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면접조사-전화조사 결과 비교

문서에서 환자중심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페이지 96-101)

나 . 신뢰도 측정

4. 면접조사-전화조사 결과 비교

번호 설문 문항 면접

◦ 총 24명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 실시 결과, 두 문항(14번, 24번)을 제외하고 면접조 사와 전화조사에 대한 응답 값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 았음.

◦ 14번 문항의 경우, 통증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조치 정도를 묻는 내용으로 먼저 실 시된 면접조사에서는 3.75점으로 전화조사 응답 값보다 0.21점 낮게 나타남. 또한 24 번 문항의 경우 향후 병원 이용에 대한 가족 및 지인에게 추천할 의사를 묻는 내용 으로 전화조사 때 응답 값이 면접조사 응답 값보다 0.61점 낮게 나타남.

◦ 이는 면접조사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나타난 응답자의 변화된 관점으로 해석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는 병원 내에서 이루어진 면접조사가 아닌, 응답자 개인 보호 가 더 확보된 환경에서 전화로 실시된 조사 방법의 차이로 해석할 수 있음.

◦ 또한 총 31개의 동일한 문항에 대해 24명의 응답자 간 일치도를 교차분석을 통해 확인함. 면접조사와 전화조사 응답 간에 불일치를 나타낸 응답자 수와 불일치를 보 인 응답자 중 이전 면접조사 응답 값보다 이후 전화조사 응답 값이 증가한 경우(정 적변화), 그 반대로, 면접조사 응답 값보다 전화조사 응답 값이 감소한 경우(부적변 화)를 파악하여 문항 내 응답자 간 일치도의 변이를 살펴보고자 함.

◦ 분석결과, 평균 66.9%의 응답자 간 일치도를 나타냈음. 다시 말해, 평균 33.1%의 응 답자 간 불일치 정도를 나타냄. 그 중, 문항 27번과 28번은 가장 높은 불일치 정도 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응답자의 주관적 건강정도를 묻는 문항으로, 시간이 흐름 에 따라 변화 가능성이 높은 질문의 특성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음. 그러나 정적 변화 정도보다는 부적변화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퇴원 이후 전화조사 당 시 응답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또한 병원 추천 관련 문항과 전반적 병원 평가 문항에 대해서도 부적변화정도가 높게 나 타나 사후 전화조사 시 평가 수준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음. 하지만 불만제기 등의 문항은 오히려 전화조사 응답 값이 더 긍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성별과 나이, 간호 사의 예의 정도를 묻는 문항 1번은 면접조사와 전화조사 응답 값이 100% 일치하였 음을 확인함.

번호 설문 문항 불일치 정적변화 부적변화

번호 설문 문항 불일치 정적변화 부적변화 20 의료진들은 퇴원 후 주의사항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

해주었습니까? 20.8 12.5 8.3

21 의료진으로부터 퇴원 이후의 치료 계획에 대한 정보

를 제공받았습니까? 8.3 4.2 4.2

22 입원 기간 동안 다른 환자와 비교했을 때, 의료진으

로부터 불공평한 대우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20.8 12.5 8.3

23

이 병원에서의 입원 경험을 0점에서 10점 사이의 점 수로 평가한다면 몇 점을 주시겠습니까? 0점은 가장 나쁜 경우이고, 10점은 가장 좋은 경우입니다.

45.8 16.7 29.2 24 만약 가족이나 친구 중에 입원할 일이 생긴다면, 이

병원을 이용하도록 추천하시겠습니까? 58.3 8.3 50.0

25 귀하는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셨습니까? 16.7 4.2 12.5

26 귀하는 치료 결과에 만족하십니까? 41.7 20.8 20.8

27 현재 귀하의 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70.8 29.2 41.7

28 현재 귀하의 정신건강은 어떻다고 생각하십니까? 66.7 29.2 37.5

29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0.0 0.0 0.0

30 귀하의 만 나이는 어떻게 되십니까? 0.0 0.0 0.0

31 귀하는 학교를 어디까지 다니셨습니까? 20.8 8.3 12.5

5. 응답이질성 분석: 사례(Vignette) 활용

문서에서 환자중심성 평가모형 개발 연구 (페이지 96-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