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5 건강도시실현을위한추진전략과과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5 건강도시실현을위한추진전략과과제"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

건강도시 실현을 위한 추진전략과 과제

김 영|경상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머리말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다. 특히, 건강한 음식, 주거, 문화, 사회 등 건 강한 의식주를 통하여 더 나은 삶의 질을 추구하고 있다. 공간적으로는 건강한 삶터, 일터, 생활터를 통해 더 나은 물리적 환경을 요구하고 있다. 결국 우리의 사 회환경이 양적(�的) 개념에서 질적(質的) 개념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초 현대화된 의료시설과 보건서비스, 고급화된 기술과 디자인으로 공급되 는 주택과 생활공간을 통해 보다 더 건강한 도시환경을 만들어가고 있다. 건강한 도시공간은 20세기 병원 등의 보건의료서비스 환경에서 21세기에는 주택을 비롯 한 생활공간 등 도시기반환경 및 평생생활환경으로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아지 고 있다.

최근에 화두가 되고 있는‘건강도시(Healthy Cities)’는 세계보건기구(WHO) 에서‘물리적∙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창출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증대시킴으로써 도시 구성원들이 개개인의 능력을 모두 발휘하고 잠재 능력을 최 대한 개발하여 서로 상부상조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로 정의되고 있다.1)도시는 단순히 건물과 도로 등의 집합체가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로 서 시민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쾌적하지 못한 도시환경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가능성은 오래 전부터 알려져 왔다. 대표적으로 19세기 유럽 각국에서 수

1) WHO. 1998. Health Promotion Glossary. Geneva.

(2)

5

건강 환경 사회

•전염병 방지 계획

•만성질환 방지 계획

•정신건강과 의학 보호 계획

•장기적 삶의 질 보호・강화 계획

•육체적 건강강화 계획

•다이어트와 영양 등급 계획

•담배위험 통제 계획

•깨끗한 환경 계획

•아름다운 커뮤니티 계획

•거리 경관을 위한 건물 계획

•수송시스템 발전 계획

•가정 쓰레기 감소 계획

•하수처리 계획

•생태산업 계획

•경제산업 발전 계획

•공공안전 유지 보수 계획

•재난 통제 방지 계획

•장애인 보호 계획

•문화적인 삶 정제 계획

•커뮤니티 조직 재교육 계획

•건강한 청소년 개발 계획

<표 1> 타이난 건강도시 분야별 사업계획

자료: 타이난 시. 2009. “The Achievements and Perspectives of Healthy City Tainan”. 필자 정리

백만 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콜레라로 인해 상하수도 시설의 정비가 이루어졌으 며, 이를 계기로 공중보건위생과 건강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생겼다. 현대에 들어 서 보행여건이 잘 마련되어 있지 못한 도시환경은 운동부족으로 이어져 비만인구 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환경, 주택, 교통문제 등 수많은 도시문제들이 제기되고 있으며, 도시민들의 생활환경 및 생활습관은 그들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한 경제적 비용이 증가 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강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보건증진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보건증진을 위한 도시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 는 국내∙외 건강도시사업 사례를 토대로 지리적, 도시공간적 측면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을 추구하는 건강도시 개발방안을 위한 담론적인 제안을 시도하고자 한다.

건강도시사업 현황 및 과제

1. 국내・외 건강도시사업 현황과 추진체계

초기의 건강도시는‘모든 인류에게 건강을(Health for All)’의 원칙으로 유럽 도 시에 확산되었으며, 당시의 건강도시사업은 건강을 모든 부문의 사업으로 만들 었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성과였다.2)최근에는 유럽을 중심으로 도시환경 개선에 초점을 두어 물리적, 심리적 웰빙과 건강 형평성 및 사회적 접촉을 강조하고 있

2) WHO. 1995.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ealth: Concepts, Principles and Framework for Action for European Cities and Towns”. Europea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Health Series: Book 1.

(3)

다.3) 결국 많은 건강도시사업들은 다양한 관점 에서 도시공간 구성과 계획을 유도하는 총체적 접근(Holistic Approach)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 세계 2천여 개의 건강도시에서 180개 이상 의 사업들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일본, 대만, 호주 등 우리와 서태평양지구에 속하는 국가에 서도 다양한 협력체제를 통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건강도시사업을 펼쳐오고 있다. 예를 들면, 호주의 건강도시 일라와라(Illawarra)는 월롱공 (Wollongong)대학교를 중심으로 지역보건서비 스, 정부, 비정부기구(NGO), 사회단체 등이 하 나의 파트너십을 갖추어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협력체제를 통해 다른 환경 또는 소외계 층과 함께 서로 다른 영역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태스크그룹모델(Task Group Model)을 개 발하기도 하였다.

