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피터 테일러: 세계화 속의 월드시티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피터 테일러: 세계화 속의 월드시티"

Copied!
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피 터터 테테 일일 러러 (( PP ee tt ee rr JJ .. TT aa yy ll oo rr ))

양도식 | 런던대학교(UCL) 도시계획학과 도시설계 튜터 및 연구원(인터뷰, 정리)

영남대학교 건축공학과 졸업(BA), 런던대학교(UCL) 건축학과에서 건축디자인 석사(M.A.), 동 대학 도시계획학과에서 도시설 계전공으로 박사과정(Ph.D.)을 마쳤다. 현재 런던대학교 도시계획학과에서‘도시공간분석과 도시설계’과목 튜터와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홍콩의‘West Kowloon Cultural Waterfront District’프로젝트 도시설계 컨설턴트와‘Living Places: Caring for

Quality(ODPM)’프로젝트의 연구원으로 참여하였고「영국의 권역별 계획과 자치구 계획의 운영실태 연구」(2007)(서울시정개

발연구원 수탁과제) 관련 연구책임을 맡았다. 주요 논문은「포스트모던 도시수변공간의 문화적 사용을 위한 도시설계과정 분석」

(2006), 「문화공간으로서 도시수변공간의 성공을 결정짓는 다섯 가지 도시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찰」(2007) 등이 있다. 주요 관심 영역은‘포스트모던문화 도시수변공간의 도시설계 이론과 도시재생’, ‘포스트모던 도시공간과 문화현상’, ‘도시디자인 지침서와 코드개발’, ‘한국형 어버니즘’그리고‘세계화와 월드시티 어버니즘의 양상’이다.

피터 테일러 교수는 러보러대학(Loughborough University) 지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세계화와 월드시티(Globalization and World Cities: GaWC)’연구소의 설립자이며 공동대표(co-director)로 활동 중이다. 1982~1988년까지「Political Geography」저 널, 1992~1997년에는「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저널의 편집장을 역임했다. 그의 베스트셀러인「Political Geography: World-Economy, Nation-State and Locality」는 국제적으로 널리 번역되었다. 이외에도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Hierarchical Tendencies Amongst World Cities」(1997), 「Specification of the World City Network」(2001), 「World City Network-a Global Urban Analysis」(2004), 「Cities within Spaces of Flows: Theses for a Materialist Understanding of the External Relations of Cities」(2006), 「Cities in Globalisation」(2006) 등이 있다. 현재에도 세계화와 월드시티에 관한 왕성 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월드시티 자체보다는 상호 관계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 interview

T a y l o r

P e t e r J.

(2)

양도식

양도식(이하 ‘양’): 교수님께서 설립하신 ‘세계화와 월드시티 (Globalisation and World Cities: GaWC)’연구소에 대해 설명해 주십시오.

그리고 현재의 활동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피터 테일러(이하‘테일러’): GaWC연구소는 1990년대 후반에 설립되었 습니다. 다른 동료와 함께 시작된 월드시티에 대한 관심은 기존에 진행된‘월 드시티 자체’에 대한 연구보다는 월드시티 간의‘상호 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 를 거듭하게 하였습니다. 예를 들자면, 시카고가 뉴욕, 로스앤젤레스, 그리고 다른 월드시티와는 어떻게 연관되어(links to) 있는가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호 관계에 대한 주제가 저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어 이용가능한 데이터의 부족과 방법론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항공관련 데이터를 사용한 전통적인 방법의 월드시티에 대한 연구 가 있었으나 월드시티 간의‘상호 관계의 패턴(patterns of interrelationship)’

을 알아내는 데는 많은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직시하면서“어떻게 하면 이용자 측면에서 월드시티 간의 관계를 연구할 수 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타입의 월드시티 사용자가 존재하지만, 저는

Sasskia Sassen의 주장을 바탕으로‘고차원 생산자서비스(advanced

producers services)’1)에 관심을 두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세계도시의 하나인

① 런던이 다른 세계와 어떻게 연관되어 있고, ② 월드시티에서 런던의 경제적

피터 테일러: 세계화 속의 월드시티

- ‘장소의 공간’정책에서‘흐름의 공간’정책으로

양도식|런던대학교(UCL) 도시계획학과 도시설계 튜터 및 연구원(인터뷰, 정리)

(3)

Peter J. Taylor

Yang, Do-Shik(‘Yang’): Could you explain about the GaWC(Globalisation

and World Cities) and its current activities?

▶▶Peter J. Taylor(‘Taylor’): We started GaWC (Globalisation and World

Cities) in the late 1990s. I and my colleague had interests in cities, especially world cities. Basically, we found that there was a dearth of work being done on relationship between cities. For example, how does Chicago link to New York or to Los Angeles and to the rest of the world. It was very difficult to see what data is available and how you could study that. There was a tradition of using airline data to study these things but there was a limitation in using airline data to analys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world cities.

