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상 선진 외국 전문대학에서 추진하고 있는 직업교육의 다양화 실제를 통해 우리 나라 전문대학의 직업교육 발전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는 전문대학 계속교육을 포함한 전문대학교육의 질 관리체제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서 현행 자격제도의 질 관리체제를 대폭 강화하고, 자격 과 연계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하도록 한다. 현재 기술자격을 포함한 국가 자격의 공신력과 효용성이 문제시되고 있는 우리 나라의 상황에서는 자격제 도가 전문대학 직업교육을 선도하지 못하고, 오히려 교육과정의 파행적 운영 을 초래함으로써, 자격취득이 개인의 성취 능력은 물론 학교의 교육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다. 외국 전문대학에서 자격은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선도하는 성취 기준이 되며, 교육 성과를 측정하 는 주요 수단이 된다. 이런 점에서 현행의 자격제도에 대한 전면 개편을 통 해 현장성과 효용성을 강화함으로써 자격과 연계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하고, 계속교육의 질 수준을 제고해 나가야 한다.

둘째, 전문대학이 학령기 인구를 대상으로 한 양성교육 기능을 보다 내실 화 하면서 성인 중심의 계속교육훈련을 확대해 나간다. 영미권 국가의 경우, 전문대학의 재학생 중 학령기 인구의 비율이 점차 감소하는 것에 비해, 성인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전문대학은 입학생 감소에 따른 위기 를 맞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돌파구의 하나는 성인 자원을 최대한 확 보해 나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문대학은 학습 수요자 층을 전문대 졸업 생, 근로자 등으로 확대하여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교육대상의 다양화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성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선발제도나 선행학습 인정 체제의 확립 등 다양한 제도적 구축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전문대학이 성인 중심의 계속교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나 필요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야 한다.

외국의 경우, 국가에서 요구하는 학위나 자격과정은 물론, 대학이 자체적으 로 학생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과정을 개설・운영하고 학생의 선 택권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문대학에서는 학위 과정뿐만 아니라 자격 과정, 편입학 과정, 직업기초 과정, 산학협력 과정, 직무향상 및 전환교 육 과정, 창업 과정 등의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해 나간다.

넷째, 전문대학이 실무 중심의 전문직업교육을 강화해 나간다.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일차적인 기능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우수한 전문 직업인을 양 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정에서 현장성 을 반영하고 내실화해 나가야 한다. 외국의 경우, 성인 중심의 계속교육을 강조하면서도 선행적으로 현장성 높은 직업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산업체 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영국이나 호주, 독일의 경우, 이미 직업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산업계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고 있으며, 미국의 지역사회대학은 주문식 교육을 편성・운영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전 문대학은 전문직업인을 양성하는 고유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생들의 기 초능력은 물론 전문능력의 강화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전문대학의 계속교육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문대학 교육에

대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자율성 및 유연성을 대폭적으로 보장해 나가야 한다. 현행과 같이 정부의 경직되고 획일적인 전문대학의 운영 구조 속에서 는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유연성이나 창의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계속교육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여섯째,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고, 이를 잘 관리할 수 있는 여건을 확보해 나간다. 우리나라의 경우, 사립 의존도가 매우 높고 정 부의 재정 지원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에서 정부에 의한 직접 통제나 관리 방식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영미권 국가나 독일처럼 전문대학이 정부의 재정 지원으로 운영되는 국가에서는 교육성과에 기반을 둔 차등적인 재정 지원을 통해 직업교육의 질을 높이하고 국가의 책무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다. 그러 나 우리 나라의 경우, 전문대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의 규모가 크지 않고 지속화될 수 없는 상황에서 일시적인 재정지원 사업을 통해서는 전문대학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결국, 경쟁력 확보를 통한 생존 노력은 전문대학의 몫이 된다. 전문대학 직업교육의 질적 수준을 제고 하기 위해서는 단위 대학의 노력도 필수적이지만, 각종 협의체의 기능을 활 성화함으로써 직업교육의 고도화를 위한 연구 기능을 활성화하고, 전공분야 별 교육과정 및 각종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연수사업 등을 공동 으로 실시하며, 각종 교육사업 유치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할 것이 다.

