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 캠퍼스 시설 구성요소별 만족도 분석

4.2 대학 캠퍼스 시설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

4.2.1 대학 캠퍼스 시설 구성요소별 만족도 분석

계획요소 및 전체만족도 평가 1.

조사대상 각 대학캠퍼스별 분석결과 주요 계획요소 및 전체 만족도는 개 항목 모9 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S1(주변입지 은 선발국립대학으로서 도심지에 위치한 대학) A 캠퍼스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또한 후발국립대학들의 경우는. 3.0이하의 낮 은 평균값을 보였으나 이들 중 도심지형인 C형은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외부공간 은 선발국립대학인 대학캠퍼스가 가장 높은 평균값으로 나타났으며

S2( ) A ,

후발국립대학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으로 분석되었다. S3(보차관련동선 은 모든) 유형에서3.0이상의 평균값을 보였으나 특히 후발국립대학인 B, C, D대학 캠퍼스에서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5 .

교육시설물의 구성 는 모두 이상의 평균값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중 대학캠

S4( ) 3.0 C

퍼스와 대학 캠퍼스에서의 교육시설물의 구성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D 났다. S5(지원시설물들의 구성 에서는 전체적으로) 3.0을 전후하여 유사한 평균값을 보 였으며 이중 대학캠퍼스A , C대학캠퍼스 등의 순으로 평균값이 분석되었다.

교육시설의 실내환경 행정 관련 지원시설믈의 실내환경 행정 관련 지

S6( ), S8( ), S8(

원시설믈의 실내환경 은 후발국립대학인) B, C, D 대학캠퍼스가 상대적으로 높은 평균 값을 보였고 선발국립대학의 경우는 가장 낮은값을 보였다, .

캠퍼스의 전체만족도 의 만족도는 선발국립대학인 대학이 가장 높은 평균값

S9( ) A

을 보였고 다음으로 후발국립대학 중 도심지형인, C대학 캠퍼가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후발국립대학 중 도외지형의 경우는 낮은 평균값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 scheffe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종속변수 조사대상 평균 표준편차 F Sig. Scheffe S1

주변입지

A 3.21 0.68

11.921 0.000 a>b,c,d

B 2.79 0.93

C 2.94 0.50

D 2.76 1.04

S2 외부공간

A 3.25 0.65

9.228 0.000 a>b,c,d

B 3.02 0.79

C 2.89 0.68

D 2.91 0.83

S3 보차관련 동선

A 3.28 0.58

5.874 0.001 a>b,c

B 3.57 0.99

C 3.62 0.94

D 3.52 0.85

S4 교육시설물의 구성

A 3.24 0.61

19.627 0.000 a>b,c,d b>c,d

B 3.48 0.84

C 3.73 0.69

D 3.80 0.88

S5 지원시설물의 구성

A 3.17 0.68

3.366 0.018

-B 2.99 0.75

C 3.15 0.61

D 2.96 0.99

S6

교육시설물의 실내환경

A 3.24 0.61

19.627 0.000 a>b,c,d b>c,d

B 3.48 0.84

C 3.73 0.69

D 3.80 0.88

S7

지원시설물 복지 의 실내환경( )

A 3.14 0.53

19.995 0.000 a>b,c,d

B 3.70 0.82

C 3.48 0.74

D 3.59 0.83

S8

지원시설물 행정 의 실내환경( )

A 3.11 0.63

11.861 0.000 a>b,c c>d

B 3.48 0.84

C 3.55 0.71

D 3.29 0.91

S9 캠퍼스 전체공간

A 3.26 0.67

22.351 0.000 a>b,c,d

B 2.68 0.85

C 3.12 0.61

D 2.73 0.95

그림4-1. 대학캠퍼스의 주요 계획요소 및 전체 만족도 평가결과

주변입지요소의 만족도 평가 2.

주변 입지와 관련한 요소들의 만족도 평가 결과 주변녹지 조경 면적에 대한 만족도( ) 를 제외한 개 항목에 대해서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5 .

