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도시재생: 유비쿼터스 도시 현상, 그리고 대응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도시재생: 유비쿼터스 도시 현상, 그리고 대응방안"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인터뷰│김보아 Texas A&M University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박사(boah.kim@gmail.com)

중앙대학교에서 도시공학 학사 및 도시설계 석사학위를 이수 후 Texas A&M University 도시계획학 석사학위를 취득 하였다. 그 후 건축도시공간연구소(AURI)에서 재직하였고, Texas A&M University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박사학위(Ph.

D. in Urban and Regional Science)를 받았다. 현재, Texas A&M University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강사로 재직 중이며, 주요 연구 분야는 도시재생,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및 GIS를 활용한 도시 및 지리정보 분석, 토지합병(Annexation)에 의한 도시쇠퇴 현상 및 Smart Decline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e-INTeRvIew

도시재생: 유비쿼터스 도시 현상, 그리고 대응방안

갤런 뉴먼(Galen Newman)

Urban Regeneration: Solution for Ubiquitous Urban Phenomenon

갤런 뉴먼 교수는 Auburn University에서 환경디자인 학사, 조경학 및 지 역계획학 석사를 이수 후, Clemson University에서 계획, 설계, 그리고 건 설환경학 박사(Ph.D. of Planning, Design, and the Built Environment)를 취득하였다. 현재 Texas A&M University 조경 및 도시계획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며 동 대학교 소속 Hazard Reduction and Recovery Center 부 소장을 역임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미국과 남미, 중국을 대상으로 도 시재생, 토지이용계획,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기후변화 및 자연재해에 따른 회복을 위한 지역사회 및 도시설계이며 다수의 관련 서적 출판 및 논문 게재를 해오고 있다.

(2)

김보아(이하 ‘김’) 월간 ‘국토’의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한국의 독자들을 위해 간 략하게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갤런 뉴먼 (이하 ‘뉴먼’) 저는 현재 Texas A&M University에서 조경학과,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 학생 들을 지도하고 있으며 주요 연구 관심사는 근린주구 및 커뮤니티 단위 도시설계입니다. 현재는 브 라질 커뮤니티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토지이용계획과 지리정보 분석을 이용한 도시쇠퇴 현상에 대 한 도시재생 대응 방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김 감사합니다. 교수님께서는 도시쇠퇴 현상 및 재생방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신 것 같은데, 특 별히 관심을 가지시게 된 동기, 혹은 이 주제가 중요하다고 생각하시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뉴먼 이 분야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아마도 제가 자라온 환경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앨라배마 주(Alabama)에 위치한 공업도시에서 성장하였습니다. 제가 자란 마을의 사람들은 대부분 그곳에 있는 공업단지에서 근무했습니다. 제가 청소년기에 접어들었을 무렵 그 공업단지는 폐쇄되었고 그로 인 해 대부분의 마을 사람들은 일터를 잃었습니다. 비록 소도시였지 만, 많은 사람들의 실직으로 인해 지역이 변해가는 것을 보고 자 라면서 공업단지 혹은 공업도시의 쇠락이 그 지역 사람들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이런 유년시절의 경험으로 부터 지금의 연구주제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었습니다.

그리고 앨라배마 주 소재 Auburn University에서 환경설계, 조경학, 지역계획을 공부하면서 도시형태 및 도시의 역사적인 성 장 패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노후화와 활성화로 인해 한 도시가 사라지고 사라진 도 시에 무엇인가가 다시 나타나는 현상을 보면서, 왜 도시의 일부분은 쇠퇴하고 또 다른 일부분은 성 장하는지, 주기적으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궁금해졌습니다. 대학원에 진학하면서 이런 궁금증 에 대해 좀더 세부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특히, 소유주가 있더라도 경제적으로 유지보 수가 불가능하거나 개발 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토지 혹은 건물이 방치 또는 철거가 되는 현상에 초 점을 두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러한 도시 구조물은 역사경관보전 등과 같은 계획을 통하여 구제 되거나 철거됩니다. 결국 낙후되어 가는 구조물을 복원한 후 재활용 혹은 재사용하는 것보다 철거 하는 편이 경제적 효율이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서, 재활용 혹은 재사용이 불가 능하여 철거되어야 하는 구조물이 늘어나게 되는 시점에서의 도시쇠퇴 현상은 도시의 질병과 같 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도시 안에서 소량의 빈 공간(Vacant Land)은 그 도시의 건강한 성장 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과잉공급된 빈 공간은 실질적으로 도시의 낙후 및 쇠퇴를 악화시키 는 촉진제 역할을 합니다. 더 중요한 것은 과잉공급된 빈 공간이 야기하는 도시 질병과 같은 현상

재활용 혹은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철거되어야 하는

구조물이 늘어나게 되는

시점에서의 도시쇠퇴 현상은

도시의 질병과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Boah Kim (hereafter ‘Kim’) Hello, Prof. Newman.

