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북아 핵심산업의 지역생산네트워크를 통해 본 지역 간 발전 전략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동북아 핵심산업의 지역생산네트워크를 통해 본 지역 간 발전 전략"

Copied!
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34

K R I H S 보 고 서

동북아 핵심경제지역의 발전 전망과 연계망 구축(II) -지역생산네트워크와 지역 간 보완적 발전 전략-

Development Prospects for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of the Core Economic Regions in Northeast Asia(II)

-Regional Production Networks and Complementary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 김원배・조진철

지음

동북아 핵심산업의 지역생산네트워크를 통해 본 지역 간 발전 전략

박삼옥|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서평)

21세기에 들어서 세계경제공간은 지식정보화, 세 계화, 경제의 서비스화, 인구의 고령화라는 네 가 지의 메가트렌드 속에서 집중과 분산의 힘이 상충 되어 역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에는 선진국과 후진국, 선도지역과 후발지역, 신산 업과 전통산업, 고기술과 저기술 같은 이분적 구도 가 세계경제공간의 변화를 설명하는 틀이었다. 그 러나 오늘날 세계 어느 국가와 지역도 전 세계적 메가트렌드에서 자유롭지 못하며, 이미 공간상에 표출되었던 이분적 구도는 역동적 변화의 프로세 스로 인해 그 위상과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국 가와 지역의 경계는 외부의 변화를 선택적으로 수 용하고 경계 내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점차 상실해 가고 있다. 최근 불어 닥친 미국발 금융위기가 전 세계 국가와 지역, 기업을 위협하고 있는 현실은 세계경제공간이 얼마나 복잡하고 밀접한 네트워크 로 연결되어 있는지를 실감하게 해준다.

21세기 세계경제의 시작은 위기, 복잡성, 불확 실성으로 점철되었다. 세계경제공간의 네트워크는 이러한 위기와 복잡성, 불확실성을 세계 각 국가와 지역, 기업에게 확산시키는 통로가 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새로운 변화와 도약을 위한 기회의 통 로가 되는 것도 사실이다. 비록 미국발 금융위기의 한파로 인해 잠시 주춤하고는 있지만, 그간 경제성 장과 산업재편이 빠르게 진행되어온 아시아권, 특 히 동북아 지역은 그러한 새로운 세계경제공간 네 트워크의 중요한 결절로서 부상할 수 있는 도약의 시점에 와 있다.

이러한 시기에, 동북아 경제협력공간의 네트워 크를 분석한 김원배∙조진철의「동북아 핵심경제 지역의 발전 전망과 연계망 구축(II) - 지역생산네 트워크와 지역 간 보완적 발전 전략-」은 동북아지 역의 국가산업 정책과 기업 전략에 시사하는 바가 큰 시의적절한 연구로 여겨진다. 이 보고서는 거시

(2)

135

적 수준(macro-level)에서 동북아 핵심경제지역 의 지역현황과 발전 전망, 지역연계를 분석한 2007년도 연구의 후속이지만, 동북아 지역의 글로 벌 기업 차원에서 지역생산네트워크를 다루고 있 다는 점에서 전편과 차별화되며 동시에 보완적 성 격을 가지고 있다. 본 보고서는 동북아 지역의 주 력산업으로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는 자동차산업 과 전자산업에 종사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지역생 산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때, 기업 간 네트워크는 기업이 생존을 위해 루틴 을 선택(selection), 유지(retention), 변이 (variation)하는 과정에서 외부 개체 및 환경과 상 호 작용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이 행위의 결과 는 개별 기업에 국한되지 않고 산업 및 경제공간의 변화를 유발하여 국가와 지역의 발전에 영향을 미 치게 된다.

