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에서 고찰한 바와 같이 미국, 영국, 호주, 중국 및 일본의 학교 환경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 나라 환경교육 교 수-학습 방법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주요 국가에서는 환경에 대한 교육(education about environment)보다는 환경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nvironment)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환경에 대한 지식이나 기능을 습득하는 데 적합한 강의법이나 실헙・실습법 등보다 는 태도나 가치, 그리고 참여나 행동을 함양하는 데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 강조 되고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미국에서는 조사 학습법, 실험・실 습법, 쟁점 중심의 토의 학습법, 문제 해결 학습법, 협동 학습법 및 ICT 활용 학습 법을 강조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역할 놀이, 토의 학습법, 경험 또는 체험 중심 학 습법을 강조하고 있고, 호주에서는 ICT 활용 학습법과 탐구 학습법을 강조하고 있 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체험 학습법, 토의 학습법 및 NIE 학습법을 강조하고 있으 며, 일본에서는 ICT 활용 학습법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우리 나라에서도 학생들이 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가치, 참 여와 행동을 함양할 수 있도록 조사 학습법, 실험・실습법, 쟁점 중심의 토의 학습 법, 문제 해결 학습법, 협동 학습법, ICT 활용 학습법, 역할 놀이, 탐구 학습법, 체험

학습법, NIE 학습법 등이 환경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제 6 차 교육과정부터 중학교에서는 환경 교과가, 고등학교에 서는 환경과학(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생태와 환경 ) , 환경보전 , 환경기술 등의 독 립 과목이 개설되고, 그 밖에도 대부분의 교과에서 분산적 접근을 통해 환경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어, 체계적으로 학교 교육을 통해 환경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 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급당 학생 수가 많고, 또 평가 목적상 교사 는 지식과 정보를 강조하게 되고 학생은 정답을 외우는 데 급급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리고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고, 교사도 환경교육 교수-학 습 방법에 대하여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지 못한 상황에서 대부분 강의법만이 적용 되어 왔으며, 앞으로도 그러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 기 위해서는 인지적 영역 이외의 정의적 영역 및 심동적 영역에 대하여 평가를 강 화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이 마련되고,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자료를 개발하 여 보급해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교사들에 대한 연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 도록 행・재정적 지원이 요구된다.

Ⅳ.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의 선정

환경교육에서 교수-학습 방법은 교육의 목적, 교육 내용, 교수-학습의 대상, 학습 자 집단의 규모,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 등을 고려하여 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는 중요한 준거는 특정 교과의 환경교 육 목표와 내용일 것이다. 왜냐하면, 특정 교과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환경교육 목적 이 무엇이냐에 따라 상이한 교수-학습 방법이 채택되어야 하며, 또 교과의 내용에 따라 교수-학습 방법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목표와 내용은 불가분의 관 계에 있다. 목표는 반드시 내용과 관련되어 제시되어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구체적인 내용이 주어져야 그 내용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서 목표가 설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내용 없는 목표는 존재할 수가 없다. 또한, 내용도 그 자체가 의미 를 갖는다기보다는 그 내용을 토대로 무엇을 추구할 것인가가 결정되어야 비로소 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목표와 내용은 그 수준을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 달리 논의될 수가 있을 것이다. 가령, 실과(기술・가정) 교과 전반을 통해서 추구해야 할 환경교육 목표는 지식과 정보, 기능, 태도와 가치, 참여와 행위로 구분하여 독립적으로 논의할 수 있 으며,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과 관련지어 논의할 수도 있 다. 물론, 체계적으로 분석이 된다는 것을 가정하면 후자의 종합이 전자의 결과와 일치할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실과(기술・가정) 교과에서 추구해야 할 환경교육 목표를 분 석하고, 이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명하고, 한편으로는 실과(기술・가정) 교과 의 내용별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구명하여 목표와 내용상 공통적으로 요 구되는 교수-학습 방법을 토대로 실과(기술・가정) 교과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할 것이다.

학급에서 교사가 실과(기술・가정) 교과 시간에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할 경우에 는 환경교육 목표와 내용뿐만 아니라 교수-학습의 대상, 학습자 집단의 규모, 학습이 이루어지는 공간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III장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교사가 제안하는 바람직한 환경 교수-학습 방법 등의 결과도 포함 되어야 할 것이다.