So we started thinking about how you would study relationships between c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ho use cities. Who are the users?

There are lots of users. We settled on Advanced Business Services following Sasskia Sassen. Given Sasskia Sassen’s argument, we chose these people and asked how they use cities. And that allowed us to start thinking, in our case, about London.

We asked several questions: ①how London links to the rest of the world; ②what kind of businesses are in London; ③how they do business

Peter J. Taylor:

From Policy for ‘Space of Place’

to Policy for ‘Space of Flow’

-World City in Globalisation

(4)

역할은 무엇이며, ③ 어떻게 다른 세계와 비즈니스 를 실행하고 있는가에 대해 1997년부터 GaWC연 구소가 설립되어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양:GaWC연구소는 월드시티와 세계화에 관련한

세계적인 인적 네트워트를 구성해 다양한 연구를 진 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교수님의 관심 영역에 대해서 간략하게 말씀해 주십시오.

▶▶테일러:월드시티 및 세계화와 관련된 저의 관 심영역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습 니다. 그 하나는 양적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질적 영역에 관한 연구입니다.

먼저 양적인 면의 연구에 있어서는, 월드시티들 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세계적인 은행, 회계, 미디어 회사와, 비정부기관의‘상호 밀착도’를 월드 시티의 네트워크상에서 연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간적인 측면에서 이들의 변화과정을 모니터링하 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이 어떤 변화의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많은 문헌연 구의 결과는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잠정 적인 결론을 내리고 있지만, 저는 변화가 구조적이 며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와 관련 된 증거들을 현재 연구를 통해 수집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질적의 영역의 연구에 있어서는, 월드 시티를 주 무대로 활동하고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부류의 사람들과 인터뷰했던 자료를 기초로 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저의 첫 번째 프로 젝트는 런던과 프랑크푸르트를 비교∙분석하는 것 이었습니다. 그 당시는 유로화 정책이 시작되고 유 럽중앙은행이 프랑크푸르트에 생긴 해였습니다. 사 람들은 제게 프랑크푸르트에 유럽중앙은행이 건립 되는 것이 런던에 어떠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에 대한 질문을 많이 했습니다. 연구의 결과는 프랑 크푸르트와 런던이 공존하고 상호 보완하면서 성장 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즉, 두 월드시티가 서 로 쇠퇴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는 점입니다. 왜냐 하면, 세계적인 회사들이 두 지역에 많은 투자를 동 시에 하고 있으며 런던과 프랑크푸르트를 그들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프랑크푸 르트에 긍정적인 것은 런던에도 긍정적이고, 런던 에 긍정적인 것은 프랑크푸르트에도 긍정적이었다 고 할 수 있습니다.

양:GaWC연구소의 여러 연구 결과 중 월드시티

를 알파, 베타, 감마 등으로 분류한 표는 세계화와 월드시티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서 많이 인용되고 있습니다. 이 분류표에 대해서 설명해 주십시요.

▶▶테일러:12그룹의 월드시티 분류에 대해서 언

급하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알파, 베타, 감마 등 의 분류는 위에서 말한 런던관련 연구를 하면서 만 들게 되었습니다. ‘런던이 다른 월드시티와 어떻게

1) GaWC연구소에서 런던과 다른 월드시티 간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 지표로 사용한 회계, 광고, 금융∙은행, 법률관련 회사를 지칭

(5)

with other parts of the world. That is really how we started. We had a project about London in 1997 asking question how London links to the rest of the world in business perspective.

That is basically where we start.

Yang: GaWC is currently conducting various projects through international research

network. What is your main research topic in GaWC?

▶▶Taylor: Basically, we do two different directions . One set of research is the ‘quantitative

side’. The other is the ‘qualitative side’.

On the quantitative side, we investigate the level of interlocking of banks, advertising, accountancy, media compan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which interlink between cities. That is one way we are doing it. The second way in quantitative analysis is to try monitoring over time because we do not know very much about how changes are operating.

There is a literature on assumption that changes are rapid. We have feeling that change is very structural and very slow. We are looking at evidence for that now. It is a little bit mixed. Rapid change is going on. Some things stay the same.

And we have ‘qualitative side’. We basically interviewed people who are using cities.

Our first major project on that is comparing London to Frankfurt. That was after EURO started. European Central Bank was located at Frankfurt. People were asking question that all this process was contradicting and going to hurt London. Our research project, however, showed that this is not the case. Many city relationship is cooperative as well as competitive.

It is the same bank that is in London and Frankfurt. They do not want London decline.

