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 1년3학기제 교육과정

1년3학기제에서 다루어야할 교과의 성격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표Ⅴ- 9> 교과의 성격- 중학교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생 중학교 교사

청소년 성인

실생활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야한다 6(28.6) 2(11.1) 12(66.7) 고등학교 진학을 대비한 과목을

우선적으로 해야한다 8(38.0) 2(11.1) - (- )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로 구성해야

한다 1(4.8) 3(16.7) - (- )

폭넓은 교양을 위주로 해야한다 6(28.6) - (- ) 6(33.3)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어야한다 - (- ) 11(61.1) - (- )

기타 - (- ) - (- ) - (- )

21(100) 18(100) 18(100)

1년3학기제에서 다루어야 할 교과의 성격에 대해 중학생의 38.0%가 고등 학교 진학을 대비한 과목을 우선적으로 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중학교 교 사들은 1년3학기제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할 경우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에 가장 많은 61.1%가 응답하였고, 성인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실생 활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에 67.7%로 가장 많이

1년3학기제에서 다루어야 할 교과의 성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중학교 학생들은 진학을 중요한 목표로 하고 있는 반면에 교사들은 그렇지 않은 것 으로 나타났다.

< 표Ⅴ- 10> 교과의 성격- 고등학교

(단위: 명(% ))

응답내용 고등학생 고등학교 교사

청소년 성인

실생활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야한다 51(42.2) 15(11.8) 69(54.4) 대학진학을 위한 수능시험 대비한

과목을 우선적으로 해야한다 26(21.3) 4(3.1) 1(.8)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로 구성해야

한다 16(13.3) 33(26.0) 13(10.2)

폭넓은 교양을 위주로 해야한다 12(9.9) 11(8.7) 36(28.3)

인성교육에 중점을 두어야한다 15(12.4) 64(50.4) 6(4.7)

기타 1(.9) - (- ) 2(1.6)

121(100) 127(100) 127(100)

1년3학기제에서 다루어야 할 교과의 성격에 대해 고등학생의 42.2%가 실 생활에서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고등 학교 교사들은 1년3학기제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과로 구성해야 한다는 문항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성인학생일 경 우에는 실생활에 필요한 실용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해야 한다에 54.4%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모두 청소년학생을 대상으로는 자격증 취득을 가 장 중요시했으며, 성인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실용적인 내용의

학습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했다. 전반적으로 교사들과 학생사이에는 교과의 성격에 대한 요구에서 차이가 있었다.

< 표Ⅴ- 11> 교과목수

(단위: 명(% ))

학생 교사

응답내용 중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적절하다 12(57.1) 39(32.2) 3(16.7) 19(15.2) 줄여야한다 7(33.3) 67(55.4) 15(83.3) 100(80.0)

늘려야한다 1(4.8) 4(3.3) - (- ) 1(.8)

관계 없다 1(4.8) 11(9.1) - (- ) 5(4.0) 21(100) 121(100) 18(100) 125(100)

1년3학기제를 실시하게 될 경우 현행 교과목의 수에 대해 중학생의 57.1%는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고등학생의 55.4% , 중학교 교사의 83.3% , 고등학교 교사의 80.0%가 줄여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중학생의 33.3%도 줄여야 한다고 응답하여, 1년2학기제에서 1년3학기제로 변화되는 경우 대체로 현행 교과목수가 줄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 표Ⅴ- 12> 필요한 과목 우선 순위

(단위: 명(% ))

중학교 교사의 66.6%가 1년3학기제를 실시하게 될 경우 7차 교육과정에 서 보통 교과로 제시된 10과목 중 가장 필요한 과목 1순위로 국어에 응답하 였다. 다음 2순위로는 영어(44.3% ), 3순위로는 수학(44.3% ), 4순위로는 사회 (35.3% ), 5순위로는 과학(41.2% )이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1순위로 역시 국어(70.8% ), 2순위로는 영어(25.9% ), 3순위로는 수학 (29.9% ), 4순위로는 과학 (26.0% ), 5순위로는 사회(18.0% )와 체육(18.0% )을 들었다.

