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캠퍼스 외부공간 및 동선의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5. 대학 캠퍼스 시설 주요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5.1 대학 캠퍼스 주변입지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5.1.1 대학캠퍼스 외부공간 및 동선의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외부 공간 관련 일반적 외부공간 개 항목 녹지 휴게공간 개 항목 옥외 운동공간6 , / 4 , 개 항목 광장 개 항목으로 총 개 평가항목이 외부공간에 대한 만족도에 끼치는

4 , 5 19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대학 캠퍼스 시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의 결정계수(R-Square:R2)는

대학 대학 대학 대학 이며 값이 대학 대

A 0.175, B 0.310 ,C 0.334 ,D 0.545 , , F A 8.003,B 학21.740, C대학18.028, D대학53.987이고 유의확률은 개 유형 모두, 4 0.000으로 유 의수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대학 캠퍼스 시설의 회귀모형에서 공차한계는 모두0.1 이상의 수치를 보 여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고, Durbin-Watson은 A대학

대학 대학 대학 으로 기준값인 에 근접하고 또는

1.866, B 2.218, C 2.284, D 2.079 2 0 에 가깝지 않기 때문에 잔차들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회귀모형

4 .

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채택된 외부 공간 관련요소 중에서 외부공간의 전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대학에서는 주요광장면적A (t=2.971, p<0.01), 소규모 광장의 위 치 배치/ (t=2.379, p<0.05), B대학은 건축물의 배치 밀도(t=3.753, p<0.01), 소규모 광 장의 면적(t=3.335, p<0.01), 전체적 휴식공간의 면적(t=3.124, p<0.01), C대학은 전 체적 휴식공간의 면적(t=6.405, p<0.01), 건축물의 배치 밀도(t=4.399, p<0.01), 주요 광장면적(t=2.419, p<0.05),외부공간의 디자인(t=2.308, p<0.05), D대학은 소규모 광 장의 위치 배치/ (t=4.624, p<0.01), 캠퍼스내 건축물들의 외관건물(t=2.958, p<0.01), 주변 휴식공간 위치 배치/ (t=2.157, p<0.05)만이 외부공간의 전체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유형별 요소들은 통계적 유의 수준하에서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각 대학별 주변입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그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변입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성향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들의 베타, 계수로 각각의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대학 캠퍼스 시설에서는 주요광장면적A (Beta=0.205),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배치/ (Beta=0.164), B대학 캠퍼스 시설은 건축물의 배치 밀도

소규모 광장의 면적 전체적 휴식공간의 면적

(Beta=0.280), (Beta=0.247), (Beta=0.234), 대학은 전체적 휴식공간의 면적 건축물의 배치 밀도

C (Beta=0.481), (Beta=0.331), 외부

공간의 디자인(Beta=0.187), 주요광장면적(Beta=0.174), D대학은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배치(Beta=0.411), 캠퍼스내 건축물들의 외관건물(Beta=0.251), 주변 휴식공간 위치/ 배치(Beta=0.169)의 순으로 나타 나났다.

124 B Beta

Tol VIF

형 A

(Constant) 2.131 7.413 0.000

주요광장면적 0.189 0.205 2.971 0.003 0.991 1.009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배치/ 0.166 0.164 2.379 0.018 0.991 1.009 R2=0.175 , Adj-R2=0.166, F(p)=8.003(0.000), Durbin-Watson=1.866

형 B

(Constant) 1.153 4.832 0.000

건축물의 배치 밀도 0.246 0.280 3.753 0.000 0.855 1.169 소규모 광장의 면적 0.224 0.247 3.335 0.001 0.870 1.150 전체적 휴식공간의 면적 0.178 0.234 3.124 0.002 0.850 1.176