They do not want Frankfurt decline. They want both cities to do well because they got a lot of money invested in both cities. Therefore they use London in one way to get into global market.

They use Frankfurt another way to go to Euro land, perhaps go to Eastern Europe. They both got a different role. So what is good for London is good for Frankfurt. What is good for Frankfurt is good for London.

(6)

연관되어 있는가?’에 대한 방대한 문헌연구를 시작 하였지만 관련된 연구자료가 전무한 상태였습니다.

그래서 런던과 다른 월드시티 간의 관계를 설명하 는 과정에서 12그룹의 월드시티를 나타내는 알파, 베타, 감마와 월드시티형성 초기도시를 분류하게 되었고, 런던과 알파시티, 런던과 베타시티, 런던과 감마시티 등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좀 더 면밀 하게 분석하기 위해 1998년에 분류표 작성을 진행 하였습니다.

12그룹의 월드시티 분류가 많은 주목을 받을 때 에, GaWC연구소의 한편에서는 월드시티관련 지 도(World Cities According to GaWC)를 만들었 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12그룹의 도시분 류가 전통적인 월드시티 연구의 한 부분인 월드시 티의 크기와 같은 ‘위계적인 분류’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즉, 비록 연구과정에서 위계적 그룹으로 나누었지만, 상호 연결된 월드시티의‘네 트워크’상에서 바라보고 이해해야 한다는 점입니 다. 그래서 2001년 이후 GaWC연구소에서 진행된 많은 연구는 양적방법론과 관련된 월드시티 간의 상호 밀착도에 대한 연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습 니다. 즉, 특정 월드시티가 다른 월드시티 사이에서 어떤 상호 밀착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세계의 350개 도 시들을 분석하였고 어떻게 상호 연관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최근 들어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를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현재 월드시티와 세계화 관련연구에선 12그룹의 알파, 베타, 감마시티에 대한 언급이 많이 인용되고

있지만, 이 분류를 통해 말하고자 한 것은 바로 위 계적인 월드시티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월 드시티 네트워크(network model)’속에서 긴밀하 게 상호 밀착되어 있는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저희 들이 연구하고자 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처럼 월드시티 네트워크와 상호 밀착의 정도 에 따른 알파, 베타, 감마시티의 의미는 등급이 매 겨진 월드시티 숫자의 의미를 넘어서 이들 도시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process)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면, 프랑크푸르트는 세계적인 회 사의 본사가 많이 위치해 있지는 않지만, 독일은행 과 광고회사들이 많이 있습니다. 세계적인 독일의 은행들은 세계의 여러 도시와 서로 연결되어 있어 프랑크푸르트를 잘 연결된 월드시티로 만들고 있습 니다. 이 예는 도시가 월드시티를 연결시키는 네트 워크상에서 도시들을 상호 밀착시키는 개념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양:서울은 월드시티 분류표에서 베타시티이자 7 그룹 위치에 있습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 입니까?

▶▶테일러:먼저 월드시티 분류표와 관련해서 잠깐 부연 설명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비록 GaWC연 구소의 월드시티 분류가 학계에서 많이 인용되고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분 류와 관련해서 한 가지 만족스럽지 못한 점이 있습 니다. 우리가 분류표를 만든 애초 의도는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에서 각각의 알파, 베타, 감마시티의 상 호 연관성을 반영하려는 것이었지만, 위계적인 면

(7)

Yang: One of the prominent outcomes of GaWC’s research might be the invention of the

category of world cities as alpha, beta, gamma cities, and world city formation. The categorisation is very often quoted in academic circle. Could you explain more about the categorisation?

▶▶Taylor: Let me say something about that. When we set up London project in 1998 we

asked question how London related to other cities. We then went into literature to search for a list of cities. So we produced alpha, beta and gamma sequences.

We did it for the London project. And then we could relate how London related to alpha cities, how London related to beta cities and so on. That work was done in 1998. We also produced a map the world according to GaWC. One thing we have to remember is that this categorization must not be understood as ‘hierarchy’ but as ‘network’.

From 2001 all our work on quantitative side is based on the interlocking network model.

So we tried to make a estimate how a particular city is interlocked in wider network. And therefore we worked on 350 cities and measured how the world is connected. Recently, we are updating how this is changing.

Connectivity through interlocking model is what we would like to look at through the world city research. The reason we like this better is because it actually describes the process. For example, Frankfurt does not have many firms.

There are major banks and some advertisement. But German banks are all over the world. So Frankfurt is well connected even though there are not many firms compared to the other cities.

Yang: What is the implication of locating Seoul as ‘beta city’ and ‘grade 7 city’ in the

categorisation?

▶▶Taylor: Let me go a little bit further about this. One of reason we do not like the idea of

alpha, beta, and gamma cities because it implies hierarchy. We were interested in world cities linking together as a network.

