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슬개-대퇴간 관절의 압통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슬개-대퇴간 관절의 압통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의 관계"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슬관절 관절염에 대한 진찰 소견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 한 검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체중 부하 관절인 대퇴-경골간 관절에 비해 비 체중 부하 관절인 슬개-대퇴간 관절에 대한 검 사는 자칫 소홀히 다루기가 쉽다. 뿐만 아니라 슬개-대퇴간 관 절의 경우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한 연구 보고가 미미한 상 황이고 특히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 진찰 소견과의 상관 관계 분석에 관한 문헌은 발견하기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슬개-대퇴간 관절의 해부학적 위치에 따른 압 통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 한 64명 환자 70예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58명은 편측을, 나머지 6명은 양측 슬관절에 시행하였으

594

목 적 :슬개-대퇴간 관절에서 압통 소견와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분석하여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1년 6월까지 슬관절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64명의 환자, 70예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슬개골 관절면의 압통과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 등급(Shahriaree 분류)과의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자기 공명 영상 판독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슬개골 및 대퇴 활차 관절면 의 부위별 압통 소견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결 과 :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기준으로한 압통의 민감도는 49% (99/202 관절면), 특이도는 83.8% (279/333 관절면), 정확도는 70.6% (378/535 관절 면)였다. 압통과 자기 공명 영상 등급은 슬개-대퇴간 관절 전체적으로는 중등도의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r=0.41, p<0.01), 대퇴 활차 관절면(r=0.33, p<0.01)보다 슬개골 관절(r=0.47, p<0.01)에서 더욱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결 론 :슬개-대퇴간 관절에 대한 압통 소견은 대퇴 활차 관절면보다는 슬개골 관절면의 연골 상태를 더욱 잘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색인 단어 : 슬개-대퇴간 관절, 압통, 자기 공명 영상

Correlation between Tenderness & MR Findings in Patellofemoral Joint

Yang-Soo Kim, M.D., Jung-Man Kim, M.D., Yong-Jin Kwan, M.D., and Won-Hee Jee, M.D.*

Departments of Orthopaedic Surgery and Diagnostic Radiology*, Kangnam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nderness and the MR findings of patellofemoral articular cartilage abnormalities.

Materials and Methods :We investigated 64 patients, 70 knee joints, who had symptoms of knee pain.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nderness and the MR grades at each tender point of the patellar and calculated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tenderness on the basis of MR imaging.

Results :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tenderness were 49.0% (99/202), 83.8% (279/333), 70.6% (378/535), respectively.

The tenderness and the MR grades were moderately correlated in the patellofemoral joint as a whole (r=0.41, p<0.01), and tenderness was substantially correlated with MR grade in the femoral trochlear articular surface (r=0.33, p<0.01) and moderately correlated in the patellar articular surface (r=0.47, p<0.01) with MR grades.

Conclusion :That of tenderness represents the condition of the articular cartilage of the patellar better than that of the femoral trochlear.

Key Words : Patellofemoral joint, Tenderness, MR imaging

594

슬개-대퇴간 관절의 압통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의 관계

김양수ㆍ김정만ㆍ권용진ㆍ지원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방사선과학교실*

594 594 통신저자 : 김 정 만

서울시 서초구 반포동 505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정형외과 TEL: 02-590-1464∙FAX: 02-535-9834 E-mail: jmk@cmc.cuk.ac.kr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ung-Man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Kang-Nam St. Mary’s Hospital 505 Banpo-dong, Seocho-gu, Seoul 137-040, Korea

Tel : +82.2-590-1464, Fax : +82.2-535-9834 E-mail: jmk@cmc.xuk.ac.kr

(2)

며 연골의 상태를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해 Siemens 1.5 T 자기 공명 영상 기기를 이용하여 fat supressed (FS) 3D DESS 영 상을 사용하였다.

