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학캠퍼스 건축물 실내환경 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5. 대학 캠퍼스 시설 주요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5.1 대학 캠퍼스 주변입지 계획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5.1.3 대학캠퍼스 건축물 실내환경 요소와 만족도의 관계분석

128 B Beta Tolerance VIF B Std. Error

형 A

(Constant) 3.268 12.979 0.000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0.397 0.465 6.782 0.000 0.853 1.172 건축물내 각실의 소음 0.257 0.244 3.509 0.001 0.830 1.205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0.138 -0.160 -2.485 0.014 0.968 1.033

R2=0.218 , Adj-R2=0.206, F(p)=18.171(0.000), Durbin-Watson=1.541

형 B

(Constant) 2.848 11.730 0.000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 0.212 0.218 2.711 0.008 1.000 1.000 R2=0.048 , Adj-R2=0.041, F(p)=7.349(0.008), Durbin-Watson=1.599

형 C

(Constant) 3.490 12.517 0.000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전기시설 0.393 0.424 5.022 0.000 0.795 1.258 건축물내 각실의 청결 0.175 0.241 2.672 0.008 0.696 1.437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0.177 -0.196 -2.279 0.024 0.762 1.312

R2=0.178 , Adj-R2=0.161, F(p)=10.495(0.000), Durbin-Watson=2.239

형 D

(Constant) 2.716 12.728 0.000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0.336 0.417 5.376 0.000 1.000 1.000 R2=0.174 , Adj-R2=0.168, F(p)=28.901(0.000), Durbin-Watson=1.657

지원시설 복지 관련 건축물의 실내환경과 관련한 개 평가항목이 교육시설 관련 건( ) 7 축물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대학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의 결정계수(R-Square:R2)는 A대학

대학 대학 대학 이며 값이 대학 대학

0.147, B 0.049, C 0.087, D 0.146 , F A 12.572, B 대학 대학 이고 유의확률은 개 유형 모두 으로 유의수 7.613, C 6.976, D 11.613 , 4 0.000

준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대학의 회귀모형에서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 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고, Durbin-Watson은 A대학 1.653, B대학 대학 대학 으로 기준값인 에 근접하고 또는 에 가깝지 않 2.059, C 1.697, D 2.075 2 0 4

기 때문에 잔차들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채택된 지원시설 복지 의 관련 건축물 실내환경 관련요소 중에서 지원시설 복지 관( ) ( ) 련 건축물의 실내환경의 전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A 대학캠퍼스 시설에서는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t=3.571, p<0.01), B대학은 건축 물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t=2.759, p<0.01), C대학은 건축물내 각실의 청결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 대학은 건축 (t=3.530, p<0.01), / (t=2.385, p<0.05), D

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t=2.602, p<0.05),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가 전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t=2.077, p<0.05) . ,

외 대학별 요소들은 통계적 유의 수준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각 대학별 교육시설 건축물의 실내환경 전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베타계수로 각각의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대학에서는 건축물내 각실의A 냉난방 시설(Beta=0.247), B대학은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 (Beta=0.222), C대 학은 건축물내 각실의 청결(Beta=0.298),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 대학은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건축물 (Beta=0.201), D / (Beta=0.243),

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Beta=0.194)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129 B Beta Tolerance VIF B Std. Error

형 A

(Constant) 2.585 16.135 0.000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0.184 0.247 3.571 0.000 1.000 1.000 R2=0.147 , Adj-R2=0.135, F(p)=12.572(0.000), Durbin-Watson=1.653

형 B

(Constant) 2.987 10.239 0.000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전기시설 0.251 0.222 2.759 0.007 1.000 1.000 R2=0.049 , Adj-R2=0.043, F(p)=7.613(0.007), Durbin-Watson=2.059

형 C

(Constant) 3.517 11.453 0.000

건축물내 각실의 청결 0.258 0.298 3.530 0.001 0.876 1.141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전기시설 0.216 0.201 2.385 0.018 0.876 1.141

