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교육훈련 내용, 대상자 및 교육훈련기관의 선정

문서에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페이지 84-87)

교육훈련 내용을 선정할 경우 전체적으로 종업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사업장(31.1%) 가장 많았고, 다음은 부서별 관리자(29.3%), 최고 경영자(26.5%) 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사업장 규모별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즉, <표

Ⅳ-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우 최고 경영자(32.5%), 50 인~299인은 부서별 관리자(35.4%) 그리고 300 이상 사업장의 경우는 종업원 (43.4 %)의 의견이 우선 반영되고 있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과 서비스업종의 경우 종업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사업장이 가장 많은데 비해 제조업종 은 부서별 관리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또한, 교육훈련 대상자의 선정 역시 종업원의 참여의사를 반영하는 사업장 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부서별 관리자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Ⅳ-45>

에서 보는 것과 같이,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장(51.8%)의 경우 종업 원의 참여의사를 가장 우선시 하고 있으며, 50인 이상 300인 미만(40.6%)의 경우는 부서별 관리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곳이 가장 많았다. 업종별로 는 역시 비제조업과 서비스업종의 경우 종업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는 사 업장이 가장 많은 데 비해 제조업종은 부서별 관리자의 의견을 우선 반영하 는 곳이 가장 많았다.

<표 Ⅳ-44> 교육훈련 내용 선정시 의견 반영자

(단위: 개소, %)

규모 업종

50인미만 50-299인 300인이상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전체 종업원

부서별 관리자 최고 경영자 훈련담당 부서

86(31.7) 72(26.6) 88(32.5) 25(9.2)

53(25.4) 74(35.4) 49(23.4) 33(15.8)

36(43.4) 19(22.9) 12(14.5) 16(19.3)

61(24.4) 86(34.4) 77(30.8) 26(10.4)

32(34.4) 23(24.7) 22(23.7) 16(17.2)

82(37.3) 56(25.5) 50(22.7) 32(14.5)

175(31.1) 165(29.3) 149(26.5) 74(13.1) 전체 271(100) 209(100) 83(100) 250(100) 93(100) 220(100) 563(100)

<표 Ⅳ-45> 교육훈련 대상자 선정시 의견 반영자

(단위: 개소, %)

규모 업종

50인미만 50-299인 300인이상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전체 종업원

부서별관리자 최고경영자 훈련담당부서

92(33.8) 82(30.1) 77(28.3) 21(7.7)

58(27.4) 86(40.6) 39(18.4) 29(13.7)

43(51.8) 22(26.5) 6(7.2) 12(14.5)

67(26.7) 109(43.4)

55(21.9) 20(8.0)

32(34.4) 19(20.4) 27(29.0) 15(16.1)

94(42.2) 62(27.8) 40(17.9) 27(12.1)

193(34.0) 190(33.5) 122(21.5) 62(10.9) 전체 272(100) 212(100) 83(100) 251(100) 93(100) 223(100) 567(100)

<표 Ⅳ-46>은 현재 각 사업장의 중점 교육훈련 대상자를 제시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사무관리 부문 인력(48.2%)에 대한 교육훈련 수요가 가장 많았 고, 다음은 영업부문 인력(37.1%), 생산현장 기술인력(29.0%)의 순으로 나타 나고 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핵심 전문인력 (38.1)에 대한 교육훈련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업종 별로는 제조업의 경우 생산현장 기술인력(44.0%)과 신기술개발 인력(30.2%), 그리고 비제조업은 영업 부문 인력(55.6%)에 대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상대 적으로 매우 높았다.

<표 Ⅳ-46> 중점 교육훈련 대상인력

(단위: 개소, %)

규모 업종

합계 50인미만 50-299인 300이상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신기술개발인력

생산현장기술인력 생산현장기능인력 사무/ 관리부문인력 영업부문인력 전산/ 정보통신인력 핵심전문인력 국제화전문인력

54(20.1) 80(29.9) 54(20.1) 135(50.4)

97(36.2) 43(16.0) 31(11.6) 10(3.7)

51(25.0) 70(34.3) 41(20.1) 91(44.6) 67(32.8) 32(15.7) 35(17.2) 14(6.9)

20(23.8) 11(13.1) 7(8.3) 42(50.0) 42(50.0) 10(11.9) 32(38.1) 2(2.4)

76(30.2) 111(44.0) 57(22.6) 95(37.7) 76(30.2) 33(13.1) 38(15.1) 7(2.8)

9(10.0) 18(20.0) 16(17.8) 49(54.4) 50(55.6) 7(7.8) 14(15.6)

8(8.9)

40(18.7) 32(15.0) 29(13.6) 124(57.9)

80(37.4) 45(21.0) 46(21.5) 11(5.1)

125(22.5) 161(29.0) 102(18.3) 268(48.2) 206(37.1) 85(15.3) 98(17.6) 26(4.7) 계 268(100) 204(100) 84(100) 252(100) 90(100) 214(100) 556(100)

<표 Ⅳ-47>은 외부 교육훈련기관 선정시 고려사항을 5점 만점으로 제시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교육훈련 강사의 자질(4.1)과 교육훈련비 지원 여부(3.7), 그리고 교육훈련 참가비용(3.7)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와 같은 조사 결과는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상대적으로 그 중요도가 높았다.

<표 Ⅳ-47> 교육훈련 기관 선정시 고려사항

규모 업종

50인미만 50-299인 300인이상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전체 프로그램 개설수

교육훈련 시간 강사의 자질 훈련기관 지명도 훈련비 지원여부 훈련참가 비용 지리적 근접성

2.8 3.2 3.9 3.5 3.6 3.7 3.5

2.8 3.3 4.1 3.5 3.7 3.6 3.5

3.0 3.4 4.5 3.7 4.0 3.9 3.5

2.8 3.3 4.1 3.6 3.9 3.7 3.7

3.0 3.4 3.9 3.5 3.5 3.6 3.3

2.8 3.2 4.1 3.5 3.7 3.7 3.4

2.9 3.3 4.1 3.5 3.7 3.7 3.5

* 4점 척도를 5점 만점으로 환산한 수치임

나. 근로자가 중점적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

각 사업장에서 근로자가 중점적으로 갖추어야 할 소양은 <표 Ⅳ-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 의사소통능력 등의 기초직업능력 (41.8%)이 가장 우선 되고 있고, 다음은 정보수집 분석능력(21.6%), 안전의식 (13.3%) 등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사업장 규모나 업종에 따른 차이는 다소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표 Ⅳ-48> 사원이 갖춰야 할 소양

(단위: 개소, %) 정보수집 컴퓨터 외국어 기초직업 안전의식 기타 전체 50인 미만

50-299인 300인 이상

61(21.1) 44(20.5) 22(26.2)

30(10.4) 7(3.3) 5(6.0)

31(10.7) 22(10.2) 10(11.9)

110(38.1) 99(46.0) 37(44.0)

45(15.6) 29(13.5) 4(4.8)

12(4.2) 14(6.5) 6(7.1)

289(100) 215(100) 84(100)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69(26.6) 13(12.7) 45(19.8)

18(6.9) 3(2.9) 21(9.3)

19(7.3) 9(8.8) 35(15.4)

116(44.8) 50(49.0) 80(35.2)

31(12.0) 21(20.6) 26(11.5)

6(2.3) 6(5.9) 20(8.8)

259(100) 102(100) 227(100) 전체 127(21.6) 42(7.1) 63(10.7) 246(41.8) 78(13.3) 32(5.4) 588(100)

문서에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페이지 8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