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동향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동향 분석"

Copied!
1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동향 분석

(‘16년 ~ ‘18년)

2019. 7.

(2)

□ 본 보고서는 식품안전정보원이 산업체 수출 지원을 위한 ‘수출국 규제 정보 제공’의 일환으로 매월 제공하고 있는 「수출국 규제 정보-한국산 식품 부적합 사례」를 토대로 작성

《수출국 규제 정보-한국산 식품 부적합 사례》

□ 목적

◦ 산업체 해외 수출 지원을 위한 정보 제공

◦ 해외 수출국 규제정보(기준규격) 제공을 통한 한국산 식품의 부적합 감소

□ 수행방법 및 주요내용

◦ 수행방법

- 매월 해외 주요국 정부(5개국)가 발표하는 수입식품 검사 결과 중 한국산 식품의 부적합 사례 분석 및 관련 기준규격 조사 (월1회 실시)

◦ 주요내용

- (한국산 식품 부적합 현황) 식품별 현황, 원인별 현황

- (주요 사례 및 관련 기준·규격) 다빈도・지속적 발생 등 주요 부적합 식품의 상세 정보 및 5개국 관련 기준·규격

- (한국산 식품 부적합 내역 및 월별 누적 현황) 5개국 발생 한국산 식품 부적합 전체 목록, 식품별・원인별 월별 누적 현황 - (한국산 식품 수출 현황) 국가별(5개국), 품목별 식품 수출 현황

□ 제공방법

◦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https://www.foodinfo.or.kr) 공개

◦ 식품안전정보원 글로벌식품법령 기준규격정보시스템 (https://foodlaw.foodinfo.or.kr/index.do) 공개

(3)

목 차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국가별 부적합 동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1) 중국 ···8

(2) 미국 ···10

(3) 일본 ···12

(4) 대만 ···14

(5) EU ···15

3. 맺음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7

(4)

1

개요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해외 주요국 정부(중국, 미국, 일본, 대만, EU)가 발표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는 총 1,387건1)이었음

◦ 국가별로는 중국이 617건(44%)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미국 587건(42%), 대만 85건(6%), 일본 69건(5%), EU 29건(2%) 순이었음. 중국과 미국이 전체의 87% 정도를 차지함

◦ 연도별로는 ‘16년에 392건, ‘17년에 652건, ‘18년에 343건으로, ‘17년에 가장 많이 발생(전년 대비 +66%)했으며, ‘18년에는 343건 발생해 전년 대비 4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17년에는 중국에서만 부적합이 전년 대비 139% 급증하였는데, 이는 당시 한·중 양국의 사드(THAAD) 배치 갈등으로 중국이 통관과정을 강화했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음

1) 동 보고서는 한국산 수출식품의 부적합 조치시기가 아닌 해당국 정부가 부적합 정보를 공개(발표)한 시기를 기준으로 작성됨

[국가별/연도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현황(‘16년~‘18년)]

(5)

[국가별/연도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누적 건수(‘16년~‘18년)]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한국산 식품의 수출액(누적)은 일본이 약 60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국, 미국, EU 순이었음2)

[국가별 한국산 식품 수출 현황(‘16년~‘18년)]

순위 국가 중량 (천t) 금액 (백만$)

1 일본 2,860.4 6,065.1

2 중국 3,094.1 4,335.2

3 미국 944.5 3,062.5

4 EU 995.9 1,566.1

5 베트남 310.0 1,288.2

6 홍콩 648.0 1,205.3

7 태국 511.7 1,126.4

8 대만 630.8 1,078.3

9 아랍에미리트 361.1 364.5

10 인도네시아 208.9 572.5

2) 한국산 식품 수출 데이터는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서 제공하는 월별 국가별 실적(농산물, 축산물, 임산물, 수산물 품목) 데이터를 활용함

(6)

◦ 식품유형별 부적합 건수는 가공식품이 1,004건(72%)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수산물 154건(11%), 농산물(10%), 건강식품류(5%), 기구용기포장 7건(1%) 순이었음

[국가별/식품유형별 한국산 식품 부적합 현황(‘16년~‘18년)]

(7)