세부적으로 살펴보면A1은 모든 대학캠퍼스에서3.O에 가까운 평균값을 보였고, A2 주변경관과A3 주변소음의 만족도에서는 도외지역에 위치한D , B형 형의 캠퍼스 순으 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반대로 도심지형의 캠퍼스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A4 주변시설물의 이용편의성과A5 통학통근의 편리성에서는 반대로 도심지형 인C , A형 형의 순으로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반대로 도외지형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주변에 형성된 대학촌의 만족도에서는 선발국립대학이며 도심지형인 대학이 가

A6 A

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그 외 대학에서는 대학, B , D대학, C대학의 순으로 낮은 평가 값을 보였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 scheffe분석 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종속변수 조사대상 평균 표준편차 F Sig. Scheffe

A1

주변 녹지 조경 면적( )

A 3.00 0.71

1.038 0.375

-B 3.15 0.94

C 3.07 0.75

D 3.01 1.09

A2 주변 경관

A 2.96 0.72

4.215 0.006 a>d c>d

B 3.18 0.94

C 3.02 0.74

D 3.25 0.94

A3 주변 소음

A 2.75 0.76

3.554 0.014

-B 3.03 1.13

C 2.87 0.86

D 3.04 1.12

A4

주변시설물의 이용편의성

A 2.94 0.84

8.103 0.000 a>d c>b,d

B 2.65 1.17

C 3.04 0.79

D 2.55 1.18

A5 통학 통근의 편리성/

A 2.97 0.75

14.969 0.000 a>b,d c>b,d

B 2.54 1.27

C 3.23 0.92

D 2.60 1.18

A6

주변에 형성된 대학촌

A 3.05 0.76

20.157 0.000 a>b,c,d b>c

B 2.28 1.14

C 2.63 0.81

D 2.44 1.24

*p<0.05, **p<0.01

외부 공간 및 시설환경 만족도 평가 3.

외부공간 및 시설 환경에 관련한 요소들의 만족도 평가 결과 B3, B4, B6의 개 항3 목에 대해서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B1, B2, B5는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 으며 유형별 모두 평균값은 3.0 이하의 부정적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상징이 되는 건축물 공간과 외부공간의 배치계획 및 디자인에 대해서는 만

B3: / B4:

족도 평가 결과, C대학에서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그 외의 대학의 시설에서는, 이하의 부정적인 평균값을 보였고 특히 대학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대학 시설에

3.0 , B A

대한 만족도에서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외부공간의 디자인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 의견이었으며 이중 대학캠퍼스에서

B6: A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B대학 시설 만족도의 경우는 특히 낮은 평균값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scheffe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종속변수 조사대상 평균 표준편차 F Sig. Scheffe

B1

캠퍼스내 건축물등의 외관

A 2.89 0.55

0.764 0.515

-B 2.87 0.88

C 2.86 0.66

D 2.98 0.86

B2

건축물군의 디자인 특징

A 2.81 0.59

0.384 0.764

-B 2.72 0.91

C 2.79 0.67

D 2.80 0.92

B3 상징 중심 이 되는( )

건축물 공간/

A 2.76 0.71

3.904 0.009 c>a,b

B 2.74 0.91

C 3.01 0.60

D 2.91 0.99

B4

외부공간의 배치계획 및 디자인

A 2.72 0.71

6.241 0.000 a>c

B 2.84 0.86

C 3.08 0.69

D 2.91 0.89

B5 건축물의 배치밀도

A 2.92 0.70

1.489 0.216 a>b

B 2.99 0.90

C 2.79 0.73

D 2.94 1.03

B6 외부공간의 디자인

A 2.96 0.63

4.338 0.005

-B 2.66 0.88

C 2.77 0.69

D 2.76 0.98

녹지 및 휴식공간의 만족도 평가 4.

녹지 및 휴식공간과 관련한 시설 및 환경의 개 항목에 대한 만족도 평가결과 유형별4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세부적으로 평가값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평균값인 3.0을 기준으로 약간 하회하는 만족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scheffe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종속변수 조사대학 평균 표준편차 F Sig. Scheffe

C1

전체적 녹지 조경면적/

A 3.06 0.70

0.300 0.825

-B 3.01 0.94

C 2.99 0.77

D 2.97 1.12

C2

전체적 휴식공간 면적

A 3.03 0.69

2.005 0.112

-B 2.84 1.04

C 2.81 0.87

D 2.92 1.10

C3 건물 주변 녹지공간

위치 배치/

A 3.10 0.66

1.275 0.282

-B 2.94 0.89

C 2.97 0.77

D 3.04 1.09

C4 건물 주변 휴식공간

위치 배치/

A 3.05 0.63

2.057 0.105

-B 2.87 0.97

C 2.85 0.75

D 2.88 1.04

옥외 운동 공간 시설 환경 만족도 평가 5.

