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3 중"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ALL 100

u

2학기 중간 고사

V. 통계 34

VI. 피타고라스 정리 37

VII. 삼각비 44

3

(2)

01-

D가 읽은 책의 수를 x권이라고 하면

(평균)= =12이므로

=12, x+66=72 ∴ x=6 따라서 D가 읽은 책의 수는 6권이다.

01 -

동아리를 옮긴 학생의 키를 x cm라고 하면

=164, 1320-x=1148 ∴ x=172 따라서 동아리를 옮긴 학생의 키는 172 cm이다.

01 -

2학기 기말고사에서 과학 성적을 x점 받는다고 하면

(평균)= æ85

244+xæ340 ∴ xæ96

따라서 2학기 기말고사에서 과학 성적을 96점 이상 받 아야 한다.

01 -

3+a+12+b=30에서 a+b=15 yy ㉠

(평균)= =16이므로

15a+19b+243=480

∴ 15a+19b=237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12, b=3

∴ ab=12_3=36

01 -

남학생 수를 x명, 여학생 수를 y명이라고 하면

(전체 평균)= =62이므로

68x+53y=62x+62y, 6x=9y

∴ x : y=9 : 6=3 : 2

02-

자료를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8, 31, 48, 54, 62, 73이므로

(중앙값)=48+54=51 2 68x+53y

x+y

13_3+15_a+17_12+19_b 30

78+81+85+x 4 165_8-x

7 x+66

6

10+6+8+x+18+24 6

│2~5쪽│

01-

6권

01-

172 cm

01-

96점

01-

36

01-

3 : 2

02-

51

02-

02-

73

02-

4개

03-

운동

03-

36회

03-

68

03-

a=2, b=4

04-

중앙값:25초, 최빈값:15초

04-

60

04-

①, ⑤

05-

1

05-

78점

05-

05-

5

06-

8

06-

2시간

06-

'∂11 회

06-

12

06-

204

07-

분산:75, 표준편차:5'3점

07-

'∂3.4 kg

07-

;;¡2¡5™;;

08-

D팀

08-

08-

C, B, A

V . 통계

1. 대푯값과 산포도

02 -

중앙값을 각각 구하면

① 5 ② 4 ③ 3.5 ④ 6.5 ⑤ 4

02-

중앙값이 72점이므로 자료를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 로 나열하면 65, 71, x, 75이어야 한다.

즉, (중앙값)= =72이므로 71+x=144 ∴ x=73

02-

14, 8, a, 10, 12의 중앙값이 12이므로 자료를 작은 값 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8, 10, 12, a, 14 또는 8, 10, 12, 14, a이어야 한다.

∴ aæ12 yy㉠

11, 15, a의 중앙값이 a이므로 자료를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1, a, 15이어야 한다.

∴ 11…a…15 yy㉡

㉠, ㉡에 의하여 12…a…15

따라서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 a는 12, 13, 14, 15의 4개이다.

03-

(평균)=

(평균)=

=25

∴ a=25

자료를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17, 17, 17, 22, 30, 31, 31, 35이므로 (중앙값)= =26 ∴ b=26 최빈값은 17이므로 c=17

∴ a+b+c=25+26+17=68

03-

(평균)= =2이므로

=2, a+b+8=14

∴ a+b=6 yy㉠

한편, 최빈값이 2이므로 a, b의 값 중 하나는 2이다.

그런데 a<b이므로 ㉠에서 a=2, b=4

04-

크기순으로 20번째와 21번째 값은 모두 20초 이상 30초 미만인 계급에 속하므로

(중앙값)= =25(초)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0초 이상 20초 미만인 계급이 므로 (최빈값)= =15(초)

04 -

(평균)=

(평균)

=;;¢2º0;);=20(분)

∴ a=20

크기순으로 10번째와 11번째 값은 모두 18분 이상 22분 미만인 계급에 속하므로

(중앙값)=18+22=20(분) ∴ b=20 2

12_3+16_3+20_7+24_5+28_2 20

10+20 2 20+30

2 a+b+8

7

2+7+1+0+(-2)+a+b 7

22+30 2 200

8

35+31+17+30+17+22+31+17 8

71+x 2

(3)

도수가가장큰계급은18분이상 22분미만인계급이므로 (최빈값)= =20(분) ∴ c=20

∴ a+b+c=20+20+20=60

04-

최빈값이 75점이므로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70점 이상 80점 미만인 계급이다.

∴ a>7 yy㉠

이때 a+b=33-(2+7+5)=19이고 a>b이므로 10…a…19 yy㉡

㉠, ㉡에 의하여 10…a…19

05-

편차의 합은 0이므로

-3+2+x+(-1)+4+(-3)=0 ∴ x=1

05-

편차의 합은 0이므로

9+(-7)+x+6+(-4)=0 ∴ x=-4 따라서 예빈이의 체육 성적은 82+(-4)=78(점)

05-

①, ④ 편차의 합은 0이므로

-1+x+3+(-2)+5=0 ∴ x=-5

② A의 편차가 음수이므로 A의 맥박 수는 평균보다 낮 다.

③ 평균보다 맥박 수가 높은 학생은 C, E의 2명이다.

⑤ D의 맥박 수는 60+(-2)=58(회)이다.

05-

{(편차)_(도수)}의 총합은 0이므로

(-12)_2+(-7)_4+(-2)_x+3_10+8_4

=0

-2x=-10 ∴ x=5

06-

(평균)= =;;¢5º;;=8(점)

∴ (분산)=

∴ (분산)=;;¢5º;;=8

06 -

(평균)= =;;£5∞;;=7(시간) (분산)=

(분산)=;;™5º;;=4

∴ (표준편차)='4=2(시간)

06-

편차의 합은 0이므로

5+x+(-3)+1=0 ∴ x=-3 (분산)=

(분산)=;;¢4¢;;=11

∴ (표준편차)='∂11(회)

06-

(평균)= =7이므로

x+y+28=35 ∴ x+y=7

(분산)= =12이

므로 x¤ +y¤ -14(x+y)+133=60

(x-7)¤ +(y-7)¤ +5¤ +(-1)¤ +3¤

5 x+y+12+6+10

5

5¤ +(-3)¤ +(-3)¤ +1¤

4

(-1)¤ +(-3)¤ +1¤ +0¤ +3¤

5 6+4+8+7+10

5

(-4)¤ +2¤ +(-2)¤ +0¤ +4¤

5 4+10+6+8+12

5 18+22

2

∴ x¤ +y¤ =14(x+y)-73=14_7-73=25 이때 x¤ +y¤ =(x+y)¤ -2xy이므로

25=7¤ -2xy, 2xy=24 ∴ xy=12

06-

(평균)= =8이므로 x+y+z=24

표준편차가 2, 즉 분산이 4이므로

=4 (x-8)¤ +(y-8)¤ +(z-8)¤ =12 x¤ +y¤ +z¤ -16(x+y+z)+192=12

∴ x¤ +y¤ +z¤ =16(x+y+z)-180

=16_24-180=204

07-

(평균)=

(평균)

=;¡;2*4);º;;=75(점) (분산)=

(평균)

=;¡;2*4);º;;=75

∴ (표준편차)='∂75=5'3(점)

07-

4 kg이상 6 kg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10-(1+5+2)=2(마리)

(평균)= =;1$0);=4(kg)

(분산)=

(평균)

=;1#0$;=3.4

∴ (표준편차)='∂3.4(kg)

07-

3시간 이상 5시간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a명, 5시간 이 상 7시간 미만인 계급의 도수를 b명이라고 하면 a+b=25-(1+4+3)=17 yy㉠

(평균)= =6이므

로 4a+6b+64=150

∴ 2a+3b=43 yy㉡

㉠, ㉡을 연립하여 풀면 a=8, b=9

∴ (분산)=

∴ (분산)

=;;¡2¡5™;;

08-

3점슛 성공률이 가장 고른 팀은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D 팀이다.

08 -

① 산포도가 가장 작은 시험은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기 말고사이다.

② 편차의 합은 항상 0이다.

③ 기말고사 성적의 평균이 중간고사 성적의 평균보다 더 높으므로 기말고사 성적이 중간고사 성적보다 더 우수하다.

⑤ 성취도 평가 성적의 표준편차가 중간고사 성적의 표 준편차보다 더 작으므로 성취도 평가 성적이 중간고 사 성적보다 더 고르다.

(-4)¤ _1+(-2)¤ _8+0¤ _9+2¤ _4+4¤ _3 25

2_1+4_a+6_b+8_4+10_3 25

(-3)¤ _1+(-1)¤ _5+1¤ _2+3¤ _2 10

1_1+3_5+5_2+7_2 10

(-15)¤ _3+(-5)¤ _9+5¤ _9+15¤ _3 24

60_3+70_9+80_9+90_3 24

4 {(x-8)¤ +(y-8)¤ +(z-8)¤ } 12

4(x+y+z) 12

(4)

│6~7쪽│

01

02

03

04

05

06

07

08

01

㉠ (평균)= = =5.6

㉡ 변량을 작은 값에서부터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2, 4, 5, 8, 9이므로 중앙값은 5이다.

