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예 실기지도 방안

2.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2.5.2. 공예 실기지도 방안

공예품의 특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어 경주지역의 상징 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특징, 재료적인 특성, 기술 및 기법 의 전통성, 제품의 질에 대한 우수성, 특수한 품종과 홍보 효과 등 에 의해 인식이 확대되어 존재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디자인의 측면에 있어서는 제품의 상징적 기능은 형 태, 색채, 질감, 문양, 표면장식 등 조형적 요소에 의해서 지역의 특 성을 시각화함으로서 상징성의 효과가 쉽게 강조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인의 과정에서 지역의 특성적 소재를 찾아 조형적 표 현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여 디자인 자체가 향토적 이미지를 제 고시켜 제품의 결과가 지역성을 지니게 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의 특성적 소재가 제품의 디자인에서 상징화됨으로서 지역성을 시각적 으로 전달하는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의 지역적

개발에 따른 디자인의 소재로서 실기지도를 하고자 한다.

(1) 지도 대상

경주지역 디자인․공예 특성화 고등학교 공예디자인과 2학년(26명, -남11, 여15-)을 대상으로 한다.

(2) 지도 기간과 범위

첫째, 기간은 1학기 17주를 기준으로 하고 1주당 수업 시 수는 4시 간 실시한다. 고등학교 수업시간은 50분 수업이고 이를 지도안 상에 서 1시간으로 표시한다. 1단계는 기초학습 단계, 2단계는 보충학습 단계로 연속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진다. 3단계는 심화학습 단계로 13 주를 기준으로 잡는다.

둘째, 지도 범위는 나무재료를 이용한 목공예와 금속재료를 이용 한 금속공예로 한정한다.

셋째, 학생의 능력에 따라 기초학습단계에서 보충학습단계는 연속 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심화학습 단계는 보충학습단계를 마친 학생들에 한정되어 이루어진다.

(3) 수업 단계

수업의 진행단계는 3단계로 나누었다. 1단계는 기초학습 단계로 경 주지역과 학교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자연소재를 이용하여 단순화시 켜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고 지도하였다. 2단계는 보충학습 단계로 역성과 상징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문화상품이 될 수 있는 컨 셉으로 제품을 만들었으며, 마지막 3단계는 심화학습 단계로 2단계 까지 잘 소화를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주지역의 전통문화적 요

소를 이용하여 관광문화상품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4) 지도내용/수업모형

각 지역에는 그곳의 풍토에 따라 형성된 문화, 전통, 역사 등이 있 다. 특산품도 결국 이러한 지역의 특성과 지역의 장래 등이 연계되 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기초수업 과정에서 학교 주변의 자연물을 이용하거나 우리 고장의 특색 있는 자연적 요소와 둘째, 일반적으로 지역성과 상징성을 나타내는 전통 문화적 인 요소 셋째, 경주지역의 전통문화적 요소 등을 연구 대상으로 하 였다. 수업모형에 있어서는 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 과정을 정립하 였으나 실제 제작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학교와 학생들의 여건에 의 해서 ①소재선정 ②아이디어 작업 단계의 러프 스케치 ③제작 ④ 마무리 등으로 전개되었다는데 아쉬움이 있다. 그리고 학생 작품은 상품화에 적용할 수 있는 완성작을 위주로 실었다.

문화상품의 디자인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소재의 선정

① 우리 고장 또는 학교 주변의 특색 있는 자연적 요소 감포 바닷가 - 소라, 가자미 등

경주시의 가로수- 벚꽃 학교 주변의 못- 잉어

② 지역성과 상징성이 있는 전통 문화적 요소

지역성이나 상징성이 강한 것에는 소나무, 대나무, 연꽃, 십장생, 용, 봉황, 솟대, 장승 등이 있다.

③ 경주지역 전통 문화적 요소

경주의 전통 문화적 요소는 불상 및 석굴암, 불국사 및 사원, 첨 성대, 다보탑, 석가탑 등 다양한 문화재들이 있다.

2) 시각 모티브 발췌 및 정리

선정된 소재를 바탕으로 조형요소를 확정, 이를 정리하여 그래픽 자료화한다.

3) 상품 기획․디자인 전개

유통과 판매의 세계에 대한 기본 조사를 통해 상품에 대한 분석과 시장성을 전제로 제작 대상 상품의 모형이나 외관에 적합한 모델을 추출하기 위해 디자인 안을 만든다. 이 과정에서 그래픽적으로 정리 한 각각의 모티브는 조형적으로 재구성되며 색상과 형태적 변형, 패 턴 효과 등의 다양한 변용에 의해 구체적인 상품 시안이 만들어진 다.