옥외운동공간의 시설 환경에 관련한 요소들의 만족도 평가 결과 4개 항목 모두에 대해서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D1, D2, D3, D4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 A대학 시설에 대한 만 족도평가는 평균값3.0을 야간 상회하는 값을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평균값 으로 분석되었고, 그 외 3개의 대학 시설에서는 모두 평균값인 3.0 이하의 부정적인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옥외운동공간과 관련한 만족도 D1과 D2에 있어서는 대학 시설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였고B , 옥외운동장의 위치와 배치에 관련 된 D3와 D4는 D대학 시설이 가장 낮은 평균값을 보였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 scheffe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종속변수 조사대상 평균 표준편차 F Sig. Scheffe

D1

주요 옥외운동공간의 면적

A 3.02 0.70

2.668 0.047 a>b,c

B 2.79 0.87

C 2.81 0.84

D 2.91 1.11

D2

소규모 옥외운동공간의 면적

A 3.08 0.68

7.569 0.000

-B 2.66 0.82

C 2.80 0.78

D 2.87 1.08

D3

주요 옥외운동공간의 위치 배치/

A 3.08 0.73

3.650 0.012

-B 2.90 0.88

C 2.81 0.68

D 2.83 1.14

D4

소규모 옥외운동공간의 위치 배치/

A 3.05 0.75

3.804 0.010 a>d

B 2.88 0.82

C 2.85 0.74

D 2.75 1.06

외부공간 광장의 만족도 평가 6.

외부공간의 광장에 대한 만족도 개 항목에 대해서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5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E1주요광장의 면적에서는 대학 시설과A C대학시설에 대한 만 족도가 3.O이상의 평균값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보였고, D대학시설과 대학시B 설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3.0이하의 부정적인 만족도를 보였다. E2 소규모 광장의 면적에서는 대학 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A , B대학시 설, D대학시설, C대학시설의 순으로 낮은 평가값이 나타났다.

광장의 환경 및 쾌적성에서는 형이 을 약간 상회하는 값이기는 하지만 가장

E3 A 3.0

높은 평가 값을 보였고, B대학, C대학, D대학 시설 순으로3.0 이하의 낮은 평가값을 보였다.

주요광장의 위치 배치와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배치 에서도 형 캠퍼스의 경우

E4 / E5 / A

을 상회하는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고 그 외의 대학 시설에 대한 만족도평가에서

3.0 ,

는 3.0이하의 부정적 만족도의 평가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scheffe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종속변수 조사대상 평균 표준편차 F Sig. Scheffe

E1 주요 광장 면적

A 3.10 0.70

4.709 0.003 a>d

B 2.88 0.94

C 3.05 0.65

D 2.80 1.00

E2 소규모 광장 면적

A 3.09 0.66

4.032 0.007 a>b

B 2.79 0.87

C 2.95 0.81

D 2.86 1.06

E3

광장의 환경 및 쾌적성

A 3.20 0.68

9.406 0.000 a>b,c,d

B 2.78 0.87

C 2.81 0.70

D 2.91 1.09

E4

주요 광장의 위치 배치/

A 3.18 0.64

4.106 0.007 a>b,c

B 2.91 0.87

C 2.93 0.65

D 2.98 1.07

E5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배치/

A 3.22 0.64

8.475 0.000 a>b,c,d

B 2.83 0.84

C 2.94 0.67

D 2.86 1.06

외부공간 동선의 만족도 평가 7.

외부공간의 동선관련 만족도에서는F1,F2,F3,F7,F9의 항목에서 각 대학시설별 유의 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 중 먼저F1보행자의 이동 동선에서는 대학시설A , B대학 시설이 평균값이상의 평가값을 보였고 대학 시설C , D대학시설에 대한 만족도에서 평균 값이하의 부정적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량동선의 만족도에서는 대학 시설에 대한 만족도 평가만이 보통이상의 만족

F2: B

도를 보였고 그 외의 도심지와 가까운 대학시설에서는 보통미만의 만족도를 보였다, . 도로폭 보행자 통행원활의 만족도에서는 대학 시설 대학시설이 상대적으로

F3 ( )/ B , D

높은 평균값으로 나타났고 그 외 도심지형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값으로 나타 났다.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에 관한 만족도에서는 대학 대학 대학 모두

F7 ( )/ / A , B , C

평균값이상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설립년도가 최근인 D대학 시설에 대한 평가만이 낮은 평가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차장으로 인한 주변환경의 쾌적성에 관해서는 대학 시설을 제외하고는 모두

F9 C

평균값인 3.0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각 대학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F4,도로폭 차량 통행원활( )/ F5주차장 면적,F6주차장의 위치 배치/ ,F8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의 경우 만족도에서는( )/ / 평균값3.0을 약간 하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증인scheffe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의 표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