R2=0.310 , Adj-R2=0.296, F(p)=21.740(0.000), Durbin-Watson=2.218

형 C

(Constant) 0.897 3.091 0.002

전체적 휴식공간의 면적 0.380 0.481 6.405 0.000 0.820 1.220

건축물의 배치 밀도 0.314 0.335 4.399 0.000 0.797 1.255

주요광장면적 0.182 0.174 2.419 0.017 0.896 1.116

외부공간의 디자인 0.185 0.187 2.308 0.022 0.706 1.416

R2=0.334 , Adj-R2=0.315, F(p)=18.028(0.000), Durbin-Watson=2.284

형 D

(Constant) 0.874 4.889 0.000

소규모 광장의 위치 배치/ 0.322 0.411 4.624 0.000 0.426 2.345 캠퍼스내 건축물들의 외관 0.242 0.251 2.958 0.004 0.467 2.142 건물 주변 휴식공간 위치 배치/ 0.135 0.169 2.157 0.033 0.550 1.819

R2=0.545 , Adj-R2=0.535, F(p)=53.987(0.000), Durbin-Watson=2.079

다음으로 외부공간의 보행자 차량 주차장에 대한 동선 관련 개 평가항목이 외부공, , 9 간 동선의 전체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대학 캠퍼스 시설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의 결정계수(R-Square:R2)는

대학 대학 대학 대학 이며 값이 대학

A 0.191, B 0.048, C 0.193, D 0.166,, , F A 13.258, B 대학7.442, C대학 11.567, D대학이8.978이고 유의확률은 개 유형 모두, 4 0.000으로 유의수준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대학의 회귀모형에서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 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고, Durbin-Watson은 A대학 1.880 B대학

대학 대학 으로 기준값인 에 근접하고 또는 에 가깝지 않 2.135, C 1.863, D 1.639 2 0 4

기 때문에 잔차들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채택된 주변입지 관련요소 중에서 주변입지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 들을 분석한 결과 A대학에서는 도로폭 보행자 통행 원활( )/ (t=3.641, p<0.01), B대학은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 )/ / (t=2.728, p<0.01), C대학은 주차장의 위치 배치/ 주차장으로 인한 주변 환경의 쾌적성 차량동선 (t=5.389, p<0.01), (t=-3.414, p<0.01),

대학은 주차장의 위치 배치 차량동선

(t=-2.359, p<0.05), D / (t=4.410, p<0.01),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 만이 주변입 (t=-2.945, p<0.01), ( )/ / (t=2.003, p<0.01),

지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 대학별 요소들은 통계, 적 유의수준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각 대학별 주변입지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그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주변입지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성향을 보이고 있었는데 이들의 베타, 계수로 각각의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A대학에서는 도로폭 보행자 통행( )/ 원활 대학은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 대학은 주차 (Beta=0.251), B ( )/ / (Beta=0.220), C

장의 위치 배치/ (Beta=0.435),주차장으로 인한 주변환경의 쾌적성(Beta=-0.268),차량 동선(Beta=-0.183),D대학은 주차장의 위치 배치/ (Beta=0.368),차량동선(Beta=-0.322),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 )/ / (Beta=0.223),의 순으로 나타나났다.

125 B Beta

Tol VIF

형 A

(Constant) 2.704 16.535 0.000

도로폭 보행자( )/통행 원활 0.204 0.251 3.641 0.000 1.000 1.000 R2=0.191 , Adj-R2=0.185, F(p)=13.258(0.000), Durbin-Watson=1.880

형 B

(Constant) 2.827 9.939 0.000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 0.247 0.220 2.728 0.007 1.000 1.000 R2=0.048 , Adj-R2=0.042, F(p)=7.442(0.000), Durbin-Watson=2.135

형 C

(Constant) 3.636 9.463 0.000

주차장의 위치 배치/ 0.544 0.435 5.389 0.000 0.852 1.173 주차장으로 인한 주변환경의 쾌적성 -0.342 -0.268 -3.414 0.001 0.902 1.109 차량동선 -0.231 -0.183 -2.359 0.020 0.927 1.079

R2=0.193 , Adj-R2=0.176, F(p)=11.567(0.000), Durbin-Watson=1.863

형 D

(Constant) 2.663 9.903 0.000

주차장의 위치 배치/ 0.357 0.368 4.140 0.000 0.781 1.280 차량동선 -0.289 -0.322 -2.945 0.004 0.515 1.941 도로의 식재 조경( )/디자인 쾌적성/ 0.206 0.223 2.003 0.047 0.497 2.014

R2=0.166 , Adj-R2=0.148, F(p)=8.978(0.000), Durbin-Watson=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