◦ 원인별3) 부적합 건수는 표시위반이 758건(39%)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기타* 343건(18%), 식품첨가물 303건(16%), 미생물 238건(12%), 잔류농약 158건(8%) 순이었음

- 표시위반은 미국이 625건으로 전체 표시위반사례 중 82.5%를 차지, 미국에서 표시위반으로 인한 부적합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

- 기타 항목 위반 343건 중 중국에서 205건이 발생했으며, 주로 품질 유지기한 경과, 서류 미비 등이 원인으로 조사됨

* 기타 항목 : 품질유지기한 경과(중국), 서류미비(중국), 산성식품 제조업체 미등록(미국), 제조공정 미제출(미국), 건조 조류의 요오드 고함유(EU) 등 포함

[국가별/부적합사유별 한국산 식품 부적합 현황(‘16년~‘18년)]

3) 식품 1건당 부적합 원인이 복수인 경우, 이를 개별 집계하여 부적합 사례 건수와 상이함

(8)

2

국가별 부적합 동향

(1) 중국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중국 해관총서(GACC)가 발표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는 총 617건이었음

◦ ‘16년 154건, ‘17년 368건(전년 대비 +139%) 발생하였고, ‘18년 한 해 동안 95건 발생하여 전년 대비 74% 감소함

- ‘17년도 중국에서 부적합 식품이 전년 대비 급증한 이유는 당시 한·중 양국의 사드(THAAD) 갈등으로 한국산 식품에 대한 통관이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라는 시각이 있음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한국산 식품의 對중국 수출액(누적)은 약 43억 달러로, 전체 국가 중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함

□ 식품유형별로는 부적합 식품 617건 중 대부분이 가공식품(603건) 이었음

◦ 부적합 가공식품에는 김제품이 117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과자류(113건), 음료류(76건), 유가공품(34건), 면류(29건), 코코아 가공품류 또는 초콜릿류(25건) 등이 포함됨

[중국_식품유형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건수 현황]

구분 ‘16년 ‘17년 ‘18년 합계 가공식품 151 362 90 603

건강식품류 1 2 1 4

농산물 0 1 0 1

수산물 0 2 3 5

기타 2 1 1 4

합계 154 368 95 617

(9)

□ 원인별로는 식품첨가물이 175건(2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미생물 154건(23%), 표시위반 130건(19%) 순이었음

◦ 부적합 사유가 기타로 분류된 항목도 209건4)으로 31%를 차지했으며, 기타 항목에는 품질유지기한 경과(13%), 서류 미비(11%) 등이 다수 포함되었음

- 서류 미비로 인한 부적합 비율은 ‘16년 0%, ‘17년 11%, ‘18년 32.6%로 점차 증가했으며, 특히 ‘18년의 전체 부적합 중 서류 미비로 인한 부적합 비중이 급증하였음

◦ 식품유형별 부적합 사유를 살펴보면, 김제품은 세균수가 66건(56%) 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표시위반(21%)이었으며, 과자류는 식품첨가물(32%)과 표시위반(30%)이 대부분이었음

[중국_부적합사유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건수 현황]

구분 ‘16년 ‘17년 ‘18년 합계 미생물 80 60 14 154 식품첨가물 43 104 28 175

중금속 6 3 0 9

표시위반 18 105 7 130 기타 11 149 49 209 합계 158 421 98 677

4) ‘개요’ 내용 중 중국에서 발생한 기타 항목 부적합 건수 205건에, ‘품질규격 위반(3건)’, ‘유해물질 함유 항목(1건)’을 기타 항목으로 통합하여 기타 항목의 총 부적합 건수를 209건으로 언급함

(10)

(2) 미국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발표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는 총 587건이었음

◦ ‘16년 182건, ‘17년 217건(전년 대비 +19%) 발생했으며, ‘18년 한 해 동안 188건 발생하여, 전년 대비 13% 감소함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한국산 식품의 對미국 수출액(누적)은 약 31억 달러로, 전체 국가 중 일본, 중국에 이어 3위를 차지함

□ 식품유형별로는 가공식품이 328건(56%)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 했으며, 이어 수산물 120건(20%), 건강식품류 69건(12%), 농산물 67건(11%)을 차지함