㉢ 최빈값은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 ㉡, ㉢이다.

02

(중앙값)= =12이므로 10+x=24 ∴ x=14

03

2가 4번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므로 최빈값은 만족이다.

04

(평균)= =;;ª6º;;=15(점)

따라서 각 변량들의 편차는 차례로 3점, -2점, -3점, 4점, 2점, -4점이다.

05

② 최빈값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고, 2개 이상일 수도 있 다.

06

=9이므로 a+b+c=27

표준편차가 '5, 즉 분산이 5이므로

=5

∴ (a-9)¤ +(b-9)¤ +(c-9)¤ =15 따라서 4, a, b, c, 14에서

(평균)= = = =9

∴ (분산)=

∴ (분산)

= = =13

07

(평균)=

(분산)

= =6(회)

(분산)=

(분산)

= =5.6

∴ (표준편차)='∂5.6(회) 112

20

(-4)¤ _2+(-2)¤ _5+0¤ _7+2¤ _3+4¤ _3 20

120 20

2_2+4_5+6_7+8_3+10_3 20

65 5 25+15+25

5

(-5)¤ +(a-9)¤ +(b-9)¤ +(c-9)¤ +5¤

5

45 5 4+27+14

5 4+a+b+c+14

5

(a-9)¤ +(b-9)¤ +(c-9)¤

3 a+b+c

3

18+13+12+19+17+11 6

10+x 2

28 5 4+8+2+5+9

5

09

12 1024 11 159 cm 12 2 13 2 kg 144반, 1반

│서술형 문제│

08

①, ② 평균이 같으므로 어느 과목의 성적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없다.

③, ④, ⑤ 수학 성적의 표준편차가 과학 성적의 표준편차보 다 더 작으므로 수학 성적이 과학 성적보다 더 고르다.

09

(평균)= = …… 40%

이때 중앙값이 x이므로 =x …… 40%

x+48=5x, 4x=48 ∴ x=12 …… 20%

10

8회 이상 12회 미만인 계급의 도수는

30-(2+6+10+4)=8(명) …… 20%

크기순으로 15번째와 16번째 값은 모두 8회 이상 12회 미 만인 계급에 속하므로

(중앙값)= =10(회) ∴ a=10 …… 30%

도수가 가장 큰 계급은 12회 이상 16회 미만인 계급이므로 (최빈값)= =14(회) ∴ b=14 …… 30%

∴ a+b=10+14=24 …… 20%

11

편차의 합은 0이므로

4+(-2)+x+1+(-6)+(-1)=0

∴ x=4 …… 40%

키가 가장 작은 학생은 편차가 가장 작은 학생이므로 E이

다. …… 30%

따라서 학생 E의 키는 165-6=159(cm) …… 30%

12

A:(평균)= =;;¢5º;;=8(점)

A:

(분산)= =;5^; …… 40%

B:(평균)= =;;¢5º;;=8(점)

A:

(분산)=

A:(분산)

=;5$; …… 40%

따라서 x=;5^;, y=;5$;이므로

x+y=;5^;+;5$;=;;¡5º;;=2 …… 20%

13

편차의 합은 0이므로

2+0+3+(-1)+x+(-1)=0

∴ x=-3 …… 40%

(분산)=

(분산)=:™6¢:=4

…… 40%

∴ (표준편차)='4=2(kg) …… 20%

14

성적이 가장 우수한 반은 평균이 가장 높은 4반이다.

…… 50%

성적이 가장 고른 반은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1반이다.

…… 50%

2¤ +0¤ +3¤ +(-1)¤ +(-3)¤ +(-1)¤

6

1¤ +(-1)¤ +1¤ +0¤ +(-1)¤

5 9+7+9+8+7

5

(-2)¤ +1¤ +1¤ +0¤ +0¤

5 6+9+9+8+8

5 12+16

2 8+12

2

x+48 5

x+48 5 6+10+x+13+19

5

08-

A, B, C가 화살을 쏘아서 얻은 점수는 다음과 같다.

A:6, 7, 8, 9, 10 B:7, 7, 8, 9, 9 C:7, 8, 8, 8, 9 A, B, C의 평균이 모두 8점으로 같으므로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자료는 평균 주위에 모여 있다.

따라서 점수의 표준편차가 작은 사람부터 차례로 나열

하면 C, B, A이다.

│서술형 문제│

(5)

│08~11쪽│

01- 32

01-

3'5 cm

01-

6'3

01-

4'5

01-

2'5

01-

6

02-

'∂113 cm

02-

12'2+17

03-

3 cm

03-

04-

100 cm¤

04-

100 cm¤

05-

80 cm¤

05-

16 cm¤

06-

:¡ 2^ ª: cm¤

06-

98 cm¤

07-

:¡3º:

07-

3

07-

:¡3º:

08-

①, ②

08-

12, '∂194

09-

4<x<5

09-

6 10-10-11- 29

11- 2'5 cm 11- :¡5§: cm

12- '∂15 cm 12- 2'7

13- 12p cm¤ 13- 32'3 cm¤

VI . 피타고라스 정리

1. 피타고라스 정리

01-

△ADC에서 x="√13¤ -5¤ =12

△ABC에서 y="√(11+5)¤ +12¤ =20

∴ x+y=12+20=32

01 -

△ABC에서 BC”="√12¤ -6¤ =6'3 이때 AD”가 ∠A의 이등분선이므로 BD”:CD”=AB”:AC”=6:12=1:2

∴ BD”=;3!;BC”=;3!;_6'3=2'3

∴ △ABD=;2!;_2'3_6=6'3

01-

점 G가 △ABC의 무게중심이므로

AG”=2GD”=2_2=4 ∴ AD”=4+2=6 또, 점 D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의 중점이므로 외심이다.

∴ AD”=BD”=CD”=6

따라서 △ABC에서 AB”="√(6+6)¤ -8¤ =4'5

01 -

BE”=BD”="√2¤ +2¤ =2'2 BG”=BF”="√(2'2 )¤ +2¤ =2'3 BI”=BH”="√(2'3 )¤ +2¤ =4

따라서 △BIJ에서 BJ”="√4¤ +2¤ =2'5

01-

BM”=;2!;BC”=;2!;_6=3(cm)이므로 △ABM에서 AB”=øπ(3'2)¤ -3¤ =3(cm)

따라서 △ABC에서 AC”="√3¤ +6¤ =3'5(cm)

0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HC”=AD”=7 cm이므로 BH”=9-7=2(cm)

△ABH에서

A’H”="√6¤ -2¤ =4'2(cm)

따라서 DC”=AH”=4'2 cm이므로 △DBC에서 BD”="√9¤ +(4'2 )¤ ='∂113(cm)

H A

B C

D

9###cm 6###cm

7###cm

02-

BD”를 그으면 △ABD에서 BD”="√6¤ +(4'2 )¤ =2'∂17 BC”=CD”=x라고 하면

△BCD에서

x¤ +x¤ =(2'∂17)¤ , 2x¤ =68 x¤ =34

∴ x='∂34 (∵ x>0)

∴ ABCD=△ABD+△BCD

∴ ABCD

=;2!;_6_4'2+;2!;_'∂34_'∂34

∴ ABCD

=12'2+17

A

C

B D

6 4 2

03-

BFGC= ADEB+ ACHI이므로 33=24+ ACHI ∴ ACHI=9(cm¤ )

∴ AC”='9=3(cm)(∵ AC”>0)

03-

DC”∥EB”이므로 △EBA=△EBC

△EBC™△ABF(SAS 합동)이므로

△EBC=△ABF

BF”∥AK”이므로 △ABF=△JBF

∴ △EBA=△EBC=△ABF=△JBF

04-

△AEH™△BFE™△CGF™△DHG(SAS 합동)이 므로 EFGH는 정사각형이다.

AH”=14-8=6(cm)이므로 △AEH에서 EH”="√8¤ +6¤ =10(cm)

∴ EFGH=10¤ =100(cm¤ )

04 -

△AEH™△BFE™△CGF™△DHG(SAS 합동) 이므로 EFGH는 정사각형이다.

이때 EFGH=52 cm¤이므로 EH”='∂52=2'∂13(cm)(∵ EH”>0)

△AEH에서 AH”="√(2'∂13)¤ -4¤ =6(cm) 따라서 AD””=6+4=10(cm)이므로

ABCD=10¤ =100(cm¤ )

05-

4개의 직각삼각형이 모두 합동이므로 EFGH는 정사 각형이다.

