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 직업교육훈련

직업교육훈련(v ocational edu cation and tr ainin g )이라는 용어의 정의는 일 반적으로 사회과학의 학술용어처럼 학자마다 혹은 이를 관장하는 기관의 입 장에 따라서 약간씩 다르게 표현되고 있으며, 시대 상황에 따라서도 각각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21). 나라에 따라서도 직업교육, 기술교육, 직업기술교

20)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 관심(호의・사랑・연민), 수단적 도움(재화・용역), 주위 환경에 대한 정보, 자기자신에 대한 긍정적 평가 등의 내용을 내포하는 행위로 파악할 수 있다(J . S . House, 1981; 박종철 외, 1996).

21) 우리 나라의 경우 1960년대의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의 시작과 함께 1970년대 까지는 실업교육 또는 산업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산업인력, 특히 중화학 공업에 필요한 기능인력 양성에 주력하였다. 1980년대부터는 학교교육체제를 통한 직업 교육의 개념이, 특히 경제발전에 필요한 공업인력의 양성이라는 의미로 널리 통 용되었다. 1996년 교육개혁위원회에서는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학생 중심의 직업 교육과 근로자 중심의 직업훈련을 통합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직업교육 혹은 직 업교육훈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결국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실업교육・산업 교육에서 직업기술교육으로, 다시 직업교육・직업교육훈련으로 용어의 변천이 이루어져 왔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우리 나라에서 사용되는 직업교육 용

육 등으로 칭하고 있다( 立群, 1995). 또한 자본주의국가22)와 사회주의국가 사이에서도 그 개념과 이념이 약간씩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

우선 직업의 개념을 보면, 직업이라는 말은 직 과 업 의 합성어로 직 은 다시 두 가지의 뜻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관을 중심으로 행하는 직무라는 관직적 뜻이 있고, 다른 하나는 직분을 맞아 행한다는 개인의 사 회적 역할의 뜻이 있다. 업 이라는 말은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전념하는 일이라는 뜻과 자기능력의 발휘를 위하여 어느 한가지 일에 전념한다는 뜻 이 있다(이무근, 1999). 따라서 직업의 어원적인 개념에서 볼 때, 직업은 사 회적 책무성・직무성 및 노동행위의 성격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사회에서는 직업의 분화와 통합이 급변하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 대처하여 개인의 생존과 발전 및 국가와 사회의 경쟁력확보를 위해서 각 개인은 역할을 분담하게 되는데, 이런 사회적 역할의 분담을 직 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곳이다.

다음으로 직업교육(v ocational edu cation )의 개념을 보면, 직업교육이란 개 인이 일의 세계를 탐색하고, 자기의 적성・흥미・능력・신체적 특성・가치 관 등에 알맞는 일을 선택하여, 그 일에 필요한 지식・기능・태도・이해・

판단력・일에 대한 습관 등을 개발하거나 또 이미 현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 로자가 자신의 일을 개선・유지할 수 있도록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그리고 일의 현장을 통해서 능력을 개발하는 전체교육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이무 근, 1977). 이 정의에서 보면 개인이란 직업교육이 국가와 산업사회가 필요 로 하는 인력을 양성한다는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개인의 적 성・흥미・능력에 맞는 일의 세계를 탐색・선정・유지・개선토록 하여 개인 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추구함에 있으며, 그것이 바로 국가 인력개발계획과

어의 다양성은 정우현 외(1993)의 직업기술교육론 , pp.14- 17을 참조 할 것.

22) 일본의 경우는 지금까지 많이 사용되던 실업교육 내지 산업교육의 사용빈도가 점차 줄어들고, 대신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직업교육이라는 용어가 크게 부 각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technical education , industrial art education , occupational education 등의 개념은 좁은 의미로 사용되고, 넓은 의미로는 v ocational education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정우현 외, 1993).

일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이란 직업교육 이 단순히 생계유지의 수단으로 직업준비를 하는 직업교육뿐만 아니라 일의 대가에 경제적 보가 따르지 않더라도 인간의 기본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부 름받은 일(calling )까지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이무근, 1999).

또한 직업훈련(v ocation al trainin g )의 개념은 직업교육과 동일한 뜻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교육과 훈련을 구분하여 쓰기도 한다. 즉 직업훈련 은 근로자에게 직업에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습득・향상하게 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훈련을 의미하는 것(직업훈련기본법, 제2조)23 )으로 직업훈련은 사 회적 유용성을 강조하여 직업교육과 구분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직업훈련 은 개인의 직업에 맞도록 양성되는 측면이 있고, 직업교육은 개인의 복지에 관심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이런 차원에서 데일(E dg ar Dale)은 교육과 훈련 에서 강조하는 차이점을 < 표Ⅱ- 2> 에서 설명하고 있다.

