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현대중국의 이해』13차시 강의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현대중국의 이해』13차시 강의록"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현대중국의 이해』13차시 강의록

담당교수: 윤 휘 탁(교양학부)

대약진운동과 좌절

 1958.1부터 모택동은 대중적인 기술혁명, 지방공업의 육성, 대규모 수리건설 등 에 의한 공업과 농업의 대약진(大躍進)운동을 주창

 철강 증산운동과 수리 관개시설, 건설운동을 전개

 철강생산운동:

 1958년 이후 도시, 농촌, 직장에서 소형 토법로(土法爐 전통방식의 제철 용광로) 를 만들어 철강생산운동 전개

 ☞ 낙후된 제철기술 때문에 철강제품의 30%는 사용불가, 제철 때 연료용으로 나 무를 마구 잘라 산을 황폐화

 인민공사화(人民公社化) 운동:

 1958년 댐 건설 등 수리건설운동 전개, 노동력 자금 자재를 집중적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합작사운동을 추진

 1958.8 인민공사가 토지와 농기구를 공유해서 통일적 집중적으로 사용하고 사원 은 공공식당에서 식사할 수 있는 인민공사체제가 급속히 추진

 74만여 개 합작사가 합병되어 2만 6천여 개의 인민공사로 재편

 인민공사는 공업 상업 교육 문화 치안 군사 복지 등 공공사업 전반을 관리 운영 하는 행정조직이자 사원의 최말단 의회 기능을 행사

 대약진운동의 폐해:

 공산주의 환상의 만연: 농촌 간부들은 인민공사화 운동을 통해 모든 생산수단, 식 량, 집, 쇠붙이, 가축마저 공유로 하고 공공식당을 통해 음식을 제공받아 절대적 평등사회를 실현해나갈 수 있다는 환상을 지님

 공공식당처럼 공산주의 풍조가 불면서 식량 자재의 낭비현상이 심각

 대약진운동의 좌절: 근면한 농민들은 알지도 못하는 다른 마을 게으름뱅이나 자

(2)

2

식이 많은 사람과 생산량을 균등하게 나누는 데 반대해서 저항

 철강증산, 수리관개에 노동력이 투입, 생산활동 저해, 식량생산량 급감

 지방 간부들은 생산량이 낮으면 우파로 공격 받을까 두려워, 경쟁적으로 생산량 을 속여서 높게 보고. 국가가 지나치게 많은 식량을 강제로 매입

☞ 농촌에서 식량이 부족해 굶어죽는 농민들이 많아짐

 대약진운동에 의한 과로, 영양부족으로 간염과 부종을 앓는 병자 증가, 사망 ☞ 1958~1961 사망자 수는 1600~2700만 명으로 추산

 중공업 중시, 경공업 경시로 일용 소비품 부족이 심각

 중공업 우선정책과 공산주의 풍조, 위로부터의 명령주의와 조달주의, 공산당 간부 의 강압성

☞ 농민의 생산의욕 저하

 1959~1961 화북의 자연재해, 소련의 경제원조 중단 등으로 대약진운동은 큰 타 격을 받음

 반우파투쟁 이후 급진주의 노선을 제어하거나 다른 방향을 제기하는 것도 곤란해 서 정책의 수정이 어려워짐

 팽덕회(彭德懷)의 비판과 실각:

 1959.7 팽덕회는 모택동에게 편지를 보내 대약진운동의 폐단을 지적

- 경제의 불균형, 오만해진 간부들이 대중과 멀어지고 좌경적 오류를 범하고 있는 점, 인민공사의 급조성, 당위원회의 집단지도가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점, 당내 민주의 정체 성 등 문제 제기

 모택동은 이 서신을 우익기회주의의 반당(反黨) 강령으로 비판

 팽덕회는 국방부장에서 해임, 그의 지지자들도 해임

 중소관계의 악화: 미국과의 평화공존 중시하는 소련의 후르시쵸프와 대립

 1959.8 후르시쵸프는 중국의 대약진운동을 비판

 1960.4 중국공산당은 후르시쵸프의 소련 사회주의를 수정주의라고 비판

 소련은 중국원조를 중단, 1300여 명의 기술자 철수, 257개 사업계약 파기

 대약진정책의 조정:

 1960년 가을 중공은 중공업의 규모와 속도 줄이고 농업과 경공업의 생산 회복 시도, 비능률적인 공장의 폐쇄 합병 추진

(3)

3

 대약진운동 기간 도시의 공장으로 흡수된 노동자, 도시거주자의 귀농 장려

 농민으로부터의 과도한 식량 매입을 제한, 농민의 식량 수급 조정

 규정된 공출량 이외의 식량의 시장 판매, 가내부업, 부업생산물의 판매 인정

 1962.2 집단소유의 기본단위를 인민공사나 생산대대에서 자연촌락에 기초한 생산 대로 조정.

