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OECD 제73차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결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OECD 제73차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결과"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ECD 제73차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결과

◇ OECD는 11. 16(수) ~ 18(금)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를 개최하여, 성장 복지 실현을 위한 디지털프로젝트, 인공지능(AI), 차세대 생산 혁명(NPR) 등 디지털 경제의 주요 현안을 논의하였음.

◇ 특히, 금번 회의에서는 미래부 민원기 기획조정실장은 동 위원회 의장으로 선임되어 향후 5년간 활동할 예정임

1. 제73차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회의

o 기간/장소 : ‘16. 11. 16(수) ~ 18(금) / 프랑스 파리 오이시디 본부 o 주관기관 : OECD 과학기술산업국 (DSTI) 산하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o 참가자 : 미래부 민원기 실장 등 회원국 대표 70여명 및 TUAC, CSISAC, BIAC, ITAC 등 총 170여명 참석

2. 회의 주요 내용

가. 성장 및 복지 등 디지털 혜택 실현을 위한 통합프로젝트

□ (추진 배경) 디지털화는 효율성 증가, 서비스 개선, 지속가능 성장 등 긍정적인 혜택을 제공함과 동시에

o 기존 시스템의 파괴(disruption), 프라이버 및 보안, 소비 및 경쟁 정책, 노동자의 직업 및 기술(jobs and skills)등 여러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2)

o OECD는 디지털화가 성장·생산성·고용등 사회·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측정하고, 성장 및 복지 실현 등 디지털 혜택 극대화를 위한 정책 개발을 위해 대규모 수평적 프로젝트를 추진 할 예정

- 동 프로젝트는 4개 위원회(CDEP, CSTP, CCP, CIIE)가 이니셔티브를 위한 최초 제안서(2015 발표, 2016 논의)를 시작으로

- 과학기술(’15.10월)·고용(’16.1월)·디지털경제(’16.6월) 관련 장관 회의의 결과 문서와 NPR 관련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수립됨

□ (연구 분야) 디지털화로 인한 혜택 극대화와 역기능 최소화를 위한 정책 제공을 위하여 다양한 이슈가 논의될 예정

※ 주요 연구 주제 : △ 디지털화와 직업, △ 미래에 필요한 기술(Skills), △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접근, △ 프라이버시 및 보안 등 디지털기술에 대한 신뢰 확보,

△ 디지털환경에 부합하는 규제 개선, △ 디지털 기술과 생산성 향상,

△ 글로벌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디지털 기술의 활용, △ 공공분야의 디지털화,

△ 디지털 효과의 측정 및 평가

o 아울러, 금번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는 수평적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다른 위원회에 제출되는 첫 배경(input) 문서가 되는 ‘경제사회 전반의 디지털화 분석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논의 하였음

- 프레임워크 초안은 디지털화 기반 구축, 경제를 위한 디지털화 작업, 사회를 위한 디지털화 작업, 올바른 디지털화 정책 등의 큰 축으로 구성됨

□ (추진 체계) 2개년(17-18년)에 걸쳐 추진되는 동 프로젝트는 디지털 경제정책위원회(CDEP)이 주관하고 OECD 10개 부처, 14개 위원회가 참여하는 수평적 프로젝트로 진행될 예정임

(3)

o 참여 위원회: 경쟁위원회(CC), 소비자정책위원회(CCP), 산업혁신기업 가위원회(CIIE), 보험연금위원회(IPPC), 금융시장위원회(CMF), 회계업 무위원회(CFA), 과학기술정책위원회(CSTP), 통계정책위원회(CSSP), 경제정책위원회(EPC), 교육정책위원회(EDPC), 고용노동사회위원회 (ELSAC), 공공거버넌스위원회(PGC), 무역위원회(TC)

o CDEP의장이 Steering Committee의 의장을 겸임할 예정이며, 사무국 내 국장급 회의(Directors Group), 전문가 자문반, 디지털화 프렌즈 그룹 등을 중심으로 수행될 예정

※ 사무국내에서는 Frantz 사무부총장이 동 프로젝트의 leader 역할 수행

□ (추진 일정) MCM 및 캔쿤 디지털장관회의 동 프로젝트 도입 논의 (‘16. 6월) → NPR 컨펴런스(’16. 11월) → 참여 위원회별 연구활동 및 보고서 update(‘17년) → 보고서 초안(first draft report,‘18. 5∼6월)