중학교 고등학교

과목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1순위 2순위 3순위 4순위 5순위

국어 12(66.6) 5(27.8) 1(5.6) - (- ) - (- ) 85(70.8) 21(16.9) 9(7.3) 5(4.1) 1(.8) 윤리 1(5.6) 1(5.6) - (- ) - (- ) - (- ) 19(15.8) 32(25.9) 6(4.8) 4(3.3) 13(10.7) 사회 1(5.6) 1(5.6) 3(16.6) 6(35.3) 3(17.6) - (- ) 11(8.9) 24(19.5) 20(16.3) 22(18.0) 수학 - (- ) 3(16.7) 8(44.3) 3(17.6) 2(11.8) - (- ) 11(8.9) 37(29.9) 21(17.1) 14(11.5) 과학 - (- ) - (- ) 1(5.6) 4(23.5) 7(41.2) - (- ) 3(2.4) 11(8.9) 32(26.0) 16(13.1) 기술

가정 - (- ) - (- ) 1(5.6) 1(5.9) 1(5.9) 2(1.7) 2(1.6) 8(6.6) 8(6.5) 5(4.1) 체육 - (- ) - (- ) - (- ) 1(5.9) 1(5.9) - (- ) 6(4.7) 5(4.0) 9(7.3) 22(18.0) 음악 - (- ) - (- ) 1(5.6) - (- ) 3(17.6) - (- ) - (- ) 3(2.4) 5(3.9) 9(7.4) 미술 - (- ) - (- ) - (- ) - (- ) - (- ) - (- ) 1(.8) - (- ) 3(2.5) 4(3.3) 영어 4(22.2) 8(44.3) 3(16.7) 2(11.8) - (- ) 14(11.7) 37(29.9) 21(16.6) 16(13.0) 16(13.1)

18(100) 18(100) 18(100) 17(100) 17(100) 120(100) 124(100) 124(100) 123(100) 122(100)

< 표Ⅴ- 13> 불필요한 과목 우선 순위

(단위: 명(% ))

중학교 고등학교

과목 1순위 2순위 3순위 1순위 2순위 3순위

국어 - (- ) - (- ) - (- ) - (- ) - (- ) 2(2) 윤리 4(23.5) 4(23.5) 2(13.3) 4(3.5) 8(7.3) 9(9) 사회 - (- ) 1(5.9) - (- ) 3(2.6) 7(6.4) 4(4) 수학 - (- ) 1(5.9) - (- ) 14(12.2) 2(1.8) 11(11) 과학 1(5.9) 1(5.9) - (- ) 2(1.7) 13(11.9) 7(7) 기술

가정 6(35.3) 1(5.9) 2(13.3) 35(30.4) 20(18.3) 17(17) 체육 3(17.6) 1(5.9) 3(20.0) 19(16.5) 4(3.7) 11(11) 음악 1(5.9) 4(23.5) 3(20.0) 8(7.0) 32(29.5) 15(16) 미술 2(11.8) 4(23.5) 5(33.4) 29(25.2) 20(18.3) 24(24) 영어 - (- ) - (- ) - (- ) 1(.9) 3(2.8) - (- )

17(100) 17(100) 15(100) 115(100) 109(100) 100(100)

중학교 교사의 35.3%가 1년3학기제를 실시하게 될 경우 7차 교육과정에 서 보통교과로 제시된 10과목 중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과목 1순위로 기 술・가정에 응답하였다. 다음 2순위로는 윤리(23.5% ), 음악(23.5% ), 미술 (23.5% ), 3순위로는 미술(33.4% )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에는 1순위로 기술・가정(30.4% ), 2순위로는 음악 (29.5% ), 3순위로는 미술(24% )이 가장 높게 나타나 중학교 교사들의 응답과 비슷하였다.

학생들에게는 학교에서 배우고 싶은 과목들을 자유롭게 적도록 하여 결과 를 정리하였다.

