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재 보육시설 방문 관찰은 2인 1조로 활동한다.이에 대하여 시설장과 교사 모두 유사하게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68%,64% 수준이고 부정적으로 보는 응답은 각각 9.6%,10.4%이다.5점 척도로 점수화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시설장 3.7점,교사 3.6점 이다.시설장과 교사 모두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에서 미인증 보육시설에 비하여 평가인증 관찰자 수가 더 적절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시설장의 경우 진행 중인 시설과 미인증 시설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표 Ⅲ-3-4참조).

〈표 Ⅲ-3-4〉 관찰자 수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단위: %(명), 점 구분 매우 부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 적절 계(수) 5점 척도 시설장

전체 1.8 7.9 22.3 55.0 13.0 100.0(725) 3.7 인증받음 1.6 6.8 19.1 58.2 14.4 100.0(514) 3.8a 진행중 1.0 9.0 23.0 50.0 17.0 100.0(100) 3.7a 미인증 3.6 11.7 36.9 45.0 2.7 100.0(111) 3.3b X2(df)/F 33.1(8)** 13.4** 교사

전체 1.6 8.8 25.5 57.5 6.7 100.0(706) 3.6 인증받음 1.2 8.6 24.8 58.0 7.4 100.0(488) 3.6a 진행중 2.0 9.2 17.3 62.2 9.2 100.0(98) 3.7 미인증 2.5 9.2 35.0 51.7 1.7 100.0(120) 3.4b X2(df)/F 15.0(8) 3.90* 주: a와 b는 사후검증 결과 서로 다름을 의미함.

*은 통계적 유의도 p<.05를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보육시설 조사」, 「보육교사 조사」 결과임.

4) 심의과정 운영의 적절성

현장관찰이 완료되면 자체점검보고서,현장관찰결과보고서 및 심의위원회 의견서 를 토대로 하여 인증여부 심의가 진행된다.이러한 세 가지 자료를 가지고 진행하는 심의에 대하여 보육전문가의 2/3가 적절하다고 평가하였고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12.0%인데,특히 공무원들이 부적절하다는 비율이 다른 응답자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높다(표 Ⅲ-3-5참조).

부적절하다는 경우 대안으로 부모보고서,교사보고서,공무원보고서,평가항목 이 외 운영전반에 관한 별도 보고서,현장 사진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제1차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행의 평가 81

〈표 Ⅲ-3-5〉 인증심의 자료 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단위: %(명) 구분 매우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적절 계(수) 전체 - 12.0 19.0 67.0 2.0 100.0(100) 관련학과 교수 - 9.5 23.8 66.7 - 100.0(42) 시설장 및 교사 - 8.9 17.8 68.9 4.4 100.0(45) 관련 공무원 - 30.8 7.7 61.5 - 100.0(13)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심의위원 조사」 결과임.

<표 Ⅲ-3-6>은 심의위원 조 구성의 적절성에 관한 조사 결과로 3인 1조 편성 방 안과 구성원,위촉기간에 관해 물었다.우선 심의 시 위원을 3인 1조로 편성하는 방 안에 대해서는 응답한 심의위원의 87.0% 정도가 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적절하다는 비율은 공무원이 가장 높다.의견으로는 2인 1조,5인 1조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표 Ⅲ-3-6〉 심의과정 운영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단위: %(명) 구분 매우 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 적절 계(수) 심의위원 3인 1조 활동

전체 - 3.0 10.0 74.0 13.0 100.0(100) 관련학과 교수 - - 16.7 73.8 9.5 100.0(42) 시설장 및 교사 - 6.7 4.4 73.3 15.6 100.0(45) 관련 공무원 - - 7.7 76.9 15.4 100.0(13) 심의위원 구성

전체 - 10.1 10.1 67.7 12.1 100.0(99) 관련학과 교수 - 2.4 7.3 75.6 14.6 100.0(41) 시설장 및 교사 - 13.3 15.6 62.2 8.9 100.0(45) 관련 공무원 - 23.1 - 61.5 15.4 100.0(13) 심의위원 위촉기간 1년

전체 - 20.2 23.2 54.5 2.0 100.0(99) 관련학과 교수 - 19.5 17.1 61.0 2.4 100.0(41) 시설장 및 교사 - 17.8 31.1 48.9 2.2 100.0(45) 관련 공무원 - 30.8 15.4 53.8 - 100.0(13) 자료: 본 연구를 위한 「심의위원 조사」 결과임.

심의위원을 학계전문가,현장종사자,보육담당 공무원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서 는 다수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고 약 20%가 부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특히 시설장 과 교사는 29%,공무원 23%가 부적절하다고 평가하였다.그러나 부적절하다는 응답 자는 대안은 교사 등 현장 종사자 포함,학계전문가 확대,공무원은 경력자로 제한,

시설장 배제 등 일정하지 않았다.