진찰은 검사대 위에 환자를 앙와위 상태로 슬괵부를 검사자의 한쪽 손으로 받친 후 검사자의 다른 한 손으로 압통 소견을 검 사하였다. 이는 슬관절 관절염 환자의 경우 대부분 슬관절 굴곡 변형이 동반되어 있어서, 압통 검사시 슬괵부위를 한손으로 받 혀주지 않으면 굴곡 변형에 의한 동통과 슬개골 압통의 결과가 감별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슬개골 압통상 양성 소견이 보일 때에는 슬개골 관절 연골 부위에 이상이 있는 경우와 이에 맞닿 는 대퇴 활차 연골 부위에 이상이 있을 경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므로 슬개-대퇴간 관절을 슬개골 관절면과 대퇴 활차 관 절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압통의 정확한 해부학적 상관 관 계를 알아보기 위해 슬개골 관절면을 다시 5구역 즉, 내측 관절 면(medial facet), 중앙 관절연(median ridge or central ridge), 외측 관절면(lateral facet), 상부 관절면(superior por- tion), 하부 관절면(inferior portion)으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슬개골의 각 관절면과 맞닿는 대퇴 활차 부위는 3구역 즉, 내측 관절면(medial facet), 중앙 관절면(midline facet), 외측 관절 면(lateral facet)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는 슬개골의 상부 관절면과 맞닿는 대퇴 활차 부위는 실제적으로 활차 연골의 상 부인 피질골에 해당하여 활차 연골과는 관계가 없으며, 슬개골 하부 관절면과 맞닿는 대퇴 활차부위는 활차 연골의 중앙 부위 가 되므로 대퇴 활차 연골 부위의 검사는 결과적으로 3구역이 된 다(Fig. 1). 이렇게 하여 총 64명 환자 70예의 슬관절에서 슬개 골 관절면 350개와 대퇴 활차 관절면 210개를 검사하였으며, 검 사 대상 관절 중 골극이 심하거나 영상 소견 상 판독 불가능한 관절면(슬개골 관절면 24개, 대퇴 활차 관절면 1개)를 제외한 슬개골 관절면 326개와 대퇴 활차 관절면 209개를 검사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판독시 관절 연골의 등급 분류는 Shahriaree 의 분류를 따랐으며20) 방사선과 전문의 1명과 함께 판독하였다.

결과의 통계 분석상 용이함을 위하여 등급 0과 1은 ’비질환 관 절면'으로, 나머지 등급 2에서 5까지를 '질환 관절면'으로 분류하 였다2). 성별, 연령, 임상 진단, 진찰 소견 및 자기 공명 영상 소 견 등을 분석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이 실제 연골 상태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 이 아니지만 이미 많은 연구에서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정확도 를 보고하고 있는바2,3,12,15,19), 자기 공명 영상 판독 결과를 기준으 로 각 관절별 압통의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 정확도(accuracy), 양성 예측도(positive predictive value) 및 음성 예측도(negative predictive value)를 산출하였다. 또한 압통과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의 상관 분석을 위하여 윈도우용 SPSS 7.5를 이용하여 비모수 상관 계수 중 Spearman 상관 계 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일반적으로 두 변수가 직선적 관계에 있다면 그 상관 계수는 -1(역비례)이나 +1(정비례)에 가까워지 고, 직선적 관계가 아니라면 상관 계수는 0에 가까워진다. 또한 상관 계수가 0.4 이하일 때에는 약한(mild) 상관 관계를 나타내 며, 상관 계수가 0.4 이상, 0.7 이하일 때에는 중등도(moderate) 의 상관 관계가 있으며, 0.7 이상의 상관 계수는 두 변수가 강한 (strong) 상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 과

환자 연령은 평균 51.9세(21세-75세)이었고, 성별은 여자가 51명(79.7%), 남자가 13명(20.3%)이었다. 원인 질환은 슬개골 연골 연화증이 31예(48.4%), 퇴행성 관절염이 15예(23.4%), 기타가 18예(28.2%)이었다.

