국을 위한 망명 정치인들의 결단과 행동에 초점을 맞춰 역사연구의 주요대상을 정치적 무대에만 한정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북간도 교육사 연구 역 시 이러한 경향을 띠고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한, 중, 일 학계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동향분석과 함께 과 제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19) 이 연구는 제1장 재만조선인의 역사 와 제2장 재만조선인의 체험과 생활 두 부분으로 9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었다. 그 연구들은 김왕배ㆍ이수철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의의와 과제 , 이종수의 중국 동북 지역 조선족사회의 형성 , 김도형의 한말ㆍ일제하 한국인의 만주 인식 , 문백란의 캐나다 선교사들의 북간도 한인사회 인식 , 박금해의 구술 자료로 보는 광복 전 재만조선인의 민속문화 , 정미량의 일제 강점기 재만조선인의 교육과 그 체험-장춘(신경)보통학교(1922~1945)의 사례를 중심으로 , 이윤진의 재만 여성 조선인의 기억과 삶 , 길태숙의 재만조선인 항일투쟁노래의 과거와 현재적 의미-<신흥무관학교 교가>를 중심으로 , 김왕배ㆍ이수철의 1930년대 만주의 조선족 마을 공동체-흑룡강성 오상현 조선족 마을 형성과 정을 중심으로 등 논문들이다.

저자/연도 논문제목 소속

교육학과 역사교육 석사학위논문

대학 등 여러 역사학자들이 공동으로 동북삼성(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 조선족 집거지에 대한 전면적인 사회조사로부터 시작되었다(김춘선, 2006: 141). 1989년 에는 중국조선족천입사(中國朝鮮族遷入史) 주제의 논문집을 냈는데 중국의 한 족학자들과 조선족학자들이 공동으로 중국조선족역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주사를 중심으로 조선족역사의 상한선문제를 다루는 논문들로 묶어졌 다. 실질적으로 조선족 교육의 역사에 대해 공식적인 저술을 내놓기 시작한 것은 1987년 연변교육사의 저술을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후 한중수교이후 독립운동사에 관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해지게 되면서 독 립지사들에 대한 연구가 강조되었고 그러한 독립운동가들과 연결된 교육기관에 대한 연구가 특히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이를테면 서전서숙, 명동학교의 연구를 비롯하여 북간도 사립학교설립운동 등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이런 연 구들은 대개 1931년 만주사변(滿洲事變)을 기점으로 연구주제가 달라진다. 만주 사변 이전의 연구는 대부분 민족교육에 관련된 것이고 만주사변 이후에 대한 연 구는 식민주의 교육정책에 관한 주제22)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연변대학 사학과 출신의 학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석 ㆍ박사 학위논문23)을 모두 만주 교육사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박금해를 비롯 하여 박문일, 허청선, 박태수, 최홍빈, 리정문, 손춘일 등 학자들을 들 수 있다.24) 그러나 중국 학계의 경우 연구논문에 비해 통사류(通史類)의 저술이 더욱 잘 진 행된 것으로 보이는 바 이미 출판된 조선족교육사 관련 저서와 학위논문들은 다 음 <표 Ⅱ-2>와 같다.

22) 중국에서 이 분야의 주요 연구결과물들로는 1951년 동북사범대학교육학과에서 편찬한 위만주국 노예화 교육(僞滿奴化敎育) 이후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武强 주필의 동북14년 식민지기 교육사료(東北淪陷十 四年敎育史料)와 王野平 주필의 동북14년 식민지기 교육사(東北淪陷十四年敎育史)를 시작으로 1990년 대에는 齐紅深의 동북지방교육사(東北地方敎育史), 武强 주필의 일본의 중국 침략기 식민지교육정책 (日本侵華時期植民地敎育政策), 盧鴻德 주필의 일본의 동북침략 교육사(日本侵略東北敎育史) 등으로 활발한 연구를 시작해 21세기에 이르게 되면 고조를 이루게 되는데 齐紅深 주필의『동북식민지기교육연 구(東北淪陷時期敎育硏究)와 일제중국침략교육사(日本侵華敎育史), 일본의 중국침략 식민교육 견증(見 證日本侵華植民敎育), 중국에 대한 일본의 교육침략: 일본 중국침략교육에 대한 연구와 비판(日本對華 敎育侵略: 對日本侵華敎育的硏究與批判), 말살하지 못할 죄-일본의 중국침략 교육구술사(抹殺不了的罪 日本侵華敎育口述史) 등 연구들이 있다.

23) 석사학위 논문(1996)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北間島民族敎育에 關한 一硏究: 1905~1920年代를 中 心으로 이고, 박사학위 논문(2007)은 중국 연변대학교 대학원 세계사전공의 日本对东北朝鲜人的殖民主义 教育政策研究 이다.

24) 이 학자들의 연구는 [부록 1]을 참조.