Network only operates and exists in neutrality and co-operation. Of course, the firms we studied in Seoul are banks, advertising and accountancy and so on. They also have offices in Singapore, Hong Kong, Tokyo and so on. Therefore, just like Frankfurt and London, they

(8)

(deploy hierarchy)이 가시화되어 다소 우리가 의 도하려는 바와 거리가 생겼다는 점입니다.

월드시티 네트워크에서 이해해야 할 것은 네트워 크는‘중립성’과‘상호 협력’상에서도 존재한다는 점 입니다. 런던과 프랑크푸르트의 예에서 발견한 것처 럼, 우리가 연구한 서울에 있는 은행, 광고, 회계 등 의 회사들은 싱가포르나 홍콩, 도쿄와 같은 월드시티 에서도 동시에 활동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이 들 회사는 서울이 상하이보다 우위에 있는 도시가 되 기를 바라거나 상하이가 서울보다 우위에 있기를 바 라는 것에는 전혀 관심이 없다는 점입니다. 오직 서 울을 통해서 어떤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상하 이에서는 무슨 혜택을 받을 수 있는가에 관심이 있다 는 점입니다. 서울에서 많은 이익을 낼 수 있다면 서 울에 많은 기업들이 사무실을 열게 될 것이고 상하이 가 경제적 가치가 있다면 상하이에 많은 사무실을 열 게 될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경제적 논리입니다.

즉,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에서는 경제적 논리를 바탕으로 한 상호 작용과 연관성을 강조하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가시화된 월드시티 분류체계가 위계 적으로 이해되고 있다는 점이 개인적으로 이 분류 체계를 좋아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다시 서울과 관련해 이야기하자면, 서울은 경제 적 활동영역을 세계적으로 계속 확장하고 있는 중 요한 월드시티입니다. GaWC연구소가 고차원 생 산자서비스 관련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행한 인터뷰 결과를 볼 때도, 서울은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에서 중요한 도시입니다. 그리고 계속적인 발전과 성장 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 베타시티로서 어

떻게 성장할 것인가는 중요한 현안이라고 생각합니 다. 서울이 어떤 특정 월드시티처럼 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마도 유럽의 아테네와 스톡홀름과 같은 도시로 성장할 수 있으리라 생각 합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베타시티로서 서울의 의 미를 위계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서는 안 된다는 점입 니다. 만약 그렇다면, 월드시티의 상호 관계가‘연관 성과 협력’에서‘경쟁’의 관계가 되기 때문입니다.

세계의 여러 월드시티들 모두가 경쟁을 통해서 런던 과 뉴욕처럼 된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이런 일은 일 어날 수도 없고 만약 일어난다면 세계 경제의 붕괴 를 가져올 것입니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제2차 세 계대전 이후 독일정부가 베를린을 미니런던과 같은 월드시티로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지만 실패 하였다는 사례는 좋은 교훈을 줍니다. 즉, 베를린은 베를린일 때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베를린이 런던 에서 배울 것이 있겠지만 런던과 동일한 월드시티 기능을 베를린에 계획한다고 갑자기 이루어지는 것 은 아닙니다.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에서는‘흐름의 공간(space of flow)’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 가 조직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생산하 여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에 제공하는‘장소의 공간 (space of places)’이 되는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베타시티로서의 서울의 의미는 서 울이 런던, 뉴욕, 도쿄 같은 월드시티를 만들기보다 는 서울만이 가지는 도시의 경제, 사회, 문화적 특 성을 발전시키고 만들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

(9)

got no interest in making Seoul bigger than Shanghai or making Shanghai bigger than Seoul. That will be a competitive thing.

They are using Seoul for what they can get out of it. The bottom line for them is that they can do something in Seoul. They can do other things in Shanghai.

If you can make money in Seoul you have to have big offices there. If you make money in Shanghai you will need big offices there. You use both. This is obviously how any economics works.

So we do not like alpha, beta, and gamma categorisation. Let us back to Seoul. Seoul is a major world city growing and expanding national economy. There is also outstanding record in the 1990s. Seoul is equivalent to what Athens or Stockholm can be in Europe as a major city of national economy. They are all different. I am not suggesting Seoul should be like any of them. Seoul got other properties that can be developed in other ways.

So if you think hierarchy that is competitive. If you think hierarchy every city have to jump to ladder. Do not think like that. If every city jumping to ladder is dangerous because every city wants to be like mini New York or little London. You are not going to produce three hundreds little London and little New York. It can not happen like that.

Berlin tried to become like London after the end of the war but it failed. That is a lesson.

Berlin has to be Berlin. Berlin has so many advantages. London has other advantages that Berlin can not imitate. So in a hierarchy it is competitive.