EFGH=16 cm¤이므로 HG”='∂16=4(cm) (∵ HG”>0) AG”=BH”=4 cm이므로 △ABG에서 AB”="√4¤ +(4+4)¤ =4'5(cm)

∴ ABCD=(4'5)¤ =80(cm¤ )

01-

PA”=x라고 하면

PB”="√x¤ +x¤ ='2x, PC”=øπ('2x)¤ +x¤ ='3x PD”=øπ('3x)¤ +x¤ =2x, PE”="√(2x)¤ +x¤ ='5x 이때 PE”=6'5이므로 '5x=6'5 ∴ x=6

(6)

05-

4개의 직각삼각형이 모두 합동이므로 EFGH는 정사 각형이다.

AB”=AD”='∂58 cm이므로 △ABE에서 BE”="√('∂58 )¤ -3¤ =7(cm)

이때 BF”=AE”=3 cm이므로 EF”=BE”-BF””=7-3=4(cm)

∴ EFGH=4¤ =16(cm¤ )

06-

AB”=EC”=12 cm이므로 △ABE에서 AE”="√12¤ +5¤ =13(cm)

△AED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AED=;2!;_13_13=:¡ 2^ ª:(cm¤ )

06-

△AED는 직각이등변삼각형이므로

△AED=;2!; AE”¤ =50, AE””¤ =100

∴ AE”=10(cm) (∵ AE”>0)

△ABE에서 BE”="√10¤ -8¤ =6(cm) 따라서 BC”=BE”+EC”=6+8=14(cm), CD”=BE”=6 cm이므로

ABCD=;2!;_(8+6)_14=98(cm¤ )

07-

AQ”=AD”=10이므로 △ABQ에서 BQ”="√10¤ -6¤ =8 ∴ CQ”=10-8=2 PQ”=x라고 하면 DP”=PQ”=x, PC”=6-x

△PQC에서 2¤ +(6-x)¤ =x¤ , 12x=40

∴ x=:¡3º:

07-

DC”=;2!;BC”=;2!;_8=4

CF”=x라고 하면 DF”=AF”=8-x

△FDC에서 4¤ +x¤ =(8-x)¤ , 16x=48 ∴ x=3

07-

∠EAC=∠ACB(엇각), ∠ACB=∠ECA(접은 각) 이므로 ∠EAC=∠ECA

즉, △EAC는 EA”=E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B'E”=x라고 하면 AE”=CE”=6-x

△AEB'에서 x¤ +4¤ =(6-x)¤ , 12x=20 ∴ x=;3%;

∴ △AEB'=;2!;_4_;3%;=:¡3º:

08 -

① ('3 )¤ +2¤ =('7 )¤ 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② ('6 )¤ +('7 )¤ =('∂13 )¤ 이므로 직각삼각형이다.

08-

빗변의 길이가 13일 때

x¤ +5¤ =13¤, x¤ =144 ∴ x=12 (∵ x>0)

¤빗변의 길이가 x일 때

5¤ +13¤ =x¤, x¤ =194 ∴ x='1å9å4 (∵ x>0)

, ¤에 의하여 구하는 x의 값은 12, '1å9å4이다.

09 -

x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므로 삼각형이 되기 위한 조건 에 의하여 4<x<4+3 ∴ 4<x<7 yy㉠ 예각삼각형이 되려면 x¤ <4¤ +3¤ , x¤ <25

∴ 0<x<5 (∵ x>0) yy㉡

㉠, ㉡에 의하여 4<x<5

10-

8¤ >6¤ +4¤이므로 △ABC는 ∠A>90˘인 둔각삼각형 이다.

10-

② 6¤ >(2'2 )¤ +5¤ 이므로 둔각삼각형이다.

11-

AB”="√3¤ +4¤ =5이므로

AD”¤ +BE”¤ =AB”¤ +DE”¤ =5¤ +2¤ =29

12-

△AOD에서 AD”="√3¤ +4¤ =5(cm) AB”¤ +CD”¤ =AD”¤ +BC”¤이므로 AB”¤ +(2'5 )¤ =5¤ +('∂10 )¤ , AB”¤ =15

∴ AB”='∂15(cm) (∵ AB”>0)

13-

AB”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는

;2!;_(p_2¤ )=2p(cm¤ )

따라서 BC”를 지름으로 하는 반원의 넓이는 2p+10p=12p(cm¤ )

12-

△DBC에서 BD”="√8¤ +6¤ =10 ∴ PB”=10-6=4 PA” ¤ +PC” ¤ =PB” ¤ +PD” ¤이므로

(2'6)¤ +PC”¤ =4¤ +6¤ , PC”¤ =28

∴ PC”=2'7 (∵ PC”>0)

13-

△ABC에서 AC”="√16¤ -8¤ =8'3(cm)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2!;_8_8'3=32'3(cm¤ )

11-

AB”="√9¤ -(3'5 )¤ =6(cm)

AB”_AC”=BC”_AH”이므로 6_3'5=9_AH”

∴ AH”=2'5(cm)

11 -

△ABD에서 BD”="√(4'5)¤ -4¤ =8(cm) AD”¤ =BD”_CD”이므로 4¤ =8_CD”

∴ CD”=2(cm)

∴ BC”=BD”+CD”=8+2=10(cm) 이때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중점은 외심이므로 AM”=BM”=CM”=;2!;BC”=;2!;_10=5(cm) 따라서 △AMD에서 AD”¤ =AE”_AM”이므로 4¤ =AE”_5 ∴ AE”=:¡5§:(cm)

09-

x가 가장 긴 변의 길이이므로 삼각형이 되기 위한 조건 에 의하여 5<x<3+5 ∴ 5<x<8 yy㉠ 둔각삼각형이 되려면 x¤ >3¤ +5¤ , x¤ >34

∴ x>'3å4 (∵ x>0) yy㉡

㉠, ㉡에 의하여 '∂34<x<8

따라서 구하는 자연수 x의 최솟값은 6이다.

(7)

│12~15쪽│

01-

60 cm¤

01-

4 cm

01-

:£5§: cm

01-

10 cm

01-

;2*5$; cm¤

02-

28'2 cm

02-

8 cm

02-

2'6

03-

5'3 cm¤

03-

cm¤

03-

8 cm

03-

9 cm

03-

108'3 cm¤

03-

;4#;

04-

2'∂10 cm

04-

12 cm¤

04-

6 cm

05-

2'5

05-

16 cm¤

06-

x=6, y=6'3, z=3'6

06-

2'3

06-

2'3 cm

06-

21'3 cm¤

06-

5'3

06-

4(2+'2) cm

07-

5'5

07-

10

07-

'∂29

07-

(9, 0)

07-

08-

2'∂113

08-

25 km 3'3

2

2. 평면도형에서의 활용

01-

AB”="√13¤ -12¤ =5(cm)

∴ ABCD=12_5=60(cm¤ )

01 -

직사각형의 가로의 길이를 2k cm, 세로의 길이를 3k cm(k>0)라고 하면

"√(2k)¤ +(3k)¤ =2'∂13, '∂13k=2'∂13 ∴ k=2 따라서 가로의 길이는 2k=2_2=4(cm)

01-

BD”="√9¤ +12¤ =15(cm)

△ABD에서 AB”_AD”=BD”_AH”이므로 9_12=15_AH” ∴ AH”=:£5§:(cm)

01-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AC”="√x¤ +(3x)¤ ='∂10x=10'2 ∴ x=2'5

∴ AB”="√x¤ +(2x)¤ ='5x='5_2'5=10(cm)

01-

BD”="√3¤ +4¤ =5(cm)

△ABD에서 AB”_AD”=BD”_AE”이므로 3_4=5_AE” ∴ AE”=:¡5™:(cm) 또, AB”¤ =BE”_BD”이므로 3¤ =BE”_5

∴ BE”=;5(;(cm)

DF”=BE”=;5(; cm이므로 EF”=5-2_;5(;=;5&;(cm)

∴ AECF=2△AEF

∴ AECF

=2_{;2!;_:¡5™:_;5&;}=;2*5$;(cm¤ )

02-

식빵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2x=14 ∴ x=7'2

따라서 식빵의 둘레의 길이는 4_7'2=28'2(cm)

02-

내접하는 정사각형의 대각선의 길이는 원의 지름의 길 이와 같으므로 4'2_2=8'2(cm)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2x=8'2 ∴ x=8

따라서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8 cm이다.

02 -

직사각형 ABCD에서 AC”="√('2 )¤ +2¤ ='6 정사각형 ECFG에서 CG”='2_'3='6

∴ AC”+CG”='6+'6=2'6

03 -

△ABC에서 AC”="√6¤ -4¤ =2'5(cm)

∴ △ACD='3_(2'5)¤ =5'3(cm¤ ) 4

03-

∠GEC=∠GCE=60˘이므로△GEC는정삼각형이다.

이때 BE”=EC”=CF”=;2!;_2=1(cm)이므로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2(△ABC-△GEC)=2_{ _2¤ - _1¤ }

2(△ABC-△GEC)=

3'3(cm¤ )

2

'3 4 '3

4

03-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주어진 정육각형 은한변의길이가r cm인정삼각형6개로이루어져있다.

