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덴마크의 의료기술평가 체계

문서에서 의료기술 평가 발전 방안 연구 (페이지 83-87)

1) 의료기술평가 기관 구조 및 위원회

○ 덴마크 의료기술평가 및 검토센터(DACEHTA, Danish Centre for Evaluation and Health Technology Assessment)는 광역 정부 및 지역 의사결정자에게 근거의 정도 및 정책권고에 관련된 조언을 제공함.

­ DACEHTA가 운영하는 의료기술평가는 다양한 경로가 있으며 광범위 (1.5~2.5년), 집중형(1년), 암 치료약(3개월), 해외 HTA(3~6개월), 핵심 HTA (6개월), 미니 HTA(1~-2개월), 조기경보(2~-4개월) 등임.

○ 조직적 관리체계 및 의료기술평가 프로그램 위원회

­ DACEHTA는 보건국(National Board of Health) 산하이며, 광역정부 및 지역에서 운영하는 공중보건 프로그램과는 독립적인 기관이며 정 부와 자치주, 보건학계, 덴마크과학기술혁신청, 보건예방부 대표로 구 성된 전략자문위원회가 있음.

2) 의료기술평가 범위 및 기준

○ 평가기준은 4가지로 기술(효율성), 환자(수요 및 위험부담), 조직(행정, 전달시스템), 경제(비용 및 경제성 분석)임.

○ 평가대상은 의료장비 의약품 및 예방, 진단, 치료, 간병 및 재활치료 절 차 및 방법, 보건의료시스템의 지원 체계 조직도 포함됨.

3) 프로그램 투명성 유지

­ DACEHAT에서는 임시 전문가 그룹이나 외부의 동료검토(peer review)를 실시함. 또한, 이해관계자 참여를 위해 DACEHTA의 2007년 의료기술평가 자료에 참여방안을 설명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기회는 명시하고 있지 않음. 자료에는 “이해당사자는 개별 프로젝트의 수요에 맞춰 여러 방식으로 참여”라고 언급하고 있음.

4) 신청 대상 및 선정 과정

○ 보고대상은 광역정부 및 지역의 공공프로그램 의사결정자, 국가․광역 정부․자치주 정치인과 공무원, 병원 및 부서 관리자, 단체 및 기업, 보 건시스템 및 1차 진료 임상의, 일반인 등이며 대상선정은 정책이나 계 획 질문을 정하여 4개 영역(기술, 환자, 조직, 경제)에 의해 평가되는데 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에 보다 비중을 둠.

○ 평가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관리자는 팀원과 함께 프로젝트 발주자에게 승인 받을 프로젝트 설명(배경, 대상그룹․이해당사자, 목적, 방법, 분석 틀, 프레젠테이션, 연구 구성, 기간, 예산 등 포함)을 준비

5) 근거 검토 수행

○ 보건의료기술 평가 접근방식(평가에는 복합 또는 모든 접근방식이 포함 될 수도 있음)에는 3가지가 있음.

­ 기술 위주: 특정 의료기술의 중요성 평가, 전립선암에 대해 인구기반 선별의 임상적, 사회적, 경제적 중요성

­ 문제 위주: 의료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나 해결전략을 찾는 것으로 이를 위한 여러 가지 대안 기술이 있음, 치매 평가 계획(임상 가이드라인을 위한 기초 개발 등)

­ 프로젝트 또는 조직 위주: 특정기술을 특정 기관이나 프로그램, 프로 젝트에 어떻게 적용시키는지를 평가하는 것

○ 근거가 유효한지, 문헌검토는 어떤 방식으로 수행할 것인지, 1차 조사 가 필요한지 등 검토 방법은 절차 초기에 명확히 함.

­ 조사 절차 계획: 조사 목적, 규모, 시간지평(time horizon)

­ 조사 프로토콜을 개발: 문제의 배경 및 제시, 핵심 질문(PICO), 포함․

제외기준, 정보 소스, 각 정보원의 조사 전략 및 결과, 문헌 검토 및 선정 전략 등

○ 윤리 관련 특성을 규명함(예: 윤리 문제 제시, 윤리 평가).

○ 문서 검색(출처, 검색 기간, 검색 용어, 검색일)

­ 정량적 연구를 위해 1차 문헌조사(연구 설계로 세분됨)와 2차 조사로 나눔.

․ 중요한 기사의 품질 평가는 두 명이 읽고 각각 독립적으로 평가한 후 체크리스트 (SIGN, NICE, GRADE)를 비교함.

․ 연구의 내적․외적 타당성을 평가함.

­ 정성적 연구는 새로운 통찰력을 얻고, 여러 정량적 연구결과를 종합하 여 일반화시키고, 개별적인 경험적 연구에서 얻은 것들을 초월하여 개 념적․이론적 발전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 사용함.

6) 의사결정 기관

○ 의사결정 절차 및 기준

­ HTA 국가전략연구소에 따르면 HTA는 보건의료체제에 있어 모든 수 준에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하며 HTA는 정책적, 행정적, 임상 적 의사결정자에게 영향을 미침. ① 정책 질문, ② 의사결정 수준, ③ 프로젝트 기간에 따라 광범위 또는 집중형 HTA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결과가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근거가 되는 것이 목표임.

­ HTA 틀은 주요 분석 없이 ‘사고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음(예: 병원 의 부서에서 분권화된 결정을 지원하는 최소화된 HTA).

7) 프로그램 결과 및 보급

○ 모든 HTA에는 환자 입장이 포함되어야 함(예를 들면, 기술에 관련된 환자의 지식과 경험, 선호도, 수요 및 기대, 환자의 비전 및 요구사항, 경제적 측면 및 조직, 관습, 태도, 전통이 환자의 경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해당 기술이 환자의 일상생활에 어떤 중요성을 갖는지, 환자의 자가간호(self-care)나 역량강화(empowerment)를 가장 잘 활용하는 방 법은 무엇인지, 자가간호․역량강화에 어떤 기회나 제한이 적용되는지)

○ HTA 결과에는 또한 다음이 포함될 수 있음.

­ 환자 경험의 질

­ 조직적 분석

­ 행정적 분석(전 수준의 의사결정 및 조직화를 위한 구조)

­ 경제적 평가(비용편익분석, 비용효과분석, 비용효용분석, 비용최소화분석)

○ 의료기술평가 정보는 위원회; 과학 간행물 기사, 학계 간행물 기사, 일 간지 논평, 전자매체 보도자료 등으로 제공되며 사후 평가 HTA 결과 가 의료보건체계 및 모든 최종 어떻게 통합되는지 평가하도록 권고됨.

문서에서 의료기술 평가 발전 방안 연구 (페이지 8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