First, thank you for accepting the invitation to do this interview. This interview is for the monthly magazine, Guk-to, publish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which is one of the most well-known governmental research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for urban planning and design studies.

KRIHS has interviewed leading researchers in the world to learn about their cutting-edge research programs. Would you mind if I ask you to provide brief self-introduction for Korean researchers, including your research subjects?

Galen Newman (hereafter ‘Newman’) My name is Galen Newman, I am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at Texas A&M University. I teach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My expertise is in design, as in a neighborhood and community scale design, and Brazilian communities. But on the research side, I look at land use science and at a spatial analysis which all typically revolve around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Kim Thank you. I see that many of your research subjects are related to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Why do you have a profound interest in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and where does it come from?

Newman That is a good question. I think it probably stems from where I grew up in an

industrial town in Alabama. Most of the people worked in the industry. And when I was in my teens, that industry closed and put most of the town’s people out of work; so I saw the impact of how the industrialization could have on us, even in just a small town. It started becoming an interest at an early age.

Then when I was at Auburn University, I was interested in urban morphology and the historical growth patterns of cities. What I saw in a lot of cities was that these patterns of obsolescence and activation were real and one area of the city would die off, and something else would come back, and it flickered on and off. So it’s interesting why portions of a city die off periodically and why some areas grow. And so, when I moved into the graduate school in the Ph.D. program, I took those interests and I started looking at a phenomenon, what they call demolition by neglect, where basically these urban structures get put into different programs to save them through historic preservation or otherwise they are demolished. Basically, the person who owns it either can’t or doesn’t have the money to maintain it, or maybe they want to develop it into something else, or whatever the reason. Basically, over time this structure deteriorates to the point where it’s cheaper to shove it over to remove than it is actually to rehabilitate it. So, I look at it, to some degree, the urban decline is almost like a sickness in cities. I recognize that there have to be some

(4)

은 이웃도시나 근접지역으로 전염되듯 퍼져 나간다는 것입니다. 저는 어느 정도의 빈 공간이 도시 치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어떻게 회복력을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 니다.

김 어린 시절의 주거환경을 통한 경험과 깨달음이 지금의 연구주제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교 수님의 설명이 굉장히 인상 깊습니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도시재생이 얼마나 중요한 과제인지 저 또한 매우 동의합니다. 그렇다면, 현재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들을 수 있을까요?

뉴먼 가장 최근 「Journal of Urban Design」에 게재된 연구결과는 미국에 있는 도시 중 인구 25만 명이 넘는 도시를 대상으로, 각각의 도시마다 얼마나 많은 공지(Vacant Land) 및 유기건축물 혹은 유기구조물(Abandoned Structures)이 존재하였는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모델 분석을 통해 공지 및 유기구조물의 양적 증가 및 감소에 기여하는 주된 요인을 분석하는 종단적 연 구를 위한 기본자료로, 1940년대부터 13개의 각기 다른 변수에 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기술통 계학 및 횡단면분석을 이용하여 10년 단위로 어떤 요인들이 도시쇠퇴 현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 는지에 대해 분석하였습니다.

저는 공지와 유기구조물에 의한 도시쇠퇴 현상을 도시의 문제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고려하는 관점이 도시쇠퇴 현상의 원인을 알아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합 니다. 따라서 설문 및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리정보모델과 예 측모델을 통해 미래의 도시쇠퇴지역을 예측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오하이오 주 데이튼(Dayton) 의 도시쇠퇴 현상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오하이오 주의 데이튼지역은 재개발 및 재사 용 잠재력이 큰 지역이나 구조물을 통해 도시의 재생 및 재활성화 추진에 중점을 둔 스마트 디클라 인(Smart Decline) 도시쇠퇴방안이 적용된 지역입니다. 또한, 도시쇠퇴 현상으로 인한 범죄, 공공 기물파손(Vandalism), 심미적 문제를 예방하고, 불분명한 목적에 따른 개발이 아닌 진정으로 이 도 시가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밝혀내고자 하였습니다.