심의위원 위촉기간 1년에 대해서는 54.5%가 적절하다고 평가하였고 20.2%는 부적 절하다고 평가하였다.부적절하다는 비율은 공무원이 30% 이상으로 높다.부적절하 다는 경우 대안으로 2년을 제안한 비율이 가장 많다.15)

6) 인증유효기간의 적절성

현재 인증 유효기간은 일률적으로 인증일로부터 3년인데16),이에 대해서는 시설장 은 적절하다고 보는 비율이 35.0%이고 부적절하다고 보는 비율이 26.3%이다.5점 척 도로는 평균 3.2점이다.교사는 전체적으로 적절하다고 보는 비율이 45.2%로 시설장 보다는 다소 높고,부적절하다고 보는 비율이 18.9%이다.5점 척도로는 평균 3.3점이 다.평가인증 상태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시설장은 인증을 받거나 진행 중인 시설 이 미인증 시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도 대체로 그러한 경향을 보이지만 통 계적 유의성은 없다(표 Ⅲ-3-7참조).

〈표 Ⅲ-3-7〉 인증유효기간 3년의 적절성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의견 단위: %(명), 점 구분 매우 부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 적절 계(수) 5점 척도 시설장

전체 3.9 22.4 28.7 39.3 5.7 100.0(715) 3.2 인증받음 3.9 21.3 27.0 40.7 7.0 100.0(511) 3.3a 진행중 2.0 20.2 27.3 46.5 4.0 100.0(99) 3.3a 미인증 5.7 29.5 38.1 25.7 1.0 100.0(105) 2.9b X2(df)/F 21.1(8)** 7.6** 교사

전체 - 18.9 35.8 41.0 4.2 100.0(692) 3.3 인증받음 - 18.7 34.4 42.3 4.6 100.0(482) 3.3 진행중 - 14.0 35.5 47.3 3.2 100.0(93) 3.4 미인증 - 23.9 41.9 30.8 3.4 100.0(117) 3.1 X2(df)/F 8.9(6) 2.95 주: **은 통계적 유의도 p<.01을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보육시설 조사」, 「보육교사 조사」 결과임.

공무원,보육정보센터,심의위원,현장관찰자에게는 평가인증 유효기간의 적절성과

15) 이외에도 교수 등 전문가는 2년, 공무원은 1년을 제안한 응답도 있음.

16) 평가인증 유효기간은 평가이증 후 3년인데, 제1차 시행주기에서는 평가인증기간이 길었기 때문에 4 년으로 인식되어서 시설장 및 교사 설문조사에서는 4년으로 질문하였음.

제1차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행의 평가 83

함께 대안을 질문하였으며,그 결과는 <표 Ⅲ-3-8>과 같이 적절하다는 비율이 44.5% 로 과반수 이하로 전체적으로는 교사,시설장 조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특히 공무원이 적절하다는 비율이 53.1%로 높고 심의위원이 37.4%로 가장 낮다.그런데 전문가 조사에서는 그 이외 의견도 적지 않아서 32.2%가 점수에 따른 차등화를 선 호하였고,이외 유효기간 연장 14.9%,유효기간 단축 7.7%로 조사되었다.특히 심의 위원들은 점수에 따라 유효기간을 차등화하거나 기간을 연장하자는 웅답이 많았다.

〈표 Ⅲ-3-8〉 인증유효기간 3년의 적절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

단위: %(명) 구분 적절하다 점수에 따라

차등화

유효기간 연장

유효기간

단축 기타 계(수) 전체 44.5 32.2 14.9 7.7 0.7 100.0(417) 공무원 53.1 26.5 11.2 8.2 1.0 100.0(98) 보육정보센터 45.2 29.0 18.3 7.5 - 100.0(93) 심의위원 37.4 38.4 22.2 - 2.0 100.0(99) 현장관찰자 42.9 34.1 9.5 13.5 - 100.0(127) 주: 빈도수 특성상 통계적 유의도 검증이 적절하지 않음.

자료: 본 연구를 위한 「공무원 조사」, 「보육정보센터 조사」, 「심의위원 조사」, 「현장관찰자 조 사」 결과임.

7) 결과 통보 방식의 적절성

현재 결과 평가인증 통보서에 영역별 점수와 총점이 제시되고 있다.심의위원에게 이와 함께 보육시설에 심의 총평을 제시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질문 하였다.그 결과 <표 Ⅲ-3-9>와 같이 심의위원의 75%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는데, 이 중 관련학과 교수는 이러한 방식이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26.2%로 비교적 높았다.

〈표 Ⅲ-3-9〉 결과 통보 시 심의 총평 제시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

단위: %(명) 구분 매우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적절 계(수) 전체 - 16.0 9.0 63.0 12.0 100.0(100) 관련학과 교수 - 26.2 7.1 57.1 9.5 100.0(42) 시설장 및 교사 - 11.1 6.7 66.7 15.6 100.0(45) 관련 공무원 - - 23.1 69.2 7.7 100.0(13) 자료: 본 연구를 위한「심의위원 조사」 결과임.