However in a network what you have got is ‘space of flows’ which is a network. And you got ‘space of places’ which the network is organised and where network operates.

Therefore Seoul has to be Seoul that has unique economic, socio-cutural background rather that making it like New York, London and Tokyo. If there are, however, something to learn from other world cities, Seoul has to reflect on this.

Yang: Obviously, there are vigorous competitions between world cities in the process of

globalisation and economic expansion. How you see the relationship amongst alpha, beta, and gamma cities?

▶▶Taylor: Based on our research on advanced producers services, There is competition and

(10)

각합니다. 물론 알파시티로부터 배울 점이 있다면 수용해야 할 것입니다.

양:세계 여러 도시들은 현재 지구적인 경제규모 의 확장과 세계화과정에서 상호 치열한 경쟁을 하 고 있습니다. 서울도 이 경쟁의 한가운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알파, 베타, 감마시티들 간의 상호 관 계를 어떻게 보십니까?

▶▶테일러:제가 하고 있는 월드시티와 세계화 연 구를 고차원 생산자서비스 회사와 관련하여 답변을 한다면, 월드시티의 상호 관계에는‘협력’과‘경 쟁’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월드시티 네트 워크가 존재하는 전제조건은 협력이라고 생각합니 다. 협력이 이루어지고 난 후 월드시티 간의 경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런던은 두말할 필요 없이 세계적 도시입니다. 세 계의 어느 곳도 런던 같은 월드시티는 없다고 봅니 다. 이런 맥락에서 버밍엄, 글래스고, 맨체스터가 런 던과 경쟁하기보다는 각각의 도시의 성장을 위해 런 던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기에‘시간적 측면’을 염두에 둘 필요 가 있습니다. 경제라는 파이(pie)가 성장하고 확장될 때는 도시 간의 경쟁보다는 협력이 주도적으로 이루 어지지만, 경제가 침체할 때는 상호 간의 경쟁이 높 아집니다. 즉 침체기에는 경제라는 한정된 파이(pie) 를 서로 나누어 가지기 위해 치열한 경쟁이 일어날 수 있다는 말입니다. 현재는 세계 경제가 전체적으 로 성장하고 있어 협력이 주도적인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유로화가 2001년에 시행되고 유럽중

앙은행이 프랑크푸르트에 설치될 당시에는 경제가 성장∙확장단계에 있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합니 다. 만약 그렇지 않았다면, 영국정부는 유럽중앙은 행이 프랑크푸르트에 설치되는 것을 반대했을 것이 고 런던과 프랑크푸르트는 협력보다는 경쟁의 관계 에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저의 주장은 월드시티 간의 협력은 월드시티 네 트워크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라는 것입니다. 동 시에 월드시티를 유지시키는 원동력이기도 합니다.

마치 작은 무인도에서 서로가 생존을 위해 싸우다 보면 모두가 자멸해 버리는 이치와도 같습니다. 서 로 교류를 통해 모두가 성장하는 계기를 만든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앞에서 언급한 시간 적 측면의 경제 사이클에 따라 서로 경쟁이 이루어 진다고 생각합니다. 상호 교류가 월드시티의 존재 와 유지에 기본이 된다는 근거는 지난 500년 동안 의 유럽 도시역사 연구를 통해 밝힌 적이 있습니다.

유럽의 여러 도시들이 경제적으로 성장단계에 있을 때는 서로 협력과 교역이 왕성했고, 그렇지 않은 경 우에는 서로 전쟁과 경쟁이 나타났다는 점은 흥미 롭습니다.

양:분류표에서 아시아의 국가 중 홍콩과 싱가포 르를 알파시티의 위치로 분류하였습니다. 알파시티 의 위치에 둔 이유는 무엇입니까?

▶▶테일러:홍콩과 싱가포르는 아주 특수한 경우입 니다. 먼저 홍콩에 관해서 이야기하자면, 홍콩은 아 주 흥미로운 월드시티 중 하나입니다. 저희들의 연 구에 의하면, 뉴욕과 런던 다음에 월드시티를 꼽는

(11)

co-operation between firms in our model. And firms have headquarters where they are telling people what to do. That is not neutrality. One of way we do this is we got a mixture of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any one time although some competition is going on.

Let us take the UK example. London is clearly a global city. None of other cities around world is like London in importance. Therefore, Manchester, Birmingham and Glasgow will benefit more through co-operation with London.

But you can only do that in good economic time. If economic pie is expanding then you can get more co-operation. Because you co-operate and there are few losers or no losers. If it is contracting it is not quite clear that you will have co-operation. They want to fight for a bit of the pie. So there is time dimension to do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nd competition.

