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농축산식품분야 온실가스 배출

농축산분야 온실가스 배출원은 농작물 재배와 축산활동 따른 메탄(CH4) 과 아산화질소(N2O)의 배출, 작물별 생산 활동에 사용된 에너지에 의한 이 산화탄소 배출, 그리고 신선농산물 유통에 사용된 에너지에 의한 배출 등 으로 나눌 수 있다.

농축산식품분야 총 온실가스 배출량은 약 3천만 톤CO2eq 정도인 것으로 추정된다<부표 1>.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보고서에는 농업(CRF sector 4) 을 농산물 재배(경종)와 축산에 따른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원으로 구분 한다. 경종의 경우 벼 재배에 사용되는 유기물의 혐기적 분해에 의한 메탄 배출량과 농경지에 사용되는 화학비료, 가축분뇨, 작물잔사에서 배출되는 아산화질소 배출량, 그리고 농작물 잔사를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35

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축산의 경우 가축의 소화기관(장) 내 발효에 의한 메탄 배출량, 가축분뇨의 혐기 분해에 의한 메탄과 아산화 질소 배출량을 산정하였다(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6).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보고서에 나타난 농업분야 온실가스는 2014년 기준으로 경종 1,250만 톤CO2eq, 축산 880만 톤CO2eq 등 총 2,130만 톤 CO2eq을 배출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작물생산에 관련된 에너지의 경우 시 설 의존도가 높은 원예작물 분야의 배출량이 406만 톤CO2eq으로 식량작물 이나 특용작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유통과 관련한 온실 가스 배출량은 약 2백만 톤CO2eq 정도, 식품가공분야의 수송에 따른 배출 량은 약 33만 톤CO2eq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과 달리 농업의 경우 비에너지 분야인 축산과 경종의 배출량이 전체의 약 7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1. 농업 분야 배출량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보고서(2016)에 따르면 2014년 농업 분야 배출 량은 2000년에 비해 약 2.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경종의 경우 벼 재 배면적이 줄어들면서 2014년 배출량은 2000년에 비해 14.5% 정도 낮아졌 으나, 축산에서는 생산량 증가와 함께 배출량이 약 20.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6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그림 3-1> 농업 부문별 배출량 추이

백만 톤CO2eq

자료: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2016).

2.1.2. 에너지 분야 배출량(식품)

에너지 분야의 경우 국가 인벤토리보고서에서는 연료연소와 탈루로 크 게 구분한다. 탈루10의 경우 에너지 분야 배출량의 0.7%에 불과하다. 연료 연소의 경우 에너지산업, 제조업 및 건설업, 수송, 기타, 미분류 등으로 나 뉘는데, 농업과 연관된 산업으로는 제조업 및 건설업에 속한 식음료품 가 공 및 담배 제조(1A2e, Food Processing, Beverages and Tobacco)가 있다.

지난 15년간(2000년~2014년) 에너지 분야에서 배출량이 가장 많았던 부문 은 에너지 산업으로 연평균 40.1%의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지속적인 증가 세를 보였다. 제조업 및 건설업의 경우에도 연평균 0.2%의 증가추세를 보 인 것으로 나타났다.

10

탈루성 배출이란 물리적으로는 통제되지 않으나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온 실가스 방출을 가져오는 배출량. 이것은 일반적으로 생산, 수송, 저장과정 및 연료와 기타 화학물질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연결부위, 밀봉부위, 패킹, 가스켓 등에서 주로 발생(한국화학산업연합회-용어해설, http://www.kocic.or.kr: 2017.

6. 12.)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37

<그림 3-2> 에너지(연료연소) 부문별 배출량 추이

백만 톤CO2eq

자료: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2016).

식음료품 가공 및 담배 제조에서 배출된 온실가스는 2000년에 약 311만 5천 톤CO2eq이었으나,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며 줄어들어 2014년에는 2000년에 비해 약 41%가 줄어든 183만 8천 톤CO2eq이었던 것으로 나타 났다. 식음료품 가공 및 담배 제조가 속한 제조업 및 건설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같은 기간 1억 2,984만 2천 톤CO2eq에서 49.5% 늘어난 1억 9,411만 8천 톤CO2eq인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 그 결과 식음료품 가공 및 담배 제조의 배출량 비중이 제조업 및 건설업의 2.4%에서 0.95%로 하락하 였으며, 전체 에너지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1.3%에서 0.3%로 하락 하였다.