부적절하다는 경우에 현장방문 없이 이루어지는 총평에 대한 의미성에 대하여 의 문을 제기한 수가 많았고,대안으로는 항목에 대한 세부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 겠다는 응답의 빈도가 가장 많았다.

8) 사후관리 및 지도의 적절성

평가인증 이후 연차보고서 제출이 사후 질적 수준 유지를 점검하는 방법으로 충 분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응답은 <표 Ⅲ-3-10>과 같이 적절하다 고 생각하는 비율이 시설장 48.4%,교사 44.3%이고 부적절하다는 응답은 시설장 16.8%,교사 14.3%이다.5점 척도로 점수화한 결과는 각각 3.4점,3.3점으로 시설장의 점수가 약간 높다.시설장과 교사 모두 평가인증을 받은 보육시설이 미인증 보육시 설에 비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고,점수에서도 평가인증을 받거나 진행 중인 시설이 미인증 시설의 시설장에 비해 높았으며,교사 역시 평가인증 시설 교사 가 미인증 시설 교사에 비해 더 적절하다고 평가했다.

〈표 Ⅲ-3-10〉 사후 질적 수준 유지 점검 방법의 충분성에 대한 의견

단위: %(명), 점 구분 매우 부적절 부적절 보통 적절 매우 적절 계(수) 5점 척도 시설장

전체 3.0 13.8 34.8 41.0 7.4 100.0(702) 3.4 인증받음 2.6 12.4 31.2 45.0 8.9 100.0(507) 3.5a 진행중 4.3 12.8 36.2 42.6 4.3 100.0(94) 3.3a 미인증 4.0 21.8 51.5 19.8 3.0 100.0(101) 3.0b X2(df)/F 36.1(8)** 12.8** 교사

전체 2.4 11.9 41.4 40.0 4.3 100.0(672) 3.3 인증받음 1.9 11.4 37.3 44.0 5.5 100.0(475) 3.4a 진행중 2.4 12.9 47.1 35.3 2.4 100.0(85) 3.2 미인증 4.5 13.4 54.5 26.8 0.9 100.0(112) 3.1b X2(df)/F na 8.27*** 주: a와 b는 사후검증 결과 서로 다름을 의미함.

na는 빈도수 특성상 통계적 유의도 검증이 적절하지 않음을, **은 통계적 유의도 p<.01, ***은 통 계적 유의도 p<.001을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보육시설 조사」, 「보육교사 조사」 결과임.

시설장과 교사의 다수는 평가인증 통과 후 관찰 당시 질적 수준이 그대로 유지된 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전체적으로 그렇다는 응답비율이 시설장 69.7%,

제1차 보육시설 평가인증 시행의 평가 85

교사 60.2%이다.그러나 시설장의 약 30%,교사의 약 40%는 다소 부정적으로 평가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5점 척도 평균 점수는 3.8점이다(표 Ⅲ-3-11참조).

〈표 Ⅲ-3-11〉 평가인증 통과 후 질적 수준 유지 여부

단위: % (명)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계(수) 5점 척도 시설장 0.4 5.3 24.6 54.4 15.3 100.0(509) 3.8 교사 - 4.7 23.0 60.2 12.1 100.0(487) 3.8 주: 빈도수 특성상 통계적 유의도 검증이 적절하지 않음.

자료: 본 연구를 위한 「보육시설 조사」 결과임.

공무원,보육정보센터,심의위원,현장관찰자는 평가인증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유 지를 위해 가장 필요한 방안으로 경제적 지원,교육 기회 제공,불시 방문,직접적 방 문지원의 네 가지 보기에 골고루 응답하여서 이들 정책이 모두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직종별로는 차이가 있어서 공무원은 경제적 지원,보육정보센터와 심의위원은 교육기 회 제공,현장관찰자는 불시 방문을 지적한 비율이 다소 높다(표 Ⅲ-3-12참조).

〈표 Ⅲ-3-12〉 평가인증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 유지를 위해 가장 필요한 방안 단위: %(명) 구분 경제적

지원

교육 기회

제공 불시 방문 직접적

방문지원 기타 계(수) X2(df) 전체 20.1 27.2 24.5 25.5 2.7 100.0(412)

공무원 28.1 21.9 25.0 21.9 3.1 100.0(96)

보육정보센터 14.6 30.3 23.6 23.6 7.9 100.0(89) 29.0(12)** 심의위원 22.0 34.0 16.0 28.0 - 100.0(100)

현장관찰자 16.5 23.6 31.5 27.6 0.8 100.0(127) 주: **은 통계적 유의도 p<.01을 의미함.

자료: 본 연구를 위한 「공무원 조사」, 「보육정보센터 조사」, 「심의위원 조사」, 「현장관찰자 조 사」결과임.

한편 심의위원들은 평가인증에서 영역별 점수 및 총점에서 기준점수에 미달된 시설의

한편 심의위원들은 평가인증에서 영역별 점수 및 총점에서 기준점수에 미달된 시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