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미혼모시설과 양육모그룹홈에 입소한 미혼모는 임신 및 분만, 산후관리가 필 요한 경우가 대다수이며, 취학전 아동이 대다수인 양육미혼모의 경우도 아동 관련 질병과 불안정한 직업 및 심리적인 불안감 등으로 의료서비스가 절대적으 로 필요하기 때문에 시설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지원은 미혼모와 아동의 건 강과 사회적 복귀를 위하여 중요하다.

의료서비스프로그램으로는 산전관리, 산후관리, 기타 질병, 아동 대상의 예방 접종, 성병‧에이즈 검사, 영유아의 기타 의료서비스, 기타서비스 등이 제공되며

<표 4-11>과 같다.

미혼모시설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전체 미혼모시설 에서 산전관리와 산후관리의료서비스가 제공되었으며, 다음으로는 기타 질병 및 성병‧에이즈 검사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율이 각 94.1%로 높았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은 70.6%이었다.

양육모그룹홈에서 제공하는 의료서비스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전체 양육모그 룹홈에서 기타 질병과 영유아의 기타 의료서비스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서비스를 실시하는 비율도 88.9%로 높았고, 산후관리의료서 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은 66.7%이었다. 그리고 성병‧에이즈 검사와 기타 의료서 비스 제공은 각 11.1%로 저조하였다.

미혼모의 산전‧후 관리에 중점을 두는 미혼모시설에서는 산전‧후 관리와 기 타 질병, 성병‧에이즈검사 등의 의료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반면, 양육 모를 보호하는 양육모그룹홈에서는 미혼모의 기타 질병과 영유아의 기타 의료

서비스, 아동대상의 예방접종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율이 높았다. 양 시설 간에 기능상의 차이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미혼모 및 아동의 건강을 위한 기본적인 의료서비스는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미혼모시설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프 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하며, 양육모그룹홈에서는 미혼모를 대상으로 하는 산후 관리와 성병‧에이즈 검사 등의 의료서비스가 확대되어야 한다.

〈표 4-11〉 미혼모시설 및 양육모그룹홈의 의료서비스프로그램 실시율 (단위: %, 명)

구분 미혼모시설 양육모그룹홈

산전관리 의료서비스 100.0

-산후관리 의료서비스 100.0 66.7

기타 질병 94.1 100.0

예방접종(아동) 70.6 88.9

성병, 에이즈 검사 94.1 11.1

영유아의 기타 의료서비스 - 100.0

기타 100.0 11.1

(분석대상수) (17) (9)

자료: 1) 본 연구를 위한 「미혼모시설 조사」의 분석결과임.

2) 본 연구를 위한 「양육모그룹홈 조사」의 분석결과임.

시설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사회 내의 의료기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미혼 모시설은 종합병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82.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병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64.7%로 높았고, 또한 의원과 보건소를 이용하는 비율은 각 29.4%, 한의원은 11.9%로 타 의료기관에 비해 이용이 저조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육모그룹홈은 병원을 이용하는 비율이 88.9%로 가장 높았으며, 또한 보건 소를 이용하는 비율도 66.7%로 높았고, 다음은 종합병원, 의원, 한의원 순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미혼모시설은 종합병원과 병원 등 비교적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 료기관을 이용하는 반면, 양육모그룹홈은 상대적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이 떨어지 는 보건소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미혼모자의 건강 제고를 위하여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인 종합병원과 병원 등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표 4-12〉 미혼모시설 및 양육모그룹홈의 이용하는 의료기관

(단위: %, 개소, 개)

구분 미혼모시설 양육모그룹홈

의원 29.4 33.3

병원 64.7 88.9

종합병원 82.4 44.4

한의원 11.8 22.2

보건소 29.4 66.7

(분석대상수) (17) (9)

평균이용하는 의료기관수 2.2 2.6

자료: 1) 본 연구를 위한 「미혼모시설 조사」의 분석결과임.

2) 본 연구를 위한 「양육모그룹홈 조사」의 분석결과임.

시설에서 의료서비스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은 다음과 같다. 미혼모시 설이 경험하는 어려움으로는 1순위에 의료비지원 부족이 71.4%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특정병원을 지정하기 어려움과 일반병원의 의료비 지원혜택이 전혀 없 음이 각 14.3%이었다. 2순위에서는 치과‧한의원 등의 의료기관 이용시 의료급 여혜택이 전혀 없음을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응답하였고, 또한 사전진단 없이 분 만하는 경우 병원에서 책임회피, 일반병원의 의료비 지원혜택이 전혀 없는 것 등을 지적하였다. 이외에도 10% 미만이나 특정병원을 지정하기 어려움, 진료 및 분만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없음, 의료비지원이 부족함 등도 어려움으로 응 답하였다.

양육모그룹홈이 응답한 어려움으로는 1순위가 의료비지원 부족이 33.3%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산전진단 없이 분만하는 경우 병원에서 책임회피와 치과‧

한의원 등의 의료급여 혜택이 없음을 응답한 비율이 각 22.2%이었다. 또한 일 부 시설이나 특정병원을 지정하기 어려움과 진료 및 분만을 위한 별도의 공간 이 없음 등도 어려움으로 지적하였다. 2순위에서는 사전진단 없이 분만하는 경 우 병원에서 책임회피를 응답한 비율이 40.0%로 가장 높았고, 이외에 특정병원 을 지정하기 어려움, 의료비지원 부족, 치과‧한의원 등의 의료급여 혜택이 없음 등도 어려움으로 응답하였다.

미혼모시설 및 양육모그룹홈이 공통적으로 의료서비스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재정지원부족으로 나타났고, 또한 산전 진단 없이 분만하는 경우 병원에서의 책임회피와 치과‧한의원‧일반병원 등 일부의료기관의 의료급 여 혜택이 없는 것, 그리고 특정병원을 지정하기 어려운 것 등도 어려움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미혼모 및 아동의 건강 확보를 위해서는 의료서비스의 질 적 제고가 필요하며, 이는 재정과 제도의 확대가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지역사 회 내에 의료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여 특정병원을 확보하며, 의료기관간의 연 계를 강화하여 미혼모의 분만권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표 4-13〉 미혼모시설 및 양육모그룹홈의 의료서비스프로그램 제공상의 어려움 (단위: %, 개소)

구분 미혼모시설 양육모그룹홈

1순위 2순위 1순위 2순위

특정병원을 지정하기 어려움 14.3 8.3 11.1 20.0

진료 및 분만을 위한 별도의 공간이 없음 - 8.3 11.1

-의료비지원이 부족함 71.4 8.3 33.3 20.0

사전진단 없이 분만하는 경우 병원에서 책임회피 - 25.0 22.2 40.0

치과, 한의원 등의 의료급여 혜택이 없음 - 33.3 22.2 20.0

일반병원의 의료비 지원혜택이 전혀 없음 14.3 16.7 -

-계(수) 100.0(17) 100.0(17) 100.0(9) 100.0(9)

자료: 1) 본 연구를 위한 「미혼모시설 조사」의 분석결과임.

2) 본 연구를 위한 「양육모그룹홈 조사」의 분석결과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