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문화 가정 영유아 지원에 대한 인식

본 절에서는 다문화 가정 영유아 지원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면담내용 분석 결 과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가. 행정체계에 대한 인식

1) 인력

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표 Ⅴ-2-1>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인력 규모가 적절한지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모든 지역에서 별로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하고 있으며 도시와 도농복합의 경우에는 매우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농어촌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적절하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농어촌의 경우는 도시나 도농복합의 경우에 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이상적인 인력규모와 현실의 차이가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매우 부적절 부적절 적절 매우 적절 계 X2(df) 전체 28.2 45.8 21.4 4.6 100.0(131)

도시 44.4 44.4 11.1 0.0 100.0( 36)

인력종류 인력규모 도시 도농복합 농어촌

구분 매우 불충분 불충분 충분 매우 충분 계 X2(df) 전체 30.0 53.8 15.4 0.8 100.0(130)

도시 34.6 48.1 15.4 1.9 100.0( 52)

4.596(6) 도농복합 28.2 61.5 10.3 0.0 100.0( 39)

농어촌 24.3 54.1 21.6 0.0 100.0( 37)

구분 매우 불충분 불충분 충분 매우 충분 계 X2(df)

전체 26.1 56.9 16.3 0.7 100.0(153) 도시 17.0 57.4 23.4 2.1 100.0( 47)

90.737(6)***

도농복합 34.4 40.6 25.0 0.0 100.0( 32) 농어촌 27.9 64.7 7.4 0.0 100.0( 68)

〈표 Ⅴ-2-4〉 다문화 담당 인력의 충분성: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단위: %(기관)

***p<.001

다) 지방자치단체

<표 Ⅴ-2-5>는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담당 인원이 충분한지에 대한 조사 결과이 다. 도시, 도농복합, 농어촌 지역 모두에서 다문화 담당 인원이 불충분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매우 불충분하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많아 전반적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다문화 담당 인원이 불충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2-5〉 다문화 담당 인력의 충분성: 지방자치단체

단위: %(기관)

면담내용 분석에서도 설문조사 분석과 마찬가지로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는 행정 인력이나, 실제로 다문화 가정을 지원하는 실무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좋 은 정책이 만들어져도 그것을 시행할 인력이 없으면 정책이 제대로 실현되기 어려 울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다문화 가정 지원 담당 행정 인력 확보와 함께 지원 업무 를 직접 수행하는 실무진에 대한 복지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지금 가장 큰 어려움은 인력이에요. 앞으로 다문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어떤 사업들 을 할지 좋은 아이디어도 프로그램도 많을 텐데, 우선 이 사업을 할 수 있는 인력 이 없다는 거. (S시교육청 행정가, 집단면담)

구분 전혀

모름 잘 모름 어느 정도 알고 있음

매우 잘

알고 있음 계 X2(df) 전체 1.2 17.1 66.6 15.2 100.0(434)

센터 0.0 6.6 76.6 16.8 100.0(137)

26.645(6)***

교육청 1.9 25.3 63.3 9.5 100.0(158) 지자체 1.4 18.0 60.4 20.1 100.0(139)

구분 필요 없음 어느 정도

필요함 매우 필요함 계 X2(df)

전체 0.9 24.3 74.8 100.0(432)

센터 0.0 28.1 71.9 100.0(135)

3.292(4)

교육청 1.3 22.2 76.6 100.0(158)

지자체 1.4 23.0 75.5 100.0(139)

2) 네트워크 및 협력

<표 Ⅴ-2-6>은 각 부처나 기관에서 다른 부처나 기관의 다문화 가정 지원 서비스 를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지방자치단체 모두에서 다른 부처나 기관의 다문화 가정 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지방자치 단체는 매우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많았으나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은 잘 모른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많아 전체적으로 타 부처나 기관의 다문화 가정 지 원서비스에 대하여 어느 정도는 알고 있으나 잘 모르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2-6〉 다른 부처/기관의 다문화 가정 지원 서비스 인지 정도

단위: %(기관)

***p<.001

<표 Ⅴ-2-7>은 각 부처나 기관에서 지역 내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 사이에 네트워 크가 얼마나 필요하다고 느끼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교육 청 및 교육지원청, 지방자치단체 모두에서 기관 간 네트워크가 매우 필요하다는 응 답이 가장 많았고,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응답이 두 번째로 많아 전체적으로 지원 기관 간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2-7〉 지역 내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 간 네트워크의 필요 정도