일본에는‘건강문화도시’, ‘건강한 마을 발 의안’, ‘복지 도시 발의안’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한 100여 개 이상의 건

강도시가 있다. 특히, 이치가와시에서는 개인건 강을 위해 건강한 음식습관과 운동습관을 통한 자가 건강관리를 도울 수 있는 정책을, 물리적 환경을 위해서는 테마를 부여한 보행친화가로 조성, 수변공간과 녹지 개발을 통한 도시 건강 공간 개발, 환경교육과 아름다운 도시 만들기 운동을 장려함으로써 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

대만은 타이난(Tainan), 타이페이, 카오슝 등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건강도시사업을 추진 해오고 있다. 특히 남부에 위치한 타이난은‘생 태∙기술∙문화의 도시’를 지향하고, 유럽 건 강도시사업 지표를 바탕으로 지역 특성에 적합 한 새로운 지표의 개발과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WHO 서태평양지구 건강도시연맹에 서 성공적인 건강도시 사례로 소개되고 있다.4)

한편 영국 글래스고 건강도시는 시민의 성인 병 예방을 위해 건강도시 육성을 계획하여 1995 년 건강한 교통수단을 의미하는‘Fit for Life’라 는 건강도시사업을 도시민의 생명연장을 목표로

<그림 1> 물리적 환경 개선을 통한 건강도시사업: 영국 글래스고 주거단지(좌), 일본 이치가와시 도시방재공원(중), 대만 타이난의 노 인(은퇴자)을 위한 마을공원 내 연주 공간(우)

자료: 필자촬영 및 http://www.glasgowcitycouncil.co.uk/healthycities

3) http://www.euro.who.int/en/what-we-do/health-topics/environmental-health/urban-health.

4) 타이난시는 대만 남부의 경제,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 광주광역시와 자매결연을 맺은 도시다.

(4)

5

지자체 AFHC

가입연도 대표사업 사업예산

(천 원) 비고

강남구

(서울) 2005 탄천, 양재천 U-Healthpia 공원 설치,

건강한 생활터 만들기 930,300 2010년 WHO 건강 도시연맹 총회 개최 금산군

(충남) 2005 생활터 건강도시사업(건강한 시장 등),

아토피 건강체험장 조성사업 537,956 건강도시기본조례 남구

(광주) 2008 금연 그린건강 시범지구 지정운영,

아토피・천식 제로화 사업 24,600 건강도시기본조례 화성시

(경기) 2007 건강도시 화성프로젝트(생활실천, 질병

예방, 생활터 접근, 환경관리계획) 29,240 건강도시 자문위원회 설치 및 운영 원주시

(강원) 2004 비전2020 건강도시 원주발전 10년 계획

(평생건강운동의학센터 운영 등) 19,668,000 원주시민 건강의 날 조례

무주군

(전북) 2008 둘레길 조성사업, 전국레저축제 개최,

건강걷기프로그램, 건강쉼터 운영 5,140,351 도시계획전담부서가 담당

창원시

(경남) 2004 기후변화와 건강대책사업(건강증진대학

운영, 다양한 운영위원회 개최) 95,420 대한민국건강도시협 의회 운영(의장도시) 진주시

(경남) 2006

건강한 마을 만들기(건강불평등 완화사업), 진주시 장기발전계획 수립, 건강영향평가 사업

391,600 건강도시기본조례/

건강도시위원회 구성

제주도 2005 건강한 거리 지정 및 관리, 건강도시 공익

캠페인, 건강걷기대회 73,512 건강거리 지정 및 운영조례

<표 2> 국내 주요 건강도시사업 추진현황

자료: 건강도시. 건강증진사업지원단. 필자정리(2010).