< 표Ⅴ- 14> 학생들이 배우고 싶어하는 과목

(단위: 명(% ))

중학생 고등학생

1순위 2순위 3순위 1순위 2순위 3순위

인터넷/ 컴퓨터 6(30.0) 1(5.6) 4(19.0) 15(17.6) 7(10.3) 3(2.5) 정보처리/ 전선 - (- ) 1(5.6) - (- ) 10(11.8) 4(5.9) 2(4.1) 국어 3(14.3) 1(5.6) 3(18.8) 2(2.4) 2(2.9) 4(8.2) 영어 6(30.0) 3(16.7) 2(12.5) 9(10.6) 7(10.3) 3(6.1) 제2외국어 1(4.8) 1(5.6) - (- ) 13(15.3) 5(7.4) 8(20.4)

한문 1(4.8) 5(27.8) 1(6.3) 13(10.7) - (- ) - (- ) 체육 - (- ) - (- ) 1(6.3) 3(3.5) 8(11.8) 5(10.2) 미용 - (- ) - (- ) - (- ) 9(10.6) 2(2.9) 1(.8)

학교에서 특별히 배우고 싶은 과목으로 중학생들은 1순위로 인터넷/ 컴퓨 터(30.0% )와 영어(30.0% ), 2순위로 한문(27.8% ), 3순위로 인터넷/ 컴퓨터 (19.0% )에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고등학생들은 1순위로 인터넷/ 컴퓨터 (17.6% ), 2순위로 체육 (11.8% ), 3순위로 제2외국어(20.4% )에 가장 많이 응답 하였다. 이외에도 사진, 무용, 역사, 디자인, 건축, 논술, 제과, 서예 등이 있 었다.

< 표Ⅴ- 15> 교과수준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교 고등학교

현행대로가 적절하다 2(11.1) 13(10.4)

현재보다 쉬운 내용으로 바뀌어야

한다 16(88.9) 107(85.6)

현재보다 어려운 내용으로

바뀌어야 한다 - (- ) 1(.8)

기타 - (- ) 4(3.2)

18(100) 125(100)

1년3학기제에서 다루어야 할 교과의 수준에 대해서 중학교 교사의 88.9% , 고등학교 교사의 85.6%가 현재보다 쉬워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 과는 현재 수업진행상 겪는 어려운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표Ⅴ- 16> 정보화교과 포함여부- 중학교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생 중학교 교사

정규수업시간에

포함시켜야한다 13(61.9) 10(55.6)

특별활동시간에

포함시켜야한다 8(38.1) 3(16.7)

재량활동시간에

포함시켜야한다 - (- ) 5(27.7)

1년3학기제에서는

가르칠 필요가 없다 - (- ) - (- )

21(100) 18(100)

1년3학기제에서 정보화 관련 교과의 필요성에대해 중학생의 61.9% , 중학 교 교사의 55.6%가 정규수업시간에 포함시켜야한다고 응답하였다. 정보화 교과에 대한 요구는 학생들이 배우고 싶은 과목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이 1순 위를 차지한 것에서도 드러났다.

< 표Ⅴ- 17> 정보화교과 포함여부- 고등학교

(단위: 명(% ))

응답내용 고등학생 고등학교 교사

필수 과목에

포함시켜야한다 60(50) 91(73.4)

선택과목에

포함시켜야한다 56(46.7) 32(25.8)

1년3학기제에서는

가르칠 필요가 없다 4(3.3) 1(.8)

120(100) 124(100)

1년3학기제에서 정보화 관련 교과의 필요성에 대해 고등학생의 50.0% , 고 등학교 교사의 73.4%가 필수 과목에 포함시켜야한다고 응답하여, 학생들 보 다 교사들이 정보화 관련 교과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고등학생의 46.7%가 선택과목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응답하여 필 수 과목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응답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표Ⅴ- 18> 선택교과 활용분야

(단위: 명(% ))

학생 교사

응답내용 중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취업준비 1(4.8) 21(17.4) 2(11.1) 30(23.8)

진학준비 7(33.3) 15(12.4) 1(5.6) 5(4.0)

인성교육 - (- ) 10(8.3) 3(16.7) 32(25.4)

취미/ 교양교육 8(38.1) 51(42.1) 7(38.8) 35(27.8)