◦ 부적합 가공식품에는 음료류(110건)가 가장 많았고, 이어 과자류(70건), 과일·채소가공품류(44건), 면류(17건) 등이 포함

[미국_식품유형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건수 현황]

구분 ‘16년 ‘17년 ‘18년 합계 가공식품 108 135 85 328 건강식품류 30 13 26 69

농산물 17 27 23 67 수산물 26 42 52 120

기구용기포장 0 0 0 0

기타 1 0 2 3

합계 182 217 188 587

(11)

□ 원인별로는 표시위반*이 624건(61%)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기타**(11%), 식품첨가물(9%), 비위생적 처리(8%), 잔류농약(7%) 순이었음

* 표시위반 항목 : 라벨 불합격, 영양정보 미표시, 영어 미표기, 식품 일반명 미표시, 성분 미표시, 식이보충제 미표시, 알레르기 유발성분 미표시, 업체정보 누락 등

** 기타 항목 : 제조공정 미제출, 산성식품 제조업체 미등록 등

◦ 식품유형별 주요 부적합 사유를 살펴보면, 가공식품과 건강식품류는 절반 이상이 표시위반이었고, 농산물은 잔류농약(51%)과 표시위반(28%), 수산물은 비위생적 처리(38%), 표시위반(32%), 미생물(22%) 등이었음 - 부적합 가공식품 중 음료류(110건)의 주요 부적합 사유는 표시위반(50%)

이었으며, 과자류(70건)는 표시위반(50%), 식품첨가물(48%) 순이었음

[미국_부적합사유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현황]

(12)

(3) 일본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일본 후생노동성(MHLW)이 발표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는 총 69건이었음

◦ ‘16년 23건, ‘17년 21건(전년 대비 –9%) 발생했으며, ‘18년 한 해 동안 25건 발생하여, 전년 대비 19% 증가함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한국산 식품의 對일본 수출액(누적)은 약 60억 달러로, 전체 국가 중 1위를 차지함

□ 식품유형별로는 가공식품이 47건으로 68%를 차지했으며, 이어 수산물 12건(17%), 기구용기포장 7건(10%), 농산물 3건(4%) 차지함

◦ 부적합 가공식품에는 수산물가공품(22건)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과자류(5건), 음료류(4건), 김치류(3건) 등이 포함됨

[일본_식품유형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건수 현황]

구분 ‘16년 ‘17년 ‘18년 합계

가공식품 18 15 14 47

건강식품류 0 0 0 0

농산물 2 0 1 3

수산물 1 4 7 12

기구용기포장 2 2 3 7

기타 0 0 0 0

합계 23 21 25 69

□ 원인별로는 미생물이 44건(63%)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기타*(16%), 식품첨가물(11%), 유해물질** 함유(4%) 순이었음

* 기타 항목 : 기구용기포장유래물질(아연,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증발잔류물, 카프롤락탐), 동물용의약품(옥시테트라싸이클린 등)

** 유해물질 : 독성(유독, 유해물질), 곰팡이독소(아플라톡신)

(13)

◦ 식품유형별 주요 부적합 사유를 살펴보면, 수산물가공품은 대부분 세균수, 대장균군 등 미생물 검출(양성), 과자류는 대부분 미승인 식품첨가물 검출, 수산물은 동물용의약품, 농산물은 잔류농약이었음

[일본_부적합사유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현황]

(14)

(4) 대만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대만 식품약물관리서(TFDA)가 발표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는 총 85건이었음

◦ ‘16년 25건, ‘17년 37건(전년 대비 +48%) 발생했으며, ‘18년 한 해 동안 23건 발생하여, 전년 대비 38% 감소함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한국산 식품의 對대만 수출액(누적)은 약 11억 달러로, 전체 국가 중 8위를 차지함

□ 식품유형별로는 농산물이 65건(7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공식품이 18건(21%)을 차지함

◦ 부적합 농산물(채소류 52건, 과일류 13건)은 배추가 39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딸기 9건, 멜론 4건 순이었음

◦ 부적합 가공식품은 절임식품(7건), 소스류(6건) 등이 이었음

[대만_식품유형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건수 현황]