<그림 2> 진주시 건강도시사업 사례: 강변 자전거도로(좌), 등산로 체육공원(우)

자료: 필자촬영 및 건강도시 진주(http://healthycity.jinju.go.kr)

추진하였다. 환경에 위해가 되는 교통수단 보다는 자전거나 도보를 이용할 수 있 는 안전한 도로시스템을 구축하여 시민들의 건강한 생활습관을 창출하고 나아가 도시환경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96년 과천시에서 첫 사업을 시작하여, 시민 건강증진사업의 일환으로 건강도시 사업을 기획하면서 전개되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건강도 시인 원주시는 의료기기산업의 육성과 절주운동 등을 통해 다양하고 특화된 건강

(5)

도시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창원시는 모든 정 책결정에서 전체 시민의 공중보건 증진을 우선 순위로 정하고, 보건 이외 다른 조직도 건강에 기여할 것을 정책의 목표로 삼아 건강도시계획

10대 과제를 실시해오고 있다.

5) 한편 진주시는 민관협력기구인 건강도시위원회를 구성하여, 사 업추진부서인 보건소 및 관련 부서와 긴밀한 협 력을 통해 다양한 건강도시사업을 추진해오고 있다.6) 진주시는 지역 실정에 맞는 건강도시 조 례를 제정하고, ‘계단걷기 캠페인’, ‘건강한 건 물지정’, ‘1530 건강증진 홍보’, ‘건강한 생활터 접근사업’등 각종 시범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으며, 2009년에는 도시기본계획에 적용하기 위한‘진주시 건강도시 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 여, 건강도시사업 추진의 지침 및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2. 도시 공간상의 문제점과 추진과제

도시가 건강하지 못한 이유는 개인적인 질병관 리나 건강관리의 부족도 있겠지만, 공중보건적 인 관점에서 대부분 도시생활환경이 악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그 동안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제한된 공간에 과잉인구와 산업시설을 수용하였 고, 최근에는 많은 도시들에서 교외화와 함께 도 심공동화 및 기성시가지의 쇠퇴가 급속히 진행 되면서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생활환경이 악화

된 도시공간을 도시재생사업, 뉴타운사업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재정비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소방도로도 없이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된 건강 하지 못한 주거지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특히 취약계층을 위한 시설이나 서비스 수준 이 상대적으로 매우 열악하여, 불균형한 도시공 간을 형성하고 있고, 이는 건강도시 구현에 큰 걸림돌이 되며, 최근의 WHO 건강도시의 취지 와도 일치하지 않는다.7)따라서 공간 지리적, 사 회 계층적 분석 위에 건강도시의 다양한 구성요 소를 파악하여 적절한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지 역 특색에 맞는 공간구조의 설정이 필요하다.

한편 건강을 위한 공공정책은 건강증진에 지 원되는 신규 기반시설과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결 정적인 대중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 리는 과정(Time-consuming Process)이다.8) 특 히, 건강도시사업을 추진하는 데는 각종 인프라 시설 확충을 위한 공간계획과 사업추진 참여자 들의 설득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사업 추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도시공간계획과 거버넌스 체계의 확립을 통하여 사업주체 및 공간상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5) 창원시(7월 1일 현재, 마산진해와 행정구역통합으로 통합창원시로 개명)는 건강 결정 요소인 물 공급과 공중위생, 주택조건 등을 포함하 도록 하여 전체 시민의 건강 증진을 모든 사업부문에서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6) 2009년과 2010년에는 시민 건강도시 포럼 및 워크샵 등을 통한 전문가와 시민의 의견수렴과 시민건강축제, 건강영향평가 시범사업 등 16개 시범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7) WHO 건강도시 5기(2009~2013년)에서는 취약계층을 위한 건강형평성(Health Equity in All Local Policies)을 강조하고 있다.

8) Goumans, M. and Springett, J. 1997. “From Projects to Policy: ‘Healthy Cities’as a Mechanism for Policy Change for Healt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12, no.4. p311.

(6)

5

건강도시 주요 추진방향

1. 건강도시와 도시기본계획

건강과 도시계획은 아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진다. 이미 150년 전 영국은 콜레라 발생을 계기로 공중위생법을 개정한 도시계획법 재정을 통해 건강도시를 위한 많 은 기반시설을 구축하였고, 미국은 말라리아 발생 등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조 례재정을 통해 다양한 용도지역제를 시행하였다. 현대 도시계획은 도시지역의 대 지와 건축물의 특징, 미래의 유용성에 대한 결정의 조직적 과정을 가지며, 직접적 으로 물리적 형태와 기존 환경의 관리에 영향을 끼치고, 환경적 측면에서 수많 은 체계적 방법으로 시민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9)

