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현재 여가활동

문서에서 고령친화 여가산업 활성화 방안 (페이지 81-85)

3

2. 고령층의 여가활동 유형

고령층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여가를 즐기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유 형기준이 필요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고령층의 여가활동은 어떤 기준 에 따라 구분하는가에 따라 그 유형분류가 달라질 수 있고, 그 기준도 연구자에 따라 다양하다. 문화관광체육부의 ‘국민여가활동조사’ 여가활 동 분류체계는 여가유형을 ‘문화예술 관람활동’, ‘문화예술 참여활동’,

‘스포츠 관람활동’, ‘스포츠 참여활동’, ‘관광활동’, ‘취미․오락 활동’,

‘휴식활동’, ‘사회 및 기타 활동’의 8가지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며, 이 렇게 여가활동의 대분류별로 각기 세부적인 여가활동을 적시하고 있다.

본 조사에서는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활용하는 분류체계의 대분류 와 소분류를 모두 활용하여 고령층이 실제 즐기고 있는 여가 유형을 파 악하였으며 더불어 각 개인들이 세 가지 여가활동을 선택하면서 보이는 패턴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가. 현재 여가활동

여가활동 유형을 조사하기 위해 전화조사에서는 ‘올해(2011년 1월 1 일 이후) 집(댁) 밖에서 가장 많이 하신 여가활동’ 세 가지를 질문하였 다. 전체 응답자 2,000명에게 3가지씩의 여가활동 유형 6,000개를 모두 합산하여 인구사회적 특성별로 분석한 것이〈표 3-5〉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전반적으로 개인적이고 활동적인 여가유형보다는 대인관계나 모임활동 등을 중심에 둔 여가활동을 영위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사회 및 기타활동’이 가장 많은 32.1%를 차지하고 있고,

‘취미오락 활동’ 27.3%, ‘휴식 활동’ 18.0%, ‘스포츠 참여활동’ 15.5%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문화 예술’과 관련된 여가활동은 3.7% 밖에 미 치지 못하고 있으며, 관광도 3.1%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74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의 경우 여가를 보내기 위해 ‘취미오락 활동 (30.0%)’과 ‘사회 및 기타활동(30.0%)’을 가장 많이 하고 있었고, 다음 으로 ‘스포츠 참여활동(17.2%)’과 ‘휴식활동(16.9%)’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 고령층은 34.0%가 ‘사회 및 기타’와 관련된 여가활동을 하고 있 었으며, 다음으로 ‘취미오락 활동’ 24.9%, ‘휴식활동’ 19.0%, ‘스포츠 참여’ 14.0%였다. ‘사회 및 기타활동’과 ‘문화예술’관련 활동은 남성보 다 여성에게서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남성은 여성보다 ‘스포츠’ 관 련 활동과 ‘관광’, ‘취미오락 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 관람활동’은 50~54세가 가장 많은 1.4%로 나타났고, 75~79세는 0.4%만이 ‘문화예술 관람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75~79세는 ‘문화예술 참여활동’에서 가장 많은 3.4%의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65~69세가 가장 낮은 2.0%, 50~54세는 2.9%의 비율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포츠 관람활동’은 50~54세의 경우에도 0.4%만 참여하는 등 전 연령대에서 0.5%에도 못 미치는 저조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스포츠 참여 활동’

은 고령층의 여가활동에서 중간정도의 순위를 보이고 있는데, 50~54세 는 18.3%, 75~79세는 10.2%로 연령이 높을수록 참여율이 감소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관광’은 모든 연령대에서 2~3%대의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관광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연령대인 60~64세도 3.8%에 그치고 있다. 여가로써 ‘취미오락 활동’을 가장 많 이 영위하고 있는 연령대는 50~54세로 32.7%의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70~74세와 75~79세는 각각 20.8%, 21.1%로 참여율이 가장 높 은 연령대와 약 10%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휴식활동’은 연령대 가 높고 체력적으로 약해진 75~79세가 가장 많은 26.3%로 나타났고, 50~54세는 12.9%만이 여가로써 ‘휴식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사회 및 기타활동’도 ‘휴식활동’ 과 비슷한 면모를 보인다.

75

76

77

문서에서 고령친화 여가산업 활성화 방안 (페이지 8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