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통사 복잡성 관련 문법항목 사용 양상 분석

2.1. 대등절 관련 문법항목

우선 대등절 관련 문법항목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도록 한다. 재미동포 학습자 작문에서는 ‘-고1, -며1, -지만’ 등 단 3개의 문법항목만이 사용되었다. 이 중 모 어 화자 집단에서조차 100문장 당 사용 빈도가 1.00회에 미치지 못한 ‘-며1’를 제외하고 ‘-고1’와 ‘-지만’의 총 사용 빈도, 표준화 빈도, 숙달도 간 사용 증가율 을 <표 29>에 정리하였고 이 중 표준화 빈도 정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 도록 <그림 21>에 제시하였다. 대등절 관련 문법항목 중 ‘-고1’에 의한 확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재미동포 3급 93%, 4급 94%, 5급 93%, 6급 83%로 절대적으로 높은데, 모어 화자의 ‘-고1’에 의한 대등접속 비율이 73%임을 고려하면 숙달도 와 관계없이 모든 숙달도의 재미동포 학습자에게 역접 의미의 문법항목 활용에 대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문법항목 구분 HS 3급 HS 4급 HS 5급 HS 6급 NS

순접 -고1

총 사용 빈도(회) 170 200 211 123 180 표준화 빈도(회) 8.04 10.88 21.40 15.22 22.47 사용 증가율(배) N/A 1.35 1.97 0.71 1.48

역접 -지만

총 사용 빈도(회) 13 12 15 24 58

표준화 빈도(회) 0.61 0.65 1.52 2.97 7.24 사용 증가율(배) N/A 1.06 2.33 1.95 2.44

<표 29> 문법항목별 사용 양상 – 대등절

0 5 10 15 20 25 30 35

HS 3급 HS 4급 HS 5급 HS 6급 NS

8.00

0.60 10.90

0.70 21.40

1.20

15.20 3.00

22.50 7.20

-고1 -지만

<그림 21> 집단별 문법항목 사용 빈도 - 대등절

‘-고1’의 100문장 당 빈도는 HS 3급 8.0회, 4급 10.9회, 5급 21.4회로 꾸준히 증 가하다가 6급에서는 15.2회로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1’의 사용 이 대등접속에서 차지하는 절대적인 비중을 고려하면, 6급에서의 ‘-고1’의 사용 감소 원인은 Ⅳ장 1절에서 분석한 바대로 6급에서는 추가적인 내포절 증가(HS 5급 0.91개 → 6급 1.09개)에 집중하면서 대등접속에 의한 확장은 감소시켰기 때 문(HS 5급 0.26개 → 6급 0.18개)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앞에서 [지표2] 문장 당 절 수를 통해 살펴보았듯이 문장 확장을 훨씬 많이 일으키는 NS의 100문장

당 ‘-고1’ 빈도는 22.5회로 HS 6급의 1.48배로 나타나 6급 학습자에게도 추가적 인 대등접속의 여지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1’ 사용에서 오류는 해당 문법항 목을 사용한 총 239명의 재미동포 학습자 중 단 2명에게서만 발견되었을 정도 로, 사용의 정확도는 충분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만’의 사용은 전 숙달 단계에 걸쳐 꾸준히 증가하지만 100문장 당 사용 빈도가 HS 6급에서조차 3.0회에 불과하였고, NS는 이보다 2.44배 높은 100문장 당 7.2회의 사용을 보였다. ‘-지만’과 관련한 오류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작문자료를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재미동포 학습자들은 대등접속 관련 문법 항목의 사용에 있어 숙달도에 따라 양적 차이뿐 아니라 질적 차이를 드러냈다.

(11) 가. 텐트가 너무 추웠고 조그맸습니다. (3급/010426)

나. 민희 언니는 나와 세 살 차이가 나고, 사학년 더 많다. (4급/040703) 다. 친구들하고 영화를 보고 농구도 하고 매일 행복하게 같이 놉니다. (5급

/060816)

라. 한국학교에서는 많은 도움도 받고 재미가 있어서 매주마다 갑니다. (6급 /021111)

마. 나는 기쁘고 평화로운 삶을 살고 싶다. (6급/041107)

(11가)에서 보이듯이, HS 3급에서는 대체로 주술관계가 한 번씩 나타나는 유사 한 구조의 단문 2개를 대등하게 잇되 선행절의 주어를 후행절이 공유하면서 후 행절의 주어는 생략하는 구조가 가장 흔하게 발견되었다. 그러나 숙달도가 높아 짐에 따라 (11나)처럼 문장 구조가 서로 다른 문장들을 연결하거나, (11다)처럼 3개 이상의 절을 연결하였고, (11라,마)와 같이 HS 5급 이상에서는 내포절 안에 서의 추가적인 대등접속을 만들어 내는 경우도 쉽게 관찰되었다.

‘-고1, -지만’ 이외에도 모어 화자에게서는 ‘-며1, -면서1, -자’ 등 순접 연결어 미와 ‘-나, -다마는’ 등의 역접 연결어미가 소수 발견되었다. 그러나 논설문, 설 명문과 같은 장르가 애초에 제외된 분석 자료의 특성상, 비교적 높은 사용이 일 어날 것으로 예상했던 ‘-나’와 같은 연결어미의 사용은 극히 제한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