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7장 BJT 전력증폭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7장 BJT 전력증폭기"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7.1 A급 증폭기

- 좁은 범위의 입력 신호의 변화로 교류부하선의 일부에서만 동작하는 증폭기

⇒ 소신호 증폭기(small signal amplifier)

- 출력신호가 교류부하선의 차단 및 포화 영역 사이에서 크게 스윙하는 증폭기

⇒ 대신호 증폭기(large signal amplifier)

- 그림 7.1과 같이 대신호나 소신호의 입력 신호가 항상 선형영역에서 동작

⇒ A급 증폭기(A class amplifier)

- A급 전력증폭기는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대신호 증폭기

⇒ 열 방출 문제가 발생, 케이스를 통해 주변의 공기로 열 방출

0   0

그림 7.1 기본 A급 증폭기의 동작 (반전)

- 그림 9.2(a)와 같이 직류(DC)부하선과 교류(AC)부하선은 동작점 에서 교차

(a)





0







교류부하선

(b)









0 

교류부하선

 직류부하선





그림 7.2 교류부하선 상의 중앙에 위치한 Q점과 최대 A급 신호출력

(2)

- 그림 7.2(b)와 같이 점이 교류부하선의 중앙에 있을 때 최대 A급 신호 발생

⇒ 를 중심으로 포화 전류값  과 차단 전류값 0까지 변화

⇒ 를 중심으로 차단값  에서 포화값 0까지 변화

⇒ 의 최대 진폭은, 의 최대 진폭은에 의해 결정 - 그림 7.3(a)는 점이 교류부하선의 중앙에서 이탈하여 차단점 근처에 위치

⇒ 출력신호의 변화는 차단영역에 의해서 제한

- 그림 7.3(b)와 같이 입력신호가 더 커지면 출력신호가 차단에 의해서 절단

(a) 차단에 의해 제한된 



0





(b) 입력의 증가로 차단에 의한 절단 차단에

의한 절단

0





 

차단에 의한 절단

그림 7.3 차단영역 부근의 Q점

- 그림 7.4(a)는 점이 교류부하선의 중앙에서 이탈하여 포화점 근처에 위치

⇒ 출력신호의 변화는 포화영역에 의해서 제한

- 그림 7.4(b)와 같이 입력신호가 더 커지면 출력신호가 포화에 의해서 절단

(a) 포화에 의해 제한된  (b) 입력의 증가로 포화에 의한 절단 0











0





절단

절단

그림 7.4 포화영역 부근의 Q점

(3)

◉ 전력이득(Power Gain)

- 전력이득 는 입력전력에 대한 부하에서의 출력전력의 비로 식 (7.1)로 정의

⇒ 은 증폭기의 입력전력이고, 은 부하에 전달된 출력전력

⇒ 전압이득의 관계식을 적용하면 전력이득은 식 (7.2)로 표시

 





 

(7.1)

 

,  





,  

 



 







,  





(7.2)

- 전압분배 바이어스된 공통 이미터(CE)와 공통 컬렉터(CC) 증폭기 회로의 경우

⇒ 베이스에서 본 입력저항  과 총 입력저항 

 ≃,    

- 공통 컬렉터(CC) 증폭기의 입력저항 5kΩ, 부하저항 100Ω인 경우

⇒ 공통 컬렉터 증폭기의 전압이득은 ≃1





 ×

 ×

 

◉ 직류 무신호 전력(DC Quiescent Power)

- 입력신호가 없을 때의 트랜지스터의 소비전력은 점에서의 전압과 전류의 곱

⇒ 트랜지스터를 A급 증폭기로 사용할 때의 최대 전력

 (7.3)

(4)

◉ 출력전력(Output Power)

- 출력전력은 부하전류의 실효값과 부하전압의 실효값을 곱한 값으로 표시

⇒ 점이 교류부하선 상의 중앙에 있을 때 최대 교류신호 발생

⇒ CE 증폭기에서 최대 첨두전압 폭 max, 첨두전류 폭 max

⇒ 출력전압의 실효값 , 출력전류의 실효값 

max , max 



  

max

 



,  

max

 



 max 







 max 

 (7.4)

◉ 효율(Efficiency)

