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부문 및 항목별 중요도 평가

2012년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실태 평가

1. 이행실태 평가 개요

1.2.2. 부문 및 항목별 중요도 평가

○ 농어촌서비스기준 각 부문에 대한 2011년과 2012년의 중요도 평가 결과는

<표 3-2>와 같다.

- 2011년: 관련 전문가 및 연구자 - 2012년: 시·군 정책 담당자

○ 2012년 중요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8개의 부문 중 ‘교육’ 부문의 가중치 가 0.210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보건의료’ 0.166, ‘복지’ 0.154, ‘주거’

0.139, ‘교통’ 0.117, ‘응급’ 0.099, ‘문화’ 0.075, ‘정보통신’ 0.040의 순이었 다. 가장 가중치가 큰 교육 부문과 가장 가중치가 작은 정보통신 부문 간의 가중치 차이는 0.170으로 부문들 간의 가중치 차이가 큰 편이다.

○ 2012년 부문별 가중치와 2011년 부문별 가중치는 서로 차이가 있다. 특히

‘복지’, ‘응급’ 부문의 가중치 차이가 비교적 큰 편이다.

- 시·군의 정책담당자들은 관련 전문가 및 연구자들보다 복지 부문을 상대 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복지’ 부문의 가중치는 2011년 0.105 점에서 0.049점 증가한 0.154점이다. 2011년에는 8개 부문들 중 6번째로 가중치가 높아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었으 나, 2012년 조사 결과에서는 전체 부문들 중 3번째로 가중치가 높았다.

- 반면, 응급 부문의 가중치는 다소 감소하였다. 2011년 응급 부문의 가중 치는 8개 부문들 중 4번째로 큰 0.138점이었으나, 2012년에는 0.039점이 감소하여 전체 부문들 중 6번째로 가중치가 높다.

- ‘주거’, ‘교통’, ‘교육’, ‘보건의료’, ‘문화’, ‘정보통신’ 등 다른 부문에서는 가중치 변화가 그리 크지 않았다.

부문 가중치

증감량(B-A) 2011년(A) 2012년(B)

주거 0.144 (3) 0.139 (4) -0.005 교통 0.132 (5) 0.117 (5) -0.015 교육 0.207 (1) 0.210 (1) 0.003 보건의료 0.160 (2) 0.166 (2) 0.006 복지 0.105 (6) 0.154 (3) 0.049 응급 0.138 (4) 0.099 (6) -0.039 문화 0.062 (7) 0.075 (7) 0.013 정보통신 0.053 (8) 0.040 (8) -0.013 주: ( )안의 숫자는 각 부문의 가중치 순위이다.

표 3-2. 농어촌서비스기준 부문별 가중치

○ 항목별 가중치도 2011년 조사와 2012년 조사 간에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주거, 교육, 보건의료 부문에서의 차이가 비교적 큰 편이다.

- 주거 부문에서는 상수도 항목의 가중치가 많이 상승하였다. 상수도 항목 의 가중치는 2011년에는 0.188점으로 5개 항목들 중 4번째였으나 2012 년에는 0.279점으로 5개 항목들 중 가장 높다. 반면 주택과 마을공동시설 항목은 0.235점에서 0.188점으로, 0.193점에서 0.146점으로 각각 0.047점

감소하였다.

- 교통 부문에서는 가중치 변화가 그리 크지 않다. 다만 2012년 조사에서 는 대중교통 항목과 인도 항목 사이의 가중치 차이가 2011년에 비해 다 소 증가하였다. 즉 대중교통 항목에 보다 큰 가중치가 부여되었다.

- 교육 부문에서는 평생교육 항목의 가중치가 많이 상승하였다. 2012년 평 생교육 항목의 가중치는 0.341점으로 2011년(0.230)에 비해 0.111점 가량 증가하였다. 반면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항목은 0.100점 가량 가중치 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2012년 조사에서도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 항목 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보건의료 부문을 살펴보면 2011년 조사에서는 순회방문 항목의 가중치 가 의약품 구입 항목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2012년 조사에서는 의약 품 구입 항목의 가중치가 순회방문 항목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각 0.080 점의 점수 증감이 있었다.

- 복지 부문에서는 아동 항목의 가중치가 0.039점 가량 증가한 반면 영유 아 항목의 가중치가 0.027점 가량 감소하여 부문 내 가중치 순위가 서로 바뀌었다. 가중치가 가장 높은 노인 항목의 가중치는 0.012점 가량 감소 하였다.