WHO

건강도시사업 보고서에서는, 건강도시계획의 도시정책에서 건강에 대 한 영향을 인지하는 것과 도시계획의 주요 부분으로서 건강 목표를 강조할 필요 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10)도시계획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설문조 사 결과)으로는 교통, 환경부문 등으로 나타났다.11)우리나라의 한 지방도시에서 는 도시건강을 위해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분야가 금연∙절주 사업과 보행환경 개선, 도시경관 정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행은 공공건강 정책과 환경 의 중요한 요소인 육체적 활동으로 최근 지방정부 정책에서 핵심이 되고 있다.12)

2.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공간적 적용과 PPP를 통한 건강도시사업 추진체계 구축

건강도시사업은 크게 건강증진 프로그램(Program)을 중심으로 하는 사업과 물리 적 환경개선을 위한 프로젝트(Project) 중심의 사업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는 개인 및 공공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중심의 건강도시사업이 많은 반면, 유 럽이나 북미, 호주에서는 생활환경 개선을 통한 프로젝트 중심의 건강도시사업들 이 많다. 우리의 건강도시사업도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생활환경의 종합적인 개 선을 위한 다양한 공간 및 서비스의 적정배치와 관리가 시급하다. 시민의 금연∙

9) 2000. Healthy Urban Planning. London and New York. Spon Press. p9.

10) Duhl(1986)과 Sanchez(1999)는 도시계획과 건강 간의 역사적인 관련성, 특히 핵심이 되는 도시생활 및 도시 문제의 복잡한 연관성을 토대로 건강한 도시계획을 위한 대안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Barton H. and Tsourou.

C. p1) 11) Ibid, p66.

12) Owen, N∙Humpel, N∙Leslie, E∙Bauman, A and Sallis, J. F. 2004. “Understanding Environmental Influences on Walking: Review and Research Agend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27, no.1. pp67-76.

(7)

절주운동 등의 사업도 중요하지만, 금연구역 지 정이나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인프라도 구축되 어야 한다.

한편 건강의료 서비스와 도시안전서비스의 효율적 배분을 위한 지리공간적 분석과 응용도 필요하다. 특히, 지역 응급의료체계는 그 지역의 인구, 지형, 도로망, 주력산업 등을 감안하여 구 축되어야 하기 때문에 국가 응급의료체계의 구

축보다 더욱 세밀한 공간계획이 요 구된다.13)이러한 사업들을 효율적으 로 입안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우 선 종합적인 계획시스템의 구축과 다양한 아이디어 개발, 이를 공간적 으로 적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입 안 및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을 담은 장기적인 건강도시 종합 마스터플랜 (Master Plan)이 수반되어야 한다.

건강도시사업은 우선적인 종합계 획의 기반 위에 각종 프로젝트를 입 안, 선정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 하여 운영관리를 모색하는 계획-프 로젝트-프로그램 차원에서 총체적으 로 추진될 필요가 있다.

건강도시 조성을 위한 주요 추진전략

1. 건강한 보행공간의 조성

최근 보행이 건강에 유익하고 친환 경적이며, 에너지 절약적인 통행수단이라는 인식 이 확산되면서 출퇴근, 여가, 운동을 목적으로 하 는 보행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14)하지만 도시 내에서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공간기 반이 아직도 미미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하천, 산림, 해안, 도심 내 공원녹지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건강∙문화∙생태회랑 같은

<그림 3> 건강을 위한 도시계획에 미치는 영향 조사

(단위: %)

무응답 근린지역과 이웃 계획과정 도시계획요령 환경과 문화유산의 보전 주택 공공 공간/시설 교통

0 5 10 15 20 25 30

자료: Healthy urban planning. 2000. 필자정리.

<그림 4> 도시건강을 위한 중요 요소 조사

(단위: %)

기반시설정비 정기계획수립 지표설정 조직구성 도시경관 보행환경개선 생활권 정비 금연/절주사업

0 5 10 15 20 25 30

자료: 진주시 건강도시 장기발전계획. 2009.

13) 도병수 외. 2002. “대구광역시 지역 응급의료체계의 현황분석을 통한 보완 및 개선책 제시”. 대한응급학회지 제11권 2호. p2.

14)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한 도시인‘건강도시’의 개념은 빨라지는 정보와 통신의 속도에 대비해서 쾌적한 환경에서 편안하게 즐길 수 있

는 보행의 속도가 기본이 된다(임윤택, 2007).