- 직류 입력전력은 직류 전원전압과 전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곱으로 표시

⇒ 점 중앙에 위치, 전원전류 , 전원전압  

 

- 증폭기의 효율은 직류 입력전력 에 대한 교류 출력전력 의 비로 정의

⇒ 공통 이미터 A급 전력 증폭기의 최대 효율

  



: 전력 효율

max 

 max

 





 

    

- A급 전력 증폭기의 최대 효율은 25%이므로 소신호 전력 응용에 제한적 사용

(5)

7.2 B급 및 AB급 푸시풀 증폭기

◉ B급 동작

- 입력의 양의 반주기 동안 선형 동작, 음의 반주기 동안 차단되도록 바이어스

⇒ B급 증폭기(B class amplifier)

- 그림 7.6은 입력의 변화에 따른 출력 파형의 관계를 나타내는 B급 동작을 표시

0 

0 

그림 7.6 기본적인 B급 증폭기의 동작 (비반전)

- 그림 7.7은 공통 컬렉터 증폭기(이미터 폴로어) 회로로 B급 증폭기를 구성

⇒ 동작점 가 직류부하선의 차단점에 위치하도록 바이어스

⇒ 증폭기는 차단영역 이상의 선형영역에서만 동작

⇒ 출력은 입력의 완전한 재현이 불가



+



트랜지스터 도통

트랜지스터 차단 0

+0.7

0

그림 7.7 공통 컬렉터 B급 증폭기

(6)

◉ B급 푸시풀 동작

- 그림 7.7의 회로에 음의 반주기 동안 동작하는 B급 증폭기를 추가한 회로

⇒ 변압기 결합형 회로, npn-pnp 쌍을 사용한 상보 대칭형 회로

⇒ B급 푸시풀 증폭기(B class push-pull amplifier)

- 그림 7.8은 입력과 출력 측에 변압기를 사용한 변압기 결합형 푸시풀 회로

⇒ 입력의 양의 반주기에 의 BE는 순방향, 의 BE는 역방향

⇒ 입력의 음의 반주기에 은 BE는 역방향, 는 BE는 순방향

⇒ 은 양의 반주기 동안만 ON, 는 음의 반주기 동안만 ON

npn

 



입력 변압기 출력 변압기

npn

그림 7.8 변압기 결합에 의해 구성된 B급 푸시풀 회로

- 그림 7.9는 2개의 이미터 폴로어를 사용한 상보형 B급 푸시풀 증폭기 회로

⇒ npn형과 pnp형 트랜지스터가 입력 주기에 따라 번갈아 동작

⇒  0이므로 트랜지스터는 신호 전압에 의해서만 동작

⇒ 은 양의 반주기 동안 ON, 음의 반주기 동안 OFF

⇒ 는 음의 반주기 동안 ON, 양의 반주기 동안 OFF

+

-

ON

OFF



0



  0

(a) 양()의 반주기 (b) 음()의 반주기



+

-

OFF

ON



0



0

그림 7.9 상보형 B급 푸시풀 동작

(7)

- 그림 7.10에서와 같이  0일 경우, 이어야 트랜지스터가 도통

⇒ 입력 신호의 교번 기간 동안 트랜지스터가 동작하지 않고 차단

⇒ -≤≤일 때 출력 파형의 교차 왜곡이 발생





-

 ON

 OFF 0

 OFF

 ON

 OFF (교차 왜곡)



그림 7.10 B급 푸시풀 증폭기에서의 교차 왜곡

◉ AB급 푸시풀 동작

-  0일 때 트랜지스터가 로 바이어스되어0일 때 도통 상태

⇒ B급 푸시풀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교차 왜곡 현상을 제거

⇒ AB급 푸시풀 증폭기(AB class push-pull amplifier)

- 그림 7.11은 전압분배 바이어스와 다이오드로 구성된 AB급 푸시풀 증폭기

⇒ 이고, 의 B-E 접합부 특성과 일치

⇒   ,   이므로 : 전류 미러 효과

+





-

npn

pnp





A

그림 7.11 교차 왜곡을 제거하도록 바이어스된 푸시풀 증폭기

(8)