- 응급 부문에서는 항목 간 가중치 순위의 변화는 없다. 하지만 가중치 순 위가 가장 낮은 도난 방지 항목의 가중치가 0.066점 가량 상승하였고, 가 중치 순위가 가장 높은 응급서비스 항목의 가중치가 0.087점 가량 감소 하여 항목 간의 가중치 차이가 다소 줄어들었다.

- 문화 부문에서는 2011년 조사와 2012년 조사 간의 가중치 차이가 거의 없다. 독서 항목과 찾아가는 문화 프로그램 항목의 가중치 순위가 바뀌 기는 하였으나, 2011년 조사에서도 두 항목 간의 가중치 차이는 그리 크 지 않았다.

부문 항목 가중치

1.3. 지수 산출 방법

○ 지수를 구성하는 각 평가변수들은 값의 측정단위가 서로 다르다. 때문에 이 를 감안하지 않고 단순히 합산할 경우 무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다. 서로 다른 단위로 측정된 지표들을 표준화하는 방법으로는 표준화 점수법, Max-Min 방법 등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① 표준화 점수법: 표준화 점수법은 각 지표별로 그 값들을 Z-score값으로 환산 하는 방법이다. 각 지표값들을 평균 0, 표준편차 1의 분포를 갖도록 전환한 다. 아래의 공식을 통해 각 지표별로 표준화 점수를 얻을 수 있다.

 

 

 지역 지표의표준화지수

 지역 지표값

 지표의 평균값

 지표의표준편차

② Max-Min 방법: Max-Min 방법에 의한 표준화 지수는 자료 중 가장 큰 값을 1, 가장 작은 값을 0으로 처리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산식을 통해 계산 할 수 있다.

  max min

 min

 지역 지표의표준화지수

 지역 지표값 max  요인의최대값 min  요인의최소값

○ 종합 지수값 혹은 부문별 지수값은 표준화한 지표값을 합산하여 산출한다.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각 지표값에 가중치를 곱하여 합산하고, 가중치를 부 여하지 않을 경우 각 지표값을 산술평균 혹은 기하평균하여 지수값을 도출 한다.

- 가중치를 부여하지 않는다면 지수값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산출평균을 많 이 사용한다. 기하평균을 사용하는 방식은 지표 간 대체성(substitutability) 이 불완전하다는 것을 전제로 모든 지표의 값이 고르게 변화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특정 지표 값만 크게 변화하면 지수 값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 적으로 작아지는 특징을 가진다(이내찬, 2012).

○ 2011년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지수 산출에서는 표준화 점수법을 응용한 지 수 산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표준화 점수법에서는 지표값에서 평균 을 뺀 후 표준편차로 나누어 지수값을 산정한다. 하지만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지수에서는 지표값에서 평균을 빼는 대신 기준 충족값을 제하여 점수 를 표준화하였다.

- 각 시·군의 평가변수값에서 해당 서비스기준 항목의 기준 충족값을 제한 후 표준편차로 나누고 가중치를 곱하여 부문별 이행지수를 구하였다. 표 준편차로 나누어 준 것은 각 평가변수의 단위를 표준화하여 부문별 이행 지수로 합산하기 위한 것이다.

○ 이러한 지수 산출 방식은 다른 산출 방식에 비해 지수값만을 보고도 서비스 기준의 충족 정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각 지표값에 서 기준 충족값을 제하였기 때문에 지역이 해당 서비스기준을 충족한다면 부문별 이행지수는 0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해당 서비스기준을 초과 충족 하였다면 양의 값(+)을, 반대로 충족하지 못한다면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



  





  





  농어촌 서비스기준 종합 이행지수

 부문별 이행지수

 부문별가중치

 평가변수별 가중치

 평가변수 값

 평가변수별 기준 충족값

 평가변수별 표준편차

  농어촌 서비스 기준 부문

  농어촌 서비스기준 평가변수

○ 2012년 농어촌서비스기준 평가에서도 2011년과 동일한 지수 산출 방식을 사용한다. 농어촌서비스기준 지수의 목적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합한 지수 산출 방식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농어촌서비스기준 이행지수 산출의 목적은 각 시·군별로 기준의 달성 정 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2011년의 지수 산출 방식은 0을 기준으로 서비스

기준의 달성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어 지수의 목적에 가장 적합하다.

- 또한 2011년과 2012년 간의 시계열 비교를 위해서는 지수 산출 방식을 변경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