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 분석의 정책적 시사점

본 장에서는 문경 오미자산업, 하동 차산업, 그리고 금산 인삼산업에 속 하는 제조기업들을 사례로 농촌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 실태와 특성, 그리 고 정책 수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농촌기업의 비즈니스 시스 템 사례 조사‧분석은 궁극적으로 농촌기업의 경쟁우위 또는 경쟁력 확보 와 이를 통한 농촌기업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점을 고 려할 때 국내 농촌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 사례 조사‧분석 결과를 통해 다 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업의 발전 단계에 따라 적합한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초기 창업 단계의 농촌기업은 경영 전문성 부족, 제품 차별화 부족, 품질 규격화의 부 족 등이 주요 애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창업 초기의 농촌기업들에

는 경영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지원, 제품 차별화를 위 한 시장정보의 제공 및 컨설팅 지원, 공공기관에서의 제품 우선 구매 지원, 제품의 개발과 품질관리를 위한 기술지원 등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반 면, 성장 및 성숙 단계의 농촌기업들은 기술 역량과 생산능력은 갖추고 있 지만 시장 공략을 위한 마케팅 역량의 부족, 국내 시장의 포화, 새로운 상품 개발을 위한 지속적 혁신, 구매자와의 교섭력 부족 등이 주요 애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들 기업에는 지역 내 동종 기업 간 공동마케팅 지 원, 수출 지원, 자기 브랜드 개발 지원, 신기술 도입 지원 등이 필요하다.

둘째, 농촌기업들의 원활한 원료수급을 위해 원료 공급기반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 내 원료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는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농촌 내 노동력 부족의 심화로 인해 원료 수급 에 차질이 생기는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경제성 하락으로 농업생산자들의 원료생산 감소나 포기 때문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농업생산 인력을 하 동의 품앗이단이나 금산의 작업단과 같이 조직화하여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관련 농업생산을 집단화하여 관리 및 유지하고 이를 위해 농촌기업과 농업생산자들 간 적정한 이익분배 체계를 수립하여 상호 간 신뢰 구축 속에서 농업생산과 제품생산이 공존하 며 발전하도록 정책지원을 통해 유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농촌기업 간 소공인 협동조합 조직과 운영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농촌기업들은 대부분 소공인으로 제품 생산설비 구축과 마케팅에 어려움 을 겪고 있다. 따라서 소규모 기업 및 신생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협동조합 활용을 지원하여 지역 내 농촌기업의 신제품 개발과 생산 리스크를 제거하 고, 공동 이용시설의 활용도를 높이고, 제품 홍보와 마케팅 및 판로 개척을 협동조합 등의 조직체로 대응하여 지역 내 농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방 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농촌기업에 대한 기술 지원과 테스트베드 구축 지원이 필요하다.

농촌기업의 경우 기업 성장 단계에 상관없이 대부분 새로운 제품개발을 위 한 기술이 부족하거나, 기술은 있어도 급변하는 소비자 수요를 지속해서 만족시킬 만큼 빠르고 지속적인 신제품개발 역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

한 점을 고려할 때, 기술력이 부족한 농촌기업에는 무상으로 제공 가능한 기술들을 정부가 농촌기업에 연계해주는 기업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반 면 기술력은 있으나 변화하는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빠른 제 품수명주기의 제품개발을 지속적으로 하기에 역부족인 기업을 대상으로는 다양한 제품개발을 시도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대체로 영세한 규모인 농촌기업들이 개발한 기술이 인 정받고 상용화될 수 있도록 특허출원, 임상실험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1. 해외 사례 개요

한국의 농촌 산업화 정책은 많은 부분 일본의 경험을 들여왔으며, 중국 은 한국의 경험을 배우기 위해 노력 중이다. 특히 농가의 소득증대를 위한 다양한 가공 분야 활성화 지원 중 6차 산업화 정책은 한국, 일본, 중국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 서는 일본과 중국의 농촌기업 활성화 정책을 해외 사례의 주요 내용으로 검토하였다.

중국의 경우 농업산업화 정책과 농촌 1·2·3차 산업 융합발전정책을 거치 면서 농촌산업 육성정책의 틀이 갖추어져 왔으며, 농촌산업화 정책의 핵심 주체로서 용두기업(龍頭企業)이라는 대표적 유형의 농촌기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중국 사례의 내용을 크게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째, 중국 농촌산업 육성정책의 주요 내용을 검토하였다. 둘째, 중국 용두 기업의 특성 및 현황과 용두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지원내용을 검토하였 다. 셋째, 대표적인 용두기업을 사례로 해당 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 특성 을 검토하였다.

일본의 경우는 국내 농산물 가격하락, 일자리 축소 및 지역경제 쇠퇴 등 으로 도·농 간 소득 격차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의 6차 산업화, 지역 단위의 농상공 연대, 기업의 농업 진입 등 농업비즈니스를 활용하여 왔다. 이러한 일본의 사례를 통해 우리 실정에 도움이 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로 검토하였다. 첫째, 일본 농업비즈니 스 전개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둘째, 농업비즈니스 지원정책을 검토하였다.

셋째, 농업비즈니스의 사례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해외 사례 부분은 해당 국가에서 거주 및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와 국내 전문가에게 원고를 위탁하여 각각의 결과로 제출된 원고 내용을 연구진에 서 수정하여 작성하였다. 중국 사례의 경우 “중국 농촌기업의 비즈니스 시 스템 특성과 농촌기업 지원정책”이라는 제목으로 중국 사회과학원 농촌발 전연구소 도농관계발전계획연구실 주임박사인 Zang Haipeng 박사에게 원 고를 위탁하였다. 일본 사례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시니어 이코노미스트인 김태곤 박사에게 “일본 농촌기업의 비즈니스 시스템 특성과 농촌기업 지 원정책”이라는 제목으로 원고를 위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