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교육훈련의 평가

문서에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페이지 92-95)

다. 교육훈련 프로그램 운영 실태

3) 교육훈련의 평가

<표 Ⅳ-55> 교육훈련과정별 교육훈련 강사

(단위: %)

대상

(N =169)

(N =189)

(N =40)

(N =141)

(N =85)

(N =71)

(N =60)

(N =20) 사내전임강사

사내전문인력 국내대학교수 국내저명인사 전문기관강사 외국초청강사 기타

55.6 26.6 5.3 2.4 62.1 5.9

23.3 20.6 3.7 3.7 96.3 1.6 13.2

7.5 2.5 5.0 7.5 62.5 20.0 37.5

27.7 14.9 2.1 .7 80.9 .7 10.6

15.3 9.4 1.2 1.2 89.4 2.4 4.7

12.7 12.7 11.3 109.9 2.8

23.3 11.7 3.3 38.3 6.7 36.7

55.0 25.0 5.0 5.0 15.0

①계층별교육훈련 ②직무향상교육훈련 ③국제화교육훈련 ④전산화교육훈련

⑤인증교육훈련 ⑥핵심전문가교육훈련 ⑦특별교육훈련 ⑧취업예정자교육훈련

* 복수응답임.

<표 Ⅳ-57> 교육훈련 평가 방식

(단위: 개소, %)

규모 업종

50인 합계

미만 50

-299인

300인

이상 제조업 비제조 서비스

필기시험 교육이수자 면접 논문.리포트 제출 설문조사

교육훈련기관 일임 기타

51(18.3) 65(23.3) 119(42.7)

23(8.2) 14(5.0) 9(3.2)

47(22.4) 42(20.0) 93(44.3) 34(16.2) 18(8.6)

2(1.0)

30(36.6) 6(7.3) 30(36.6) 32(39.0) 11(13.4) 5(6.1)

50(19.8) 50(19.8) 120(47.4)

34(13.4) 17(6.7)

6(2.4)

21(21.4) 28(28.6) 42(42.9) 9(9.2) 7(7.1) 1(1.0)

57(25.9) 35(15.9) 80(36.4) 46(20.9) 19(8.6)

9(4.1)

128(22.4) 113(19.8) 242(42.4) 89(15.6)

43(7.5) 16(2.8) 합계 279(100) 210(100) 82(100) 253(100) 98(100) 220(100) 571(100)

* 다중응답처리

<표 Ⅳ-58>은 각 사업장의 교육훈련 효과의 측정수준을 제시한 것이다. 교 육훈련 효과의 측정수준 단계는 첫째, 강사만족도, 진행자의 서비스 등을 측 정하는 과정만족도 조사 둘째, 교육훈련 전후의 목표 달성정도를 측정하는 학습성취도 조사 셋째, 이수한 교육훈련 내용이 현업에 어느 정도 활용이 되 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현업적용도 조사 넷째, 고객의 성과 향상 정도를 측정 하는 성과향상도 조사 그리고 고객유지 비율을 측정하는 투자효과 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현재 각 사업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훈련의 평가수준은 전체적으로 현업적용도 조사(44.9%)가 가장 많았다. 50인 미만 사업장의 경 우 현업적용도 조사, 30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는 학습성취도 조사를 실시하 는 곳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업종별로는 비제조업종의 경우 학습성취도 조 사, 서비스업종은 현업적용도 조사를 적용하는 사업장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교육훈련 평가를 실시하지 않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평가결과를 반 영할 인사관리제도가 준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46.5%)이다(<표 Ⅳ-59> 참조).

<표 Ⅳ-60>은 교육훈련 이수 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 를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제시한 것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교육훈련 이수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0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교육훈련(3.3)과 배치전환(3.2)에 비교적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Ⅳ-58> 교육훈련 효과 측정 수준

(단위: 개소, %)

규모 업종

50인 합계 미만 50

-299인

300인이상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과정만족도조사

학습성취도조사 현업적용도조사 성과향상도조사 투자효과 조사

6(8.0) 17(22.7) 39(52.0) 13(17.3)

17(15.7) 31(28.7) 49(45.4) 13(12.0)

13(20.3) 23(35.9) 23(35.9) 9(14.1)

1(1.6)

17(14.2) 35(29.2) 52(43.3) 17(14.2)

3(11.5) 9(34.6) 8(30.8) 6(23.1)

16(15.8) 27(26.7) 51(50.5) 12(11.9) 1(1.0)

36(14.6) 71(28.7) 111(44.9)

35(14.2) 1(0.4) 합계 75(100) 108(100) 64(100) 120(100) 26(100) 101(100) 247(100)

* 다중응답처리

<표 Ⅳ-59> 교육훈련 평가 미실시 이유

(단위: 개소, %) 교육훈련

자체로충분 평가 불필요 인사 관리

체제 미비 기타 전체

규모

50인 미만 50-299인 300인 이상

49(24.0) 31(32.3) 5(31.3)

36(17.6) 24(25.0) 3(18.8)

103(50.5) 37(38.5)

7(43.8)

16(7.8) 4(4.2) 1(6.3)

204(100) 96(100) 16(100) 업종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37(28.5) 16(22.5) 32(27.8)

23(17.7) 20(28.2) 20(17.4)

60(46.2) 32(45.1) 55(47.8)

10(7.7) 3(4.2) 8(7.0)

130(100) 71(100) 115(100) 전체 85(26.9) 63(19.9) 147(46.5) 21(6.6) 316(100)

<표 Ⅳ-60> 교육훈련 이수결과가 인사관리제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

규모 업종

50인미만 50-299인 300인이상 제조업 비제조업 서비스업 합계 채용

승진,승격 해고 임금보상 교육훈련 배치전환 경력개발

2.6 2.6 2.0 2.5 2.7 2.6 2.8

2.8 2.8 2.0 2.5 3.0 2.8 2.9

3.0 3.1 2.1 2.4 3.3 3.2 3.1

2.8 2.9 2.0 2.6 2.9 2.9 3.0

2.5 2.6 2.1 2.3 2.7 2.4 2.6

2.7 2.7 1.9 2.4 2.9 2.8 2.8

2.7 2.8 2.1 2.5 2.9 2.8 2.9

* 4점 척도를 5점 만점으로 환산한 수치임

문서에서 실태조사에 관한 기초연구 (페이지 9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