(정육각형의 넓이)=6_{ _r¤ }=96'3이므로

r¤ =96'3, r¤ =64 ∴ r=8 (∵ r>0) 따라서 원 O의 반지름의 길이는 8 cm이다.

3'3 2

'3 4

03-

AP”를 그으면

△ABC=△ABP+△ACP 이므로

_(6'3 )¤

=;2!;_6'3_PQ”+;2!;_6'3_PR”

27'3=3'3(PQ”+PR”) ∴ PQ”+PR”=9(cm) '3

4

A

B P C

Q R

cm 6 3

03-

AO”의 연장선과 BC”가 만나는 점 을 D라고 하면 점 O는 △ABC 의 무게중심이므로

AD”=;2#;AO”=;2#;_12=18(cm)

△ABC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x=18 ∴ x=12'3

∴ △ABC='3_(12'3 )¤ =108'3(cm¤ ) 4

'3 2

A

B D C

O 12###cm

03-

△ABC에서 AD”= _16=8'3(cm)

△ADE에서 AF”= _8'3=12(cm)

△AFG에서 AH”= _12=6'3(cm) 이때 AI”=AH”=6'3 cm이므로 =6'3=;4#;

8'3 AI”

AD”

'3 2 '3 2 '3

2

(8)

04-

BH”=;2!;BC”=;2!;_6=3(cm)이므로 △ABH에서 AH”="√7¤ -3¤ =2'∂10(cm)

04-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BH”=;2!;BC”=;2!;_6

BH”=3(cm)

△ABH에서 AH”="√5¤ -3¤ =4(cm)

∴ △ABC=;2!;_6_4=12(cm¤ )

A

B H C

6###cm 5###cm 5###cm

04-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C=;2!;_8_AH”

△ABC=8'5

∴ AH”=2'5(cm)

이때BH”=;2!;BC”=;2!;_8=4(cm)이므로△ABH에서 AB”="√4¤ +(2'5)¤ =6(cm)

A

B H C

8###cm

05-

BH”=x라고 하면 CH”=7-x

△ABH에서 AH”¤ =('∂29 )¤ -x¤ yy㉠

△AHC에서 AH”¤ =6¤ -(7-x)¤ yy㉡

㉠, ㉡에서 ('∂29 )¤ -x¤ =6¤ -(7-x)¤

14x=42 ∴ x=3

∴ AH”="√('∂29 )¤ -3¤ =2'5

05-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 하고 BH”=x cm라고 하면 CH”=(8-x) cm

△ABH에서 AH”¤ =5¤ -x¤ yy㉠

△AHC에서 AH”¤ =('∂41)¤ -(8-x)¤ yy㉡

㉠, ㉡에서 5¤ -x¤ =('∂41)¤ -(8-x)¤

16x=48 ∴ x=3

따라서 AH”="√5¤ -3¤ =4(cm)이므로

△ABC=;2!;_8_4=16(cm¤ )

A

B H C

cm 5###cm 41

8###cm

06-

두 꼭짓점 A, D에서 BC”에 내 린 수선의 발을 각각 E, F라 고 하면 EF”=AD”=4 cm

△ABE에서

AB” : AE”=2 : '3이므로

6 : AE”=2 : '3, 2AE”=6'3 ∴ AE”=3'3(cm) AB” : BE”=2:1이므로 6 : BE”=2:1

2BE”=6 ∴ BE”=3(cm) 이때 CF”=BE”=3 cm이므로

BC”=BE”+EF”+FC”=3+4+3=10(cm)

∴ ABCD=;2!;_(4+10)_3'3=21'3(cm¤ ) 60˘

E F

B C

A 4###cm D 6###cm

06-

꼭짓점 A에서 BC”의 연장선 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CH에서

AC”” : AH”=2 : '3이므로

4 : AH”=2 : '3, 2AH”=4'3 ∴ AH”=2'3

∴ △ABC=;2!;_5_2'3=5'3

120˘ 60˘

A

B 5 C H

4

06 -

정팔각형의 한 외각의 크기는

=45˘이므로 네 귀퉁이의 삼각형은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AB” : BC”=1 : '2이므로

AB”: 4'2=1 : '2, '2 AB”=4'2 ∴ AB”=4(cm) 따라서 처음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는

2_4+4'2=4(2+'2 )(cm) 360˘

8

A B

C4 2cm

07-

AB”="√{3-(-1)√}¤ +(4-2)¤ =2'5 BC”="√(-3-3)√¤ +(1-4)¤ =3'5

∴ AB”+BC”=2'5+3'5=5'5

07-

AB”="√(3-√a)¤ √+(√-2√-1)¤ ='∂58이므로 a¤ -6a-40=0, (a+4)(a-10)=0

∴ a=-4 또는 a=10

이때 점 A는 제 1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a>0

∴ a=10

07-

y=2x¤ -8x+13=2(x-2)¤ +5의 그래프의 꼭짓점 의 좌표는 (2, 5)

따라서 꼭짓점과 원점 사이의 거리는 "√2¤ +5¤ ='∂29

07-

x축 위의 점의 좌표를 P(a, 0)이라고 하면 AP”=BP”

이므로 "√(a-2)¤ +(0-1)¤ ="√(a-4)¤ +(0-5)¤

4a=36 ∴ a=9

따라서 구하는 점의 좌표는 (9, 0)

07-

AB”="√{2-(-1)}¤ +(1-√0)¤ ='∂10 BC”="√(3-2)¤ +(-2-1)¤ ='∂10 CA”="√(-1-3)¤ +{0-(√-2)}¤ =2'5

AB”=BC”이고 CA”¤ =AB”¤ +BC”¤ 이므로 △ABC는

∠B=90˘인 직각이등변삼각형이다.

∴ △ABC=;2!;_'∂10_'∂10=5

06-

12 : x=2 : 1이므로 2x=12 ∴ x=6 12 : y=2 : '3이므로 2y=12'3 ∴ y=6'3 z : 6'3=1 : '2이므로 '2z=6'3 ∴ z=3'6

06-

△ABC에서 AB” : BC”=1 : '3이므로 '2 : BC”=1 : '3 ∴ BC”='6

△DBC에서 BC”:BD”=1:'2이므로 '6 : BD”=1 : '2 ∴ BD”=2'3

06-

△ABC에서 AB” : AC”=2 : 1이므로 6:AC”=2 : 1, 2AC”=6 ∴ AC”=3(cm)

∠BAD=∠DAC이고 ∠BAC=60˘이므로

∠DAC=30˘

따라서 △ADC에서 AC”:AD”='3 : 2이므로 3 : AD”='3 : 2, '3 AD”=6 ∴ AD”=2'3(cm)

(9)

08 -

점 D와 AB”에 대하여 대칭인 점 을 D'이라고 하면 DP”=D'P”이 므로

CP”+DP”=CP”+D'P”æCD'””

CP”+DP”

="√(6+8)¤ +16¤ =2'∂113 P

C D

D'

A B

6 8

16

08 -

점 B와 강가에 대하여 대 칭인 점을 B'이라고 하면 AB'”의 길이가 구하는 최 단 거리가 된다.

∴ AB'”="√(8+7)¤ +20¤ =25(km)

A B

B'

8###km 7###km

20###km

│16~19쪽│

01-

01-

2'2 cm

01-

96 cm‹

01-

'1å4å5 cm

01-

2'1å1 cm

01-

cm

02-

2'2 cm‹

02-

12 cm

02-

8'2

02-

98'6 cm¤

02-

'2

02-

cm

02-

24 cm¤

03-

'3 cm‹

03-

03-

144'2 cm‹

03-

5'2 cm

04-

cm‹

04-

cm‹

04-

cm¤

04-

3'∂11 cm¤

05-

320p cm‹

05-

2'1å5 cm

05-

81p cm‹

05-

648p cm‹

05-

24p

06-

10 cm

06-

5'1å7 cm

06-

5p

06-

16'2 cm

06-

6'5 cm

06-

3'7 cm

9'∂14 2

32'2 3 9'2

2

16'2 3 4'3

3

15'2 2

3. 입체도형에서의 활용

01-

① '∂69 ② '∂33 ③ '∂38 ④ 7 ⑤ 3'6

01 -

밑면의 한 변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a¤ +a¤ +4¤ =4'2이므로 2a¤ +16=32 a¤ =8 ∴ a=2'2 (∵ a>0)

따라서 밑면의 한 변의 길이는 2'2 cm이다.

