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데비 맥뮬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데비 맥뮬렌:"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데 비비 맥맥 뮬뮬 렌렌 (( DD ee bb bb ii ee MM cc MM uu ll ll ee nn ))

양도식 | 런던대학교 도시계획학과 튜터, 연구위원(인터뷰, 정리)

영남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했다. 런던대학교(UCL) The Bartlett Schoo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에서 건축디자인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도시설계·계획분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 대학에서 도시설계분야 도시공간분석과 도시설계 과목 튜 터와 연구위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포스트모던 도시수변공간의 문화적 사용을 위한 도시설계과정 분석”(2006),

“포스트모던 연안도시수변공간에 대한 고찰: 문화공간 담론을 중심으로”(2006), “문화공간으로서 도시수변공간의 성공을 결정 짓는 다섯 가지 도시디자인 요소에 대한 고찰”(2007) 등이 있다.

데비 맥뮬렌(Debbie McMullen)은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를 졸업하였으며 런던대학교(UCL)에서 도시계획학 석사(MPhil). 킹스톤비 즈니스스쿨(Kingston Business School)에서 MBA를 받았다. 영국 도시계획기술사(MRTPI)이며 현재 대런던위원회(GLA)의 런던플랜부 서의 국장(Head of London Plan)으로 재직 중이다. 런던도시계획자문위원회(London Planning Advisory Committee), 영국의 여 러 지자체에서 정책입안도시계획가로 활동한 바 있으며 런던시의 수석도시계획가(Principle Planner)와 도시계획전략 자문위원(Strategic Advisor)을 역임했다.

- interview

McMullen

Debbie

(2)

양도식

양도식(이하‘양’): 런던플랜의 완성은 대런던위원회(혹은 GLA)의 큰 치적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런던플랜에 대해 설명해 주십시오.

▶▶데비 맥뮬렌(이하‘맥뮬렌’): GLA는 아주 새롭게 만들어진 조직입니다.

GLA는 직접선거를 통해 선출된 시장을 바탕으로 실험적인 런던 시정부 운영 을 위해 2000년 설립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GLA가 런던을 위한 계획을 만들지 그리고 얼마나 걸릴지에 대해 많은 우려를 했습니다. 광역 런던의 지역 차원(regional level) 계획이 기존의 도시계획구조에 어떻게 적응될지에 대해 본질적인 걱정을 한 것입니다. 그래서 런던플랜은 국가차원의 도시계획 골격에 서부터 33개의 런던 자치구차원의 지역레벨(local level)까지 차례대로 고려해 야 했습니다. 런던플랜 외에도 GLA는 많은‘부가도시계획문서’, ‘베스트실행 사례지침서’, ‘권역별 개발계획’을 작성하였습니다. 런던 내의 자치구는 도시 계획과정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새롭게 도입된 LDFs를 작성하도록 되어 있습 니다. 하지만 현재 자치구의 LDFs의 작성과정은 아주 느린 상태입니다. 이것 은 자치구가 새롭게 도입된 LDFs 작성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은 데서 기인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LDFs가 런던플 랜과 어떻게 상호 연계될지 아직도 충분히 고려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생각됩 니다.

양: 광역런던에 대한 역사적 계획인 아버크롬비의 1944년‘대런던플랜’

데비 맥뮬렌:

런던플랜과 권역별 계획(SRDFs)

양도식|런던대학교(UCL) 도시계획학과 튜터 및 연구위원(인터뷰, 정리)

(3)

Debbie McMullen

Yang Do-Sik(‘Yang’): The publication of the London Plan is Mayor of

London’s (or GLA)one of the big achievements. Can you explain the London Plan’.

▶▶Debbie McMullen(‘McMullen’): Greater London Authority(GLA) is a very

new organization. It was set up in 2000 as an experiment in city government with a directly elected mayor. A lot of people were apprehensive about whether GLA will produce the London-wide plan and how long it will take.

There were quite a lot of worries and anxieties. But essentially, how does the

‘regional level’fit into the existing structure. So it has to take into account national planning framework and then it cascades down to the local level with London’s 33 boroughs. And at regional level we have Government for London and we have got the Mayor, so possible duplication and conflict at the regional level. And we have boroughs at the local level.