구분 ‘16년 ‘17년 ‘18년 합계

가공식품 5 8 5 18

농산물 18 29 18 65

기구용기포장 2 0 0 2

합계 25 37 23 85

□ 원인별로는 잔류농약이 83건(80%)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식품첨가물이 19건(18%)을 차지함

◦ 식품유형별 부적합 사유를 살펴보면, 농산물은 잔류농약, 가공식품은 식품첨가물이었음

(15)

(5) EU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EU 식품사료신속경보시스템(RASFF)이 발표한 한국산 식품 부적합 건수는 총 29건이었음

◦ ‘16년 8건, ‘17년 9건, ‘18년 12건 발생하였음

◦ 통보국(수입국)별로는 독일이 12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탈리아(6건), 영국(3건), 프랑스(2건),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벨기에, 스위스, 오스트리아(각 1건)이었음

◦ ‘16년 1월부터 ‘18년 12월까지 한국산 식품의 對EU 수출액(누적)은 약 16억 달러로, 전체 국가 중 4위를 차지함

□ 식품유형별로는 수산물이 17건(59%)으로 가장 많았고, 가공식품 10건(34%)이 뒤를 이었음

[EU_국가별/식품유형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건수 현황]

구분 수산물 가공식품 농산물 합계

독일 10 2 0 12

이탈리아 2 4 0 6

영국 3 0 0 3

프랑스 0 1 1 2

네덜란드 1 0 0 1

노르웨이 0 1 0 1

덴마크 0 1 0 1

벨기에 0 0 1 1

스위스 0 1 0 1

오스트리아 1 0 0 1

합계 17 10 2 29

(16)

□ 원인별로는 요오드 다량 함유가 11건(37%)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중금속 검출(5건), 벤조피렌 검출(4건), 식품첨가물(3건) 순이었음

◦ 식품유형별 부적합 사유를 살펴보면, 수산물에서 요오드 다량 함유(11건), 중금속 검출(5건) 등이었고, 가공식품 중 수산물가공품에서 벤조피렌 검출(4건) 등이었음

◦ 수산물 중 조류(미역, 김 등)에서 요오드 다량 함유 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관련 사례 11건 중 10건(91%)이 모두 독일에서 시판 중지(Market withdrawal)된 사례였음

[EU_부적합사유별 한국산 수출식품 부적합 현황]

(17)

3

맺음말

□ 중국에서 부적합 조치된 한국산 식품은 대부분 김제품과 과자류로서, 김제품은 미생물 기준, 과자류는 식품첨가물과 표시 기준에 주목해야 함

◦ 최근 3년간 대중 수출 Top5 품목 중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김제품은 세균수로 인한 부적합이 가장 많았는데, 국내와 달리 중국은 김제품에 대한 총 세균수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수출 시 유의해야 함

◦ 중국은 식품안전국가표준(GB)을 통해 엄격한 관리기준을 정하고 있기 때문에, 대중 수출업체들은 중국의 현행 기준과 이에 대한 제․개정 상황을 면밀히 파악해야 함

- ‘18년에는 서류 미비로 인한 부적합 비율이 급증해 최근 중국의 수입식품 서류 증명서 관리제도가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짐에 따라 「수출입식품안전관리방법 (进出口食品安全管理方法)」제12조에 따른 서류를 빠짐없이 구비할 필요가 있음 - ‘17년 6월 중국이 WTO에「수입식품 첨부증서 관리방법(안)」을 통보한 바

있으며, 주요내용은 위해도에 관계없이 거의 모든 식품에 대해 배치(Batch)별로 수출국 발행 첨부 증서 제출을 의무화하는 것임

- 중국이 동 규정 시행을 잠정 보류한다고 발표했으나 시행의 전면 취소는 아니기 때문에 우리나라 정부와 업계의 우려가 예상되는 만큼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철저한 사전 대응이 필요함

◦ 아울러 중국은 면적이 넓은 만큼 각 지역별로 통관 시 주의사항이 다를 수 있어 대중 수출업체들은 현지 수입업체와의 긴밀한 협조 또는 통관대행 업체 자문 등을 통해 현지 정보를 사전에 파악할 필요가 있음