슬개골 관절면은 총 326개의 관절면으로서 자기 공명 영상 검사 결과는 등급 0이 140예(43%), 등급 1이 41예(13%), 등 급 2는 48예(15%), 등급 3은 47예(14%), 등급 4는 29예(9%), 등급 5는 21예(6%)이었다. 압통 결과 음성이 228예(69.9%), 양성이 98예(30.1%)이었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기준으로 한 압통의 민감도는 51.8% (74/145 관절면)이고 특이도는

Fig. 1.Sagittal section of MR T1 WI through the knee joint of a 43 year old male patient. When the patella was compressed back- ward, the superior portion (black arrow) of the patella did not touch the femoral trochlear cartilage. And the inferior portion (white arrow) of the patellar contacted the femoral trochlear cen- tral portion, which was where the patellar median ridge touched.

Grade 0 and 1 were considered as disease-free state and grade 2-5 were considered as disease state.

MR grade No. of cases (joint surface) specificity/

sensitivity (%) tenderness (-) tenderness (+) total

0 124 16 140 88.6

1 33 8 41 80.5

2 29 19 48 39.6

3 18 29 47 61.7

4 16 13 29 44.8

5 8 13 21 61.9

total 228 98 326 86.7 51.8

Table 1.Tenderness and MR grading in Patellar Facet Joints

(3)

86.7% (157/181 관절면)이었다(Table 1). 정확도는 70.9%

(231/326 관절면), 양성 예측도는 75.5% (74/98 관절면), 음 성 예측도는 68.9% (157/228 관절면)으로 관찰되었다.

대퇴 활차 관절면은 총 209개의 관절면으로서 자기 공명 영 상 검사 결과 등급 0이 124예(59%), 등급 1이 28예(13%), 등 급 2는 21예(10%), 등급 3은 12예(6%), 등급 4는 19예(9%), 등급 5는 5예(2%)이었다. 압통 결과 음성이 154예(73.7%), 양 성이 55예(26.3%)에서 관찰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 판독을 근 거로 산출한 압통의 민감도는 43.9% (25/57 관절면)이고 특이 도는 80.3% (122/152 관절면)이었다(Table 2). 그 밖에 정확 도 70.3% (147/209 관절면), 양성 예측도 45.5% (25/55 관절 면), 음성 예측도 79.2% (122/154 관절면)로 관찰되었다.

슬개골 관절면과 대퇴 활차 관절면을 종합하여 슬개-대퇴간 관절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관절 연골에 대한 압통은 자기 공명 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민감도 49.0% (99/202 관절면), 특이도 83.8% (279/333 관절면), 정확도 70.6% (378/535 관절면), 양성 예측도 64.7% (99/ 153 관절면), 음성 예측도 73.0%

(279/382 관절면)으로 관찰되었다.

각 관절 구역 별로 자기 공명 영상 등급 평균을 내어 비교하 였다(Table 3). 슬개골의 경우 내측 관절면이 1.24로 가장 낮은 등급 평균을 나타내었고, 중앙 관절연이 2.29로 가장 높은 등급 평균을 보여 주었다. 대퇴 활차 관절면에서는 내측 관절면이 0.77, 중앙 관절면이 0.97, 외측 관절면이 1.32로서 외측으로 갈 수록 등급 평균이 높아지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 등급과 압통과의 상관 관계를 슬개골 관절면 5구역과 대퇴 활차 관절면 3구역에서 각각 Spearman 상관 계 수를 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Table 4). 슬개골 관절면 중 중 앙 관절연(r=0.47, p<0.01), 외측 관절면(r=0.51, p<0.01), 상

부 관절면(r=0.55, p<0.01), 하부 관절면(r=0.61, p<0.01)이 압 통과 중등도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내측 관절 면(r=0.26, p<0.05)에서는 잠정적 상관 관계를 보여주었다. 또 한 대퇴 활차 관절면 중 내측 관절면(r=0.37, p<0.05), 외측 관 절면(r=0.39, p<0.05)에서 약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중앙 관절면은 압통과 상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r=0.25, p>0.05). 슬관절 전체적으로 볼 때 자기 공명 영상 등급과 압통과는 중등도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r=0.41, p<0.01), 대퇴 활차 관절면(r=0.33, p<0.01)보다 슬개 골 관절면(r=0.47, p<0.01)에서 더욱 강한 상관 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고 찰