정리하자면, 스마트 디클라인 전략을 통하여 미래의 도시쇠퇴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지역을 예 측하여 대응방안을 수립하는 것입니다. 미래에 쇠퇴될 지역이니 현재의 개발잠재력을 고려하지 않 겠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쇠퇴 및 낙후를 예방할 수 있을지, 만약 예방할 수 없다면 어떻게 관리해야 할 것인지, 보다 나은 결과를 위한 전략은 무엇인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김 네, 그렇군요. 교수님 말씀을 듣고 나니, 각각의 연구가 독립되어 있다기보다는 서로 상호 연계 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스마트 디클라인을 통한 예측과 예방 및 대응방안에 대해서도 강조하셨습니다. 모든 도시는 각기 다른 조건 및 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시

(5)

small amounts of vacancies in cities actually to help promote healthy growth, but an oversupply can cause real degradation. So, I look at it as trying to cure the city to some degree. It is a sickness in it, and that sickness has spread to these areas. So, how can we try to save those portions of the city at least?

Kim I see. So, you have had an experience with an old industrial city’s decline, and it influenced your research. You saw, felt, and recognized how urban regeneration is necessary yourself through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your city during your teenage years. I agree with your perspective on the importance of urban regeneration. Could you describe a bit more about what kind of research you are currently conducting?

Newman I just published the vacant land survey results. My colleagues and I did a survey of every city in the United States with just over 250,000 in population about the amounts of vacant land per city and amounts of abandoned structures per city. We just published the results for those who are taking those results a step further currently, and we’re doing some different kinds of regression on causal factors that are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vacancies. Then we’re taking that actually a step, and that paper is actually under review right now. And they are taking that portion a step further and actually looking at a

longitudinal study. Then we’ve gathered census data every ten years from 1940 with thirteen different variables. We’re do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we’re doing it for every ten years. We do a regression, and then do a cross- sectional, so we can see how the causal factors change and causal factors contributing to urban vacancy have changed every ten years, but then also which ones remain consistent through time.

We are trying to do a lot of work on what are the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decline. I guess our intention is to treat the problem as a source before it begins and the only way you do that is to figure out what’s causing it. So, we’ve also taken those factors that we find were contributing, and we were using them to predict future vacant lands, and we’ve developed a GIS spatial model to predict future urban decline areas. We’ve taken that model and are applying it to a landscape design strategy, and we’re using Dayton, Ohio, as a test bed for the smart decline approach, where some of these cities are depopulated to the point where nearly half of their cities are in decline. The smart decline approach is to manage the decline rather than chase hefty growth incentives, but allow temporary uses and green infrastructure. So we want to repurpose those lands to manage them to the point where at some point in time, they can actually come back and may be developed.

But, in the meantime, they’re not becoming

(6)

쇠퇴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들은 공통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스마트 디클라인 적용된 다른 도시 나 이 전략이 아닌 다른 대응방안이 적용된 사례를 좀더 말씀해주실 수 있으신지요?

뉴먼 스마트 디클라인의 또 다른 예로부터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오하이오 주 소재 영스타 운(Youngstown)이라는 도시인데, 이 도시는 스마트 디클라인의 기본원리인 적정규모화(Right- sizing)가 적용된 도시입니다. 고밀도 재개발보다는, 도시를 축소화하여 보다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 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물론 도시의 적정규모화는 철저하 고 정밀한 조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만약 어떤 지역에 100명의 사람들이 거 주하였는데, 80명이 그 지역을 떠나서 20명만 남아 있다고 가정한다면, 남아 있는 20명의 사람들은 이 지역의 여러 곳으로 흩어져 다른 사람들과 분리된 삶을 살거나, 외딴곳에서 낮은 삶의 질을 영위 하며 살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 스마트 디클라인의 기본전략인 적 정규모화로 인구감소지역의 불필요한 도시기반시설 및 자원을 정 리하여 남아 있는 사람들이 부당한 대우를 겪지 않고, 보다 효율 적이고 합리적인 삶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예로, 필라델피아(Philadelphia’s Neighborhood Transportation Initiative)는 도시쇠퇴와 관련한 목록을 기초로 한 전략방안을 적용하였는데, 다른 도시에 비하여 훨씬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전략방안은 공지 및 유기구 조물에 관한 목록을 작성하고 복원 및 재개발 혹은 재사용이 가능 한 토지 및 구조물을 선별하여, 정도에 따라 철거 혹은 재개발을 결정하는 전략입니다. 이는 단편적이거나 개별적인 접근법은 아 니며, 목록의 선별과정은 합리적이고 명확한 근거를 기반으로 이 루어집니다. 왜냐하면 선별된 유기구조물의 철거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전략을 적용한 도시 중 몇몇은 인구감소화가 시작되는 시점에 놓여 있으며, 그로 인해 유기구조물을 철거 할 수 있는 비용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도 있습니다. 때문에 몇몇의 도시는 이러한 유기구조물이나 방치된 공지에 대해 어떠한 대책도 수립하지 못한 채 방치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 하기 위하여 많은 도시가 스마트 디클라인 전략을 적용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시간 주의 플린트(Flint)나 오하이오 주의 클리브랜드(Cleveland)는 토지비축제도(Land Banking)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토지비축제도는 부동산 혹은 토지의 소유주가 관련 세금을 장기간 납부하지 못하여 부동산 혹은 토지가 버려진 경우, 해당 도시가 부동산이나 토지를 소유 및 규제하 고 다른 사람에게 되파는 제도입니다. 굉장히 싼값에 토지를 구매할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앞서 말한 시점으로 되돌아 가서, 만약 당신이 20명 남은 지역에 거주하는데, 당신의 집 주위에 7개의 매 우 저렴하고 구매 가능한 토지가 있어 당신이 7개의 토지를 모두 매입한다고 가정해봅시다. 당신에