R2=0.087 , Adj-R2=0.075, F(p)=6.976(0.001), Durbin-Watson=1.697

(Constant) 2.422 9.623 0.000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0.218 0.243 2.602 0.010 0.722 1.384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0.158 0.194 2.077 0.040 0.722 1.384

R2=0.146 , Adj-R2=0.133, F(p)=11.613(0.000), Durbin-Watson=2.075

지원 행정 시설 관련 건축물의 실내환경과 관련한 개 평가항목이 교육시설 관련 건( ) 7 축물의 실내환경에 대한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대학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의 결정계수(R-Square:R2)는 A대학

대학 대학 대학 이며 값이 대학 대학

0.182, B 0.126, C 0.092, D 0.472 , F A 6.279, B 대학 대학 이고 유의확률은 개 유형 모두 으로 유의 21.216, C 7.358, D 40.258 , 4 0.000

수준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대학의 회귀모형에서 공차한계는 모두, 0.1 이상의 수치를 보여 다중공선 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고, Durbin-Watson은 A대학 2.080, B대학

대학 대학 으로 기준값인 에 근접하고 또는 에 가깝지 않 2.034, C 1.770, D 1..930 2 0 4

기 때문에 잔차들간에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회귀모형이 적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채택된 지원시설 행정 의 관련 건축물 실내환경 관련요소 중에서 지원시설 행정 관( ) ( ) 련 건축물의 실내환경의 전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한 결과 A 대학에서는 건축물 내 각실의 디자인(t=2.594 , p<0.01), B대학은 건축물내 휴식 커뮤/ 니티 관련 공용 공간(t=4.606 , p<0.01), C대학은 건축물 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 건축물 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대학은 건축 (t=3.786 , p<0.01), (t=2.946 , p<0.01), D

물 내 각실의 소음(t=2.187 , p<0.01),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 공간/ 건축물 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가 전체 만족도 (t=3.639 , p<0.01), (t=2.182 , p<0.01)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 외 대학별 요소들은 통계적 유의수. 준하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각 대학별 지원시설 행정 건축물의 실내환경 전체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베타계수로 각각의 영향력을 비교해보면 대학에서는 건축물 내A 각실의 디자인(Beta=0.182), B대학은 건축물 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 공간/ 대학은 건축물 내 각실의 조명 전기시설 건축물 내 각실 (Beta=0.355), C / (Beta=0.395),

의 냉난방 시설(Beta=0.307), D대학은 건축물 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 공간/ 건축물 내 각실의 소음 건축물 내 각 실의 냉난방 시설 (Beta=0.297 ), (Beta=0.270),

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Beta=0.231) .

130 B Beta Tolerance VIF B Std. Error

형 A

(Constant) 2.600 13.000 0.000

건축물내 각실의 디자인 0.164 0.182 2.594 0.010 1.000 1.000 R2=0.182 , Adj-R2=0.156, F(p)=6.279(0.010), Durbin-Watson=2.080

형 B

(Constant) 1.496 5.578 0.000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0.406 0.355 4.606 0.000 1.000 1.000 R2=0.126 , Adj-R2=0.120, F(p)=21.216(0.000), Durbin-Watson=2.034

형 C

(Constant) 3.336 12.079 0.000

건축물내 각실의 조명/전기시설 0.367 0.395 3.786 0.000 0.572 1.748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0.306 0.307 2.946 0.004 0.572 1.748

R2=0.092 , Adj-R2=0.079, F(p)=7.358(0.001), Durbin-Watson=1.770

(Constant) 0.963 4.359 0.000

건축물내 각실의 소음 0.265 0.270 2.187 0.030 0.256 3.906 건축물내 휴식 커뮤니티 관련 공용공간/ 0.274 0.297 3.639 0.000 0.585 1.709 건축물내 각실의 냉난방 시설 0.202 0.231 2.182 0.031 0.350 2.858

R2=0.472 , Adj-R2=0.460, F(p)=40.258(0.000), Durbin-Watson=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