< 표 Ⅱ- 2> 교육과 훈련의 강조점 차이 훈련의 강조점 교육의 강조점

모방적인 반응 →창의적이고 상상적이며 반성적인 반응 단기적이고 제한된 목표 →장기적이고 유통성 있는 넓은 목표 방법의 고정→다양한 수단과 융통성

기억・반복 → 사고력이 필요한 학습과 적용

시험이 따르지 않는 무조건적인 준거→사고를 필요로 하는 준거 아이디어와 감정이 제한된 참여→ 아이디어와 감정의 무한한 참여 규정에 의한 학습 →사고에 의한 학습

종속적인 학습자 → 어떻게 학습하여야 하는가를 알고 있는 독립적인 학습자 자료 : Edgar Dale(1969), 이무근(1999) p.25에서 재인용.

23) 직업훈련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개념으로 양성훈련, 향상훈련, 전직훈련, 집 체훈련, 현장훈련, 통신훈련 등이 있다(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 시행령 제2조). 구 체적인 내용은 동 시행령을 참조할 것.

이와 같이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개념은 약간씩 그 내용을 달리하고 있 지만, 최근 들어 이를 혼합하여 직업교육훈련이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위의 두 개념을 합하여 자본주의국가에서 통용되는 일반적인 직업교육훈련의 개념은 넓은 의미에서 교육의 직업적 측면, 즉 개 인이 자신의 적성・흥미・능력에 맞는 일을 선택하고, 그 일에 필요한 지 식・기능・태도・이해 및 판단력과 일에 대한 습관 등을 개발하는 총체적 교육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사・의사・변호사・컴퓨터 프로그래 머・농업・제조업 근로자 등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이 모두 직업교육 혹 은 직업교육훈련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좁은 의미에서는 전문대 학 이하의 학력을 요구하는 특정 직업에 종사하는 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습득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업교육・기능기술교육・직업교육・직업훈 련 등을 지칭한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이상은 주로 자본주의국가에서 통용되는 개념이고, 사회주의24)국가에서는 그 용어와 의미를 조금씩 달리하고 있다. 그간 사회주의를 추종한 구소련・

중국・북한 등은 직업교육이라는 용어보다는 기술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 여 왔다. 중국의 경우 등소평이 1978년 이후 개혁개방정책을 추진하면서 교 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육은 국민경제 발전의 요구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卓晴君, 1995). 이는 교육과 생산 및 노동의 결합이 이루 어지는 마르크스의 전면교육(馬克思恩格斯選集 제1권, 1979) 교육관을 강조 한 것이다. 동시에 교육에서 기술교육을 강조하여 경제성장의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그 명칭은 정신노동력을 위주로 배양하는 기술원

24) 사회주의(s ocialis m )라는 용어는 1827년 처음 사용되면서 자본주의 발생과 더불 어 배태되었다. 이후 사회주의는 다양한 의미로 변화되었는데, 예컨대 공상적 사 회주의, 마르크스주의의 사회주의, 리카도의 사회주의, 독일민주사회주의, 영국민 주사회주의, 기독교사회주의, 길드(guild)사회주의 등으로 다양하게 불려지고 있 다. 이런 여러 형태의 사회주의는 평등주의, 소유권의 공유화, 임금제도의 일반 화, 중류계급의 분쇄, 가족의 파열, 모든 면에서의 국가주의지향 등의 의미를 함 축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주의는 생산수단에 대한 지배권과 생산 자체에 대한 지배권이 철저하게 중앙당국에 부여되어 있는 제도적 사회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학교는 기술교육이라 칭하고, 육체노동력을 위주로 배양하는 기술공학교는 직업교육이라 칭하였다. 그러나 중국은 장기간 통상 직업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1982년 2월 4일 통과된 헌법 19조에도 직업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1985년 5월 27일에 공포된 中共中央關於 敎育體育 改革的決定 에서는 직업기술교육으로 개칭하였고, 현재는 직업기술교육으로 통일하여 부르고 있다(顧明遠, 1988; 강일규, 1998). 그 의미는 광의의 개념 을 취하여 종적으로 고등・중등・초등의 3단계와 횡적으로 취업준비・재직 능력제고・직업전환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의미는 중국 사회의 다양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고 있다( 立群, 1995).

구소련에서도 직업기술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학생들에게 오직 노동을 통해서만이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고 강조하여 공산주의 유토피아 건설의 역군이 될 것을 강요하였다(Joseph 저, 김동규 역, 1983). 즉 구소련 의 직업기술교육은 학교교육에서 노동훈련25 )과 직업지도를 통해서 이루어 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직업기술교육의 의미는 마르크스・엥겔 스의 공산주의 노동사상을 바탕으로 기술을 익혀 사회주의건설의 일군으로 양성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파악할 수 있다.

북한도 다른 사회주의국가와 마찬가지로 소련과 중국의 영향을 받아 기술

북한도 다른 사회주의국가와 마찬가지로 소련과 중국의 영향을 받아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