공지와 유기구조물에 의한 도시쇠퇴 현상을 도시의 문제라고 생각하기보다는 재활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고려하는 관점이 도시쇠퇴 현상의 원인을

알아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7)

crime havens, and they’re not becoming an aesthetic problem, and they’re not becoming places for vandalism, so they do contribute to what the city needs, but maybe not for a developmental purpose.

We can predict where vacant lands are going to occur if we’re taking the smart decline approach. You can actually target areas of future decline to say, “Okay, we don’t want to develop here, but these are going to be declining. 1. what can we do to prevent it, and 2. if we can’t, how can we manage it better to where it doesn’t become something that degradates the city.”

Kim It sounds interesting that even though every city has unique characteristics, they are commonly suffering from urban decline. Could you give me examples of some cities?

Newman Start with the smart decline approach, Youngstown, Ohio, is doing what they call rightsizing, which is basically smart decline.

Basically, they want to right-size their city, which basically means allow to shrink somewhat so that there’s no dense development, but then there are areas that are allowed just to depopulate. Now they’ve come under scrutiny.

Let’s say there are a hundred people in a neighborhood, eighty people leave, so they have twenty people still living there. But these people are scattered out in these isolated areas.

So, if you’re trying to right-size some of these

cities that are practicing smart decline, they are cutting infrastructure to some of these neighborhoods that have been depopulated, which means that people who still live there are getting the shaft. They used to get more, which can be pretty bad. Especially, these people may have lived there their whole lives. They’re not getting their goods and services from the city.

It’s not always a pretty picture when you’re trying to explore some of these new options either.

I think a lot of other places have more inventory based approaches, which I think are much more successful, like Philadelphia’s Neighborhood Transportation Initiative. They’ve done a great job of inventorying vacant and abandoned properties, targeting the ones that have some potential to be re-used, raising those properties or demolishing the abandoned. And then basically trying to locate new housing in these areas, but along corridors that merit some sort of potential. It isn’t just a kind of piecemeal approach. There’s inventory, and there’s a rationale set up for target areas because it costs a lot of money to push over abandoned houses. Some of these cities are depopulated to the point where they don’t have the money right now to push these houses or abandoned properties over. Some of these cities have to live with them, which is why they’re rightsizing and smart declining.

Cleveland, Ohio, and Flint, Michigan, are

(8)

게 한 가지 좋은 점은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양의 토지를 매입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많 은 양의 토지를 앞으로 계속 관리해야 한다는 문제점도 동시에 갖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도시쇠퇴 현상과 관련된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공지, 건축물, 구조물, 버려진 땅을 실제로 다 파악할 수 있는 경우라면, 볼티모어의 5000계획(Baltimore’s Project Five Thousand) 이 적용가능한 사례가 될 것입니다. 볼티모어의 경우, 목록에 있는 모든 공지, 건축물, 구조물, 버려 진 토지를 매입한 후 이들을 연계시켜 재정비하는 전략을 사용하였습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거나 다수의 소규모 공지 혹은 유기구조물을 연계하여 공공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공원 같은 모든 사람을 위한 장소로 말입니다. 제가 연구한 바에 따르면, 고립되어 있는 소규 모 공지 혹은 유기구조물이 가장 재생하기에 어렵습니다. 볼티모어의 경우처럼 여러 공지 혹은 유 기구조물을 통합 및 연계하는 재생방안을 수립하면 보다 성공적인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김 장소 및 주변 조건들은 제각각이기에, 그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는군요. 하지만 지금 까지 말씀하신 사례들은 대부분 오래된 공업도시나 인구감소로 인해 쇠퇴하는 도시가 대부분입니 다. 제가 더욱 관심을 갖는 것은 현재 성장 중인 도시입니다. 이러한 성장도시는 인구, 경제, 토지합 병 및 많은 물리적인 요건이 유리함에도 불구하고 도시쇠퇴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뉴먼 물론 인구감소 혹은 낙후산업으로 인한 공업도시가 도시쇠퇴 현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은 것 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제 연구에 따르면, 성장하고 있는 도시가 쇠퇴하고 있는 도시보다 더 많은 양의 공지 혹은 버려진 땅을 포함하고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성장도시에서 나타 나고 있는 공지는 전형적으로 도시의 외곽지역, 다시 말해서 토지합병으로 인한 도시의 경계 부분 에서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또한 이러한 공지는 단순한 공지가 아닌, 개발된 적 없 는 그린필드(Greenfields)를 포함하고 있어, 모든 공지가 도시 낙후 및 쇠퇴를 일으키는 요인이라 고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성장도시의 경우, 도심지를 중심으로 다수의 공지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점입니다. 이는 고립되어 있는 소규모 공지는 다른 어느 지역과도 연계성이 적어 재생 혹은 재개발이 어렵다는 중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쇠퇴도 시인지 성장도시인지에 관계없이 가장 중요한 점은 각각의 도시가 서로 다른 종류와 유형의 공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나타나는 문제점도 서로 다르다는 것입니다.