관절 연골은 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연골하 골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켜 주며, 관절면을 부드럽게 하는 윤활 작용 을 하고, 마찰을 줄여주는 등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외상 에 대하여 예민하며 그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오기 쉽다. 슬개- 대퇴간 관절에 동통이 있는 질환을 소위 슬개-대퇴 관절 동통 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이라 진단하는데 그것 의 명확한 원인이나 병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4,9,14,21). 다만 유발 인자로서 급성 외상, 과사용, 지나친 고정, 유전적인 슬관 절 신전 기전의 부정 정열 및 불균형, 슬개골의 선천성 기형, 만 성 활액막염, 혈관절증, 감염 등이 있으며6,8,13,20), 그 원인이 슬 개-대퇴간 관절 병변이 아닌 슬개건염, 점액낭염, 추벽증후군 등은 진단에서 제외된다21).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은 육체 적 활동 도중 또는 활동 후에 유발되는 통증과 계단을 오르내릴 때나 쪼그려 앉을 때와 같이 체중을 가하면서 슬관절을 굴곡시 키면 동통이 유발된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가 대부분 성공적이

지만9,14) 외측 지대 이완술이나 슬개골 부정 정열의 교정 등의

수술적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4). 본 연구의 원인 질환으로 는 슬개골 연골 연화증, 슬관절 퇴행성 관절염 및 기타 질환이 있었다. 각 질환의 진단은 단순 방사선 사진과 진찰 소견을 근 Site Correlation coefficiency (r) p-value

Patella 0.47 0.00

Medial facet 0.26 0.04

Central ridge 0.47 0.00

Lateral facet 0.51 0.00

Superior portion 0.55 0.00

Inferior portion 0.61 0.00

Trochlea 0.33 0.00

Medial facet 0.37 0.02

Midline facet 0.25 0.15

Lateral facet 0.39 0.05

Total Knee Joint 0.41 0.00

Table 4.Correlation of Tenderness and MR grading of Articular Cartilage

Grade 0 and 1 were considered as disease-free state and grade 2-5 were considered as disease state.

MR grade No. of cases (joint surface) specificity/

sensitivity (%) tenderness (-) tenderness (+) total

0 102 22 124 82.3

1 20 8 28 71.4

2 15 6 21 28.6

3 6 6 12 50.0

4 9 10 19 52.6

5 2 3 5 60.0

total 154 55 209 80.3 43.9

Table 2.Tenderness and MR grading in Femoral Trochlear Grooves

Patella

MedialCentralLateralSuperiorInferior

Trochlea Medial Central Lateral MR

1.24 2.29 1.58 1.33 1.30 0.77 0.97 1.32 grade

Table 3.Averages of MR grading at Each Joint Surface

(4)

거로 하였으며 슬개골 연골 연화증의 경우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을 기준으로 하여 임상적 진찰 소견을 참고하였다. 따라서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정상 소견을 보이는 관절은 연골 연화증에서 제외하였다.

슬개-대퇴간 관절 연골의 병리학적 변화는 육안적 소견인 연 화, 균열, 세분화 등의 특징이 있으며 활동이나 슬개골의 압박 등으로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8,13). 그러나 연골 기질에 현미경 적인 퇴행성 변화나 연화만 있을 경우 표면적인 변화 없이도 슬 개골 압박이나 그와 연관된 활동시 동통이 유발될 수 있다11,20). 본 연구에서도 비 질환 관절로 분류된 자기 공명 영상 등급 0이 나 1에 해당하는 관절면에서 슬개골 압박 검사시 동통을 일으키 는 경우가 그에 해당된다 하겠다.

