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양성 측정

문서에서 규 제 연 구 (페이지 142-147)

IV. 결론

3. 다양성 측정

본고에서의 다양성 측정 대상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나이이고, 둘째는 대학이고, 셋째는 전공이다. 서론에서도 밝혔듯이 나이를 측정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나이가 많은 이사들의 연륜으로부터 나오는 경험과 나이가 적은 이사들의 참신함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 을 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대학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이사회의 구성원 간에 형성되는 동창 문화가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마지막 으로 전공을 측정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다양한 전공 지식, 특히, 자연과학적 지식을 가진 이사들과 사회과학적 지식을 가진 이사들이 섞여 있을 경우와 전공이 한쪽으로 쏠려 있을 경우는 기업성과에 다르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양성의 측정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측정된다. 첫째는 이사회 전체가 어느 정도 다양 하게 분포되어 있느냐에 초점을 둔 측정 방법이고, 둘째는 이사회의 중심인물로부터 어느 정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느냐에 초점을 둔 측정 방법이다. 먼저 이사회 전체가 어느 정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느냐는 측정 대상변수가 연속변수인 경우와 이산변수인 경우에 각각 다르게 측정된다. 나이처럼 연속변수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은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이용하는 것이다. 변동계수는 이사회를 구성하는 이사들의 나이의 표준편차를 나

이의 평균으로 나누어서 계산하는 방법으로, 측정단위로부터 자유롭다.

대학이나 전공의 다양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Hambrick et al.(1996)의 방법에 따라 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이용한다. 먼저 대학의 Herfindahl-Hirschman index를 계산하 기 위해서 조사 기간 동안 이사들의 출신대학이 많은 순으로 매년 20위까지를 구하였다. 이

4) 사외이사 비율의 연도별 추이를 살펴보면, 1998년과 1999년에 각각 19%와 28%이었던 것이, 2000년대 초반 에는 40% 전후를 차지하였고, 2007년 이후는 45% 전후까지 증가하였다.

들 출신대학 중 매년 상위 20위 안에 든 대학은 모두 16개 대학이었고, 매번 등장하지는 않 지만 상위 20위 안에 자주 들어오는 대학까지 더하면 모두 21개 대학이었다.5) 이 21개 대학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Herfindahl-Hirschman index를 계산한다.

   

  

여기서 은 분류된 대학 개수를 의미하며, 는 대학별로 분류된 각 범주에서 출신대학의 이사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이 지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고, 그 값이 커질수 록 다양한 대학 출신들의 이사가 이사회에 포진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반대로 그 값이 0에 가까워질수록 출신대학의 다양성은 줄어든다. 본고의 계산에 의하면, 대학의 다양성 지수인 Herfindahl-Hirschman index의 평균값은 0.8 정도이다.

전공도 대학처럼 이산변수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학의 다양성 지수를 구할 때 처럼 Herfindahl-Hirschman index를 이용한다. 먼저 원자료에는 346개의 전공이 표기되어 있 으나, 동일 혹은 비슷한 전공을 의미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이름으로 분류된 전공을 모두 확 인하여 수정하였다. 그 다음으로 Hambrick et al.(1996)와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공을 크 게 13개로 분류하였다.6) 마찬가지로 이 지수 역시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고, 그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전공의 다양성이 줄어들고, 1에 가까울수록 전공의 다양성이 커진다. 본고의 전 공 다양성 지수의 평균값은 대학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0.8 정도이다.

이상의 세 가지 지수(나이의 변동계수, 대학 및 전공의 Herfindahl-Hirschman index)는 이 사회 전체가 어느 정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느냐를 나타내는 값들이다. 하지만, 이러한 지 수들이 나타내는 다양성은 이사회의 중심인물로부터 어느 정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가 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고에서는 중심인물을 사장으로 가정하였다.7) 이 때, 이사회가

5) 매년 상위 20위 안에 든 대학은 건국대, 경북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동아대, 부산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 관대, 연세대, 영남대, 인하대, 중앙대, 한국외대, 한양대이었다. 명지대는 13개 연도에, 단국대는 10개 연도에, 국민대는 9개 연도에, 전남대는 6개 연도에, 전북대는 4개 연도에 상위 20위 안에 들었다. 그리고 상위 3위까 지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가 항상 차지하였으며, 상위 5위까지에는 상위 3개 대학 이외에 한양대, 성균관 대가 포함되었다.

6) 구체적으로는 법, 경제, 경영, 인문학, 사회과학, 공학, 자연과학, 의약보건, 식품 및 농축수산, 예체능, 나머지 문과 관련 전공, 나머지 이과 관련 전공으로 분류하였다.

7) 누구를 중심인물로 설정하는가에 있어서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일률적으로 사장을

사장으로부터 얼마나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는 다른 방식으로 계산된 다. 먼저 나이의 다양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Westphal and Zajac(1995, 1996)의 방법에 따라 유 클리드 거리측도(euclidean distance measure)를 이용한다. 구체적인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여기서 는 사장의 나이, 는 사장을 제외한 이사들의 나이, 은 사장을 제외한 이사회 의 규모를 나타낸다. 이 값은 사장과 이사들의 나이의 차이에 비례하므로, 이 값이 커질수록 이사회의 나이의 다양성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대학 및 전공에 있어서 이사회가 사장으로부터 얼마나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가를 살펴보는 지수로서 본고에서는 약간 변형된 Blau index를 이용한다.8) Blau index는 이 산변수인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지표로서, 를 이사회에서 사장과 동일한 대학 혹은 동일 한 전공의 이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낸다고 가정할 때, 본고에서의 Blau index는   로 정의된다. Blau index도 역시 다른 지수들과 마찬가지로 그 값이 커질수록 대학 및 전공 의 다양성이 증가함을 의미한다. <표 3>은 본고에서 사용하는 다양성 지수들을 정리한 것이 다.9)

중심인물로 간주하였다. 사장이 두 명 이상일 때에는 보유 주식이 가장 많은 사람을 사장으로 정의하였다.