김 지금까지 도시쇠퇴 현상과 관련하여 미국의 도시들을 예로 들어주셨는데요. 각각의 도시가 서 로 다른 유형의 공지를 포함하고 있어 그에 따른 문제점도 각각 다르다면, 비교사례에서 적용된 교 수님의 연구 방법론과 대응방안이 아시아, 유럽, 혹은 다른 나라 도시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9)

doing land banking, which is basically if someone abandons their property and they haven’t paid their taxes in so long, the city will take the land and regulate who they can sell the land to and where they want to sell to. In some cases, you can buy land super-cheap, like a dollar an acre. One good thing is if you go back to our original analogy and you’re one of the twenty people in the neighborhood, and let’s say, seven lots around your house are left, you can buy all those lots for cheap. The point is, that’s your land now, and you have to maintain it, it’s not sitting there, and it’s something that a property owner has to maintain. So, basically, your lots’ parcel sizes are replanting themselves based on your land, making in some cases an interesting approach.

Lastly, I think Baltimore’s Project Five Thousand was a decent approach where the city inventory again is really about if you know where these places are. The inventory for the city acquires all these abandoned lots. They try to assemble them into some sort of non- disconnected thing. So, once you start getting these things abandoned in certain areas you can get clusters of them. And then instead of doing small isolated one or two lots here and there, you get massive pushes of the land that the city owns that you can put to some public use. You can turn it into a park, you can do whatever you want with it at that point. But, as we’ve seen in my research, the small isolated

tracks are super difficult to regenerate. But if you get two hundred small isolated tracks that are near one another you can assemble them into a bigger one. These approaches have shown success in many cases.

Kim I understand that most of your research cities are legacy and shrinking cities, they are suffering from deindustrialization and depopulation. Even the locations of these cities are different, and the characteristics vary, but they indicate common problems and challenge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imilar issues in the growing cities. Nevertheless, the growing cities have positive features, such as population, economics, and the physical boundary is growing, but they are also suffering from urban decline issues, especially in inner urban areas.

What do you think about that phenomenon?

Newman A lot of these depopulating cities are the ones most clearly affected by urban decline, but growing cities, even in our survey, we found that they actually report more vacant land than shrinking cities do. Most of the vacant land going to a growing city typically is on the periphery which they just annexed. So, those kinds of green fields and vacant lands are not always a bad thing. But what we also see in many cases is that they have a growing number of vacant parcels. The land amount may not be as much, but the vacant parcel amounts are increasingly growing in their inner cities. And,

(10)

뉴먼 물론입니다. 저는 현재의 도시쇠퇴 현상은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전반적인 현상으로, 우 리 모두가 주목해야 할 글로벌 이슈(Global Issue)라고 생각합니다. 2010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의 200개가 넘는 도시가 도시쇠퇴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미국 또한 세계 여러 도시 중 일부라고 생각합니다. 비록 전 세계적으로 도시인구가 향후 50년간 거의 두 배로 증가할 것이라 고 예상되지만, 전체적인 인구분포는 고르게 분산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도시구 조가 지속된다면, 상당한 지역이 도시쇠퇴 현상으로 어려움을 겪게될 것이라고 예상합니다. 미래 의 후손에게 새로운 도시를 계승하고 싶다면 보다 진보된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도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중국의 경우, 도시 전체를 건설하고 사람들로 채워지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 만 모든 도시가 그런 것은 아니지요. 아직 사람들로 채워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신도시도 많습니 다.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도시 화에 속하지 않은 지역도 있습니다. 세계적 도시화는 약속된 것이 아니며, 어느 지역의 도시화가 진행되는 동안 동시에 다른 어떤 지역은 죽어가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환경이고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거나 경제 적인 측면과 관련된 없는 부분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합니다. 생태 학적인 측면이나 홍수 등과 같은 자연재해에 대한 예측 및 대응방 안 등이 일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도시 쇠퇴 현상은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입니다. 이러한 현 상을 통해 저는 앞으로 더 많은 것들을, 특히 공간적 측면에 대하 여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많은 도시, 지역이 그들의 조 건을 고려한 목록을 만들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저의 연구에서처럼 토지이용자료, 인구조사자료, 목록화 등을 이용하여 그 지역 혹은 도시가 쇠퇴한 이유를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연구 가 많이 시행된다면 그 결과를 토대로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비교대상이 생겨나고, 다양 한 사례 및 공통된 문제점을 통해 더 나은 해결방안을 계획할 수 있을 것입니다.