1.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환경교육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

환경교육의 목표 영역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보 및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행동 및 참여 네 가지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목표 영역은 환경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해 줄뿐만 아니라 이 목표 영역별로 적 용되어야 할 교수-학습 방법이 상이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표 Ⅳ-1>과 같이 제 7 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전체적인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환경 목표는 정보 및 지식의 목표(110개)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가치 및 태도(82개), 행동 및 참여(48개), 기능(47개)의 순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실과(기술・가정) 교과 내에서의 환경목표는 정보 및 지식(26개), 가치 및 태도(25개), 행동 및 참여(22개), 기능(17개)의 순으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농업과학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목표는 정보 및 지식(46개), 가치 및 태도(15 개), 행동 및 참여(6개), 기능(5개)의 순으로, 공업기술 과목에서의 환경교육 목표는 정보 및 지식(11개), 가치 및 태도(9개), 기능(7개), 행동 및 참여(22개)의 순으로, 가 정과학 과목에서의 환경교육 목표는 가치 및 태도(33개), 정보 및 지식(27개), 행동 및 참여(19개), 기능(18개)의 순으로 제시되고 있다(이용순 외, 2000).

따라서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교과목간에 차이는 있으나 환경교육 목표의 4개 영 역을 고루 다루고 있으므로 실과(기술・가정) 교과가 특성상 다양한 영역의 환경교 육 목표를 다룰 수 있는 가능성이 많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와 같이 정보 및 지식이 강조되고 있으나 앞으로는 교육과정을 개편할 때는 가 치 및 태도나 행동 및 참여가 더 강조될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만, 실과 교과의 성격이나 목적, 내용, 방법상의 특징을 고려한다면, 각 목표 영 역 중에서 더 강조해야 할 영역이 있을 수 있다.

실과(기술・가정) 교과는 환경 문제에 대한 정보나 지식의 습득 및 기능 습득 등 환경에 대한 교육(education about environment) 보다는, 태도・가치를 함양하고 궁 극적으로는 환경 친화적 행동이나 환경 보전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환 경을 위한 교육(education for environment)에 보다 적합한 교과라고 할 수 있다. 실 과(기술・가정) 교과는 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실천적, 체험적, 활동적 노작 교육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과이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올바른 태도나 가치를 함양하고 더 나아가 행동과 참여를 유도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표 Ⅳ-1> 제 7 차 실과(기술・가정) 과목 교육과정에서의 환경교육 관련 목표 분석 결과

환경교육 목표 교과목

정보 및

지식(K) 기능(S) 가치 및 태도(A)

행동 및 참여(P)

실과(기술・가정) 26 17 25 22

농업과학 46 5 15 6

공업기술 11 7 9 1

가정과학 27 18 33 19

110 47 82 48

남상준(1995)과 최돈형 외(1991)는 각 환경교육 목표 영역별로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표 Ⅳ-2>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표 Ⅳ-2> 목표 영역별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

목표 정보・지식(K) 기능(S) 가치・태도(A) 행동・참여(P)

교수-학습 방법

강의 강의와 시범 토의 야외 실습 과제 학습

과제 학습 실습 학습 실험실 실습 야외 실습・조사

역할 놀이, 토의 사례 학습 사회 참여 전시회 견학 연구

게임 사회 참여 전시회 견학 현장 조사 역할 놀이

<표 Ⅳ-2>에서는 환경교육의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교수-학습 방법은 매우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제시된 환경교육 목표 영역 은 특정 교과나 특정 교과의 특정 내용과 관련지어 제시된 것이 아니라 환경교육 일반에서 추구해야 할 목적이나 목표라는 사실이다. 결국, 이러한 목표 영역은 실과 (기술・가정) 교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서 위의 표에서 제시된 목표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도 실과(기술・가정) 교과에 그 대로 적용될 수 있고, 실제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환경교육 목표 영역별로 적용되는 교수-학습 방법이 실과(기술・

가정) 교과에 적용된다고 할 수 있다. 즉, 목표 영역의 관점에서 보면, 강의법, 토의 학 습법, 시범, 게임, 과제 학습법, 사례 연구법, 사회 참여, 실험・실습법, 조사 학습법, 역 할 놀이, 견학 방법 등이 실과 교과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2. 실과(기술・가정) 교과의 환경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실과(기술・가정) 교과에 적합한 환경교육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 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과(기술・가정) 교과에 적합하다고 분석된 교수-학습 방법을 중심으로 실과교과 의 하위 교과목인 실과, 기술・가정, 농업과학, 공업기술, 가정과학 교과 전문가와 연구진의 교과 내용 분석 및 협의 과정을 통하여 각 교과목별로 주요 단원을 선정 하고, 각 단원별로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