4) 상품화 적용/ 시제품 제작

상품적용 시뮬레이션(simulation) 단계로 개발된 안을 실제적으로 상품에 적용시켜 상황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은 개발된 디자인이 상품에 패턴으로 응용되는 경우와 형태미를 강조하여 형 태적인 요소, 그 자체로 응용되는 경우(일종의 복제품, 또는 복제기 법을 활용한 상품), 그리고 일련의 스토리와 연결성을 강조하여 응 용되는 것 등으로 구분된다.

조형성 독창성, 상징성

한국적 정서

경제성, 기능성

시뮬레이션 제작 평가 지역성과 상징적요소

자연환경적 요소

현대적 감각 전통문화적 요소

소재발견

상품기획 디자인 전개 시각모티브 발췌/ 정리

상품화 적용 시뮬레이션

feed back

<그림1> 문화상품 디자인 과정

(5) 연구방법 및 지도법

1) 1단계-기초학습단계

우리 고장 또는 학교 주변의 특색 있는 자연적 요소를 이용한 디자인

1-1) 학생작품 제시

소재선정(물고기) 시각모티브 발췌

정리 랜더링(팬던트)

러프스케치 상품화 적용(컵받침대)

<그림2> 학생작품(2학년, 최진환)

소재선정(소라) 시각모티브 발췌 랜더링(팬던트)

러프스케치 상품화적용(컵받침대)

<그림3>학생작품(2학년, 서정희)

<그림4> 잉어를 이용한 컵 받침대와 액자 디자인 ( 김수빈 ) 학교 주변 남사 못 낚시터에서 잡은 잉어를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그림5> 벚꽃 모양을 이용한 액자디자인 (김미진) 경주시의 가로수인 벚꽃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2) 2단계-보충학습단계

지역성과 상징성의 요소를 이용한 디자인하기

2-1) 학생작품 제시

<그림6>전통문양을 이용한 장신구디자인(정미선) 우리나라 전통문양을 우리고유의 버선에 적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그림7>무궁화 꽃을 이용한 촛대와 장신구디자인(최진환)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무궁화 꽃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그림8>十長生을 이용한 컵 받침대 디자인(배우리) 장생 불사를 상징하는 십장생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그림9>복(福)주머니를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김장현) 길상(吉祥)의 뜻을 지닌 복 주머니를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그림10>솟대를 이용한 테이블웨어 디자인 민간신앙을 목적으로 하는 솟대를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3) 3단계-심화학습단계

경주지역의 전통 문화적 요소를 이용하여 디자인하기

3-1) 학생작품 제시

<그림11>다보탑 이미지를 이용한 액자 디자인(김장현) 국보 제20호로 지정된 불국사 다보탑을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그림12> 석가탑이미지를 이용한 촛대 디자인(정미선) 국보 제21호로 지정된 불국사 삼층석탑(석가탑)을 이용하여

<그림13>첨성대와 금관총 금관 이미지를 이용한 조명등 디자인 국보 제87호로 지정된 금관총 금관과 국보 제31호로 지정된 경주 첨성대를 이용하여 디자인하였다.

(6) 수업안의 결과 분석

경주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유형․무형의 문화유산과 자연환경, 풍 속 등, 지역적 특성 소재가 될 수 있는 것들을 이용하여 수업에 적 용하여 보았다. 학생들의 작품에서 나타난 소재의 활용을 보면 유 물의 형태를 그대로 제품의 형태로 표현하거나 유물에 나타난 문양 을 제품의 장식 문양으로 표현되고 있다. 대부분 소재가 한정되어 있고 표현이 구체적이지 못하며, 표현의 기법에서 다양함이 보이지 않고 있다.

수업 안에서 제시된 문화상품개발은 우리 것에 대한 표현이 한국 의 전통문양, 탑, 첨성대 등과 같은 전통적인 모티브를 단순하게 시 각적으로 재현하는 작업에 그쳐, 새로운 형태를 창조하는 경주지역 의 문화유산 속에서 단순히 전통적인 기술을 재현하고 전수하는 고 답적인 공예품을 제작하는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7) 공예교육의 방향

첫째, 전통공예의 전승적인 표현기법을 그대로 재현하기보다는 부 분적으로 활용해 현대 감각에 맞는 조형요소를 가미하면서 새로운 전통성을 창조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단순히 외적인 형태를 좇아가는 스타일리스트(stylist)가 아니 라 재료, 기법, 형태, 문양 등의 요소와 기법에서 전통의 답습이 아 닌 새로운 예술 창작의 계기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재료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창조적인 능력, 미적 조형 능력, 과학적 능력을 종합적으로 발휘하면서 동시에 우리나라 의 역사 및 전통도 깊이 연구해야 한다.

넷째, 우리의 전통문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통공예와 현대적인 디자인교육이 병행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해 야 한다.

다섯째, 일본, 인도, 북구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처럼 현대의 기계문 명과 수공업의 전통을 조화롭게 발전시켜 관광문화상품 개발에 주 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