8)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수로서 본고에서 사용하는 Blau index 이외에도 Simpson index, Shannon index, Renyi entropy 등이 있다. 이들 지수는 각 학문의 영역에서 조금씩 다른 특성을 지니면서 개발되어 왔다. 본고에서 의 Blau index는 자연과학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어 온 Simpson index와 유사하나, 그 값이 커질수록 다양성이 증가하고, 그 값이 작아질수록 다양성이 줄어드는 방식으로 약간의 수정이 가해진 것이다.

9) 본고에서 보고하고 있지는 않지만, 각 다양성 지수들의 연도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규칙적인 움직임을 발견 하지 못하였다.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각 지수들 값이 점점 커져서 다양성이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유클리드 거리측도와 전공 Herfindahl-Hirschman index 뿐이었고, 다른 지수들은 연도와 무관한 움직임 을 보였다.

이사회 전체가 어느 정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느냐에 초점을 둔 측정 방법

사장으로부터 어느 정도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느냐에 초점을 둔 측정 방법

나이 변동계수 유클리드 거리측도

대학 Herfindahl-Hirschman index Blau index 전공 Herfindahl-Hirschman index Blau index

<표 3> 다양성 지수

다양성 지수를 산정함에 있어서 이사회 전체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를 구분하여 각각의 다양성 지수도 산정하였다. 산정하는 방식은 <표 3>의 다양성 지수를 산정할 때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였다. 다양성 지수들에 대한 기초통계는 <표 4>와 같다.

나이의 다양성 지수인 변동계수를 살펴보면, 이사회 전체의 평균값과 중앙값은 각각 0.14 와 0.13으로 거의 비슷한 반면, 최대값은 평균값 및 중앙값에 비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나이의 변동계수는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를 가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 다. 이는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로 구분하여 작성한 변동계수를 보면 확연히 드러나는데, 사 내이사 변동계수의 평균과 사외이사 변동계수의 평균은 이사회 전체의 변동계수와 그다지 차이를 보이지 않는 반면, 최대값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내이사와 사외이 사의 최대값이 0.5 정도이고, 각각의 평균이 0.12과 0.14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보아 오른쪽 꼬리가 긴 분포의 형태를 가지지만, 이사회 전체의 변동계수에 비해서 극단적이지 않아 보인다.

나이의 또다른 다양성 지표인 유클리드 거리측도를 살펴보면, 이사회 전체의 평균값과 중 앙값의 차이는 1 정도이고, 평균값이 중앙값보다 약간 더 큰 것을 보면, 유클리드 거리측도 도 변동계수와 비슷하게 오른쪽 꼬리가 긴 형태의 분포를 가진다.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로 구분하여 작성한 유클리드 거리측도도 이사회 전체의 경우와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다는 점 이 변동계수 때와는 다른 점이다. 이상의 나이에 대한 두 가지 다양성 지표로 확인할 수 있 는 사실은 이사회 전체로 보든 사장을 중심으로 보든 일반적으로 나이가 아주 다양하게 분 포되어 있지는 않다는 사실이다. 이는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로 구분해도 마찬가지이다.

대학의 다양성 지수인 Herfindahl-Hirschman index와 Blau index를 보면, 이사회 전체로

다양성지수 최소값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최대값

나 이

변동계수 0 0.14 0.13 0.09 2.95

변동계수(사내이사) 0 0.14 0.12 0.09 0.52

변동계수(사외이사) 0 0.12 0.11 0.08 0.48

유클리드 거리측도 0 9.86 8.84 5.16 38.57

유클리드 거리측도(사내이사) 0 7.99 6.84 6.06 41.32

유클리드 거리측도(사외이사) 0 8.53 7.19 6.79 44.08

대 학

HH index 0 0.80 0.83 0.12 1.00

HH index(사내이사) 0 0.71 0.76 0.19 0.98

HH index(사외이사) 0 0.63 0.72 0.28 1.00

Blau index 0 0.91 0.96 0.12 1.00

Blau index(사내이사) 0 0.84 0.89 0.20 1.00

Blau index(사외이사) 0 0.91 1.00 0.22 1.00

전 공

HH index 0 0.81 0.81 0.14 1.00

HH index(사내이사) 0 0.72 0.76 0.22 1.00

HH index(사외이사) 0 0.67 0.75 0.29 1.00

Blau index 0 0.90 0.95 0.12 1.00

Blau index(사내이사) 0 0.71 0.89 0.33 1.00

Blau index(사외이사) 0 0.80 1.00 0.33 1.00

주: HH index는 Herfindahl-Hirschman index를 나타냄.

<표 4> 다양성 지수의 기초통계

보든 사장을 중심으로 보든 다양한 대학 출신의 이사들이 이사회에 포진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Herfindahl-Hirschman index를 보면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모두 평균값보다 중앙 값이 약간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전체적인 분포의 형태가 나이의 다양성 지 표와는 반대로 왼쪽으로 긴 꼬리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사내이사의 Herfindahl-Hirschman index가 사외이사의 Herfindahl-Hirschman index보다 더 크다는 사실 로부터 사내이사가 사외이사보다 더 다양한 대학을 졸업하였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는 사 내이사 수가 사외이사 수보다 더 많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결과로 이해된다. 재미 있는 사실은 이사회 전체의 Herfindahl-Hirschman index가 사내이사와 사외이사 각각의 Herfindahl-Hirschman index보다 더 크다는 것이고, 이는 사내이사들이 졸업한 대학과 사외

문서에서 규 제 연 구 (페이지 142-1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