(8)

5

복합 개념의 등장은 기존의 생태계와 건강공간을 융합하고 문화와 여가 수요를 충 족시키는 요소를 부과하면서 바쁜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현실 적인 대안이다. 그리고 폐선부지나 활용도가 낮은 도로 등을 이용하여 자전거 및 보행용 회랑을 조성한 녹색 네트워크 구축도 중요한 건강도시사업이다. 녹색보행 공간(Green Way)은 지역과 지역, 도심과 교외지역을 연계시키고, 누구나 이용 가 능한 자전거도로 등 녹색교통체계를 네트워크화할 수 있어야 하며, 통근, 쇼핑, 산 책, 레크리에이션 등 일상생활을 영위하면서 동시에 건강증진을 할 수 있는 도시 공간의 설계 및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보행환경 쾌적성이 지속가능한 도시평가 의 주요 지표로 설정되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도시기본계획, 도시교통정비계획, 도로정비계획 이외에도 보도정비계획을 수립하여‘명품가로, 건강도시’를 주도적

<그림 6> PPP(Planning-Project-Program) 과정을 통한 건강도시사업 추진체계 구축

Feedback

Planning Project Program

기법적용

건강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건강도시사업 및 재생사업의 발굴

프로그램을 통한 사업의 운영과 관리 사업의

체계화

계획시스템 구축

거버넌스 구축

<그림 5> 샌프란시스코 공공건강 부서의 건강증진 모델

사회적 환경

개인 반응

•행동

•생명작용

물리적 환경

유전적 환경

건강과 기능

질병과 부상

건강과 의료

웰빙 번영

자료: Toward the Healthy City. 2009. p117.

(9)

으로 조성할 수 있는 기구 및 조직의 설치, 재원 확보, 제도 개편 등의 추진방안이 시급히 마련되 어야 한다.

2. 바람길 조성 및 공지를 활용한 건강한 도시공간 조성

고층화∙고밀화된 건축물 배치는 도시 내 공기 의 흐름과 순환체계를 변화시킨다. 이는 지구 내 바람의 유입을 차단시켜 도시 내부의 환기기능 을 악화시키며, 자동차 매연으로 인한 대기위생 문제는 공중보건을 위협하고 있다. 독일의 슈투 트가르트(Stuttgart)에서는 바람길을 조성하여 열악한 외부 대기환경 및 건물 환기기능의 개선

과 도시열섬현상 방지, 그리고 미기후조절의 극 대화를 통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함으로써 건강한 도시환경을 조성하였다. 바람길을 조성하기 위 해서는 우선 자연환경 및 기후조건, 대기오염 정 도 및 바람통로 분석과 통경축의 설정, 적정밀도 및 높이의 건축규제와 조경디자인, 오픈스페이 스의 확보를 통한 체계적이고 대안적인 공간계 획을 수립해야 한다.

3. 수변공간 및 도시 숲 개발을 통한 건강도시 조성

수변공간은 이수∙치수 기능 외 교류 네트워크 의 거점으로서 다양한 여가선용 및 관광 기능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건강한 수변공간 조성은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 사업과 연계할 수 있다. 시드니 달링하버나 미국 볼티모어항의 경우, 항만 운영으로 시민들의 접근이 단절되었던 지역을 시민 레저활동을 위한 기반시설로 정 비하고, 해양 수변공간을 시민 여가시설 및 상업시설과 조화시 켜 건강한 도시공간으로 재창출 하였다. 또한 수변공간은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자원 모델로 활 용될 수 있으며, 도시에 활력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요소 및 건강 문화를 창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도심과 단 절된 수변공간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자전거 및 보행 도로의 네 트워크 구축과 데크(Deck), 테

자료: 무주군 건강도시 기본계획. 2009; 인천서창 2지구 MA 설계보고서. 2007.