단위: %(기관)

구분 구성 미구성 계 X2(df)

전체 63.2 36.8 100.0(432)

센터 86.1 13.9 100.0(137)

47.501(2)***

교육청 48.7 51.3 100.0(158)

지자체 56.9 43.1 100.0(137)

<표 Ⅴ-2-8>은 지역 내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의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있는지에 대 한 조사 결과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원 기관 간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있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많았으나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은 구성되어있지 않다는 응답이 구성되어있다는 응답보다 많았다. 한편 다문화가족지원 센터의 경우는 구성되어 있다는 응답이 86.1%로 그렇지 않다는 응답에 비하여 월등 히 높았으나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은 구성되어있다는 응답과 그렇 지 않다는 응답이 비슷한 수준을 보여 기관 간 편차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Ⅴ-2-8〉 지역 내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의 네트워크 구성 여부

단위: %(기관)

***p<.001

<표 Ⅴ-2-9>는 지역 내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 간 연계와 협력이 얼마나 잘 이루 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행정 기관은 전체적으로 높음, 보통, 낮음의 순서로 응답이 높게 나와 지원기관 간 연계 와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의 경우 다문 화가족지원센터나 지방자치단체에 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행 정기관과 높은 연계 협력 정도를 보이는 비율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복지기관,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 학교, 병원 보건(지)소, 종교 여성 기타 민간단체, 상담소, 도서관도 전체적으로 보통, 높음, 낮음의 순서로 응답이 높게 나 와 지원기관 간 연계와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청 및 교육지원청은 지역사회 복지지관/시설, 병원, 종교, 상담소, 도서관 등과의 연계 에서도 낮음, 없음, 보통 순으로 응답이 높게 나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나 지방자치 단체에 비해 다소 협력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여성지원센터는 전체적으 로 보통, 없음, 낮음 순으로 응답이 높게 나왔고, 농업기술센터는 없음, 보통, 낮음 순으로, 문화원은 낮음, 보통, 없음 순으로, 민간기업은 보통, 낮음, 없음 순으로 응 답이 높게 나와 타 지원 기관에 비해 지원기관 간 연계와 협력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건강가정지원센터 이주여성지원센터

(207) 13.9 16.7 42.2 27.2 100.0

(210) 9.6 19.7 39.0 31.7 100.0

(218) 12.3 21.2 41.9 24.6 100.0 (203) 전체 11.9 25.4 34.3 28.4 100.0(201) 37.6 17.8 27.4 17.3 100.0(197) 14.9 20.1 38.1 26.8 100.0(194) 센터 3.9 19.4 43.7 33.0100.0

(103) 32.3 13.5 33.3 20.8 100.0

( 96) 13.0 19.6 39.1 28.3 100.0

구분 서비스

(181) 22.9 27.9 31.3 17.9 100.0

구분 전혀

연계·협력 기관 주요 연계 내용 계 건강가정지원센터 공동사업, 행사 진행(10),

상담, 교육, 강사, 장소 연계(4), 정보교환(3) 17 이주여성인권센터 상담(10), 대상자연계(4), 정보교환(2) 16 행정기관 행사, 사업, 프로그램, 교육 등 지원(22),

대상자 연계(8), 정보교환(5) 35

지역사회 복지기관 행사 및 사업지원(15), 정보교환(3), 강사연계(3) 21 교육청 강사(원어민, 다문화) 연계 및 파견(6),

행사 공동주최 및 사업지원(4), 교육지원(3) 13 학교(유치원, 보육시설 포함) 다문화이해교육 강사파견(13), 언어발달지원(3),

행사 공동주최(2) 18

병원 보건(지)소 출산, 육아, 보건 교육(10), 무료건강검진(8),

무료진료(5) 23

종교 여성 기타민간단체 행사 공동진행(13), 후원, 결연, 멘토 연결(5),

자원봉사 연계(2) 20

상담소(법률, 성폭력) 상담연계(20), 법률 상담 및 교육(4), 대상자 연계(4) 28 농업기술센터 행사 및 사업 지원(6), 농업기술교육 지원(5),