자동차산업의 사례에서 보여준 한국과 일본 글 로벌 기업들의 폐쇄적이고 계열화된 지역생산네트 워크는 동북아 지역의 협력과 발전을 위해 전략적 인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전자산업의 사 례에서 보여준 LCD는 지역클러스터화의 경향이 강한 반면 휴대전화와 반도체는 다른 품목들에 비 해 수평적 분업체계가 확산되어가고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글로벌 기업들의 지역생산네트워크는 산업과 품목에 따라 가치사슬의 분화와 기능별 특화에서 차별화된 모습들을 보이지만, 점차 동북아 지역 간 경쟁이 심화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세계화와 지 방화의 혼재 속에서 지역생산네트워크의 구축과 글로벌화는 전반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본 보고서 에서는 동북아 지역의 상생과 발전을 위해 글로벌 기업들의 지역생산네트워크는 소모적 경쟁보다는

지역 특성과 우위에 근거하여 보완적 분업구조를 정착시키는 방향으로 구축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결론적으로 이 보고서는 서구 글로벌 기업들의 동 북아 지역생산네트워크 확대, 일본의 기술 우위, 중국의 가격 우위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한국 기 업에게 동북아 경제협력권 및 국제적 전후방 네트 워크를 통한 상생적 발전의 화두를 던져준다.

21세기의 불안한 시작은 전 세계 국가와 기업 들에게 위기를 안겨줌과 동시에 변화의 촉매제가 되고 있다. 전 세계적 메가트렌드 속에서 영원한 우위와 열위는 존재하지 않으며, 세계경제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20세기를 주도했던 산업들은 재편의 기로에 서 있다. 2009년 1월 현 정부가‘신 성장동력 비전과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듯, 이제 신기술 개발과 에너지자원 문제가 핵심적 이슈로 등장하였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서비스 세계(service world)와 인구고령화는 새로운 산업모델과 생산네트워크를 필요로 한다. 이 보고서는 20세기 후반을 주도한 주력제조업 차원에서 글로벌 지역생산네트워크를 통한 대응방향을 제시해주었다. 여기서는 비록 주 력제조업으로서 자동차산업과 전자산업의 동북아 지역의 생산네트워크를 다루었지만, 향후 새로운 성장동력과 서비스세계, 인구고령화에 대비한 동 북아 지역의 협력네트워크 연구 활성화에 좋은 출 발점이 되리라 기대해본다. 또한 글로벌 및 지역생 산네트위크라는 시각으로 폐쇄적인 국경의 한계를 벗어나 이웃나라나 지역과의 상생발전을 모색한 것은 앞으로 한국의 산업전략은 물론 기업전략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참조

관련 문서

ƒ 개발프로젝트 중심의 임의적 단순협력체제에서 내부결속도 높은 제도적 통합 발전.. 경제협력의 구상. 2) 동북아 경제협력의

한국시장의 검증을 통하여 세계시장으로 도약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한국의 자유무역지역을 제안할 수 있음. CDC in Qingdao

The provisions of the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the Treaty establishing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and the Treaty establishing

두만강개발계획은 동북아 지역의 유일한 정부간 협의체로서 지금 까지의 두만강 지역에 국한한 사업을 동북아 지역 전체로 확대 발전 시키기 위한 논의를 하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기업경영 환경의 주요 구성요소는 제도적 환경, 인적 환경, 인프 라 환경 등이며, 기업경영환경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서는 제도적 환경, 인적 환경, 인프라 환경이 각각 글로

ㅇ 동북아 SUPERGRID는 동북아 전력협력을 뛰어넘어 전력망, 석유・가스 수송 망, 그리고 철도・도로 등을 통합한 종합에너지 연계망 및 통합관리 체제를 구 축하는 것을 의미함...

¾ 주변국들의 동북아 지역에 대한 대응노력 등과 비교할 때 우리의 전략 적 노력을 강화할 필요. ¾ 역내 에너지관련 DB 구축 등 실무적 노력을 진행하고 있으나 에너지문

• 동북아 에너지협의체 활동과 대북 에너지 지원 연계성 강화 - 북한 에너지 지원사업을 남북협력관점에서 동북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