(18)

□ 미국은 주요 5개국에서 발생한 표시위반 사례 중 약 80%를 차지할 정도로 표시위반으로 인한 통관거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함

◦ 부적합 비중이 높은 음료류와 과자류의 주요 부적합 사유 역시 표시 위반이었으므로 표시 관련 규정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함

◦ 미국은 ‘14년「영양성분 표시 개정 규칙(안)」을 발표하고 ‘20년 1월 1일부터 새로운 표시규정을 적용토록 하고 있으므로, 대미 수출업체들은 새로운 규정과 세부지침을 숙지하여 수출과 현지 유통에 문제가 없도록 대비해야 함

◦ 다만, 미국은 규정의 유예기간, 시행일 연장 등에 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

□ 일본은 수산식품의 소비 및 수입량이 많은 국가인 만큼, 한국산 수산물가공품에서 세균수, 대장균군 등 미생물로 인한 부적합이 다수 발생하고 있음

◦ 일본은 미생물 기준이 타국에 비해 엄격한 편이기 때문에, 대일 수출업체들은 수산식품 제조 및 운송(유통)과정의 사전위생관리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아울러 일본은 식중독 관련 ‘안전성 확보’를 이유로 ‘19년 6월 1일부터 한국산 넙치, 생식용 냉장 피조개살, 키조개, 새조개, 성게에 대해 검사를 강화하고 있으므로 관련 업체는 이에 철저히 대비해야 함

(19)

□ 대만에서는 잔류농약 기준 초과로 인한 농산물 부적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산 배추는 잦은 부적합 발생으로 일정기간 수입검사강화 조치가 취해지기도 하였음

◦ 대만으로 농산물을 수출하고자 하는 업체는 대만의 품목별 잔류농약 기준과 제․개정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수출 전 자가검사를 통해 국내보다 엄격한 대만의 기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 함

□ EU는 주요 5개국 중 한국산 수출 식품의 부적합 건수가 적은 편이나 조류 중 요오드 다량 함유와 관련한 부적합 문제가 두드러짐

◦ EU에서 요오드 다량 함유 문제가 발견된 사례 중 약 90%가 독일에서 발생한 것이므로, 특히 해당 국가의 요오드 관련 기준규격, 가이드라인 등 관련 규정을 숙지해야 함

※ (참고)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에서 수출용 조류 중 요오드 항목 정밀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전 대비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음

□ 해외로 식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한국업체들은 자체적으로 품질 및 위생관리 강화에 힘써야 할 뿐만 아니라, 잘못된 법령정보로 불이익을 당 하는 일이 없도록 수출국의 현행 규정과 기준규격을 정확히 파악해야 함

◦ 중국 멜라민 분유사건(‘08), 유럽 말고기 사태(‘13), 살충제 계란 파동(‘17) 등 글로벌 식품안전사건의 발생을 계기로, 세계 각국은 자국의 식품안전법령을 재정비하고 사전예방적 식품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임

◦ 특히, 주요 5개국 중 부적합이 가장 많이 발생했던 중국과 미국은 강력한 식품안전규정(중국 식품안전법, 미국 식품안전현대화법)을 마련해 수입식품 전반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므로 식품 수출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

참조

관련 문서

평행선 사이의

[r]

표현 단계 APÓCQÓ이므로 AQÓPCÓ이려면  APCQ는 평 행사변형이어야 한다..

step2 에서 구한 식은 y가 x에 대한 이차식 이므로 이차 함수 이다.. 바르게 설명한 학생은

평면을 나타낼 때는 단지 시각적인 이해를 위해 평행사변형으로 나타내지만 사실은 무한히 뻗어 나간다... 따라서

백합 의 가로 단면에는 붉게 물든 부분이 불규칙적으로 흩어져 있 고, 세로 단면에는 붉게 물든 부분이 여러 줄로 보인다.. 3 쌍떡잎식물은 관다발이 규칙적으로

이때 ㉠의 해는 무수히 많으므로 위의 연립방정식의

국민통합이라는 구호는 정치적으로 매력적이기는 하지만 정책목표로 삼기에는 부적합 하다... 그래서 선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