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 녹색자금 지원사업 및 사업지 관리의 문제점

3.1. 녹색자금 지원사업 분류체계 확립 필요

3. 1. 1.녹색자금 공모사업 명칭 및 분류가 사업목적 및 내용전달에 부적절

◦ 지금까지 녹색자금 지원사업은 산림환경기능증진사업으로서 크게 녹색복지공간조성사 업과 숲체험교육·캠페인 사업 두 가지로 분류된다.그리고 녹색복지공간조성사업은 다 시 소외시설 녹색공간 조성사업과 녹색나눔숲 조성으로 나누어진다.

◦ 현 분류체계의 명칭에서 애매한 개념의 용어들이 혼재되어 있어 사업 제목만으로는 사 업의 특성을 구분하기 힘들고 구체적인 사업의 내용을 짐작하기가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녹색공간 조성”과 “녹색나눔숲 조성”의 명칭에 차별성이 없다.

-“숲체험교육”과 “녹색캠페인”의 범위가 넓어 지원대상에 관계없는 사업이 혼재되어 있다.

◦ 따라서 이러한 녹색자금 지원사업의 분류를 사업의 목적이나 특성에 맞게 재정립할 필 요가 있다.

3. 1. 2.녹색자금 지원사업의 합리적 확대 필요

◦ 법에서 정한 녹색자금 활용사업의 범위는 산림환경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들을 포괄한다.하지만 기존의 사업 체계에서는 그 범위에서 아주 적은 부분을 담고 있어서 사업의 활용범위가 좁고,녹색자금의 활용성이 떨어진다.

◦ 이러한 녹색자금 지원사업의 분류를 사업의 목적이나 특성에 맞게 재정립할 필요가 있 다.동시에 녹색자금이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58조에 명시된 바 와 같이 산림의 환경기능 증진을 위한 다양한 사업에 사용될 수 있도록 녹색자금 용도 의 확대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26

<충북 청원> <충남 보령>

<경기도 수원>

그림 2-6. 녹색나눔숲 조성 사례

◦ 사업계획서 작성에서 사업비 산정에서도 문제가 발생한다.심사과정에서 사업비가 감 축된다는 인식이 만연하여,사업 신청 시 고의로 과다한 사업비를 책정하는 경우가 많 다.그 결과 사업계획서에서 합리적인 근거 없이 사업비가 산정되고 심사 과정에서 크 게 줄어든 예산으로 사업을 시행하게 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따라서 사업계획서 작성단계에서 사업비 산정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으로 작성되도록 심사하는 것이 필요 하다.

28

3.3. 과거에 시행한 과제들에 대한 사후관리 미흡

3. 3. 1.나눔숲 사후관리 미흡 사례 발생 (

부록 2참조)

◦ 녹색자금 지원사업이 수년간 진행되면서 사업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사후 관 리 방안이 미비하다.

-특히,나눔숲의 경우 5년간 사후관리토록 하고 있으나 관리 미흡 사례가 다수 발생 하였다.

-'09~'11년까지 조성된 188개소(복지시설나눔숲 146,지역사회나눔숲 42)중 사후관 리가 미흡한 곳이 23개소(12%)로 나타났다.

◦ 복지시설과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관리협약을 체결하도록 하고 있으나,협력체제가 미 흡하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시설운영자와 지자체간 서로 관리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시설운영자는 수목관리에 필요한 인력,지식,재정이 열악하다.

-관리 미흡 개소는 숲 조성 이후 지자체와 거의 소통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지자체 담당자의 잦은 교체로 조성된 사업지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방치되는 경우가 있다.

<경기도 안산>

그림 2-7. 녹색복지공간 조성 사후관리 미흡사례

3. 3. 2.지자체의 관리비 미편성 및 데이터베이스 미구축

◦ 녹색자금 지원사업은 사업비 전액을 녹색자금에서 지원받기 때문에 지자체에서도 관 리에 대한 책임의식이 높지 않다.

-개소당 복지시설나눔숲에 140만 원,지역사회나눔숲에 1,700만 원을 관리비로 반영 하여,복지시설나눔숲의 관리비가 크게 부족하다.

◦ 또,전문지식과 기술이 부족하여 사후관리에 어려움이 많으며,복지시설 예산부족으로 나눔숲 관리비 반영이 어려운 형편이다.

◦ 관리 비용에 대한 지원이 없고 과거 사업에 대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DB)가 구축 되어 있지 않아 이력 추적이 어렵다.

-과거 시행된 사업들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사후관리방안 및 이력관리 시스 템 구축이 필요하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