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식품 가치사슬에 대한 전쟁의 영향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2권 제5호 (페이지 123-128)

2) 밀

4. 농식품 가치사슬에 대한 전쟁의 영향

이 장에서는 전쟁이 투입재 공급자와 생산물 구매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한다. 농식품 가치 사슬을 통해 전쟁이 기업농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 봄으로써 생산자가 직면한 일련의 문제들을 보다 포괄적으로 해결하고 그들의 회복 력과 복원력을 지원하는데 더 효과적인 정책 개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1. 투입재 공급 중단: 후방산업 영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쟁이 발생하기 전과 전쟁 이후 투입재 공급자 수가 크게 감 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전쟁의 영향을 적게 받은 사료 및 의료서비 스를 제외하고 모든 투입재 시장에서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이는 지리적으로 축산 물생산자가 최전방에서 떨어진 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림 24> 투입재 시장(특정 투입재 공급자로부터 구매하는 생산자 비율)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전체 응답자의 11%가 투입재 공급업체의 운영 중단 또는 필요한 수량의 공급이 어 려움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고, 이로 인해 생산자의 투입재에 대한 가용성이 제한되었 다. 국가 수준에서 종자 공급자가 전쟁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응 답자의 최대 14%가 종자 공급자의 운영 중단 또는 운송 중지로 인해 영향을 받았으며 다 음으로 사료(9%), 비료(5%)가 뒤를 이었다. 투입재 공급자의 운영 중단은 최전방 지역에 서 더 흔하게 발생하였으나 투입재의 운송 제약은 서부 및 중부 지역의 생산자에게도 영 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전방 지역의 사료 및 의료서비스 공급자가 많은 영향을 받 은 것은 지역 내 축산업 생산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지역 내 가치 사슬 연계가 약해져 혼 란에 더 취약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림 25> 투입재 공급자의 운영 중단 또는 운송 중지로 인해 영향을 받는 생산자의 비율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평균적으로 27%의 기업농이 투입재의 높은 가격 문제로 인해 투입재 공급자로부터 구매를 중단하였다. 이는 투입재 공급자가 생산자의 투입재 접근성에 제약이 있음을 반영하여 가격을 과도하게 높게 책정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높은 가격 문제로 인해 생산자가 구매를 중단하는 문제는 비료와 사료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기업농과 투입재(비료, 농약 및 종자) 공급자 간 연계가 끊어지는 모습은 특히 최전방 지역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체르니우치주, 도네츠카주 및 숨스카주의 농작물생산자들 은 비료 공급업체와의 연계가 40% 이상 중단되었고 특히 도네츠카주와 숨스카주의 농작물생산자들은 전쟁 이전과 비교했을 때 종자 및 농약 공급업체와의 연계가 각각 40%, 55% 이상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림 26> 높은 가격으로 인해 구입을 중단한 생산자의 비율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그림 27> 지역별 투입재 공급자와의 시장 연계 붕괴 정도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4.2. 산출물 시장의 중단 : 전방산업 영향

전쟁 이전, 조사 표본에 포함된 생산자의 대부분은 자신의 농축산물을 도매업자에 게 판매하였다. 최종소비자에게 소량으로 판매하는 소매업자는 2순위였으며, 현물 시 장과 가공업자가 그 뒤를 이었다.

전쟁 이후, 판매 패턴은 동일하게 유지되었으나 농축산업 생산자가 도소매업자에 게 판매하는 비율은 다소 감소하였고 반대로 가공업자 및 현물 시장에 판매하는 비율 은 여전히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림 28> 특정 시장에 판매하는 생산자 비율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평균적으로 전체 응답자 중 9%는 농축산물 구매자가 경영을 중단하거나 매입량 감 소가 발생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다양한 구매자 유형 중 다른 농장, 소 매업자 및 협동조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가공업자와 도매업자의 경우 상대적으 로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장, 소매업자 및 협동조합은 대규모 구매처와 비 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자원과 교섭력으로 인해 혼란에 더 취약할 가능성이 크다. 슈 퍼마켓의 경우 최전방 지역에서 경영 중단 및 매입량 감소 문제가 가장 많이 나타났 고 전쟁의 영향이 적은 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최전방 지역의 슈퍼마켓은 심각한 물리적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크다.

<그림 29> 구매자의 운영 중단 또는 물량 감소로 인해 영향을 받는 생산자의 비율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전체 생산자의 18%가 낮은 판매가격으로 인해 공 급을 중단하였다. 이러한 비율은 최전방 지역에서 23%로 가장 많았고 서부 지역에서

9%로 가장 낮았다. 다양한 구매처 유형 중 도소매업자와의 거래 관계가 다른 농장이

나 가공업자와 비교해 가격으로 인해 중단되는 문제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였다. 이는 농장의 경우 거래를 중단하였을 때 제3의 농장과의 신뢰 관계를 확립하는 과정이 필 요하고 가공업의 경우 원료 가격보다는 특정한 가공처리기술에 의존하는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하였을 수 있다. 낮은 판매가격으로 인한 생산자와 구매자와의 연계 중단 은 최전방 지역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서부 지역에서 가장 낮았다. 최전방 지역 에서는 슈퍼마켓과의 연계가 가격 문제로 인해 중단되는 사례는 없었으며, 대부분 매 입물량 감소 또는 경영 중단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그림 30> 낮은 판매가격으로 인해 구매자에게 공급을 중단하는 생산자의 비율

자료: FAO(2023) “Ukraine_Impact_of_the_war_on_agricultural_enterprises”

문서에서 해외곡물시장 동향 제12권 제5호 (페이지 123-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