 토지소유권, 경작용 가축, 농구의 소유권을 생산대에 귀속

 1963년부터 농촌경제가 회복

문화대혁명

 문화대혁명: 1966년부터 모택동이 사망한 1976년까지 사회주의 건설을 둘러싸고 벌어진 모택동, 사인방(四人幇, 왕홍문, 장춘교, 강청, 요문원) ⇔ 유소기, 등소평 등과의 권력투쟁 및 그것들의 영향을 받아 폭력 파괴 혼란이 중국사회를 뒤흔들 고 국가 사회의 기능을 마비시켜 정치적 경제적 심리적 고통과 희생을 강요했던 비극적인 중국의 정치현상

 발생배경: 대약진운동의 평가, 현실인식, 대응책, 사회주의 건설방향 등을 둘러싸 고 모택동, 임표, 강생 ⇔ 유소기, 등소평, 진운 사이에 의견이 충돌

 유소기 등: 책임전(責任田)이나 자류지(自留地)의 생산성이 집단경작지보다 높은 현실에 기초, 자류지의 확대와 농가 청부(請負) 생산방식에 공감

 농산물 구매가격의 대폭인상, 보너스 지급 등의 물질적 자극을 통해 생산과 생활 의 향상을 도모하려고 했음

 모택동: 농업경영을 개인에게 돌리는 것(책임전, 농가청부생산제)은 사회주의와 농업집단화에 반대하는 논리로 간주하여 비판

 집단적 토지소유제에 기초한 집단적 경작 관리 분배의 사회주의 농업방식 고수, 농촌의 계급투쟁 중시

 대약진의 실패 원인이 소련의 원조 중단, 자연재해, 당의 관료주의적 체질에 있다 고 인식

 등소평 등이 대약진을 비판하다 실각한 팽덕회나 반우파투쟁 희생자의 명예를 회 복하려는 것에 대해, 모택동은 반대, 등소평 등을 수정주의자로 매도

 급진적 성향의 모택동은 중국사회 내부에 반당 반사회주의 세력이 잔존하고 있다

(4)

4

고 여겨, 강렬한 위기의식과 함께 계급투쟁을 통해 이들을 제거하고 확실히 권력 을 장악하려고 했음

 유소기, 등소평 등이 대약진운동의 폐해를 바로잡아 경제를 회복시키자, 그들의 위상은 높아지고 모택동의 위신과 권위는 저하, 모택동은 고립감 느낌

 모택동은 문화대혁명을 통해 ① 중앙 지방 각 기관, 학교 기업 농촌 등에 대한 유소기 등소평 등의 인맥(人脈)을 제거, ② 생산력 발전을 주장하는 세력의 영향 력을 없애고 그들의 영향을 받았던 중앙과 지방의 지도부를 교체, ③ 유소기 등 소평 노선을 대신할 새로운 노선의 확립과 그것을 추진하기 위한 새로운 권력기 관을 만들어 착취계급이 남긴 낡은 사상 문화 풍속 습관 등과 계속 싸우려고 했 음

 문화대혁명의 개시: 1966.5.16 <5·16통지> 문건을 공포.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 명의 깃발을 들어 반공산당 반사회주의를 주창하는 자산계급의 반동적 입장을 폭 로, 학술 교육 신문 문화 출판계의 반동사상을 철저하게 비판해서 문화영역의 지 도권을 탈취한다”는 목표 제시

 모택동은 당시 중국이 사회주의에서 벗어나게 된 것은, 유소기를 중심으로 당내 의 자본주의 길을 걷는 실권파(實權派)가 당과 국가의 중추기관을 지배하고 사회 주의를 바라는 혁명대중을 억압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인식

 1966.8 중공 8기 11차 중앙전체회의에서 문화대혁명 추진을 결정

 홍위병의 등장과 혼란의 가중: 1966.5 청화대학 부속중학에서 홍위병(紅衛兵) 조 직. 차별 받던 청년들이 모택동의 지지 속에 각종 홍위병 조직