찬바람 생성지역 계절풍(해풍) 찬공기 흐름 단지내부 유입

범례

<그림 7> 무주군 건강존(좌), Healthy Nature Strip 개발계획(중), 인천서창지구 바람길 계획(우)

(10)

5

여가수요 여가내용 활동

신체적 건강 숙박, 숙식, 운동 캠핑, 소풍, 조깅, 자전거

사회적 접촉 동행, 경쟁, 주민참여 가족・그룹 캠핑, 극기훈련, 자원봉사, 친구 만들기

일상의 탈출 휴식, 고독, 평안함, 재충전, 자연경험 놀이, 휴식, 산책, 야생동물관찰, 운동, 자전거

정신적 자극 미적감상, 창조, 공동체의식, 오락, 새로운 경험, 학습과 연습

사진 찍기, 그림그리기, 정기적 방문, 지역역사학습, 자원봉사, 등반

<표 3> 여가수요별 도시 숲의 활동 구성

자료: Irving. 1985. 권진오 재인용. 도시숲의 가치와 이해 그리고 미래. p113.

라스 등을 활용한 공간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 숲은 꾸준한 운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질병의 치유 및 예 방의 효과를 발휘한다. 정신적 측면에서 스트레스 해소, 심신 회복, 일상에서 탈 피 등 심리적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산소 공급, 소음 방 지, 기후 완화 등의 역할을 통해 도시 에너지 절약과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특히, 녹색 네트워크에서 도시 숲에 작은 거점 역할을 부여하고, 건강한 도시생태계와 아름다운 경관을 유지하도록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 민과 기업, NGO 등의 참여 확대, 운영 전문성의 제고를 통해 시민 모두가 체계적 으로 도시 숲을 관리한다면 도시 삶의 질 향상과 시민의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하 게 될 것이다.

4. 공공공간의 활용과 커뮤니티(동네) 환경개선사업

커뮤니티 내 공공공간은 지역주민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주민들 간의 이동과 만남, 놀이를 통해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사회화 기능을 가진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관리자 중심으로 조성되어 실질적인 수요를 충족시키 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용자 위주의 건강한 커뮤니티를 조성하기 위 해서는 주거 규모, 밀도,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우선적으로 공공공간의 확충 이 필수적이다. 지역적 특성에 따라 친환경적이고 독창적인 주택기준을 마련하여 주거지 내 경제, 공공, 문화, 여가활동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중심 커뮤니티 센터를 도입하고, 복합용도 개발, 취약계층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Universal Design)과 무장애(Barrier-free) 도시의 개념을 적용한 각종 시설의 재 배치를 통해 건강한 주택단지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거환경이 열악한 영세민 밀집지역은 도시경관과 커뮤니티 환경 등 주

(11)

변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위해 현재 시행 중인 동네마당 조성사업의 개념을 확대할 필요 가 있다. 특히 취약계층 주민에게 이웃 간의 만 남과 공동문화∙휴식복합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지역공동체가 형성되고, 사회통합성을 높일 수 있으며, 도시공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 취약계층을 위한 지원프로그램 운영과 노동 집약형 소규모 건축공사 시행을 가능하게 해 지 역 영세민을 위한 일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

5. 도시 간・지구 간 연계를 통한 응급의료 및 긴급구조 시설 및 서비스 체계 정비

동시다발적인 재난∙재해에 대한 도시 구조적 정비와 더불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도시 방재 시스템과 이와 연계된 응급의료 시스템 체 계의 정비는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을 만드 는 기반이 된다. 응급구조대 등 응급시설들의 도 심지 집중배치는 응급의료 서비스나 긴급구조 서비스의 불균형을 초래함으로써, 자칫 대응시

간(Response Time)의 지체로 이어져 시민들의 생명에 위협을 주게 된다. 즉, 건강도시사업에서 주민의 서비스 혜택의 형평성을 결정적으로 저 해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주요 시설과 서비스를 주변도 시와 연계시킬 경우 물리적, 시간적 접근성 확보 가 중요하므로 특히 응급의료 및 긴급구조시설 과 서비스는 인접지역과 연계협력을 통하여 체 계적으로 배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 체 간 경쟁이 아닌‘외부적 연계를 통한 부문별 내부역량 강화’를 토대로, 지자체 상호간 협력교 류를 위한 협치체계(Governance System) 구축 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건강도시사업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

건강도시사업을 통해 시민건강과 삶의 질을 증 진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해당 부서의 노력만 으로는 사업정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낼 수 없 다. 그러므로 전체 커뮤니티를 고려한 도시개발 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개발 주체를 넘어 서는 광범위한 연대가 필요 하다(Evelyne de Leeuw,

2001). 이는 실질적인 주민

참여를 위한 것이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그 동안 충분하 지 못했던 공공의 역할을 제 대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건강도시사업과 프로 그램의 실현가능성을 높이 기 위해서는 여러 부문의 주

