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방안의 관리를 위해 세계화 추진위원회는 전담기구를 설정하는 것이 바 람직 하다. 이 전담기구는 각 관계행정기관으로부터 소관별 추진계획에 대한 집행실적과 향후 추진계획을 제출받아 평가하고, 각 부처간의 이견을 협의․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이 전담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지방정부 상호간의 이견 및 분쟁사항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외에 이 기구는 기 본정책방안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수정․보완 사항, 기본정책방안에 추가할 사항이나 보다 발전시켜야 할 사항을 수용하여 반영할 수 있는 기능과 남북 관계의 변화 등 안보․경제․사회적 여건이 변화할 경우에는 이를 반영하여 신축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전담기구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환경부 또는 건교 부 등 단일 부에서 업무를 추진하는 것 보다 국무총리 행정조정실 같은 기 관에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1. 국내문헌

․경기도․경기개발연구원, 「통일에 대비하는 경기북부지역개발의 방향」

경기북부지역개발에 관한 국제세미나, 1995.

․독일 접경지역지원법

․박용하 外,「접경지역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방안」, 한국환경기술개 발원, 1997.1

․세계화추진위원회, 「5월중 세계화추진과제」, 199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민통선지역의 생태계 보전과 지역사회 활성화 동 시달성을 위한 조사연구 요약보고서」, 1997

․한국관광공사, 「생태관광 개발방향과 전망」, 1996.

․---, 「북부지역 관광자원 활용방안」, 1995.

․한국조경학회, 「한반도 비무장지대의 환경보전과 개발에 관한 국제심포 지움」, 1996.

․통일기반조성을 위한 접경지역지원법(안)

2. 국외문헌

․Allianz Stiftung, Biosphärenreservate in Deutschland, Leitlinien für Schutz, Pflege und Entwicklung, 1995.

․Bayerische Akademie für Naturschutz und Landschaftspflege, Land-

schaftsplanung am Runden Tisch., 1996.

․Bayerisches Landesamt für Umweltschutz, Beiträge zum Artenschutz

12, 1992.

․Bayerische Staatskanzlei,

Miteinander die Umwelt schützen,

Umweltpakt Bayern.

․----, Rote Liste gefährdter Farnund Blütenpflanzen Bayern, 1993.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StMLU), Schützen und leben lassen, 1996.12.

․----, Sehen und schätzen lernen, 1995.

․----, Umweltschutz zahlt sich aus, 1995.

․----, Regionalmanagement Mit Twist in die Zukunft Neue Wege

der Landesplanung, 1996.

․----, Südlicher Rennsteig -Handlungskonzept-, Wanderweg, 1996.

․----, Förderfibel Umweltschutz, 1994.

․----, Südlicher Rennsteig, Entwicklungsstudie, 1996.

․----, Lebensraum Ödland, 1993.

․----, Das Naturschutzgebief, 1989.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Ernährung, Landwirtschaft und Forsten, Bayern-Lebensqualität aus Bauernhand, Umweltbezogene Förderprogramme für die Landwirtschaft.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체코경제부, 작센주환경부, Grenzüberschreitendes Entwicklungskonzept für das Dreiländereck Bayern-Böhmen-Sachsen, 1994.

․Claudio Ciacci, Grenzübergreifendes Aktionsprogramm,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Arbeitsgemeinschaft Bayern e.V., 1994.

․Deutsches Nationalkomitee für Das Unesco-Programm "Der Mensch

und die Biosphäre", Keiterien für Anerkennung und Überprüfung von

Biosphärenreservaten der UNESCO in Deutschland, 1996.

․Dieter Döhla, OBERFRANKEN-OST NACH DER GRENZÖFFNUNG,

Wirtschaftliche Entwicklung Regionalpolitische Absichten,

Regionalplanungsstelle bie der Regierung von Oberfranken, 1995.

․----, Aktionsprogramm Region Oberfranken-OST, 1995.

․European Union Information Networks, Forum Franken, 1997.

․Freistaat Sachsen,

Schutzgebietskonzeption, GRÜNES BAND,

Staatliches Umweltfachamt Plauen.

․Thomas Goppel, Willi Müller,

Blotop verbund,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1997.

․P. Jurczek, Isolde Roch, Grenzüberschreitendes Entwicklungskonzept

für das Dreiländereck Bayern-Böhmen-Sachsen,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Tschechisches Ministerium für Wirtschaft, Sächs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1994.