38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그림 3-3> 식음료품 가공 및 담배 제조과정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추이

천 톤CO2eq

자료: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2016).

2.1.3. 기타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보고서는 에너지(CRF sector 1)의 기타(1.A.4)11 에 농업/임업/어업(1.A.4c)을 함께 묶어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 량을 보고한다. 2000년~2014년 기간 동안 전체 에너지 분야 배출량에서 기타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12.4%이며, 그 가운데 농업/임업/어업의 배출 량이 12.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량 수준이 최고였던 2001년 (1,100만 톤CO2eq) 이후 농업/임업/어업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4년에는 1990년 수준으로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11

기타의 배출원은 상업/공공(1A4a), 가정(1A4b), 농업/임업/어업(1A4c) 등이다.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39

<표 3-2> 에너지(기타) 부문별 배출량 추이

단위: 천 톤CO2eq

  1990 2000 2010 2011 2012 2013 2014

농업/임업/어업 4,846 10,331 6,643 6,173 6,125 6,282 4,811 기타(농임어업 제외) 71,484 60,538 49,368 49,269 48,987 47,352 44,212 합계 76,330 70,869 56,011 55,442 55,112 53,634 49,023 자료: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2016).

2.1.4. 농업에너지

농촌진흥청에서는 농업에너지 사용에 따른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추정한 연구보고서를 2015년에 발간하였다(고현석 외 2015). 이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 사용에 의한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2013년 427만 5 천 톤CO2eq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별로 구분하면 식량작물이 10만 4천 톤CO2eq를 배출하여 전체의 2.4%를 차지하였으며, 특용작물이 11만 3천 톤CO2eq로 2.6%를 차지하였다. 경종부문에서 94.9%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원예작물의 경우 2013년 배출량이 405만 8천 톤CO2eq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 대비 2013년 배출량의 증감을 보면 전체적으로 약 36%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식량작물의 감소율이 64%로 가장 높고, 원예작물이 30%

를 나타내었다. 원예작물 대부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배출량이 가 장 많은 과수의 경우 오히려 1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0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표 3-3> 에너지 투입에 따른 작목별 이산화탄소 발생량

단위: 천 톤CO2eq

구분  2005 2010 2011 2012 2013

합계  6,712 5,289 4,821 5,459 4,275

식량

소계 5,786 4,878 4,388 5,115 4,058

엽채류 148 153 183 130 116

근채류 26 16 17 14 13

과채류 1,151 1,121 1,383 1,154 1,362

조미채소류 1,004 900 780 981 629

양채류 60 65 54 3 14

과수 1,347 1,407 1,565 2,086 1,505

화훼 2,050 1,216 407 747 419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41

<그림 3-4> 유류 종류별 투입량 추이

자료: 고현석 외(2015).

2.1.5. 수송

농산물12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는 약 2백만 톤인 것으로 추정 되었다. 배출량 추정을 위해 국가교통DB센터에서 실시한 2009년 사업 제 08권 물류거점별 화물원단위 조사 (2010. 4. 30.) 보고서를 이용하였다. 이 조사는 2009년 9월부터 같은 해 11월까지 전국에 소재한 31개 공영 농수 산물도매시장13을 대상으로 화물차 운행실태를 설문한 것이다. 조사내용은 체류시간(입차 및 출차 시간), 차종, 출발지, 경유지, 통행시간, 적재톤수, 적재품목, 경유횟수 등을 포함한다.

생산지에서 소비지까지의 농산물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추 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전제로 하였다. 도매시장 출입차량은 승

12

축산물 수송에 대한 자료는 없으므로 본 분석에서 포함하지 못하였다.

13

서울 가락, 서울 강서, 구리, 인천 구월, 인천 삼산, 수원, 안양, 안산, 원주, 강릉,

춘천, 부산 반여, 부산 엄궁, 울산, 진주, 마산, 대구 북부, 포항, 안동, 구미, 광주

각화, 순천, 광주 서부, 정읍, 익산, 전주, 대전 오정, 청주, 대전 노은, 천안, 충주.

42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용차, 버스, 화물차, 기타 등 다양하지만 농산물 수송은 화물차에 한한다.