<표 Ⅱ-2> 중국 측 연변조선족교육사 관련 학위논문 및 저서

학위논문朴今海/2007 日本对东北朝鲜人的殖民主义教育政策研究 연변대학교 세계사전공 박사학위논문

저자/출판일 저서 비고

저서

연변대학교육학심리학교연실/1987 연변조선족교육사

朴奎燦/1989 延邊朝鮮族敎育史稿 漢文

中國朝鮮族敎育史 編寫組/1991 중국조선족교육사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編纂委員會/1992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編纂委員會/2008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1975~1988) 延邊朝鮮族自治州敎育志(1988~2008) 남일성, 방학철, 임창길/1995 중국조선어문교육사

허청선, 강영덕, 박태수/2000~2003 중국조선민족교육사료집1~4

朴今海/2008 日本对东北朝鲜人的殖民主义教育政策

許靑善, 姜永德/2009 中國朝鮮族敎育史 漢文

그런데 이런 연구들은 역사학적인 맥락에서 정치사 연구를 초점으로 거대담론 적이고 사실규명적인 논의에 무게를 두고 있어 교육사 본연에 관한 논의는 적었 는바, 더욱이 철학사나 사상사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정도였다. 중국조선족역사 연구의 동향에 대한 박금해(2005), 김춘선(2006) 두 조선족학자들의 검토는 이러 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기도 했다. 연구자들은 역사학적인 맥락에서 1945년 해방 이후의 중국조선족역사 연구의 성과와 연구현황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아 울러 이주사, 국적문제, 민족주의운동과 무장투쟁문제, 민족사상과 사회주의사상 의 전파문제 등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이들 연구에 따르면 민족 교육과 문화에 관련된 논의는 해방 이후, 특히 개혁개방 이후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따라서 중국조선족역사 연구에 있어 사상사, 철학사 연구의 절대부족과 문제사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주문했다. 이는 북간도 교육사연구 는 더욱 생산적이고 발전적인 연구 성과를 기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간도교육사에서 서전서숙이나, 명동학교 그리고 1910년대의 사립학교설립 운동 등과 관련한 연구가 상당한 성과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교육 사학적이고 교육사상적인 맥락에서의 정리가 미흡하다. 실제로 기존의 간도교육 사연구에서는 효시 찾기나 그 교육전개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리하여 어디 까지나 민족교육의 전개에 대한 접근으로 그러한 상황이 형성된 원인을 지극히 근대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그 해결책으로 기존연구 의 공백을 부지런히 찾아야 하며 새로운 방향의 연구들도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3) 일본 측 연구

간도 조선인의 교육에 관한 일본 측의 연구는 일찍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그것은 주로 식민지적 교육의 고찰을 위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재만조선인과 교 육문제(在滿朝鮮人と敎育問題), 만주교육사(滿洲敎育史)등 저서가 있다. 그 후 1950~60년대는 식민지교육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일련의 성과를 냈다. 1980년 대에 들어서는 만주교육사를 재출판하면서 만주ㆍ만주국교육자료집성(滿洲ㆍ 滿洲國敎育資料集成) 등 연구결과물들이 나왔다. 특히 이때 만주교육사연구회 (滿洲敎育史硏究會)가 발족되면서 만주국교육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성과를 이루 게 되었고 만주교육의 기초연구(滿洲敎育の基礎硏究)등 무게 있는 연구물들이 나왔다(박금해, 2008: 7). 허수동(2008)의 근대중국동북교육의 연구(近代中國東北 敎育の硏究)도 최근의 성과이다.

이러한 만주교육사 동향에 따라 연구논문 또한 지속적으로 발표되었다. 즈키노 키(槻木瑞生, 1975ㆍ1992ㆍ1994, 1999)의 일본의 식민지교육-만주 및 간도조선족 교육(日本在植民地的敎育-滿洲及間島朝鮮族敎育) , 중국길림성용정촌 조선인학 교-동북지구조선족학교의 전개(中國吉林省龍井村の朝鮮人學校-東北地區朝鮮族 の學校の展開) , 중국동북 조선족과 교육권회복운동(中國東北の朝鮮族と敎育權 回收運動) , 중국간도에 있어서 조선족학교의 전개(中國間島における朝鮮族學校 の展開-1910年代から1920年代初頭にかけて) , 미요시 아키라(三好章, 1998)의 만 주국의 조선인-간도조선인 황민화교육에 대하여(滿州國の朝鮮人-間島における朝 鮮人への皇民化敎育について) , 타케나카 겐이치(竹中憲一: 2000)의 간도 민족주 의 조직에 따른 조선인교육(間島における民族主義組織による朝鮮人敎育) , 우봉 춘(于逢春: 2001, 2002a, 2002b)의 중국조선족교육을 둘러싼 중일양국의 경쟁 -1905~1931년 간도를 중심으로(中國朝鮮族敎育をめぐる中日兩國の競爭-1905~31 年の<間島>を中心に) , 중국조선족 종교단체에 의한 민족교육에 관한 일고찰(中 国朝鮮族宗教団体による民族教育に関する一考察―1900~1930年代の中国東北地方 を中心に) , 청말 중국에 있어 동북소수민족교육에 관한 연구(清末中国における 東北少数民族教育に関する研究) , 허수동(許壽童, 2002ㆍ2006)의 일본의 재만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