김 그럼 도시계획가 혹은 도시설계가로서, 공지 및 유기구조물에 의한 도시쇠퇴 및 도시재생을 공부 하는 연구자로서, 성공적인 도시재생이란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요? 그리고 그 성공적인 도시재생 을 위해 도시계획가 혹은 도시설계가의 어떠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나요?

뉴먼 무엇보다도 매우 전략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재생하려는 대상이 무 엇인지, 어떻게 재생할 것인지, 재생을 어떻게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 명확히 해야할 필요가 있습니 다. 만약 도시재생을 단순히 새로운 쇼핑센터를 건설하거나 돈이 되는 용도로 재사용하는 것으로

세계적 도시화는

약속된 것이 아니며,

어느 지역의 도시화가

진행되는 동안 동시에

다른 어떤 지역은 죽어가고

있는 것이 바로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환경이고

상황입니다.

(11)

as we just discussed, those small isolated tracts of vacant land are very disconnected from one another. Those are much harder to regenerate than the other, just as we’ve shown in a lot of our literature. It’s very important that the differentiate that typology or other types of vacant land or abandon lots in the city. Because if you don’t recognize that, on the surface, it’s going to look like the same issues occurring in each when in reality the circumstances are totally different.

Kim So far, your studies examined cities within the US. Do you think the studies in other countries might provide comparative cases and lessons, particularly in Asia, Europe, or elsewhere? If so, can your research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be applied to those other countries’ cities?

Newman Oh, yes, clearly. I think urban declines are a global issue and as of 2010, there were over two hundred shrinking cities globally.

I wouldn’t say that a majority were in the US either. I mean, they’re in China, they’re in Europe, they’re everywhere. It’s a global phenomenon. Globally, urban populations are projected to almost double in the next fifty years, but population distribution is not spread evenly. So, within the matrix of urban areas, there’s also a decent degree of areas that are suffering. What’s happening is that we having new cities, if you want to call them that, pop

up, more technology based cities.

In China, for example, they build entire cities, and they fill them up pretty rapidly. They also have cities that they’ve built that are new that aren’t filled, and they’re struggling to build some of these areas up. It’s not like the global projections there were rapidly urbanized, there’s not a subset within that. That is not fueling that promise, it’s actually dying off. That’s the circumstance we live in, so yes, to some degree you have to think about non-human use, maybe it is not purely for economic exploitation.

It’s about ecological services or flood retention.

So, yes, it’s definitely a global phenomenon, and I think the more we can learn, especially spatially, because more places have started to inventory their conditions. They can do the same thing we’re doing where we’re linking it to census data, land use data, all that stuff and trying to analyze the source of why they declined in the first place. Then we can compare across not only cities in the US but across continents and across countries. And one of the major issues comparing across cities is that every city defines it differently, so there are different types in each city, so it becomes a lot to undertake when you start trying to make a longitudinal approach over time across space and time it becomes very hectic and tough to do.

Kim As an urban planner/designer and landscape architect who is studying urban decline and

(12)

정의한다면, 이것은 성공적인 도시재생이 아닙니다. 수많은 원인과 문제점이 그 지역을 낙후되고 쇠퇴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단순하게 투입하여 재개발하는 행위로는 도시재생이 불가 능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인구감소로 인한 도시쇠퇴 현상이 일어난 지역에서는 더욱 사람들의 이목 을 집중시키거나 관심을 불러오기는 힘듭니다.