01-

직육면체의 세 모서리의 길이를 각각 a cm, 3a cm, 4a cm(a>0)라고 하면 "√a¤ +(3a)¤ +(4a)¤ =2'∂26 '∂26a=2'∂26 ∴ a=2

따라서 세 모서리의 길이가 각각 2 cm, 6 cm, 8 cm이 므로 이 직육면체의 부피는 2_6_8=96(cm‹ )

01 -

EG”=4'2 cm이므로

EO”=;2!; EG”=;2!;_4'2=2'2(cm)

따라서 △AEO에서 AO”=øπ6¤ +(2'2)¤ =2'1å1(cm)

△AMC에서 A’M’”="√(2'∂34 )¤ +3¤ ='1å4å5(cm)

01-

EG”="√9¤ +12¤ =15(cm) AG”="√12¤ +9¤ +15¤ =15'2(cm)

△AEG에서 AE”_EG”=AG”_EI”이므로 15_15=15'2_EI” ∴ EI”=15'2(cm)

2

02-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3a='6 ∴ a='2

∴ (부피)=('2)‹ =2'2(cm‹ )

02-

구에 내접하는 정육면체의 대각선의 길이는 구의 지름 의 길이와 같다.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3a=12'3 ∴ a=12

따라서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는 12 cm이다.

02-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3a=4'3 ∴ a=4

이때 EG”=4'2이므로 △AEG=;2!;_4'2_4=8'2

02-

BM”=MH”=HN”=NB”이므로 BMHN은 마름모 이다. BH”=14'3 cm, MN”=AC”=14'2 cm이므로

BMHN=;2!;_14'3_14'2=98'6(cm¤ )

02-

정육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라고 하면 '3 a=3 ∴ a='3

이때 AC”='2a='2_'3='6이고 △AGC에서 AC”_CG”=AG”_CI”이므로

'6_'3=3_C’I’ ∴ C’I’='2

02-

(삼각뿔 A-BFC의 부피)=;3!;_{;2!;_4_4}_4

(삼각뿔 A-BFC의 부피)

=:£3™:(cm‹ )

한편, △AFC는 AF”=FC”=CA”=4'2 cm인 정삼각 형이므로 △AFC= _(4'2)¤ =8'3(cm¤ )

∴ (삼각뿔 B-AFC의 부피)=;3!;_8'3_BI”

∴ (삼각뿔 B-AFC의 부피)

= BI”(cm‹ ) 따라서 BI”=:£3™:이므로 BI”=4'3(cm)

3 8'3

3

8'3 3 '3

4

02 -

BM”=BN”="√8¤ +4¤ =4'5(cm) MN”="√4¤ +4¤ =4'2(cm) 점 B에서 MN”에 내린 수선의 발을 I라고 하면

MI”=;2!;MN”

MI”

=;2!;_4'2=2'2(cm) M I N B

4 2cm 4 5cm 4 5cm

01-

AC”="√10¤ +6¤ =2'∂34(cm)

이때 CM”=;2!;CG”=;2!;_6=3(cm)이므로

(10)

03-

(부피)='2_('6)‹ ='3(cm‹ ) 12

△BMI에서 BI”="√(4'5 )¤ -√(2'2 )¤ =6'2(cm)

∴ △BMN=;2!;_4'2_6'2=24(cm¤ )

두 점 P, Q에서 AB”에 내 린 수선의 발을 각각 R, S 라고 하면

AR”=BS”=1 cm이므로

△PAR에서

PR”="√(2'3 )¤ -1¤ ='∂11(cm)

∴ PABQ=;2!;_(2+4)_'∂11=3'∂11(cm¤ )

A B

Q P

S R4###cm

2###cm

2 3cm 2 3cm

03-

D’M”= _8=4'3이므로

M’H”=;3!;DM”=;3!;_4'3=

이때 AH”= _8= 이므로

△AMH=;2!;_ _ =16'2 3 8'6

3 4'3

3 8'6

3 '6

3

4'3 3 '3

2

03 -

DM”=;2#;DH”=;2#;_4'3=6'3(cm) 정사면체의 한 모서리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a=6'3 ∴ a=12

∴ (부피)='2_12‹ =144'2(cm‹ ) 12

'3 2

03-

AM”, DM”을 그으면 AM”, DM”은 각각 두 정삼각형 ABC, BCD의 높이이므로 AM”=DM”

MA”=

_10=5'3(cm)

이때 △AMD는 이등변삼각형이므로 MN”⊥AD”

따라서 △AMN에서 MN”="√(5'3 )¤ -5¤ =5'2(cm) '3

2

A

M N

C

B D

10###cm

04-

주어진 전개도로 만들어지는 정 사각뿔은 오른쪽 그림과 같다.

BD”=3'2 cm이므로 BH”=;2!;BD”

BH”

=;2!;_3'2= (cm)

△OBH에서 OH”=æ3¤ –-{ }2 = (cm)이므로

(부피)=;3!;_3¤ _ =9'2(cm‹ ) 2 3'2

2

3'2 2 3'2

2 3'2

2

B C

D O

3###cm 3###cm

A H

3###cm

04-

△OHM에서 OH”=ø(π2'3)¤ -2¤ =2'2(cm)

∴ (부피)=;3!;_4¤ _2'2=32'2(cm‹ ) 3

04-

AC”=6'2 cm이므로

AH”=;2!;AC”=;2!;_6'2=3'2(cm)

△OAH에서 OH”=øπ9¤ -(3'2)¤ =3'7(cm)이므로

△OAH=;2!;_3'2_3'7=9'∂14(cm¤ ) 2

04-

AP”=BQ”= _4=2'3(cm) PQ”=;2!;CD”=;2!;_4=2(cm)

'3 2

05-

원뿔의 높이는

"1√7¤ -8¤ =15(cm)이므로 (부피)=;3!;_(p_8¤ )_15

(부피)=320p(cm‹ )

8###cm 17###cm

05-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p_8_;3ª6º0;=2pr ∴ r=2 주어진 전개도로 원뿔을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높이)="√8¤ -2¤ =2'1å5(cm)

2###cm 8###cm

05 -

△AOB에서 AB” : OB”=2 : 1이므로 6'3 : OB”=2 : 1, 2OB”=6'3

∴ OB”=3'3(cm)

AB” : AO”=2 : '3이므로 6'3 : AO”=2 : '3 2AO”=18 ∴ AO”=9(cm)

∴ (부피)=;3!;_{p_(3'3 )¤ }_9=81p(cm‹ )

05-

△OBH에서 OH”="√12¤ -(6'3 )¤ =6(cm)이므로 AH”=AO”+OH”=12+6=18(cm)

∴ (부피)=;3!;_{p_(6'3 )¤ }_18=648p(cm‹ )

05-

회전체는 오른쪽 그림과 같다.

AC”="√5¤ -3¤ =4이므로 (입체도형의 부피)

=p_3¤ _4-;3!;_(p_3¤ )_4

=24p

A

B C

5

3

06-

오른쪽 그림의 전개도에서 최단 거리는 DC”의 길이와 같으므로 DC”="√(2+4)¤ +8¤ =10(cm)

A B C

D E4###cmF 2###cm

8###cm

06-

위의 그림의 전개도에서 최단 거리는 FG”'”의 길이와 같 으므로 FG”'”="√(5_4)¤ +5¤ =5'1å7(cm)

H

C D

A

B E

F F'

G G'

5###cm 5###cm 5###cm 5###cm 5###cm

(11)

06-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 2p_2=4p 오른쪽그림의 전개도에서 최단 거리는 BA'”의 길이와 같으므로 BA'”="(√4p)¤ +(3p)¤ =5p

A

B

A'

B' 3p

4p

06-

오른쪽 그림의 원뿔의 전개도 에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 를 x˘라고 하면

2p_16_ =2p_4

∴ x=90

따라서 구하는 최단 거리는 AA'”의 길이와 같으므로 AA'”="√16¤ +16¤ =16'2(cm)

x 360

A A'

O

4###cm 16###cm

06-

오른쪽 그림의 원뿔의 전개도 에서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 를 x˘라고 하면

2p_12_;36{0;=2p_3

∴ x=90

따라서 구하는 최단 거리는 AM”의 길이와 같으므로 AM”="√12¤ +6¤ =6'5(cm)

M

A A'

O

3###cm 12###cm 6###cm

06-

오른쪽 그림의 전개도에서

∠BCA=60˘, ∠ACM=30˘

△ACD에서

CM”= _6=3'3(cm)

따라서 구하는 최단 거리는 BM”의 길이와 같으므로

△BCM에서 BM”="√6¤ +(3'3 )¤ =3'7(cm) '3

2

60˘ 30˘

A M

C

B D

6###cm

│20~22쪽│

01

02

03

04

③, ⑤

05

06

07

08

09

101112

13 3 cm 145'∂10, 2'∂22 15 2'6 16 18p cm¤

17 '6 cm 187'2 1981'2 cm¤

2010'2 cm

│서술형 문제│

01

△ABD에서 AD”="√3¤ +4¤ =5(cm) DC”=AD”=5 cm이므로 BC”=4+5=9(cm) 따라서 △ABC에서 AC”="√3¤ +9¤ =3'∂10(cm)

0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HC”=AD”=9 cm이므로 BH”=12-9=3(cm)

△ABH에서 AH”="√9¤ -3¤ =6'2(cm) 따라서 DC”=AH”=6'2 cm이므로 △BCD에서 BD”="√12¤ +(6'2 )¤ =6'6(cm)

A

B H C

9###cm D 9###cm

12###cm

03

△AEH™△BFE™△CGF™△DHG(SAS 합동)이므 로 EFGH는 정사각형이다. AH”=23-8=15(cm)이 므로 △AEH에서 EH”="√8¤ +15¤ =17(cm)

∴ EFGH=17¤ =289(cm¤ )

04

③ 7¤ <5¤ +6¤ 이므로 예각삼각형이다.