관절 연골의 검사 방법에는 많은 방법이 있다. 단순 방사선 검사, 관절 조영술, 컴퓨터 단층 촬영이나 컴퓨터 단층 조영술, 자기 공명 영상 촬영, 관절경 검사 등이 슬개-대퇴간 관절 연골 의 검사에 사용될 수 있으나, 검사의 침습성이나 민감도의 부족 등의 이유로 자기 공명 영상 검사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본 연구는 슬관절에 대한 압통이 관절 연골 상태를 얼마나 잘 반영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압통의 결과를 자기 공명 영 상 소견과 비교하였다. 특히 초자 연골에 대한 정확한 영상을 얻기 위하여 FS 3D DESS 영상을 이용한 자기 공명 영상 촬 영을 하여 간접적인 영상 촬영으로 인한 오차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화 등급을 Shahriaree의 관절 연골 자기 공명 영상 분류를 따랐으며 그 내 용은 다음과 같다. 등급 0, 정상 연골; 등급 1, 신호 강도 이상 은 있으나 연골 표면은 정상; 등급 2, 연골 두께 감소가 50%

미만; 등급 3, 연골 두께 감소가 50% 이상(Fig. 2); 등급 4, 전층에 걸친 연골 결손; 등급 5, 연골 손상이 전층에 걸쳐 있으 면서 연골하 골에 신호 강도 이상이 동반된 경우(Fig. 3)로 분 류하였다. Recht 등18)은 슬개-대퇴간 관절 연골에 대한 연구에 서, FS 3D 영상를 이용한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을 관절경

검사로 확인한 결과 민감도가 81%, 특이도 97%, 정확도 97%

라는 보고를 한 바 있다. 또한 Kladny 등10)은 슬관절 연골 조 직 표본에 대한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 해부학적 상관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매우 강한 상관 관계(r=0.88, p<0.01)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그 외에도 관절 연골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많 은 연구에 의해 그 정확도가 입증되어있다2,3.12,15,19). 그러므로 자 기 공명 영상 소견을 근거로 압통의 민감도와 특이도, 양성 예 측도, 음성 예측도 및 정확도를 산출하였다.

슬개-대퇴간 관절의 압통은, 슬개골 부위와 대퇴 활차부위 모 두에서 민감도보다 특이도가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어 관절 연골에 질환이 없을 때 압통이 음성이 나올 확률이 높다는 뜻으 로서 압통의 다른 여러 원인들을 배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 으로 판단되며, 또한 슬개골 관절 부위의 음성 예측도와 양성 예측도가 높은 비율을 나타내므로 압통과 관절 연골 질환과의 관계를 더욱 직접적으로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대퇴 활차 부위에서는 양성 예측도가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이는 반 면 음성 예측도가 상당히 높은 비율을 나타내어 압통 음성시 대 퇴 활차면의 연골 질환 가능성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질환 관절’에서 민감도의 경우 자기 공명 영상 등급이 올라갈수록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특히 대퇴 활차 관절에서 2 등급과 3등급 사이에서 급격한 증가 현상을 볼 수 있고 슬개골 관절면의 경우 4등급에서 다소 낮은 민감도가 관찰된 것은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겠으나 자기 공명 영상 소견 판독시 3등급 과 4등급 사이의 구분이 명확치 않은 이유가 있을 수 있다고 사 료된다.

슬개골과 대퇴 활차 관절의 각 관절면 별 평균 등급의 분포를 보면 주로 슬개골의 중앙 관절연과 외측 관절면의 평균 등급이 다른 관절면보다 높게 나왔으며 대퇴 활차 관절에서도 외측 관 절면 평균 등급이 대퇴 활차 관절면 중 제일 높은 수치를 나타 내었다. 이는 슬관절의 운동시 슬개골과 대퇴 활차 관절면 모두 Fig. 2.Axial fat-suppressed 3D DESS MR image through the

patellofemoral joint of a 38 year old woman with anterior knee pain. There was more than 50% loss of cartilage thickness at medial facet of the patella, which was interpreted as grade 3.

Fig. 3.Axial fat-suppressed 3D DESS MR image of the patellofe- moral joint of a 55 year old female patient demonstrating nearly full thickness cartilage defect at the lateral facet of the patella and underlying subchondral abnormal signal, which was interpreted as grade 5.

(5)

내측 관절면 보다는 외측 관절면에서 보다 높은 압력을 받기 때 문일 것으로 생각된다5-7,16,17). Brossmann 등1)은 Motion-trig- gered MR tomography를 이용한 정상 성인의 슬개-대퇴간 관 절 연구에서 슬관절을 신전할 때 여자는 평균 16°, 남자는 평균 12°정도 슬개골이 외측 전위된다고 보고하였다.