<그림 8> 도시 간 연계를 통한 응급의료체계 정비

고려사항 중소도시

대도시 인구수

지형 도로망 주력산업

방재시설 안전시설 응급의료시설 연계시설

(12)

5

<그림 9> 건강한 도시환경을 위한 거버넌스 체계

도시 거버넌스

•시민, NGO 공동관리

•협의를 통한 건설적 대안제시

•기업, 전문가의 참여지원

•대안적 공동체 형성

•참여 활성화

•공동체를 통한 자치능력 함양 시민과 시민의식

도시(생활)환경

•생활환경 어메니티 개선

•공원 녹지 등 시민공간 확보

•잘 갖추어진 도시인프라 시설, 하부구조시설

•시민, 기업 등의 접근성 제고 도시기반시설 건강환 도시환경

건강복지 도시경제

도시경제 도시방재

물리적

환경 소외계층

체들이 개별 역량 및 상호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WHO의 지침에서도 언급했듯이, 건강도시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이끌어내어 각종 여론을 수렴하고, 모든 주체의 참여를 유도하는 위원회와 협의 회 등을 조직하여 사업에 실제 적용 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맺음말 : 향후 과제 및 결론

급속한 기후변화와 도시개발로 인해 악화된 도시환경과 각종 질병으로 우리의 건 강은 크게 위협받고 있다. 오래된 역사적 경험에서 알 수 있듯이 이 같은 위협에 대한 대응이 지체되면 수많은 생명을 잃는 비극을 초래하여, 도시의 큰 재앙이 될 수 있다. 이제 개인의 질병과 건강관리 차원보다는 공공의 건강 위해요인을 차단 할 수 있는 도시환경 개선이 매우 시급한 시점에 이르렀다. 이러한 취지로 WHO 는 오래 전부터 다양한 건강도시사업과 프로그램을 담은 공간적, 체계적, 제도적 지침을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키고 있다.

우리나라의 건강도시들은 유럽과는 달리 건강증진 개념의 공간적 적용방안과 건강도시사업 추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아직도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건강 도시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공간적 계획과 적정서비스

(13)

배분, 제도적 지원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첫째, 도시계획, 국토계획을 토대로 서로 다 른 행정구역과 지리적인 상호연계 강화적인 사 업과 정책들을 통해 지역 또는 광역 차원에서 공 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생에너지 자원의 개발과 보행로, 도시 숲 조성, 수변공간의 활용 등이 필요하고, 사업이나 마을 단위에서 건강도시의 개념을 적용하여 기 본적인 건강한 공간과 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생명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긴급구 조 및 의료, 안전서비스의 적절한 공간적 배분체 계가 필요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주거 및 공공공간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특히, 도시재생 사업에서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한 주거모델 개 발은 건강도시와 쉽게 접목될 수 있다.

셋째, 오랜 기간이 소요되고 지지계층이 필요 한 건강도시 구현을 위해서는 주민참여와 파트 너십을 통한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모든 주체들이 참여하는 공적 합의를 통해서 공공이 원하는 건강한 도시환경과 공간 이 창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건강한 환경과 공간은 궁극적으로 개 인 및 공공의 웰빙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결 국, 개인주의(Individualism)와 이타주의 (Altruism)를 동시에 추구하는 건강도시는 건강 한 사회, 건강한 국가를 만드는 튼튼한 초석이 되고, 부강한 국가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 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김 영. 2009. “건강도시 추진과정과 건강문화사업 추진전략”. 고령화 시 대에 대응한 건강문화 클러스터 조성전략 모색을 위한 세미나.

충남발전연구원・국토연구원・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29- 58

김 영 외. 2009. “AHP 기법을 이용한 건강결정요소 및 건강도시사업 가중치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제22집 203호.

pp35-387.

도병수 외. 2002. “대구광역시 지역 응급의료체계의 현황분석을 통한 보완 및 개선책 제시”. 대한응급학회지 제11권 2호. p2.

박진호. 2010. 주요건강결정요인과 건강도시사업 분석평가에 관한 연 구. 경상대학교 석사논문.

송낙헌 외. 2008. 건강도시육성 및 지정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p49.

이경환 외. 2007. “건강도시계획요소의 국제간 비교연구”. 한국도시설 계학회지 제8권 4호. p6.