현시대의 성공적인 도시재생에는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반드시 내포되어야 합니다. 다시 말해 그 지역에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어떤 사람들이 거주하는지, 그 사람들은 무엇이 필요한지, 어떤 도 시기반시설이 충당되어야 하는지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여기에 임시적 주차공간, 마을 텃밭, 혹은 공원 등과 같은 공공을 위한 공간, 홍수예방을 위한 녹색도시기반시설이나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 을 위한 서식지까지도 포함하는 보다 포괄적인 고려가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많은 도시에서 이 모든 것을 고려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많은 도시가 인구감소로 인해 세금이 줄 어들게 되고, 이를 충당하기 위하여 토지병합으로 도시의 경계를 늘려 더 많은 인구를 포함시키려 하기 때문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성장도시 혹은 토지병합으로 도시경계가 확장된 도시의 경우도, 물리적으 로 증가한 토지의 양과는 상관없이 경제적인 성장마저 실패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더 많은 양의 공 지만 늘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중요한 점은, 도시재생을 바라보는 관점 및 관련 범 위 확장, 그리고 도시쇠퇴에 대한 경쟁력 있는 대응방안 수립이라고 생각합니다.

김 그렇다면 앞으로의 도시재생의 비전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어떤 분야가 미래의 성 공적인 도시재생과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고 보시나요?

뉴먼 앞으로의 도시재생은 여러 학문 분야를 포함한 융합적 학문의 산출이어야 합니다. 공지 및 버 려진 토지, 그리고 유기구조물은 일반적인 용도로 이용되는 토지였으며, 전 세계 어떤 도시에나 존 재하는 용도의 시설, 혹은 토지라는 공통점을 가지기에 비교분석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 는 연구과제이기도 합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세계 어떤 도시에든 이런 공지 및 버려진 토지, 그리고 유기구조물이 있다 보니, 매우 다양한 종류, 형태, 그리고 정의를 가지고 있어 그만큼 다루기 어려 운 연구과제이기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더욱 융합학문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가능하다면 전 세계 어느 도시에서나 적용될 수 있는 기준 혹은 합의적 정의가 필요합니다.

다양한 학문 분야 중에서도, 특히 자연재해와 관련된 도시재생, 홍수나 허리케인 등에 의해 온 도 시 전체가 폐허가 되어버린 지역을 재건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도시 전체가 기능을 상실 한 채 방치되었기 때문에 회복이 되는 시점까지 빈 공간으로 남아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 금까지 우리가 이야기해온 것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도시현상으로, 전혀 예측이 불가능하기에 이러 한 재해·재난에 적용가능하며 효과적인 경제 및 사회적 관점과 방안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면에서 융합학문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됩니다.

(13)

urban regeneration focused on vacant land and abandoned structures, what is the definition of successful regeneration? And what do we (urban planners/designers and landscape architects) need to do to achieve the most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Newman It is going to be very strategic. And what you try to regenerate, in other words, how you regenerate it so are you defining regeneration, is what it’s about. It’s not just about can I build a strip mall here and make money off it. If that’s what you’re doing and that’s how you define successful regeneration, you probably need to rethink it. Because there’s a reason why these lots are declining and if you try to build something on it just because you build it doesn’t mean people are going to come and use it. Especially if you’re depopulating, the people aren’t even there to use it.

Achieving a successful regeneration, I think, in the modern era, is going to be more about sustainable regeneration. In other words, what do the community need and those who stayed what do they need and can there be different infrastructure put in place to fulfill their needs?

Whether it be temporary parking or community gardens or public space or a park or maybe it’s a flood attenuation green infrastructure or maybe habitat for endangered species. We need to start thinking more broadly than what can I build here and just try to make some money back. In a lot of the cities, it’s tough because

what’s happened is that when the big cities lose population, they lose all the tax base that those populations paid. And, the people leave and what the cities are trying to do with tax money in a lot of cases is expand outward.

But, as we’ve seen, a growing city or an expanding city that’s not called growing because it’s not growing economically. As we’ve seen in my research, in the urban expansion, the city boundary expansion actually increases vacant land, even on the outskirts and in the cities. I guess the key thing is broadening our horizons to what regeneration is and that’s why this decline approach is very contested because it can step on the toes of humanity to some degree. But some of the ideas embedded within it are relevant because it does open your eyes to what and how to repurpose them in a different way.

Kim How do you envision the future of urban regeneration? And what are the most important approach and feature for future urban regeneration? Is there any other subject or field which can be expanded or considered with urban regeneration?

Newman Clearly, it has to be more interdisciplinary because the one thing about vacant and abandoned lots is that they are a common urban land use and so they are one thing that is consistent in every city. No matter where you go there’s going to be some degree. So, it’s a

(14)