 유소기 등소평은 학생들의 과격한 움직임을 통제 위해 북경의 대학과 고등학교에 공작조를 파견

 모택동은 공작조가 문화대혁명을 파괴하고 방해한다고 통렬히 비난

 1966.8부터 각 언론, 대자보(大字報)에서 유소기, 등소평을 격렬히 공격

 “조반유리(造反有理, 모반에는 도리가 있다)”라는 모택동의 슬로건 속에 많은 대 중이 궐기하면서 각종 모순이 분출, 대중 사이의 모순도 격화

 1967.7 인민해방군, 해방군을 지지하는 노동자 조직 ↔ 문화혁명파 사이의 무장 투쟁이 발생

 1967.3~6 중국 각지에서 홍위병 노동자 농민 군대가 가담한 격렬한 대중운동과 무장투쟁이 빈발하면서 문혁은 한층 혼란스럽게 전개

(5)

5

 무한에서 사망 600명, 부상 6만 6천명, 호북에서 사상자가 18만 4천명

 홍위병 등이 팽진 진운 진의 양상곤 육정일, 나서경 등 유소기, 등소평 파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판 투쟁을 전개

 1968년부터 극좌파로 규정된 홍위병, 도시의 지식청년들을 하방(下放, 농촌에 보 내는 것). 그들의 극좌적 활동에 제동을 걸기 시작

 1968년 전후로 인민해방군이 학교 공장 등에 주둔, 행정에 간여

 문혁 기간 부하 장교들을 군구사령관으로 내보낸 임표(林彪)의 위상 높아짐

 1969.4 중공 제9회 전국대회 당 규약에서 문혁파인 임표를 모택동의 후계자로 명시, 당 부주석에 임표, 정치국 상무위원에 진백달, 강생이 선출

 反문혁파의 실각:

 유소기: 중앙문혁소조에 직결된 홍위병에게 체포 구금. 1968.10 강청 강생 등이 장악한 공산당에서 제국주의, 현대수정주의, 국민당 반동파의 앞잡이로 단죄, 당 에서 영구 제명, 1969.11 개봉 감옥에서 병사

 등소평: 홍군 팔로군(129사단), 인민해방군(제2야전군)의 정치위원으로 활동하여 인민해방군 내에 넓은 인맥과 지지를 갖고 있어서 당적 유지. 당에 남아 있으면 서 감찰을 받도록 처분. 후에 노동개조 위해 농촌으로 추방

 팽덕회, 하룡, 오함: 고문으로 사망

 진의 이선념(李先念), 섭영진(聶榮臻), 주덕, 진운 등: 비판 받음

 유소기에 연루되어 체포 구금된 자는 2만 8천명

 문혁파의 부상: 문혁파인 임표, 강청 계통이 크게 부상

 모택동과 임표의 갈등: 모택동은 1969.3 우수리강의 진보도(珍寶島, 다만스키섬) 와, 8월 신강에서의 중소 군사충돌 이후, 소련을 최대 위협으로 간주. 미국 일본 과 관계개선 통해 소련과 대결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결정

 임표는 소련의 강대한 군사력을 인식, 소련과의 대결노선을 회피

 임표의 몰락: 1970.9 당 회의에서 임표가 모택동 천재론을 주창, 국가 주석직을 제안, 모택동은 이 제안에 반대, 1971.4 당 회의는 임표파를 분파주의로 비판

 1971.9 궁지에 몰린 임표가 모택동 타도를 위한 쿠데타 기도했다가 실패, 비행기 타고 소련으로 도망가던 중 몽골 영내에서 추락, 사망

사인방 시대

(6)

6

 4인방과 실무파의 항쟁: 문화대혁명을 통해 부상한 왕홍문이 중앙위원회 부주석, 장춘교가 정치국 상무위원, 강청과 요문원이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

 4인방은 모택동을 배경으로 사인방을 형성, 신문 출판 문예 등 이데올로기 부분 을 장악, 주은래 등소평을 중심으로 하는 실무파에 대항

 1974.2 사인방은 임표를 공자에 견주어 비판하는 비림비공(批林批孔)운동을 전개 하면서, 주은래를 공자로 빗대어 비판

 1974 주은래의 추천으로 등소평은 군사위원회 부주석, 국무원 부총리, 총참모장 에, 1975.1 당 부주석, 정치국 상무위원의 요직 맡아 경제성과 올림