⑤ 8¤ <7¤ +7¤ 이므로 예각삼각형이다.

05

△ABC에서 AB”="√(6'2 )¤ -(4'2 )¤ =2'∂10(cm) 이때 색칠한 부분의 넓이는 △ABC의 넓이와 같으므로

;2!;_2'∂10_4'2=8'5(cm¤ )

06

AC”="√12¤ +5¤ =13(cm)

△ABC에서 AB”_BC”=AC”_BH”이므로 5_12=13_BH” ∴ BH”=;1^3);(cm)

08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 을 H라고 하면

△ABC=;2!;_10_AH”=20'6

∴ AH”=4'6(cm)

이때 BH”=;2!;BC”=;2!;_10=5(cm)이므로 △ABH에서 AB”="√5¤ +(4'6 )¤ =11(cm)

A

B H C

10###cm

09

AB”="√(4-x)¤ +√(2-3)¤ ='∂26이므로 x¤ -8x-9=0, (x+1)(x-9)=0

∴ x=-1 또는 x=9

이때 점 A는 제 2사분면 위의 점이므로 x<0 ∴ x=-1

07

△ABC에서 AD”= _24=12'3(cm)

△ADE에서 AF”= _12'3=18(cm)

∴ △AFG='3_18¤ =81'3(cm¤ ) 4

'3 2 '3 2

10

AM”=MG”=GN”=NA”이므로 AMGN은 마름모이다.

AG”='3_2'6=6'2(cm),

MN”=BD”='2_2'6=4'3(cm)이므로 AMGN=;2!;_6'2_4'3=12'6(cm¤ )

11

BD”=10'2 cm이므로 BH””=;2!;_10'2=5'2(cm)

△OBH에서 OH”="√8¤ -√(5'2 )¤ ='∂14(cm)

∴ (부피)=;3!;_10¤ _'∂14=100'∂14(cm‹ ) 3

12

밑면의 둘레의 길이는 2p_5=10p(cm) 오른쪽 그림의 전개도에서 최

단 거리는 AB'”의 길이와 같 으므로

AB'”="√(5p)¤ +(10p)¤

=5'5p(cm)

A A'

B B' 5p###cm

10p###cm

│서술형 문제│

13

정사각형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a cm라고 하면 BE”=BD”="√a¤ +a¤ ='2a(cm)

(12)

20

밑면의 반지름의 길이를 r cm라고 하면

2p_15_;3!6@0);=2pr ∴ r=5 …… 60%

주어진 전개도로 원뿔을 만들면 오른쪽 그림과 같으므로 원뿔의 높이는

"√15¤ -5¤ =10'2(cm) …… 40%

5###cm 15###cm BG”=BF”="√('2a)¤ +a¤ ='3a(cm) …… 50%

이때 BG”=3'3 cm이므로 '3a=3'3 ∴ a=3 따라서 구하는 한 변의 길이는 3 cm이다. …… 50%

14

⁄`가장 긴 변의 길이가 x cm일 때 9¤ +13¤ =x¤이므로 x¤ =250

∴ x=5'∂10 (∵ x>0) …… 45%

¤`가장 긴 변의 길이가 13 cm일 때 9¤ +x¤ =13¤이므로 x¤ =88

∴ x=2'∂22 (∵ x>0) …… 45%

, ¤에 의하여 x의 값은 5'∂10, 2'∂22이다. …… 10%

15

AH”=3k, CH”=k(k>0)라고 하면 △ABC에서 BH”¤ =AH”_CH”이므로 (3'2 )¤ =3k_k

k¤ =6 ∴ k='6 (∵ k>0) …… 50%

∴ CH”='6 …… 10%

△BCH에서 BC”="√(3'2 )¤ +('6 )¤ =2'6 …… 40%

16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2x=12 ∴ x=6'2 …… 50%

따라서 원의 지름의 길이가 6'2 cm이므로 구하는 원의 넓 이는 p_(3'2 )¤ =18p(cm¤ ) …… 50%

17

△ABC에서 AB” : BC”=1 : '2이므로

3 : BC”=1 : '2 ∴ BC”=3'2(cm) …… 50%

△BCD에서 BC” : CD”='3 : 1이므로 3'2 : CD”='3 : 1, '3 CD”=3'2

∴ CD”='6(cm) …… 50%

18

오른쪽 그림과 같이 점 A와 x축 에 대하여 대칭인 점을 A'이라 고 하면 A'(-2, -3)…… 40%

AP”=A'P”이므로 AP”+BP”=A'P”+BP”

AP”+BP”æA'B”

AP”+BP”

="√{5-√(-2√)}¤ +√{4-√(-3)}¤ =7'2 …… 50%

따라서 AP”+BP”의 최솟값은 7'2이다. …… 10%

x y

O A

A' 3

-3

4 B

P 5

-2

19

꼭짓점 A에서 밑면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DM”= _18=9'3(cm)

…… 40%

AH”= _18=6'6(cm) …… 40%

∴ △AMD=;2!;_9'3_6'6=81'2(cm¤ ) …… 20%

'6 3 '3

2

C

M H

B D

A 18###cm

│23~26쪽│

01-

㉠, ㉢, ㉤

01- 01-

01-

'2

02-

20

02- 03-

03- 03-

;3$;

04-

04-

;5#;

04-

②, ③

05-

05-

05-

0

06-

20˘

06-

;4!;

06-

30˘

07-

7('3+1)

07-

07-

3'2+'6

07-

'2-1

08-

08-

1.81

09-

㉡, ㉤

09-

09-

0

10-10- ㉠, ㉥, ㉣, ㉡, ㉤, ㉢ 11- 1.9887

11- 34˘ 11- 2.3116

8'6 3

5'2 2 '3+1

2 2'6

7

'5 6 '3

3

'5 5 '∂29

6

1. 삼각비

VII . 삼각비

01-

AC”="√4¤ +3¤ =5

㉡ cos A=;5$; ㉣ sin C=;5$; ㉥ tan C=;3$;

01 -

△BCD에서 BC”="√8¤ -6¤ =2'7

△ABC에서 AC”="√12¤ -(2'7)¤ =2'∂29

∴ cos A= = '∂29 6 2'∂29

12

01 -

2x-y+4=0에 y=0, x=0을 각각 대입하면 A(-2, 0), B(0, 4)

직각삼각형 AOB에서 AO”=2, BO”=4이므로 AB”="√2¤ +4¤ =2'5 ∴ cos a= = '5

5 2 2'5

01 -

정삼각형 BCD에서 BM”= _12=6'3

AH”= _12=4'6 BH”=;3@;BM”=;3@;_6'3=4'3

따라서 △ABH에서 tan x=4'6='2 4'3 '6

3

'3 2

02-

tan B= =;3$;에서 AC”=16

∴ AB”="√12¤ +16¤ =20 AC”

12

02-

cos C= = 에서 AC”=3'2 AB”="√(3'2)¤ -('6)¤ =2'3이므로 cos A_tan A= _ = '3 3 '6 2'3 2'3 3'2 '3

3 '6 AC”

(13)

03-

cos A=;3@;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ABC에서

BC”="√3¤ -2¤ ='5

∴ tan A-sin A= -

∴ tan A-sin A= '

5 6

'5 3 '5

2

C

A B

2 3

03-

7 sin A-5=0에서 sin A=;7%;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ABC 에서 AB”="√7¤ -5¤ =2'6

∴ cos A=2'6

7 A

B C

5 7

03-

tan A=3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 삼각형 ABC에서 AC”="√1¤ +3¤ ='1å0

={ +

= ÷ 3 =;3$;

'∂10 4 '∂10

3 '∂10 1

'∂10 3 '∂10 sin A+cos A

sin A

A B

C

3

1

04-

① sin B= = ④ cos C= =

⑤ tan C= =AH”

CH”

AB”

AC”

CH”

AC”

AC”

BC”

AH”

AB”

AC”

BC”

05-

(주어진 식)=2_ +'3_'3_ =5'2 2 '2

2 '2

2

05-

(주어진 식)={ + }÷ -{1+;2!;}÷;2!;