압통과 자기 공명 영상 등급 사이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면, 슬개골 관절면에서는 대부분 중등도의 상관 관계를 관찰할 수 있으며 대퇴 활차 관절면은 잠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슬개-대퇴간 관절 전체적으로는 중등도의 상관 관계를 보여 주 었다.

그러므로 진찰 소견인 압통은 자기 공명 영상 소견을 기준으 로 할 때 슬개-대퇴간 관절의 연골 상태를 잘 반영하는 검사이 며, 더욱이 대퇴 활차 관절 연골에 대한 검사보다는 슬개골 관 절 연골에 대한 질환 여부를 검사하는데 더 정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슬개-대퇴 간 관절 연골 부위를 검사하기 위해서 슬관절 전방 동통을 주소 로 내원한 환자를 위주로 연구되어야 하지만 슬관절 전방 동통 만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외에 다른 질환이 동반된 환자도 포함 되어 진찰 시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둘째, 관절 연골 상태를 육 안적 소견이 아닌 자기 공명 영상 소견으로 확인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의 정 확도는 많은 연구에 의해 증명되었지만 최종적인 확인 과정은 아니다. 물론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관절 연골의 변화를 비 침 습적으로 가장 예민하게 반영하는 검사법이지만, 보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서는 관절경 검사와 같은 수술적 확인을 통한 연구 가 앞으로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슬관절 관절 연골에 대한 압통은 자기 공명 영상 소견과 비교 해 본 결과 관절 연골의 상태를 잘 반영해주는 진찰 소견라고 생각하며 대퇴 활차의 관절 연골보다는 슬개골 관절 연골의 상 태를 보다 잘 반영해 준다. 또한 압통은 민감도보다는 특이도가 높은 진찰 소견법 중 하나이며 이는 관절 연골의 상태가 양호할 때는 대부분 압통이 음성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나타낸다.

참고문헌

1. Brossmann J, Muhle C, Melchert UH, Schroder C, Hassenpflug J and Spielmann RP:The femoropatellar gliding motion during active knee stretching. Imaging using motion-triggered MR tomography. Rofo Fortschr Geb Rontgenstr Neuen Bildgeb Verfahr, 156: 559-563, 1992.

2. Cardone G, Minio Paluello GB, Lo Presti G, Gagliardo O, Galluc- ci M and Castrcci M:Magnetic resonance study of patellofemoral carti-

lage with a fat-suppressed T1-3D gradient-echo sequence: a comparison with other acquisition technics at medium field strength. Radiol Med, 94:

150-156, 1997.

3. Disler DG, McCauley TR, Wirth CR and Fuchs MD: Detection of knee hyaline cartilage defects using fat-suppressed three-dimensional spoiled gradient-echo MR imaging: comparison with standard MR imaging and correlation with arthroscopy. Am J Roentgenol, 165: 377-382, 1995.

4. Fulkerson JP: Patellofemoral pain disorders: evaluation and management.

J Am Acad Orthop Surg, 2: 124-132, 1994.

5. Heegaard J, Leyvraz PF, Curnier A, Rakotomanana L and Huiskes R:The biomechanics of the human patella during passive knee flexion. J Biomech, 28(11): 1265-1279, 1995.

6. Henche HR, Kunzi HU and Morscher E: The area of contact pressure in the patello-femoral joint. Int Orthop, 4: 279-281, 1981.

7. Insall J: Chondromalacia patellae: patellar malalignment syndrome. Orthop Clin N Am, 10: 117-127, 1979.

8. Kannu P, Natri A, Niittymaki S and Jarvinen M: Effect of intraar- ticular glycosaminoglycan polysulfate treatment on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trial comparing gly- cosaminoglycan polysulfate with placebo and quadriceps muscle exercises.

Arthr Rheum, 35: 1053-1061, 1992.

9. Karlsson J, Thomee R and Sward L: Eleven year follow-up of patello- femoral pain syndrome. Clin J Sport Med, 6: 22-26, 1996.