 1975.1 주은래 수상은 농업 공업 국방 과학기술이 현대화된 사회주의 강국 건설 을 내세워 4개 현대화 방침 제기

 등소평 등은 문혁 기간의 정책을 대폭적으로 수정, 장려금 제공을 통한 물질적 자극, 기업의 이윤 중시

 사인방은 모택동의 평균주의적 사회주의론에 의거, 등소평 등을 견제

 사인방은 생산관계, 인간관계의 혁명화, 혁명사상(紅)만 강조

 등소평 등은 생산력 발전의 측면, 전문지식(專)을 높이 평가

 1976.1 주은래 수상 서거. 전국이 불안과 슬픔에 잠김

 천안문사건: 1976.4.5 광장에서 30~50만 명에 달한 주은래 추도 열기가 고조, 모 택동과 사인방에 대한 비판이 고조

 강청은 이것을 계획적 조직적 반혁명적인 성격의 반격이라 비난. 1만명의 민병과 3천명의 무장경찰이 꽃다발 철거, 연설자들 체포, 민중 항의 봉쇄

 군중들이 격분, 민병 경찰과 충돌, 방화

 모택동의 죽음과 4인방의 타도: 천안문 사건 이후 4인방은 언론기관을 장악, 등 소평 비판, 문혁 이념 강조

 천안문사건으로 모택동은 화국봉(華國鋒)을 국무원 총리 겸 제1부주석으로 삼고 등소평의 직위를 해제

 화국봉은 문혁을 긍정하면서도 극좌적 4인방과 선을 긋고 엽검영 이선념 등 당 원로들과 관계 유지

 1976.9 모택동의 사망으로 후원자를 잃은 4인방은 쿠데타를 준비

 1976.10.6 화국봉은 엽검영 이선념 등의 지지 아래 정변을 발동, 모택동의 경호 실장 왕동흥(王東興)의 중앙경호부대를 동원, 4인방을 체포

(7)

7

 화국봉은 혁명정신을 고양하여 사회주의를 견지하되, 생산력 발전에 의한 현대화 도 추진, 모택동 노선과 유소기 등의 실무파 노선을 모두 수용

 화국봉은 생산력 발전을 무시한 4인방을 극우노선이라 비판하는 동시에, 등소평 이 혁명정신을 경시했다고 비판

 등소평의 재등장: 4인방 비판과 문혁 비판이 재연되면서 당내외에서 등소평의 복 귀와 천안문사건의 재평가 요구 목소리가 고조

 1977.7 중공 10기 3중전회에서 등소평은 당 부주석, 국무원 부총리, 해방군 총참 모장으로 재등장

 개혁개방 노선의 등장: 1978.12 중공 제11기 3중전회에서 문혁을 부정, 모택동의 혁명이론, 계급투쟁과 대중동원 방식이 경제건설에 부적합하다는 점을 확인, 4개 현대화를 축으로 한 사회주의 현대화와 안정단결을 강조

 문화대혁명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실각한 팽덕회, 박일파, 양상군 등의 명예회복, 등소평 노선(생산력 발전 중시)의 명예 회복, 천안문사건 판결 번복

 1980.8 화국봉은 비판을 받아 수상 사임, 조자양(趙紫陽)이 취임

 사인방의 처벌: 강청 장춘교 사형(후에 무기징역으로 감형), 왕홍문 무기징역, 요 문원 징역 20년에 처해짐

 문화대혁명에 대한 평가:

 문혁은 당과 정부의 조직 기능 마비, 중국을 큰 혼란에 빠뜨림

 모택동에 대한 예찬과 극단적인 개인숭배, 신격화, 비대화한 군사독재, 사회의 군 사화라는 특징을 드러냄

 종래의 인간관계 가족까지 서로 불신, 분열시킴

 1964-1965년에 회복되었던 경제상황은 문혁 기간에 다시 정체, 후퇴

 문혁 기간 사망자는 40만, 피해자는 1억 명에 달했음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을 ‘10년 동란(動亂)’으로 규정

참조

관련 문서

전기의 이해,Auto-CAD,공학안전의 이해, 공업수학1, 전기기초실험, 전자 기학2, 회로이론2, 공업수학2, 전기응용, 전기응용실험, 전력산업의 구조 와 설비규정,

문법 핵심

교육과

건강 운동 방법의 이해... 휴식방법으로

ƒ 사용자의 이해, 사용자 경험을 디자인,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체육∙스포츠의 역학적

소매상의 마케팅

문법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