At the moment, the world economy is expanding therefore we have co-operation. The Euro launched in 2001. That is really strange economic time.

If that period were not in good economic time, London and Frankfurt would not be cooperative relationship. They would be competitive. In fact, the UK might object on European Central Bank going to Frankfurt. And tried to get that in London.

Our position is that co-operation is a fundamental relationship in world city network. And then competition comes after that. So we think that cities only exist when co-operative. If they fight one another in a little island in pure competition, it would disappear. So co- operation is the essence of city and inter-city relationship. That is the key thing. That is always going to be there in some level.

We studied historically and looked at cities in Europe up and down 500 years ago. Genoa and Venice fought one another in bad time. When good time they co-operated.

Yang: You locate Hong Kong and Singapore in alpha world city status. What is the

background of this?

▶▶Taylor: Hong Kong is more of an interesting one. In our work, we find that number 3 world city is always Hong Kong, not Tokyo. Hong Kong is very different compared to other world cities. It has few headquarters. Singapore also has few headquarters.

(12)

다면 항상 3위에는 도쿄가 아니라 홍콩이 언급되며 비중도 큽니다. 홍콩은 세계의 여러 월드시티와는 다른 특수한 뭔가가 있습니다. 홍콩에는 세계적인 회사의 본사가 다른 월드시티에 비해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싱가포르도 예외는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발견한 홍콩의 강점으로 월드시 티의 네트워크상에서 두 가지 중요한 힘을 꼽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통제와 지휘력입니다. 예를 들면, 런던, 뉴욕, 도쿄,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세계적인 은 행들의 의사결정 과정들에서 다른 지역에 영향을 주는 것처럼 말입니다. 도쿄에 있는 은행의 본사 가 런던에 있는 은행 지점을 닫는다면 런던에 영 향을 줍니다. 다시 말하자면, 통제력은 의사결정 과정의 힘과도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른 하나는 네트워크 파워입니다. 만약 세계를 대상으로 금융, 경제, 사업을 하는 주체가 되려면 홍콩이라는 곳은 반드시 둘러봐야 할 세계의 무대 가 되는 곳입니다.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사업’을 하고자 한다면 뉴욕, 런던, 도쿄와 같은 월드시티를 주목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세계적인 회사들이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시장 에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투자와 사업을 원한다 면, 그 시작점은 바로 홍콩이라고 확신합니다. 홍콩 은‘중국’과‘서양’을 동시에 공유하고 있는 곳이 기 때문입니다. 일종의 교차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홍콩은 다양한 전문가, 재정, 창의적인 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이 존재하는 곳이기 때문 입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저는 홍콩을 뉴욕과 런던

다음의 세 번째 월드시티로 보았습니다.

싱가포르의 경우는, 홍콩의 그림자도시라고 생 각합니다. 동남아시아 시장에 있어서 중심도시임에 는 틀림없지만 홍콩의 기능과 역할을 대신하지는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중국시장의 개척 을 위한 곳으로는 더욱 그렇습니다.

결국 홍콩과 싱가포르의 경우는 세계적 기업이 적지만 명령과 통제 능력이 강하고 지정학적 위치 가 좋고, 사업의 기반이 되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 는 지식과 전문가들이 오고가는 중요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어 월드시티 연구에 반드시 고려해야 할 도시라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이것은 마치, 마이애미(Miami)에는 세계적인 은행의 본사들이 많지 않지만 남미(Latin America) 의 시장에 관심이 있어 사업을 시작하려는 사람들 에게 마이애미가 출발점이 된다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마이애미는 미국인 동시에 남미와 비슷한 특색을 가진 네트워크의 중간점(between place)에 있는 월드시티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내용은 아 직 발표되지는 않았지만 현재 GaWC연구소에서 진 행 중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양:세계화과정에서 빈부격차, 인종, 이민, 불평 등, 환경, 불안전한 고용 등 여러 부정적인 문제들 이 많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세계화와 월드시티의 연구들이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한 정책이나 방법을 제안하는 연구에는 다소 부족한 부분도 있을 것 같습니다.

▶▶테일러:이 질문은 참으로 중요한 문제임에 틀

(13)

What we see Hong Kong is that there are two sources of power in the Network. There is

①‘control power’ such as banks in London, Frankfurt, New York and Tokyo. This is decision making power. There is the second power. We call it ②‘network power’. These places has to be world power such as London, New York and Tokyo.

Even though there are few headquarters in Hong Kong. There are no big advertising agencies and banks in Hong Kong. No command is out of Hong Kong. Hong Kong is, however, a regional command centre. Firms all over the world start in Hong Kong if they want to be in growing chinese market.

We got two things there. It is part of ‘West’ and part of ‘China’. It is a crossroad. So you get two sources of information. You get geographical information if you like local information.

