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익적 법률시스템의 정착

공익적 법률시스템의 정착을 위하여 징벌적 배상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는 견해들이 있다

.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법리적 타당성과 필요성 이외에도 공익적 법률시스템의 정착을 위하여 징벌적 배상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한다

.

즉 우리 경제현실을 고려하여 볼

학연구소, 1989, p.119.

57) 김선석, 「위자료의 산정과 그 기준에 관한 제문제」, 󰡔재판자료󰡕, 21, 1984, p.325.

58) Grimshaw v. Ford Motor Co. 174 Cal, Rptr, 348.

59) 윤정환, 「징벌적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p.191;

이점인,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에 관한 연구 󰠏미국제도를 중심으로󰠏, 동아대학 교 박사학위 논문, 1998, p.219.

60) 이점인(2005), 전게서, pp.3-4.

때에 악의적 의도를 가지고 불법행위를 하는 경우 이에 대한 재발방 지를 위한 시스템을 도입할 시점이 되었으며

,

그 시스템 중의 하나 로 징벌적 배상제도를 들고 있다

.

특히

,

대기업이나 국가 등의 위법행위로 인한 다수의 피해자가 존 재하고 각 피해자의 피해 규모는 작지만 전체의 피해 규모가 막대한 경우

,

현행 민법에 따라 손해배상이 이뤄진다면 피해자가 받는 배상 액은 가해자가 얻는 이익보다 절대적으로 소액이 된다

.

따라서 피해 자가 피해를 입을 것을 뻔히 알면서도 악의적으로 손해를 가하거나 피해자의 손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게을리한 채 가해행위를 계 속하는 가해자에 대하여 징벌적 배상책임을 부과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

61)

이러한 찬성론자들의 주장을 종합해 보면

,

결론적으로 징벌적 배 상제도는 개인에 대한 전보적 기능보다는 대기업이나 국가 등과 같 은

경제적 권력집단

”, “

공권력 집단

의 악의적 행위나 중대한 임무 해태행위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를 사전에 예방하여 궁극적으로는 사회경제체제 전반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달성하고자 하는 더욱 큰 목적을 이 제도를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Ⅱ . 반대론

징벌적 배상제도가 도입되는 경우

,

그 입법목적이나 운용 등과 관 련하여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도입을 신중히 하여야

61) 참여연대, 「집단소송법 및 징벌적 배상제 도입해야」, 2004. 4. 19, 보도자료 8.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

62)그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 을 들 수 있다

.

첫째

,

영미식의 판례법을 대륙법계인 우리나라의 법제도에 접목하 는 데 많은 혼란과 부작용이 예상된다는 것이다

.

특히

,

소송문화와 법감정상 영미법계와 대륙법계 간의 차이 때문에 입법과 운용상의 혼란이 예상되므로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

둘째

,

민・형사 책임을 구분하고 있는 현행 법제도를 고려하여 볼 때에 손해의 공평부담을 기본이념으로 하고

,

그 일환으로 보상적 기 능을 수행하는 현행 손해배상제도와 근본적으로 부조화를 초래함으 로써 법적용 및 집행상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들고 있다

.

셋째

,

동일한 가해자에게 형사적인 처벌 외에 민사적 징벌을 부과 한다면 헌법상 이중처벌금지원칙에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는 점을 들고 있다

.

63)

넷째

,

근대법은 사회분쟁에 대하여 민사책임과 형사책임을 분리하 여 각각 사회적 기능을 달리하므로 피해자에게 현실적인 손해를 넘 어 징벌이라는 명목으로 거액의 배상금을 지급하도록 하는 것은 원 고가 부당이득을 얻는 것을 법률이 합법화하는 모순을 초래할 수 있 다는 점을 들고 있다

.

64)

다섯째

,

징벌적 배상제도는 고의 범죄자에 대한 벌칙으로서 금전적 불이익을 국가에 귀속하고자 하는 우리 형사법의 근본이념과 부합하 지 않으며

,

동시에 현행 민사소송의 구조 내지 소송물 이론에 비추어 62) 김성탁, 「제조물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p.501; 황창현,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현행법의 규정과 입법론적 검토」, 󰡔정보법 󰡕, 3, 한국정보법학회, 1999, p.331.

63) 조광훈(2006), 전게논문, p.26.

64) 윤용석(2006), 전게논문, p.249.

볼 때 이론상으로 도입이 어려워 시기상조라는 점도 들고 있다

.

65) 여섯째

,

제조물책임소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단소송의 경우 거 액의 손해배상을 인정함으로써 기업의 존립을 위태롭게 하여 우리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는 등 헌법상 과잉금지의 원칙에 반하기 때문 에 위헌의 소지가 있다는 점이다

.

일곱째

,

징벌적 배상제도로 인하여 남소의 가능성이 높아져 과도 한 사회적 비용이 지출된다는 점을 들고 있다

.

여덟째로

,

징벌적 배상액 산정 시 원고의 자의적인 결정에 법원이 적절한 통제장치가 없다는 점을 들고 있다

.

66)

Ⅲ . 법경제학적인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