(주어진 식)=3-3=0

'3 3 '3

2 '3

2

06 -

sin 60˘= 이므로 2x+20˘=60˘

2x=40˘ ∴ x=20˘

'3 2

06-

tan 30˘= 이므로 A=30˘

∴ sin A_cos(90˘-A)=sin 30˘_cos 60˘

∴ sin A_cos(90˘-A)=;2!;_;2!;=;4!;

'3 3

04-

△ABCª△EBD(AA 닮음)이므로 ∠C=x

△ABC에서 BC”=øπ(6'3)¤ +6¤ =12

∴ sin x+cos x=sin C+cos C

∴ sin x+cos x=

+;1§2;='3+1 2 6'3

12

04-

△ABDª△HAD(AA 닮음)이므로 ∠ABD=x

△ABD에서 BD”="√6¤ +8¤ =10

∴ cos x=cos(∠ABD)=;1§0;=;5#

06-

4x¤ -4x+1=0에서 (2x-1)¤ =0 ∴ x=;2!;`(중근) 즉, sin A=;2!;이므로 ∠A=30˘

07-

sin 30˘= =;2!;이므로 BC”=7

cos 30˘= = 이므로 AB”=7'3

∴ AB”+BC”=7'3+7=7('3+1) '3

2 AB”

14 BC”

14

07-

△DBC에서 sin 45˘= = ∴ BC”=4'2

△ABC에서 sin 60˘= = ∴ AC”=8'6 3 '3

2 4'2 AC”

'2 2 BC”

8

07-

△ABH에서 sin 45˘= = ∴ BH”=3'2

cos 45˘= = ∴ AH”=3'2

△AHC에서 tan 30˘= = ∴ CH”='6

∴ BC”=BH”+CH”=3'2+'6 '3

3 CH”

3'2 '2

2 AH”

6

'2 2 BH”

6

08-

cos 49˘= = =OB”=0.66

tan 49˘= = =CD”=1.15

∴ cos 49˘+tan 49˘=0.66+1.15=1.81 CD”

1 CD”

OD”

OB”

1 OB”

OA”

10-

㉠ sin 45˘= ㉡ sin 90˘=1

㉢, ㉤ 1<tan 50˘<tan 70˘

㉣, ㉥ <cos 35˘<cos 15˘<1

따라서 sin 45˘<cos 35˘<cos 15˘<sin 90˘<tan 50˘

<tan 70˘이므로 작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면 ㉠, ㉥,

㉣, ㉡, ㉤, ㉢이다.

'2 2

'2 2

07 -

△ABD가 이등변삼각형이고 ∠DBA+∠DAB=45˘

이므로 ∠DBA=∠DAB=22.5˘

△ADC에서 AC”=x라고 하면 sin 45˘= = ∴ AD”='2x tan 45˘= =1 ∴ CD”=x

따라서 BD”=AD”='2x이므로 △ABC에서

tan 22.5˘= = = 1 ='2-1

'2+1 x

('2+1)x AC”

BC”

x CD”

'2 2 x AD”

08-

BC”∥DE”이므로 ∠ACB=x

∴ cos x=cos (∠ACB)= =BC”=BC”

1 BC”

AC”

09 -

⑤ tan 90˘의 값은 정할 수 없다.

09-

(주어진 식)=1_(0-1)+1=0

10-

45˘<A<90˘일 때, cos A<sin A<1, tan A>1

∴ cos A<sin A<tan A

11-

sin 33˘+cos 35˘+tan 32˘

=0.5446+0.8192+0.6249=1.9887

11-

OD”=1이므로 OB”=1-0.4408=0.5592

이때 OB”=cos x이고 cos 56˘=0.5592이므로 x=56˘

AB”=sin 56˘=0.8290, CD”=tan 56˘=1.4826

∴ AB”+CD”=0.8290+1.4826=2.3116

(14)

│27~29쪽│

01 -

10.598

01 -

②, ⑤

01 -

5.96 m

01 -

9('3+1) m

01 -

10('3-1) m

02 -

5 cm

02 -

20'1å3 m

03 -

40'6 m

03 -

8 cm

04 -

04 -

25('3-1) m

05 -

10'3

05 -

9(3+'3 ) cm¤

06 -

10'2 cm¤

06 -

8 cm

06 -

(24'3+9'7) cm¤

07 -

4'3 cm¤

07 -

54 cm¤

07 -

14'3 cm¤

08 -

12'3 cm¤

08 -

4 cm

08-

cm¤

09-

27'3 cm¤

09-

120˘

15'2 2

2. 삼각비의 활용

01 -

a=c cos 47˘= , b=c sin 47˘=a tan 47˘

c= = a

cos 47˘

b sin 47˘

b tan 47˘

01-

AC”=20 sin 32˘=20_0.5299=10.598

01 -

△ABC에서 AC”=8 sin 35˘=8_0.57=4.56(m)

∴ (지면에서 연까지의 높이)=AH”=AC”+CH”

=4.56+1.4=5.96(m)

01 -

CH”=9 m이므로 △ACH에서 AH”= =9(m)

△AHB에서 BH”=AH” tan 60˘=9_'3=9'3(m)

∴ (건물 Q의 높이)=BC”=BH”+CH”

=9'3+9=9('3+1)(m) 9 tan 45˘

01 -

처음 배의 위치를 C, 1분 후 의 배의 위치를 D라고 하면 오른쪽 그림에서

∠CAB=60˘이므로

BC”=10 tan 60˘=10_'3=10'3(m) 또, ∠DAB=45˘이므로

BD”=10 tan 45˘=10_1=10(m)

∴ CD”=BC”-BD”=10'3-10=10('3-1)(m) 따라서 1분 동안 이 배가 이동한 거리는 10('3-1) m 이다.

45˘

30˘

A

C B D

10###m

0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4'2 sin 45˘

AH”

=4'2_ =4(cm)

BH”=4'2 cos 45˘=4'2_ =4(cm)

CH”=BC”-BH”=7-4=3(cm)이므로 △AHC에서 AC”="√4¤ +3¤ =5(cm)

'2 2 '2

2

45˘

A

B H C

7###cm 4 2cm

02-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CH 에서

AH”=60 sin 60˘

AH”=60_

=30'3(m) CH”=60 cos 60˘=60_;2!;=30(m) BH”=BC”-CH”=80-30=50(m)이므로

△AHB에서 AB”=øπ(30'3)¤ +50¤ =20'1å3(m) '3

2

60˘

A B

H C

80###m 60###m

03 -

∠A=180˘-(45˘+75˘)=60˘

꼭짓점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BCH에서 CH”=120 sin 45˘

CH”=120_

=60'2(m) 따라서 △AHC에서

AC”= =60'2_ 2 =40'6(m) '3

60'2 sin 60˘

'2 2

45˘ 75˘

A H

B C

120###m

03-

∠A=180˘-(30˘+105˘)=45˘

꼭짓점 C에서 AB”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HC에서 CH”=4'2 sin 45˘

CH”

=4'2_ =4(cm)

따라서 △BCH에서 BC”= 4 =4_2=8(cm) sin 30˘

'2 2

30˘ 105˘

A

B

H

C 4 2cm

04-

∠ACH=50˘이므로 AH”=h tan 50˘(m)

∠BCH=35˘이므로 BH”=h tan 35˘(m)

AB”=AH”+BH”이므로 100=h tan 50˘+h tan 35˘

(tan 50˘+tan 35˘)h=100

∴ h= 100 tan 50˘+tan 35˘

04-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 선의 발을 H라 하고 AH”=h m라고 하면

∠BAH=60˘이므로 BH”=h tan 60˘='3h(m)

∠CAH=45˘이므로 CH”=h tan 45˘=h(m) BC”=BH”+CH”이므로 50='3h+h, ('3+1)h=50

∴ h= =25('3-1)

따라서 육지에서 섬의 A 지점까지 가장 짧은 거리는 25('3-1) m이다.