- 다이오드 전류 이나에 옴의 법칙을 적용하여 계산 가능

  

 

,    

 

- 그림 7.11에서 ≠이거나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의 열평형 상태가 상이

⇒ 온도 불안정에 따른 전위차가 발생하므로 열평형 상태 유지 필요 - 그림 7.12의 변압기 결합형 증폭기에서 입력측 변압기의 2차측에 0.7V를 인가

⇒ 변압기 결합형 B급 푸시풀 증폭기에서의 교차 왜곡 제거 가능





npn

npn +

0.7V

그림 7.12 변압기 결합형 푸시풀 증폭기에서의 교차 왜곡 제거

- 그림 7.13은 그림 7.11의 AB급 푸시풀 증폭기에서 에 대한 부하선을 표시

⇒ 교류 차단 전압은 에 의해 결정

⇒ 교류 포화 전류  는 식 (7.5)에 의해 결정

  



≃ 



(7.5)



  교류부하선 직류부하선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7.13 상보 대칭형 푸시풀 증폭기의 부하선

(9)

- 그림 7.14(a)의 AB급 증폭기의 에 대한 교류부하선을 그림 7.14(b)에 표시

⇒ 교류부하선의 상측 끝에서 는 최소, 출력전류 는 최대

+

 



-

A

입력신호의 양의 반주기 동안 ON

(a) AB급 증폭기 회로



 교류부하선





(b) 에 대한 교류부하선 그림 7.14 AB급 증폭기 회로에서 Q1에 대한 교류부하선

【예제 7.3】그림 7.15에서 출력전압과 전류에 대한 이상적인 최대 첨두값을 결정하라.

430Ω



430Ω +20V

 

-20V

16Ω

그림 7.15 예제 7.3의 회로

 ≃  V

    

 

≃ 



 

   A

(10)

◉ 단일 공급전원 푸시풀 증폭기

- 그림 7.16과 같이 상보 대칭형 푸시풀 증폭기는 단일 전압원으로 구동 가능

⇒ 최대 이미터 출력전압은 



이므로    



+







그림 7.16 단일 전원 푸시풀 증폭기

【예제 7.4】그림 7.17에서 출력전압과 전류에 대한 이상적인 최대 첨두값을 결정하라.

470Ω +20V

22F

22F

470Ω



470F

 

50Ω



그림 7.17 예제 7.4의 회로

 ≃ 



  V

    

 

 



 

   mA

(11)

◉ B/AB급 전력

•최대 출력전력

- 출력전압의 최대 첨두값은 이고, 출력전류의 최대 첨두값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

•직류 입력전력

- 직류 입력전력은 직류 전원전압과 전원으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곱으로 표시

⇒ 각 트랜지스터는 반주기동안 전류를 흘리며 평균값은 

,  

 

 

 

•효율(Efficiency)

- A급 증폭기에 비해서 B급 및 AB급 증폭기가 효율이 높다는 것이 장점

⇒ 증폭기의 효율은 직류 입력전력에 대한 교류 출력전력의 비

  

 ,  

 

max 



 



 



 

 

max    (7.7)

(12)

◉ 입력저항

- B급/AB급에서 상보적인 구조를 갖는 증폭기는 효과적인 2개의 이미터 폴로어

⇒ 입력저항은 6장의 이미터 폴로어의 입력저항과 동일

 ′  ′  (7.8)

【예제 7.5】그림 7.18에서 증폭기의 최대 교류 출력전력과 최대 직류 입력전력을 구하라.

+20V

1000F



8Ω



470Ω



22F

22F

470Ω

그림 7.18 예제 7.5의 회로

 ≃  



 

   V : 출력전압의 첨두값

 ≃  



 

   A : 출력전류의 첨두값

  

  

× ×   W : 최대 교류 출력전력

 

  

× ×   W : 최대 직류 입력전력

max 



 

     : 최대 전력효율

(13)

7.3 C급 증폭기

- 트랜지스터가 입력신호의 짧은 기간 동안만 도통, 대부분 차단영역에서 동작

⇒ A급/B급/AB급 증폭기보다 효율이 훨씬 좋고 큰 출력전압 발생

⇒ 출력 파형에 왜곡이 심하므로 고주파 동조 응용에 제한적 사용

⇒ C급 증폭기(C class amplifier)