→ 최종 정책보고서(‘19. 5∼6월)

□ (예 산) ‘17년: 3,334 KEUR, ‘18년: 3,343 KEUR

나. 인공지능(AI) 기술 전망 포럼

□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기술전망포럼에서는 인공지능 분야의 주요 발전 동향 및 어플리케이션, 사회적 파급력, AI 관련 공공정책 등을 주제로 11명의 패널 발표가 진행 됨

o 연사들은 공통적으로 보건, 교통 등의 산업 분야를 AI 유망 분야로 간주하고 있으며, AI가 일상생활, 고용환경 등 사회 전반을 변화 시킬 것이라 전망

o 윤리, 프라이버시, 종합적 시스템 구축, 사회분야로의 통합, AI 기술에 대한 인간의 감정적 저항성 등이 향후 도전과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4)

□ DSTI Anne Cablanc 과장은 인공지능 관련 분석 보고서를 내년 중 발간할 예정이며 이를 기반으로 국제 수준의 가이드라인 개발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CDEP 차원에서 이루어질 것을 알림

다 “차세대 생산혁명’보고서(2장: 생산의 디지털화) 논의

□ 동 보고서는 차세대생산혁명의 중심 분야인 ICT 영역에서 새로운 ICT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신규 비즈니스 모델과 생산 프로세스 도입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고 바람직한 정책수립하기 위해 작성됨

o ‘산업 4.0’, ‘산업 인터넷(Industrial Internet)’, ‘네트워크 제조업’등 으로 불리는 생산의 디지털 전환은 IoT·내장형 소프트웨어·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기계·재고·상품 간의 연결성이 증가된 결과물임

o 생산 분야 디지털 전환에 따른 창조적 파괴성으로 단기적 악영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전통적 사업의 디지털 전환 단계는 다음을 포함

- 물리적 자산의 디지털화, 비즈니스관련 프로세스의 데이터화, IoT를 통한 물리적 대상 상호 연결, SW와 AI를 통한 비즈니스 관련프로세스의 체계화 및 자동화, 서비스로서 데이터 거래, 산 업 내/간 데이터의 사용 및 연결

o 보고서에 명시된 디지털화의 과제는 데이터 및 주요 ICT 인프라 접근성, 상호운용성 및 표준, 법적 책임, 기술잠재력 병목현상, R&D 투자촉진, 투명성 및 소유권(지적재산권 포함), 디지털 보안 위험, 프라이버시, 경쟁 등임

o 디지털 영역이 포함된 “차세대 생산혁명” 최종보고서는 ‘17년 3월

∼ 4월경에 최종 발표될 예정

(5)

라.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 의장 선임

□ 금번 73차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CDEP) 정례회의는 CDEP 의장 으로 미래부 민원기 기조실장을 선출

o OECD 정책 분야 상설위원회(substantive committee)의 의장 진출은 우리나라의 OECD 가입 이후 첫 사례로 향후 5년간 국가 위상 제고 및 국제사회의 기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

※ 작성자: 김경만 1등서기관(원소속: 미래창조과학부),

jileesan@korea.kr

참조

관련 문서

[r]

Significant potential for enhanced energy efficiency can be achieved through best available technologies. Progress in energy intensity.. Fuel savings and infrastructure benefits

OECD (2014),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OECD Factbook 2014: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o 2017-18년 추진될 ‘디지털화와 혁신정책’ 프로젝트는 사회적 기반의 디지털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을 탐색하고,

ㅇ OECD 사무국은 OECD 협약의 목적을 △수출신용과 무역관련 원 조에 대한 공정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 △참가국의 준수여부를 체 계적으로 모니터링

Source: OECD, System of National Accounts database; Datastream; Markit Economics Limited; OECD Economic Outlook 87 database; and OECD Indicator

자료:

국들의 소득단계별 성장률 및 성장추세를 비교해 본 결과, 현재 한국의 성장률은 결코 높다고 할 수 없으며 또한 현재의 성장세 지속 가능성도 담보하기 어려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