위 보기를 다 포함 5(23.8) 24(19.8) 5(27.8) 24(19.0)

21(100) 121(100) 18(100) 126(100)

[그림Ⅴ- 8] 선택교과 활용분야- 학생

[그림Ⅴ- 9] 선택교과 활용분야- 교사

선택교과가 실시된다면 주로 어떤 내용을 다루기를 원하는지에 대한 질문 에는 중학생의 33.3%가 진학준비, 고등학생의 42.1%가 취미/ 교양교육에 응 답하여, 중학생의 경우에 진학의 욕구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들은 선택교과를 어느 목적에 주로 이용하겠느냐는 질문에 중학교 교사의 38.8% , 고등학교 교사의 27.8%가 취미/ 교양교육 과목으로 편성하겠다고 응 답하였다.

< 표Ⅴ- 19> 선택교과 필요성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교

필요하다 17(94.4)

불필요하다 1(5.6)

상관없다 - (- )

18(100)

중학교 교사의 94.4%가 1년3학기제 교육과정에 선택교과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학력인정 사회교육시설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 는 선택교과를 도입, 각 학교별로 자율적인 교육과정 구성 및 운영이 가능

하도록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표Ⅴ- 20> 선택교과 시간 비율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교 고등학교

필수 교과와 같은 정도로

실시한다 8(44.4) 57(45.2)

필수 교과의 두배 이상

실시한다 1(5.6) 16(12.7)

필수 교과의 반정도로

실시한다. 9(50.0) 48(38.1)

실시하지 않아야 한다 - (- ) - (- )

기타 - (- ) 5(4.0)

18(100) 126(100)

중학교 교사의 50.0%가 1년3학기제에서 선택교과의 총 이수 단위는 필수 교과의 반정도가 되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고등학교 교사의 45.2%가 필수 교과와 같은 정도로 실시되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38.1%가 필수 교 과의 반정도로 실시 되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전반적으로 교사들이 선택교과 시간의 확대를 요구하였고 고등학교 교사 들은 더 많은 시간이 선택교과에 할당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것은 현재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경우 어느 정도 선택교과를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현 재보다 선택교과 시간이 확대되기를 바라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표Ⅴ- 21> 필수과목과 선택과목 시간비율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생 고등학생

80:20 4(20) 16(13.1)

60:40 11(55.0) 45(36.9)

50:50 4(20.0) 37(30.3)

40:60 - (- ) 18(14.8)

20:80 1(5.0) 6(4.9)

20(100) 122(100)

중학생의 55.0% , 고등학생의 36.9%가 1년3학기제에서 필수 : 선택교과의 비율은 60:40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고등학생의 30.3%는 50:50의 비율이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 표Ⅴ- 22> 특별활동시간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교 고등학교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 9(50.0) 50(39.6)

현재보다 줄여야한다 3(16.6) 26(20.6)

현재가 적당하다 5(27.8) 39(31.0)

관계 없다 - (- ) 4(3.2)

특별활동시간은 없애야한다 1(5.6) 7(5.6)

18(100) 126(100)

중학교 교사의 50.0% , 고등학교 교사의 39.6%가 1년3학기제를 실시하게 될 경우 학생들의 특별 활동시간을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고 등학교 교사의 31.0%는 현재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 표Ⅴ- 23> 재량활동시간

(단위: 명(% ))

응답내용 중학교 고등학교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 12(70.6) 65(52.0)

현재보다 줄여야한다 2(11.8) 21(16.8)

현재가 적당하다 2(11.8) 28(22.4)

관계 없다 1(5.8) 8(6.4)

재량활동시간은 없애야 한다 - (- ) 3(2.4)

17(100) 125(100)

중학교 교사의 70.6% , 고등학교 교사의 52.0%가 1년3학기제를 실시하게 될 경우 학생들의 재량 활동시간을 현재보다 늘려야 한다고 응답하였고, 고 등학교 교사의 22.4%는 현재가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 표Ⅴ- 24> 총 수업시수

< 표Ⅴ- 24> 총 수업시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