특정 경로를 이용한 농산물 수송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비율은 해당 유 통경로 농산물 출하량 비율과 동일하다. 즉 농산물 도매시장 출하량 비율 이 k%일 경우 도매시장 출하 농산물 수송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 농산물 수송 배출량의 k%가 된다.

물류거점별 화물원단위 조사에서는 화물차를 소형(2.5톤 미만), 중형(2.5 톤 이상~8.5톤 이하), 대형(8.5톤 초과, 덤프트럭 포함)으로 구분하였으며, 컨테이너도 포함하였다. 그러나 도매시장 출입 컨테이너의 수가 많지 않으 며 규모를 파악할 수 없고, 통행거리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표 3-4> 농수산물도매시장별 화물차 종류별 일일 유출입 현황

단위: 대/일

 지역 유출입  소형 중형 대형

서울권 유입 16,312 2,373 807

유출 16,677 2,260 657

경인권 유입 13,408 1,367 396

유출 13,450 1,190 384

강원권 유입 1,498 89 27

유출 1,555 83 22

동남권 유입 5,330 478 198

유출 5,338 443 137

대경권 유입 5,205 701 102

유출 5,315 546 80

호남권 유입 7,362 507 142

유출 7,333 580 133

충청권 유입 6,750 441 156

유출 6,879 400 132

합 계 127,243 112,412 11,458 3,373

자료: 국가교통DB센터(2010).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43

하루 평균 전국의 도매시장에 총 12만 7천 대 가량의 화물차가 유입되고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표 3-4>. 차종별로는 소형 화물차의 유출입 대수 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형, 대형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일일 평균 통행거리에 차이가 있으나 모든 권역에서 대형 화물 차, 중형 화물차, 소형 화물차의 순으로 통행거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3-5>. 대형 화물차의 경우 강원권 도매시장으로 유입, 유출되는 화물 차의 통행거리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표 3-5> 농수산물도매시장별 화물차 종류별 일일 평균 통행거리

단위: ㎞/일

 지역 유출입  소형 중형 대형

서울권 유입 28 198 321

유출 28 174 331

경인권 유입 19 137 284

유출 19 89 255

강원권 유입 18 141 388

유출 18 93 387

동남권 유입 18 140 174

유출 18 146 203

대경권 유입 35 119 276

유출 31 108 252

호남권 유입 25 59 107

유출 25 66 120

충청권 유입 35 108 187

유출 34 102 150

합 계 5,466 351 1,680 3,435

자료: 국가교통DB센터(2010).

일일 평균 통행거리를 유출입 화물차 대수와 곱하면 도매시장 유출입 화 물차의 일일 총 주행거리가 되며, 그 값을 다시 365일로 곱하면 연간 총 주행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연간 총 주행거리를 이용하여 화물차 종류별 연료사용량을 계산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2014년도 에너지 총조사보고 서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에서 제시하는 운행평균연비를 적용하였다.14

44 농축산식품부문 온실가스 배출현황

화물차 종류가 1톤 미만, 3톤 미만, 5톤 미만, 8톤 미만, 10톤 미만 등으로 구분되어 있어 물류거점별 화물원단위 조사와 상이한 기준으로 조사된 것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2차 다항식 추세선15을 적용하여 2.5톤 미만, 2.5~8.5톤 이하, 8.5톤 초과 화물차에 대한 평균 주행거리를 추정하는 절차 를 거쳤다. 그 결과를 이용하여 소형 화물차의 경우 운행평균연비 7.3㎞

/liter, 중형 5.6㎞/liter, 대형 3.6㎞/liter를 각각 적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온 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아래의 공식을 이용하였다.16

톤  연료사용량  × 배출계수 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간 톤(ton/yr)으로 표시되며, 연료사용량(TJ)은 에 너지 열량으로 환산한 것이다. 따라서 경유의 경우 총 연료사용량(리터)을 리터당 순발열량 35.4(MJ/L)17로 곱하여 계산하였다. 온실가스별 배출계수 (kg/TJ)18는 경유의 경우 74,100(CO2), 3.9(CH4), 3.9(N2O)를 적용하였다.

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Values)19를 적용하여 CH4 및 N20를 CO2로 환산하면 <표 3-6>과 같이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산된다.

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Values)19를 적용하여 CH4 및 N20를 CO2로 환산하면 <표 3-6>과 같이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