․Landschaftspflegeverband Frankenwald Landkreis Kronach e. V., Ein

Weg zum Naturschutz, e.V.

․Minister für Natur, Umwelt und Landesentwicklung des Landes Schleswig-Holstein, Erholungsraum für die Natur, 1991.

․Naturschutzbund Deutschland(NABU) e.V., Naturschutz ums Haus, 1995.

․Ökologische Bildungsstätte Oberfranken, Die

Natur erleben und verstehen.

․----, Forum Franken.

․----, Forum Franken. Programm Herbst/Winter '97.

․----,

Ganzheitliche Naturerfahrung, Grenzübergreifende Umweltbildung, Programm Juni bis Dezember 1996.

․Regierung von Oberfranken, Gewässergüte in Oberfranken, 1995.

․----, Zahlenspiegel, 1994.

․M. Scholz, Miteinander die Umwelt schützen, Umweltpakt Bayern.

․Staatsinsititut für schulpädagogik und Bildungsforschung München,

Naturschutz und Landschaftspflege, 1993.

․Thomas, Regionalplan, Planungsregion Oberfranken-Ost(5), 1994.

․Umwelt & Entwicklung Bayern, Naturschutz auf der ganzen Fläche,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1997.

․----, Umweltschutz zahlt sich aus, Bayerisches Staatsministerium für Landesentwicklung und Umweltfragen, 1995.

부록

1. 연구의 배경 및 진행과정

원격탐사는 조사하고자 하는 대상이나 지역 및 현상에 접촉하지 않는 감 지기를 이용하여 지표면 물체가 반사하는 에너지량을 분석하고 정보를 수집 하는 과학기술이다(Lillisand & Kiefer 1987). 이러한 원격탐사는 다음의 네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컴퓨터를 이용하여 토양의 종류, 토양수분, 토양침식, 식생의 분포 및 종 조성, 토지이용 및 지표면 및 육수면의 온도, 수문, 도시개발 등에 관 한 유용한 광역정보를 경제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둘째, 결과물을 영상 혹은 지도로 출력시켜 관심대상의 공간적 분포를 정 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셋째, Landsat 및 SPOT 등의 위성은 비교적 단기간에 지표면상의 동일지 역의 정보를 반복수집하기 때문에 자연생태계의 면적 및 활력도의 시계열적 변화를 연구하기에 적합하다.

넷째, GIS의 입력자료로 이용되어 식생천이의 진행, 서식지 환경의 변화, 야생동물 서식지 적합성 평가, 환경보전계획의 수립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Trotter 1991).

비무장지대와 같이 민간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지역의 현황조사 및 분석에 있어서 매우 효율적인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에서 가장 범용적으 로 사용되고 있는 분석 방법과 지리정보체계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그림 1>과 같다.

첫째, 위성자료(Landsat TM)와 고도자료(DEM) 등의 관련된 자료를 수집

․처리한다.

둘째, 위성자료 분석은 토지이용현황 파악을 위해 감독분류을 통한 토지피 복 분류와 NDVI를 이용한 식생활력도를 산출하며, 지형분석은 DEM자료를 이용하여 표고 및 경사를 분석한다.

셋째,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결과를 고찰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석도구로는 위성자료 분석을 위해 이미지프로세싱 S/W로는 ER Mapper Ver. 5.5와 지형분석은 지리정보시스템 S/W인 ARC/INFO Ver. 7.1.2를 사용하였다.

원격탐사기법 기초이론 및 사례연구

위성자료 수집 DEM 자료 수집

지형 분류 및 처리

위성자료 분석 지형 분석

토지피복 분석 식생활력도 분석 표고 분석 경사분석

자료 접합

분석 결과고찰

<그림 1> 연구진행 과정

2. 위성자료를 이용한 현황분석 및 고찰

2.1 자료 수집

현재 이용가능한 위성자료는 Landsat, Spot, IRS 등이 있으나, 연구대상지 역의 자료로는 환경부와 강원개발연구원에서 소유하고 있는 Landsat TM자 료가 이용가능하여 이를 이용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자료는 <표 1>과 같다.

대상지역은 2개의 전체이미지(Full Scene)와 3개의 부이미지(Sub image)가 사용되었다.