10. Kladny B, Martus P, Schiwy-Bochat KH, Weseloh G and Swobo- da B: Measurement of cartilage thickness in the human knee-joint by mag- netic resonance imaging using a three-dimensional gradient-echo sequence.

Int Orthop, 23: 264-267, 1999.

11. Leslie IJ and Bentley G: Arthroscopy in the diagnosis of chondromala- cia patellae. Ann Rheumat Dis, 37: 540-547, 1978.

12. Muhle C, Brossmann J and Heller M: Functional MRI of the femoro- patellar joint. Radiol, 35: 117-124, 1995.

13. Outerbridge RE: The etiology of chondromalacia patellae. J Bone Joint Surg, 43-B: 752-757, 1961.

14. Pekka K, Antero N, Timo P and Markku J: An outcome study of chronic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Seven-year follow-up of patients 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Bone Joint Surg, 81-A: 355-363, 1999.

15. Potter HG, Linklater JM, Allen AA, Hannafin JA and Haas SB: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articular cartilage in the knee. An evalua- tion with use of fast-spin-echo imaging. J Bone Joint Surg, 80-A: 1276-1284, 1998.

16. Powers CM: Patellar kinematics, part I: The influence of vastus muscle activity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Phys Ther, 80:

956-964, 2000.

17. Powers CM: Patellar kinematics, part II: The influence of the depth of the trochlear groove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patellofemoral pain. Phys Ther, 80: 965-978, 2000.

(6)

18. Recht MP, Piraino DW, Paletta GA, Schils JP and Belhobek GH:

Accuracy of fat-suppressed three-dimensional spoiled gradient-echo FLASH MR imaging in the detection of patellofemoral articular cartilage abnormalities. Radiol, 198: 209-212, 1996.

19. Rose PM, Demlow TA, Szumowski J and Quinn SF: Chondroma-

lacia patellae fat-suppressed MR imaging. Radiol, 193: 437-440, 1994.

20. Shahriaree H: Chondromalacia. Contemp Orthop, 11: 27-39, 1985.

21. Thomee R, Augustsson J and Karlsson J: Patellofemoral pain syn- drome: a review of current issues. Am J Sports Med, 28: 245-262, 1999.

수치

Fig. 1. Sagittal section of MR T1 WI through the knee joint of a 43 year old male patient
Table 4. Correlation of Tenderness and MR grading of Articular Cartilage
Fig. 3. Axial fat-suppressed 3D DESS MR image of the patellofe- patellofe-moral joint of a 55 year old female patient demonstrating nearly full thickness cartilage defect at the lateral facet of the patella and underlying subchondral abnormal signal, which

참조

관련 문서

 이러한 영상효과를 실현하는 장치를 영상 특수효과 장치라고 하며, 영상 의 확대/축소, 위치의 이동과 변형 등 기하적인 처리를 요하기

• Gray-Scale Compression, Gray-Scale Stretching, Gray-Level Slicing, Gray- Level Thresholding, Gray-Level Negation. − 히스토그램

생각열기 자연에서 찾는 자기 닮음 현상 생각펼치기 시어핀스키 삼각형에서 규칙 찾기 생각다지기 다양한 자기 닮음 도형 만들기... Ⅲ Fractal

④ 거울에 얼굴을 비춰보고 얼굴 표정을 다양하게 바꾸면서 좌우가 바뀌지 않는지 관찰해봅니다.. 자연에서 찾는

압축된 펄스의 펄스 폭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상 관계에 레이저 빔을 입사 시켜 광학 정렬을 통해 펄스 폭을 측정 하였다.... 그러나 신호결과는

홈이 있는 관절두와 이에 맞는 모가 있는 관절 와 사이의 관절.. 한창 공부하고 뛰어놀 시기에 빌 하난이 잃은 것은 다리 하나뿐이 아니었다. 꿈을 잃었고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에는 문자기반 영상 검색 (text-based i mage retri eval )과 내용기반 영상 검색(content-based i mage retri

즉 특정 인물은 특정한 행동 양식을 가지며, 특정한 포이에시스(작품의 제작 방식)는 그에 상응하는 특정 한 아이스테시스(작품이 지각되는 감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