Maybe, it is not as good as Beijing. You may have the second office in Beijing and the third office in Shanghai. But Hong Kong is the way to start. It got all the professional, financial, creative knowledge in there.

It is intersection of high value professional knowledge with strategic and geographical knowledge and that makes Hong Kong No.3 in world cities nowadays. Everyone in service sectors wants to be there. Singapore is like a shadow of Hong Kong but it really got South East Asia rather than Chinese market. It got some of Chinese market and some connection but has not been able to supplant Hong Kong. So Singapore is a gateway of South East Asia. Hong Kong and Singapore are major world cities without many headquarters.

Other place without many headquarters is Miami. Miami does not have many banking headquarters. If you do want to do Latin American business you want to be Miami. It is Latin America and also America. It is between places in the network. Miami is surprisingly important. That is shown by our new research.

Yang: The globalisation process produces many negative outcomes such as polarisation,

immigration, inequality, environment, and unemployment. There are, however, lack of researches on solving these problems. Do you have any comments on this?

▶▶ Taylor: This is a very important question that is related to polarization. There is a

(14)

림이 없습니다. 우리들도 세계화 관련 연구를 통해 세계와 지역이 양극화되는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동시에 이에 대한 해결책들과 정책적 대안을 고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서 정책입안 자들이 내놓은 해결책들이 종종 지정학적인 영역과 경계에 기초를 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이 인터뷰 를 통해서 연이어 강조했지만 도시 간의 흐름(space of flow)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 흐름은 세계화과정에서 도시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 을 합니다. 그러므로 세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문 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나 국가의 법률적인 영역과 경계 안에서 시도하기보다는 도시 간 그리 고 국가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흐름의 패턴과 양상’에 대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세계화과정과 월드시티의 등장과 함께 발생 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중요한 핵심 은 지정학적 영역을 바탕으로 한 장소를 위한 정책 이 아닌, 월드시티와 국가 간 교류의 흐름을 분석하 고 흐름에 대한 정책을 통한 접근방법이 중요하다 는 점입니다. 하지만, 현재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많 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듯합니다. 왜 냐하면, 위에서 언급한 문제는 세계화과정에서 도 시와 국가의 상호 흐름의 불균형에서 야기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는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에 서 일어나는 도시와 국가 간의 부정적인 흐름을 치 료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말과 일맥상통합니다.

동시에 긍정적인 흐름은 계속 발전시켜야 할 것입 니다.

세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 스스로 방어하고 영역을 만드는 정책은 세계화라 는 거대한 흐름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결과를 낳고 동시에 문제해결을 위한 해결책이 되지 않는 것처럼 보입니다. 왜냐하면, 역사적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교류가 왕성한 도시가 경제적으로 성장했고 강력한 국가를 이루었다는 점이 잘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지구 남반구의 많은 국가들이 겪고 있는 가난과 경 제적 문제의 한가운데는 바로 도시가 세계 여러 도 시와의 상호 작용이 없어 활기를 잃었기 때문입니 다. 북한의 경우 그 전형적인 예라고 생각합니다.

이 담론과 관련해서 브라질 상파울루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브라질의 상파울루 는 중요한 월드시티이며 브라질을 이끌어가는 대표 적인 도시입니다. 동시에 제가 알기로는 세계에서 빈부의 격차가 가장 심한 불평등한 도시라고 생각 합니다. 이 두 가지 양상은 참으로 복잡합니다. 이 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런 가정을 해보는 것은 어떨 까요? 만약 브라질 정부가 상파울루를 외부의 월드 시티나 국가와 단절시켜 자체적으로 문제해결을 할 것인가? 아니면, 상파울루를 이전과 같이 월드시티 네트워크상의 한 부분으로 남아 있게 하면서 문제 해결에 접근할 것인가? 저는 후자가 더 긍정적인 결과를 내리라 생각합니다.

즉, 비록 세계화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동시에 발 생하고 있지만, 자본을 유치하는 월드시티가 가지 고 있는 잠재력과 이 자본이 만들어낸 경제적 혜택 이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돌아갈 수 있는 민주주의 (democracy)와의 조율(co-ordination)을 통한 해 결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바로 이 점이 월드시

(15)

problem that policy tends to have territorial jurisdiction. The things that affect them are

‘flows’.

If you do only territorial thinking you have to make this place more attractive to capture more flows. That means that you are subsidizing globalisation.

The policy you need are policies about ‘flow’ not policies about ‘place’. That is very hard to understand because we were used to ‘place-based policy’ making. We need ‘flow-based policy’ making. Nobody is doing flow-based policy making.