요리교실 프로그램(4) 15

도서관(평생학습관) 교육 지원, 연계(7), 행사 공동 주최(4), 장소 제공(4) 15 문화원 행사 및 사업 지원(6), 교육 연계(2), 정보교환(2) 10 민간기업 각종 후원 및 사업비 지원(10), 행사 및 사업 지원(8),

취업 지원(3) 21

기타 대상자 의뢰, 예절교육, 사업비 지원, 외국인도움센터 지정 등

〈표 Ⅴ-2-12〉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의 네트워크 연계 내용: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단위: 건

지역 내 다문화 가정 지원기관의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교육청 및 교육 지원청의 협력 내용은 아래 <표 Ⅴ-2-13>과 같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의 주요 연 계내용은 강사지원, 상담 지원, 한글 교육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이해 교육, 교재․교구 등 자료 제공, 정보 지원 등의 순이었다. 건강가정지원센터와 의 주요 연계 내용은 강사지원과 학부모 지원, 홍보강화와 이해교육이며, 이주여성 인권센터의 연계내용은 강사지원, 강사 양성, 상담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행정기관 관의 연계 내용으로는 정보 교환, 행사 지원, 멘토링 지원 등이 있으며, 지역사회 복 지기관과의 연계는 정보교환, 행사 지원 및 협의체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교와 의 연계 내용으로는 상담 지원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학습 지원, 이해 교육, 멘토링 서비스 등의 순이었다.

병원 및 보건(지)소와의 연계 내용으로는 건강 상담, 무료 건강 검진, 지역 내 종 교, 여성 및 민간단체와의 연계 내용으로는 멘토링 서비스, 이해 교육, 학습 지원,

연계·협력 기관 주요 연계 내용 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강사 지원(4), 상담 지원(4), 한글 교육(4), 이해 교육(3),

교재교구 등 자료 제공(3), 정보 지원(2), 기타 응답(10) 30 건강가정지원센터 강사 지원(2), 부모 지원(2), 홍보 강화(1), 이해 교육(1) 6 이주여성인권센터 강사 지원(2), 강사 양성(1), 상담 지원(1) 4 행정기관 정보의 교환(4), 행사 지원(3), 멘토링 지원(2), 기타(8) 17 지역사회 복지기관 정보교환(3), 행사 지원(2), 협의체 구성(2), 기타 응답(3) 10 학교(유치원, 보육시설 포함) 상담 지원(4), 학습 지원(3), 이해 교육(3),

멘토링 서비스(2), 기타 응답(11) 23

병원 및 보건(지)소 건강 상담(1), 무료 건강 검진(1) 2 종교, 여성 및 민간단체 멘토링 서비스(1), 이해 교육(1), 학습 지원(1),상담 지원(1), 행사 협조 및 지원사업(1), 체험 교육(1) 6

상담소 행사 협조 및 지원사업(1) 1

농업기술센터 협의체 구성(1) 1

도서관(평생학습관) 프로그램 지원(3), 학부모 지원(2), 도서 및 독서 지원(2),

한글 교육(1) 8

문화원 학부모 지원(1), 정보 지원(1), 한글 교육(1) 3

민간기업 사업 보조(1), 체험 캠프(1) 2

기타 멘토링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캠프 운영

상담 지원, 행사 협조 및 지원사업, 체험 교육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상담소와의 연 계 내용으로는 행사 협조 및 지원사업,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 내용으로는 협의체 구성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도서관(평생학습관)과의 연계 내용으로는 프로그램 지원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학부모 지원, 도서 및 독서 지원, 한글 교 육 등의 순이었다. 문화원과의 연계 내용으로는 학부모 지원, 정보 지원, 한글 교육 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민간기업의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연계 내용으로

상담 지원, 행사 협조 및 지원사업, 체험 교육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상담소와의 연 계 내용으로는 행사 협조 및 지원사업, 농업기술센터와의 연계 내용으로는 협의체 구성이라는 응답이 있었다. 도서관(평생학습관)과의 연계 내용으로는 프로그램 지원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학부모 지원, 도서 및 독서 지원, 한글 교 육 등의 순이었다. 문화원과의 연계 내용으로는 학부모 지원, 정보 지원, 한글 교육 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민간기업의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연계 내용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