<표 1> 사용한 Landsat TM 위성영상자료 목록

Path Row Date No. of Line Pixel per Line 115 34 1996. 9. 10 5,966 7,020 115 33 1996. 9. 1 2,984 4,320 115 34 1996. 4. 14 2,984 4,320 114 34 1996. 8. 18 2,984 4,320 116 34 1996. 9. 1 5,965 6,920

조사분석에 있어서 대상지역 전체를 동일한 시간대에 수집된 위성자료를 이용하여야 하나, 현재 이용가능한 자료가 한정되어 있어 최근의 자료를 이 용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2.2. 공간적 범위 및 최소공간단위 설정

연구대상지역의 공간적 범위는 접경지역의 정확한 경계선 자료를 구할 수 없었던 관계로 DMZ내부(남북한 각각2km)와 외부(DMZ남북경계로부터 10km)로 나누고, 이를 남한과 북한으로 나누어 각각 6개의 면적구분에 따라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의 현황파악을 위하여 위성사진을 합성하고, 도로망과 수계망을 투영하였다. 이를 실제의 색감을 가지도록 합성한 자료는 <그림 2>와 같다.

공간해상도는 Landsat TM자료가 가지고 있는 30m×30m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지형분석을 위해서 100m×100m의 DEM(Digital Elevation Map)자 료를 이용하였다.

<그림 2> 연구대상지역의 True Color Composite 위성사진

지형기복도는 지형의 대체적인 모양 및 향과 유역의 구분에 사용되는 것 으로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원 평야지대를 분기점으로 연구대상 지역의 지형기복은 동쪽은 지형의 기복이 심하며, 주 능선의 방향이 남북으 로 뻗어있는 산악지형의 특성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으며, 서쪽은 지형의 기 복이 완만한 평야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그림 3> 연구대상지의 지형기복도

2.3 지형분석

2.3.1 표고 분석

표고분석은 연구대상지역의 지세 및 고저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 결과물은 보전 및 개발지역의 설정에 이용되는 기본적인 인자이다. 지형의 고저만으로 보전 및 개발의 기준을 정하기는 어려우나 일반적으로 표고가 100m이하인 지역에서는 완만한 구릉지역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어, 이를 경 계로 하여 표고분석을 행하였다.

남한 지역은 DMZ으로부터 2㎞이내에서는 100m이하가 41.87%, 100m이상 이 58.13%로 나타났으며, DMZ으로부터 10㎞이내에서는 100m이하가

47.47%, 100m이상이 52.53%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저지대보다는 고지대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지역은 DMZ으로부터 2㎞이내에서는 100m이하가 46.11%, 100m이상 이 53.89%로 나타났으며, DMZ으로부터 10㎞이내에서는 100m이하가 43.03%, 100m이상이 56.97%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저지대보다는 고지대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과 북한을 비교해보면 DMZ로부터 2km이내의 지역에서는 북한의 저 지대 면적이 넓은 것으로 파악되며, DMZ로부터 10km이내 지역에서는 남한 의 저지대 면적이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를 동서로 나누어 보면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지형인 동고서저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분석결과는

<그림 4>와 <표 3>과 같다.

<그림 4> 표고분석도

<표 3> 표고 분석 결과

< 그림 5 > 경사분석도

남한과 북한을 비교해보면 DMZ로부터 2km이내의 지역에서는 북한의 완 경사 지역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이며, DMZ로부터 10km이내 지역에서는 남한의 완경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를 동서로 나누어 보 면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지형인 동고서저의 특성이 경사분석에서도 나타나 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는 <그림 5> 및 <표 4>와 같다.

< 표 4 > 경사 분석 결과

및 섬유작물 생산량의 예측이 가능하며, 식생부문에서는 식생의 활력도, 생 산성, 엽면적, 녹피율 등의 추계에 이용이 가능하다.

4 band - 3 band

NDVI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 1) × 128 4 band + 3 band

식생활력도의 분석결과는 향후 개발과 보존을 위한 적지분석의 실시에 있 어서 중요한 평가인자로 사용가능할 것이며, 시계열적인 분석과 토지이용분 류를 통합하여 분석한다면 식생의 시계열적 변화와 더불어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토지이용활동을 도출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경지역내의 식생상태의 파악 및 식생의 활력도를 파악하 는데 이 지수를 이용하여 이를 5단계로 구분하여 지도화하고 이의 면적을 분석하였다.

식생활력도 분석결과 남과 북을 통합하여보면 강원도지역이 경기도지역보 다 전반적으로 식생의 활력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남한과 북한

식생활력도 분석결과 남과 북을 통합하여보면 강원도지역이 경기도지역보 다 전반적으로 식생의 활력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남한과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