Because many problems in the globalisation process are caused by unbalanced flow. Some flows are very positive but other flows are very negative. Clearly positive ones are what we want to encourage. There are also negative ones. The standard way of protecting ourselves from negative ones is just put up a barrier like what North Korea is doing now. It seems that it will not work under the globalisation.

Let us take an example of Latin America. San Paulo is a major world city.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n incredible unequal city. Probably, the most unequal city in the world, but it is very vibrant city.

It has both good and bad sides at the same time. Let us look at the majority of poor people in San Paulo.

You might ask a question that San Paulo would be better off if it is still a part of the world economy? Or would be it better off if the Brazilian government put up a barrier around Brazil? San Paulo is still an important world city, Brazilian’s a leading national city, and an international city. So what we need to be in place is some sort of recognition that this place has the power. Capital wants to be there like Hong Kong although it does not have commanding capital power.

The negotiation between the capital and democracy is important to help the majority of poor people in cities. The resolution would be through ‘city’ in that situation not through

‘state’. States are fighting themselves and have played the negative role in the 20th century.

That is not our future.

We could solve the problems through economic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as I said earlier on. They are going to be solved the problems through city mayor negotiating a global

(16)

티의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합니다. 국가 간의 관계 를 통한 교류보다는(지난 20세기에 있어 국가 간의 관계는 전쟁과 폭력 그리고 갈등을 유발하는 부정 적인 면이 많았습니다), 세계와 세계를 연결하는 월드시티를 통한 경제적 문제해결의 시도가 가능하 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월드시티 시 장들 간의‘세계자본의 흐름에 대한 협상’과정이 중요합니다.

바로 월드시티는 자본주의의 특징인‘경제확장’

과, ‘성장’과, ‘지속가능성’이 동시에 서로 공존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정적인 문제를 해결 하고 미래의 가능성을 제시해 주는 곳이라고 생각 합니다. 저는 월드시티 네트워크가 이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믿고 있으며 앞으로의 중요한 돌파구라고 생각합니다.

피터 테일러 교수의 저서 및 논문

Taylor, P. J. 1997. “Hierarchical tendencies amongst world cities”

Cities 14. pp23-32

Taylor, P. J. 1999. “Places, spaces and Macy’s: place-space tensions in the political geography of modernities”.

「Progress in Human Geography」23. pp7-26

Taylor, P. J. 2000. “Izations of the world: Americanization,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in C Hay and D Marsh (eds). 「Demystifying Globalization」. London : Macmillan.

pp49-70

Taylor, P. J. 2001. “Specification of the world city network”.

「Geographical Analysis」33. pp181-94

Taylor, P. J. 2004. 「World City Network A Global Urban Analysis」. London : Routledge.

Taylor, P. J. 2006a. “A lineage for contemporary inter-city studies”

‘in P J Taylor, P Saey, B, Derudder and F Witlox(eds).

「Cities in Globalization: Practices, Policies and Theories」. London : Routledge

Taylor. P. J. 2006b. “Cities within spaces of flows: Theses for a materialist understanding of the external relations of cities”. in P J Taylor, P Saey, B, Derudder and F Witlox(eds).

「Cities in Globalization: Practices」, Policies and Theories.

London : Routledge

Taylor, P. J and Aranya, R. 2006. A Global ‘Urban Roller Coaster?

Connectivity Changes in the World City Network, 2000-04 GaWC Research Bulletin No. 192

Taylor, P. J., Catalano, G. and Walker , D. R. F. 2002.

“Measurement of the world city network”. 「Urban Studies」

39, pp2367-76

Taylor, P. J., Derudder, B., Saey, P. and Witlox, F(eds). 2006. Cities in Globalization. London : Routledge

Taylor, P., Evans, D. and Pain, K. 2006. 「Application of the Inter- Locking Network Model to Mega City-Regions: Measuring Polycentricity within and beyond City-regions」. GaWC Research Bulletin No 201

Taylor. P. J. and Lang R. 2005. U.S. Cities in the World City Network Survey Series(Washington, DC : The Brookings Institution)

(17)

capital. Somehow that is going to happen. That is only way out as far as I can see.

There is a positive things that capitalism and sustainability is compatible. And world city network could play an positive role in solving this problem.

참조

관련 문서

We’re planning various events for the elderly people there , and we need

Almost all Indian movies contain five to six different singing and

We’re planning various events for the elderly people there , and we need

The blue whale opens its mouth, drinks seawater, and closes

Almost all Indian movies contain five to six different singing and

The use of portable technologies and personal cloud services facilitates the work of digital nomads across different places.. Given the knowledge-heavy varieties

• Maturity model for smart sustainable communities, look at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ities such as how directly involved the citizens are in shaping policies and

Sometimes the big reason, people lack energy is because they are confused about their purpose in life and they are not doing the work they feel they should be do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