50 '3+1

50###m H 30˘ 45˘

A

B C

05 -

CD”=h라고 하면 ∠ACD=60˘이므로 AD”=h tan 60˘='3h

∠BCD=30˘이므로 BD”=h tan 30˘='3h 3

(15)

AB”=AD”-BD”이므로 20='3h- h h=20 ∴ h=10'3

2'3 3

'3 3

05-

AH”=h cm라고 하면 ∠BAH=45˘이므로 BH”=h tan 45˘=h(cm)

∠CAH=30˘이므로 CH”=htan 30˘= h(cm) BC”=BH”-CH”이므로 6=h- h

{1- } h=6 ∴ h= =3(3+'3)

∴ △ABC=;2!;_6_3(3+'3 )=9(3+'3 )(cm¤ ) 18

3-'3 '3

3

'3 3

'3 3

06 -

△ABC=;2!;_5_8_sin 45˘

△ABC=;2!;_5_8_

'2=10'2(cm¤ ) 2

06-

;2!;_AB”_10_sin 30˘=20이므로

;2!;_AB”_10_;2!;=20, ;2%; AB”=20

∴ AB”=8(cm)

06-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AH”=8 sin 60˘

AH”=8_

=4'3(cm) BH”=8 cos 60˘=8_;2!;=4(cm)

CH”=BC”-BH”=12-4=8(cm)이므로 △AHC에서 AC”="√(4'3)¤ +8¤ =4'7(cm)

∴ ABCD

=△ABC+△ACD

=;2!;_8_12_sin 60˘+;2!;_4'7_9_sin 30˘

=;2!;_8_12_ +;2!;_4'7_9_;2!;

=24'3+9'7(cm¤ ) '3

2 '3

2

60˘

30˘

A

B H C

D

12###cm 9###cm 8###cm

07-

AC”=12 sin 60˘=12_ =6'3(cm)

∠ACE=∠ACB+∠BCE=30˘+90˘=120˘이므로

△AEC=;2!;_6'3_12_sin (180˘-120˘)

△AEC

=;2!;_6'3_12_'3=54(cm¤ ) 2

'3 2

07-

∠A=∠B이므로 AC”=BC”=4 cm

∠C=180˘-2_30˘=120˘이므로

△ABC=;2!;_4_4_sin (180˘-120˘)

△ABC=;2!;_4_4_

'3=4'3(cm¤ ) 2

08-

△AMC=;2!;△ABC=;2!;_;2!; ABCD

△AMC=;4!; ABCD=;4!;_10_6_sin 45˘

△AMC=;4!;_10_6_

=15'2(cm¤ ) 2 '2

2

09-

ABCD=;2!;_12_9_sin 60˘

ABCD

=;2!;_12_9_'3=27'3(cm¤ ) 2

07 -

ABCD

=△ABD+△BCD

=;2!;_4_2'3

_sin(180˘-150˘) +;2!;_8_6_sin 60˘

=;2!;_4_2'3_;2!;+;2!;_8_6_'3=14'3(cm¤ ) 2

B 60˘ C

A D

4###cm

6###cm

8###cm 2 3cm

150˘

08-

마름모 ABCD의 한 변의 길이를 x cm라고 하면 ABCD=x_x_sin 60˘=8'3이므로

x¤ =8'3, x¤ =16 ∴ x=4 (∵ x>0) 따라서 마름모 ABCD의 한 변의 길이는 4 cm이다.

'3 2

08-

ABCD=4_6_sin(180˘-120˘)

ABCD=4_6_

'3=12'3(cm¤ )

2

09-

두 대각선이 이루는 둔각의 크기를 x라고 하면

;2!;_8_9_sin(180˘-x)=18'3 sin (180˘-x)=

이때 sin 60˘= 이므로 180˘-x=60˘ ∴ x=120˘

'3 2

'3 2

│30~32쪽│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1112

13 14 15 6 1613.112

17 2'7 cm 18 10('3+1) m 1921'3 cm¤

2012

'5 3 2'2+'∂17

5

│서술형 문제│

01

BC”="√3¤ -1¤ =2'2

① sin A= ② sin B=;3!;

③ cos A=;3!; ④ cos B=2'2 3 2'2

3

(16)

03

cos A=;1!3@;이므로 오른쪽 그림과 같은 직각삼각형 ABC에서 BC”="√13¤ -12¤ =5

∴ sin A_tan C=;1∞3;_:¡5™:=;1!3@;

A B

13 C

12

04

(주어진 식)= _ +;2!;_1- _'2=;2!;

2 '2

2 '3

3 '3

2

05

cos 60˘=;2!;이므로 sin 2x=;2!;

이때 sin 30˘=;2!;이므로 2x=30˘ ∴ x=15˘

06

④ cos y= AC”BC” =BC”1 =BC”

07

① cos 0˘=1 ② sin 20˘<1 ③ tan 55˘>1

④ cos 80˘<1 ⑤ sin 90˘=1

08

x=15 cos 42˘=15_0.74=11.1 y=15 sin 42˘=15_0.67=10.05

∴ x+y=11.1+10.05=21.15

│서술형 문제│

09

∠C=180˘-(75˘+60˘)=45˘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고 하면 △ABH에서 AH”=8 sin 60˘=8_

=4'3 따라서 △AHC에서

AC”= =4'3_ 2 =4'6 '2 4'3

sin 45˘

'3 2

H 60˘

75˘

A

B C

8

10

AH”=h라고 하면 ∠CAH=45˘이므로 CH”=h tan 45˘=h

∠BAH=60˘이므로 BH”=h tan 60˘='3h BC”=BH”+CH”이므로 6='3h+h, ('3+1)h=6

∴ h= 6 =3('3-1) '3+1

11

;2!;_4_7_sin A=7'3이므로 sin A=

이때 sin 60˘='3이므로 ∠A=60˘

2

'3 2

12

ABCD=7_10_sin(180˘-135˘)

ABCD=7_10_

'2=35'2(cm¤ )

2

13

FH”="√5¤ +3¤ ='∂34, BH”="√5¤ +3¤ +4¤ =5'2 …… 40%

△BFH에서 ∠BFH=90˘이므로

sin x= = , cos x= = …… 40%

∴ sin x+cos x= + =4444444444444444442'2+'∂175 …… 20%

44444444'∂175 444444442'25

44444444'∂175 44444444'∂34

5'2 2'2

5 4 5'2

14

△ABCª△DEC(AA 닮음)이므로

∠CDE=x …… 40%

△DCE에서 DE”="√9¤ -6¤ =3'5 …… 30%

∴ cos x=cos(∠CDE)= ='5 …… 30%

3 3'5

9

15

△ADC에서 sin 45˘= =

∴ AD”=3 …… 50%

△ABD에서 sin 30˘= =;2!;

∴ AB”=6 …… 50%

444444443 AB”

444444'22 44444444AD”

3'2

16

cos 67˘= =0.3907이므로

AB”=10_0.3907=3.907 …… 40%

sin 67˘= =0.9205이므로

BC”=10_0.9205=9.205 …… 40%

∴ AB”+BC”=3.907+9.205=13.112 …… 20%

44444444BC”10 44444444AB”10

17

꼭짓점 A에서 BC”에 내린 수선 의 발을 H라고 하면 ∠B=60˘

이므로 △ABH에서 AH”=4 sin 60˘

AH”=4_

=2'3(cm)

BH”=4 cos 60˘=4_;2!;=2(cm) …… 50%

CH”=BC”-BH”=6-2=4(cm)이므로 △AHC에서 AC”="√(2'3)¤ +4¤ =2'7(cm) …… 50%

444444'32

120˘

B H C

A D

6###cm 4###cm

18

CH”=h m라고 하면 ∠ACH=60˘이므로

AH”=h tan 60˘='3h(m) …… 30%

∠BCH=45˘이므로 BH”=h tan 45˘=h(m) …… 30%

AB”=AH”-BH”이므로 20='3h-h, ('3-1)h=20

∴ h= =10('3+1)

따라서 가로등의 높이는 10('3+1) m이다. …… 40%

4444444444420 '3-1

19

ABCD

=△ABD+△BCD

…… 25%

=;2!;_6_10_sin 60˘

=

+;2!;_6_4_sin(180˘-120˘) …… 25%

=;2!;_6_10_ +;2!;_6_4_ …… 25%

=15'3+6'3=21'3(cm¤ ) …… 25%

444444'32 444444'32

60˘

120˘

A

B

C D 10###cm

4###cm 6###cm

6###cm

20

;2!;_15_x_sin 45˘=45'2이므로 …… 50%

;2!;_15_x_ =45'2

x=45'2 ∴ x=12 …… 50%

444444444415'24

444444'22

02

sin A= =;2!;에서 BC”=8(cm) AB”="√16¤ -8¤ =8'3(cm)이므로

△ABC=;2!;_8_8'3=32'3(cm¤ ) BC”

16

참조

관련 문서

step2 에서 구한 식은 y가 x에 대한 이차식 이므로 이차 함수 이다.. 바르게 설명한 학생은

산포도는 변량들이 평균 주위에 흩어져 있는 정도를 하나의 수로 나타내는 값이므로 표준편차가 클수록 산포도는 커지고 자료가 평균을 중심으로 멀리 흩어져 있음을

Key words: myosin phosphatase, type 1 phosphatase, MYPT1, Rho, Rho-kinase, CPI-17, smooth muscle, Ca 2+ sensitization, cGMP-dependent

[r]

2 내가 가장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도움을 줄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보기 3 내가 가장 친해지고 싶은, 가까이 하고 싶은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보기 4 이들을 종합하여 가까운

CIDR : A/B/C 클래스에 따르지 않는 넷마스크 사용 CIDR

⇒ 여러 가지 정규분포 중 평균이 0, 표준편차가 1인 정규분포를 특히 표준정규분포(standard normal distribution)라고 한다. 표준정규분포를 따르는

각 시장이 받은 점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