Ⅳ. 전문대학 계속교육의 실태분석 및 시사점

1. 조사개요

전체적인 교육의 구조가 평생계속교육이라는 체제하에 개편되는 상황에서 전문대학은 직업능력을 개발하고자 하는 모든 성인에게 훈련과 교육의 기회 를 제공할 수 있는 평생직업교육기관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평생계속교육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이 빈약하고 행・재정적 조건이 미비된 과 도기적 양상이 계속되면서 전문대학은 상당한 어려움에 노출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전문대학의 계속교육기능을 중간평가하고 그 내용을 바 탕으로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작업은 매우 유의미할 것이다. 하지만 전문 대학의 계속교육기능과 관련된 논의의 역사가 별로 길지 않아서 축적된 자 료를 찾기란 그리 쉽지 않았다.

본 연구는 그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설문은 실무 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현실과 보다 밀착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위영역별로 구분되어 있는 설문지에는 총 80개의 문항 이 수록되었는데, 설문에서는 전문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계속직업관련프로 그램의 유형과 비중, 운영상의 문제점이나 제도적인 요청 등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또한, 실무자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들을 전문대학의 계속직업 교육기능으로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질문하였다.

설문지는 전국 31개 전문대학에 각각 10부씩 발송하였으며 회수된 184부 의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적 요인을 행정단위와 보직 으로 구분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표Ⅳ-1> 행정지역별, 보직별 빈도 (단위: 명, %)

구분

항목

행정지역별 보직별

서울 광역시

중소 도시

학장 부학장

장급행 정직

일반행 정직

산협행 정팀장

보직 교수 기타

빈도(백분율) 81

(44.0) 52 (28.3)

49 (26.6)

1 (0.5)

24 (13.0)

46 (25.0)

9 (4.9)

33 (17.9)

41 (22.3)

24 (13.0)

전문대학의 계속교육기능은 기본적으로 전공심화과정과 학점은행제, 전문 대학기졸업자의 정원 외 수용, 그리고 재취업이나 직업능력의 향상을 위한 훈련 등과 관련된다. 산업구조의 급격한 변동에 따른 교육수요자의 욕구와 사회적인 기대가 맞물리면서 계속교육기관으로서의 전문대학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전문대학의 계속교육관련 프로그램을 조 망하고 그에 상응하는 개선의 방향을 고민해 보는 작업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속교육에 대한 그들의 이해수준을 점검하고 현재 운 영되고 있는 정규 외 교육프로그램의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조화된 설 문지를 제작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내용은 크게 실무자의 계속교육에 대한 이해수준, 정규 외 교육프로그램의 종류와 비중, 그리고 전문대학의 계속교 육을 강화할 수 있는 전략과 정책적 보완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전문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전문대학의 계속교육에 관한 기능들에 관 하여 수평적, 수직적, 기타 등으로 나누어 그 역할을 세분화하였다.

한편, 심층면접을 대체할 수 있는 설문지를 제작하고 분석함으로써 단답형 설문지를 보완하고 내용상의 충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2.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학 분야에서 계속교육이라는 용어가 채택되어 사용된 역사는 그리 길 지 않다. 또한, 개념적 차별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평생교육이나 사회 교육 등 다른 비슷한 명칭들과 혼동하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전문대학의 계속교육기능에 대해 질문한다면 그러한 혼란은 더 욱 가중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전문대학 계속교육 담당자를 대 상으로 한 설문・면담조사에서도 계속교육에 대한 용어적・개념적 혼동을 볼 수 있었다. 설문조사에서는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 해서 13개의 하위영역을 설정하여 각 항목에 대한 인지도를 다음과 같이 조 사하였다.

전문대학의 계속교육의 기능을 일반성인을 위한 계속직업교육이라고 생각 하는가 하는 질문에는 90.6%가 그렇다 라고 답하였다. 여기서 일반성인이라 하면 전문대학이나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후 직업에 종사하고 있거나 새롭게 재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상당히 많은 수가 전문대학 의 계속교육은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자들을 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그들을 수용하고 교육할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시급하다.

<표 Ⅳ-2> 일반성인을 위한 계속직업교육 기능 (단위: 명, %)

항목

구분 그렇다 아니다

서울 및 광역시 73(90.1) 8 (9.9) 81(100.0)

중소도시 49(96.1) 2 (3.9) 51(100.0)

군・읍・면 42(85.7) 7 (14.3) 49(100.0)

계 164(90.6) 17 (9.4) 181(100.0)

2=0.677, p .05)

전문대학의 계속교육을 앞에서 정의한 수직적, 수평적 그리고 기타로 나누 어 기술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