이승현. 2007. 건강도시계획을 위한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논문

임윤택. 2007. “도시경쟁력 제고와 살고 싶은 도시 과제”. 대한국토?도 시계획학회 강원지회 세미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5. 건강도시 건설 및 운영을 위한 계획지침의 개발. p234.

행정안전부. 2008. 동네마당 조성사업 표준모델 및 프로세스 개발.

pp5-8

Coburn, Tason. 2009. Toward the Healthy City: People, Places and the Politics of Urban Planning. London, England : The MIT Press.

Eva Leslie, Lain Butterworth, Melissah Edwards. 2006.

“Measuring the Walkability of Local Communiti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Data”.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alking & Liveable Communities. pp1- 10.

Evelyne de Leeuw. 2001. “Global and Local(Glocla) Health: The WHO Healthy Cities Programme”. Global Change &

Human Health vol.2, no.1. p34.

Hugh Barton and Catherine Tsourou. 2003. “Healthy Urban Planning”. WHO Europe.

Hancock, T. 1999. “People, Partnerships and Human Progress:

Building Community Capital”.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16, no.3. pp275-280.

_________. 1999. “Health Care Reform and Reform for Health:

Creating a Health System for Communities in the 21st Century”. Futures 31. pp417-436.

_________. 2000. “Urban Ecosystems and Human Health”.

Seminar IDRC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Centre) and management of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Latin America

_________. 2005. Healthcare Quarterly, Healthy Cities and Communities Short Course. Australia, Deakin University _________. 2005. “Green Healthcare”. Healthcare Quarterly vol.8,

no.1. p.40

Kim, Yeong. 2008. “Indicators and Urban Planning for Healthy Cities in Korea”. Ichikawa Japan.

(14)

5

__________. 2009. “A Study on Effective Action Planning for Healthy Cities Projects”. 2010 AURG. Fukuoka.

Japan

Leah Janss Lafond・Zoe Heritage・Jill L. Farrington・Agis D. Tsourou. 2003. A Powerful Force for Health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Europe.

Duhl, L. J・Hancock, T and Twiss, J. 1998. “A Dialogue on Healthy Communities: Past, Present, and Future”. National Civic Review vol.87, no.4. pp283-292.

Goumans, M. and Springett, J. 1997. “From Projects to Policy: ‘Healthy Cities’as a Mechanism for Policy Change for Health?”.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12, no.4. p317.

Owen, N・Humpel, N・Leslie, E・Bauman, A・Sallis, J.F. 2004. “Understanding Environmental Influences on Walking: Review and Research Agend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27, no.1.

pp67-76.

Smage, C. 2005. Health and Ethnicity: A Critical Review. London. Kings Fund Institute/SHARE.

Yvonne, G. Doyle・Agis D. Tsouros・P. Colin Cryer et al. 1999. “Practical Lessons in Using Indicators of Determinants of Health across 47 European Citie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vol.14, no.4.

pp289-290.

http://www.euro.who.int/en/what-we-do/health-topics/environmental-health/urban-health

참조

관련 문서

 나이가 들면 신체 구성분과 대사의 변화로 탈수증의 가능성이 높고, 대수롭지 않은 설사나 식중독에 의해 탈수되기 쉽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물을 마셔야 합니다..

 지원자 중 조직이 필요로 하는 직무에 가장 적합한 자질을 가진 인력을 고용할 것을 결정하는 과정..  기능과 기능 간에 발생되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 지원자 중 조직이 필요로 하는 직무에 가장 적합한 자질을 가진 인력을 고용할 것을 결정하는 과정..  기능과 기능 간에 발생되는 직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S국은 국내법에 따라 과세할 권리를 기지고 있 지 않기 때문에 , 그리고 조세조약에 따라 소득이 귀속될 S국에 있는 Tco가 S국에 고정사업장을 가지고 있지

개임의 대한 문의 전화는 새로운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다운로 드 부탁드립니다

- 기존 장기 공급계약과 신규 계약 하에서 가스 인도를 위한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 지 못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Gazprom은 신규 파이프라인 건설에 상당한 투자 를 하고

First, we can approximate mismatch-induced offsets as low-frequency AC noise and hence substitute time- consuming Monte-Carlo simulations with small-signal noise consuming

다행히도 이제 동지가 지나가고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햇빛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점차 더 길어진다.. 봄이 오면 날씨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