마지막으로, 도시쇠퇴 및 도시재생은 유비쿼터스적인 도시현상이라고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앞 서 말씀드린 대로 전 세계 어느 곳을 가더라도 이러한 현상은 존재합니다. 다학문적인 측면에서 도 시문제를 관찰하고 연구하고 논의하여, 그 결과를 공유 및 비교하는 것이 더 나은 전략방안 및 대 응책을 마련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효과적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는 주로 도시계획 학 연구자들 위주로 도시쇠퇴 및 도시재생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도시현상의 배경은 건설 환경 문제, 환경 및 생태적 연구와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미래의 성공적인 도시재 생 전략방안은 지금보다 더욱 융합학문적이어야 하며, 이러한 다방면의 연구가 도시재생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우리는 성공적인 도시재생으로 보다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김 도시재생에 대한 교수님의 연구와 오늘 인터뷰가 미래의 성공 적인 도시재생을 꿈꾸는 도시계획가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 인터뷰에 응해 주신 것에 감사드리며, 다시 한번 교수님의 소중한 의견과 시사점을 공유해주신 것에 대 해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갤런 뉴먼 교수의 주요 저서 및 논문

Newman, G. 2016a. Effects of area-based heritage management on demolition by neglect: Comparing rates in historic urban boroughs. Journal of Urban Regeneration & Renewal 9. no.3: 250-268.

_____. 2016b. The eidos of urban form: A framework for heritage-based place making. Journal of Urbanism: International Research on Placemaking and Urban Sustainability 9, no.4: 388-407.

Newman, G., Bowman, A., Lee, R. J., and Kim, B. 2016. A current inventory of vacant urban land in america. Journal of Urban Design 21, no.3: 302-319.

Newman, G., Gu, D., Kim, J. H., Bowman, A., and Li, W. 2016. Elasticity and urban vacancy: A longitudinal analysis of U.S. cities.

Cities 58, 143-151.

Newman, G. Kim, J. H., Berke, P., Merrill, J., Wang, Y. and Li, Q. 2016. From idle grounds to ecological infrastructure: The resilient design of manchester neighborhood in houston. Landscape Architecture Frontiers 4, no.5: 68-84.

Newman, G. Lee, J., and Berke, P. 2016. Using the land transformation model to forecast vacant land. Journal of Land Use Science 11, 4: 450-475.

미래의 성공적인 도시재생 전략방안은 지금보다

더욱 융합학문적이어야 하며,

이러한 다방면의 연구가

도시재생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우리는

성공적인 도시재생으로 보다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15)

great thing you can study across cases to make comparisons. But also, as we discussed, it’s very difficult to do because there are different types and there are different definitions of it across municipalities. I think it is going to have to be more interdisciplinary to the degree that other disciplines need to come together to create some sort of standard to abide by.

Also, it’s related to other disciplines in the sense of doing hazard research. I do a lot of research on flood issues, specifically toward recovery because if a hurricane hit or a major disaster flood hits, it’s going to wipe out an entire area. That’s going to result in declining vacant or abandoned places, at least for a period of time, before it recovers. That’s a different type of vacant land, it’s actually an interesting type because it’s sometimes temporary and it’s not like something that comes from an economic perspective or a depopulation perspective.

Literally, nature caused it. It’s just there one day, wasn’t there one day, and that’s expected.

Crossing disciplines and allowing other disciplines actually to study this phenomenon is the first step, I think, in coming together to a general consensus on how to deal with it to some degree.

The last thing, I want to say about it is that because it’s a ubiquitous urban phenomenon. As I said, it’s wherever you go in an urban area.

The future has to be interdisciplinary because every discipline that deals with anything Urban

has to deal with that issue. These discipline studies are focusing on it as its own research agenda and then coming together. Coming together and comparing their results is going to be key. Because, right now, there’s only a small number of people trying to do research and it’s mostly related to planning fields.

But the bottom line is this type of issue is an ecological type that deals with environmental or built environmental issues. The future urban regeneration has to be much more interdisciplinary when there is a specific focus on this as a research agenda and because it is its own landscape also.

Kim I believe your studies and lessons will indeed provide applicable ideas for future planners.

Thank you for participating in this interview, and again we deeply appreciate you providing a lot of valuable ideas and lessons. Thank you very much.

참조

관련 문서

Five Cities: Modeling Asian Urban Population-Environment Dynam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According to their main function, enterprise cities a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of cities such as industry-trade type, knowledge-based type,

• Deep brands are ones that may appeal only to a much narrower set of people, but they create a lot of value to those people. These brands have lower revenue but

The most common frozen section specimens that we receive include trucut breast biopsies for diagnosis of carcinoma (in the past we received lumpectomies but now these

If we are forbidden by our culture to think a particular thought or entertain a particular desire, that taboo instantly brings to mind the very thing we

As you see in our survey report ⑦ stating ⑧ eight units of computers ⑨ are badly damaged ⑩ on account of the inferior packing, they are quite unsaleable. ⑪

- Renewable E, waste recycling, technology / industrial clusters, infrastructure integrated design Underground transportation

• Select one of the elemental technologies of Smart City and describe the current level of this technology, the direction of future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urban spa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