- 그림 7.21(a)는 저항 부하를 갖는 공통 이미터 C급 증폭기의 기본 구조를 표시

⇒ 베이스 단에 -를 인가하여 차단점 이하로 바이어스 상태

- 그림 7.21(b)와 같이 트랜지스터가 첨두값 근처의 매우 짧은 기간 동안만 도통

⇒ 트랜지스터는 의 범위에서만 도통 상태

- 그림 7.21(c)와 같이 최대 컬렉터 전류는  , 최소 컬렉터 전압은   

(a) 기본적인 C급 증폭기 회로

0



 0

트랜지스터 ON



(b) 입력전압과 출력전류 파형

(c) 부하선 동작

 

+



-





 

  



그림 7.21 기본적인 C급 증폭기의 동작

(14)

◉ 전력손실

- 입력 주기의 짧은 기간 동안만 도통되므로 트랜지스터의 전력손실은 극소

⇒ 그림 7.22(a)는 컬렉터 전류의 펄스를 표시

0 

0



0

0







 



(a) 컬렉터 전류 펄스 (b) 이상적인 C급 파형 그림 7.22 C급 증폭기의 파형

- 그림 7.22(b)는 컬렉터 전류와 컬렉터 전압의 이상적인 펄스 파형을 표시

⇒ 트랜지스터 도통 기간 동안 전류는  , 전압은   

⇒ 트랜지스터 도통 기간의 전력손실과 평균 전력손실 계산

    

  



 



   

【예제 7.7】200kHz 신호에 의하여 C급 증폭기가 구동되고 있다. 트랜지스터는 1s동안 도통되고, 증폭기는 전체 부하선에 대하여 동작한다. 만일   100mA이

고    0.2V라면 평균 전력손실은 얼마인가?

 

   ×

   ×  s   s

  



     

× ×   mW

(15)

◉ 동조 동작

- 그림 7.23(a)는 병렬 공진회로(tank circuit)를 갖는 C급 증폭기 회로를 표시 - 그림 7.23(b)에서와 같이 각 입력주기 마다 컬렉터 전류의 짧은 펄스를 발생

⇒ 탱크회로의 진동을 유지시켜 정현파 출력전압 생성

(a) 기본회로 (b) 출력 파형

-

+

 









그림 7.23 동조된 C급 증폭기

◉ 최대 출력전력

- 탱크회로 양단의 첨두간 전압은 약 2이고 최대 출력전력은 식 (7.9)로 표시

⇒ 는 탱크회로의 코일저항과 부하저항의 등가 병렬 합성저항

  

 

 



,   



 



  

 



(7.9)

- 증폭기에 공급되는 총 전력 와 효율은 각각 아래 식과 식 (7.10)으로 표시

⇒  ≫ 이면, C급 증폭기의 효율은 거의 1(100%)에 근접

  

  



   



(7.10)

(16)

【예제 7.8】예제 7.7의 C급 증폭기에서   24V,  100Ω일 때, 효율을 결정하라.

     mW,   V,  Ω

  

 



  ×



 

   W

   



   

  

  

  

참조

관련 문서

김교사는 중학교 1 학년 학생들에게 몇 가지 다면체에 대하여 꼭지점의 수 면의 수 모서 , , 리의 수에 대하여 조사해보는 활동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발견한 이들 사이의 관계를

[r]

제1조(목적) 학사업무운영내규 제7장 산업체현장실습 및 인턴십, 보건행정학과 운영내규에 의거하여 보건행정학과 현장실습 교과목 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을

- 충분한 이윤이 보장되어 있는 독점기업의 경우에는 경영자나 노동자 어느 누구도 구태여 열심히 일해 야 할 필요를 느끼지 못할 것임... - 카르텔(cartel)의 모형은 기업들이

7.1 Comparison Operation Instruction 7.2 Arithmetic operation instruction 7.3 Data conversion instructions 7.4 Data transfer instructions 7.5 Data Table Operation Instruction

[r]

블렌디드러닝은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업을 말하며, 평가 활동을 제외한 교수·학습 활동에 대해 전체 수업시간을 기준으로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