In terms of planning-making, we have national guidance in policy statements in national level. In addition to the London Plan, we produce

‘Supplementary Planning Guidance’(SPG), Best Practice Guidance(BPG), and Sub-Regional Development Frameworks(SRDFs). Boroughs now have to produce Local Development Frameworks(LDFs) which is supposed to be a way to speed up planning but in fact it is incredibly slow. Mainly because it

Debbie McMullen:

London Plan and Sub-Regional

Development Frameworks

(4)

(Greater London Plan)과 비교해 볼 때, 2004년

‘런던플랜(The London Plan)’은 어떤 차이점이 있습니까?

▶▶맥뮬렌:저도 아버크롬비의 런던플랜을 하나 가지고 있습니다. 아주 훌륭한 계획이고 아주 중 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계획은 전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기 위해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만들어진 것에 서 큰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당시 런던은 전 쟁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던 시기였는데 1944년 런던플랜이 이에 대해 훌륭한 아이디어 를 가지고 상세한 토지이용계획을 제시한 것은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1944년에 작성된 런던플랜과 2004년에 작성 된 런던플랜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 니다. 1944년 런던플랜의 경우 전쟁으로 파괴된 런던을 새롭게 만들기 위한 비전과 희망을 제시 해야 하는 긴급한 국가적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 졌습니다. 왜냐하면, 전쟁기간 동안 사람들이 전 쟁에서 지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 었기 때문에 1944년의 런던플랜은 미래지향적 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04 년 런던플랜 또한 비전을 제시하는 성격을 가지 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1944년 런던플랜이 만들어진 시기와는 완전히 다른 상황입니다. 런 던은 뉴욕, 도쿄와 함께 아주 성공적인 월드시티 입니다. 2004년 런던플랜은 지속가능한 월드시 티를 만들기 위한 비전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습 니다.

다른 중요한 차이점은 1944년 런던플랜은 컨

설팅받을 시간을 가지지 못했다는 점이며, 아주 건축적인 마스터플랜을 바탕으로 지도와 그림을 이용해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상세히 표현하 였습니다. 전통적인 도시계획 원칙을 매우 적절 하게 적용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1944년 런 던플랜에서는 도시의 밀도를 줄이고 많은 녹지 공간 조성, 그린벨트 정책의 도입, 도시의 무분 별한 확산을 막으려고 시도했습니다. 다만 자동 차 보급의 확대는 예측하지 못한 듯합니다.

2004년 런던플랜은 관련된 모든 당사자 (stakeholders)와의 컨설팅을 바탕으로 작성된 점이 아주 큰 특징입니다. 저희들은 런던시의회 (London Aseembly)의 자문을 받기 위해 먼저 런던플랜 초안을 작성하였습니다. 그후 일반 공 공의 컨설팅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공공심사 (examination in public)를 받기 전 런던플랜을 테스트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런던플랜이 발표 되었을 때 우리는 도시계획학교를 개최하였습니 다. 이를 통해 런던플랜을 상세히 소개할 수 있 는 기회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렇게 공을 들여 준 비한 저희들을 기쁘게 한 것은 런던플랜이 소수 의 사람에 의해 작성된 아버크롬비의 런던플랜 과는 달리 대중과 여러 관련당사자들이 관여하 여 만들었다는 점입니다. ‘시민들이 소유의식을 느낄 수 있는 계획’이라는 것이 2004년 런던플 랜의 중요성이라고 하겠습니다.

양:런던플랜(2004)은 약 4년간의 준비과정을 거쳤는데 작성하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면 무엇입니까?

(5)

has not been made clear to boroughs what they are expected to do. It has not been thought through how the new system work with the London Plan.

Yang: What are differences between the historic Abercrombie’s London Plan in 1944 and The

London Plan in 2004 ?

▶▶McMullen: I have a copy of this plan. This is very nice. Abercrombie’s London Plan(1944) is a

very important document because it was produced during the war in order to give people hope because London was going through a terrible time.

I think that the plan had some very good ideas. then they produced detailed land use plans It was just extraordinary.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Greater London Plan in 1944 and The London Plan(2004).

Probably, the main ones are that 1944 plan was built to address an urgent national need to provide a vision of hope that London will be rebuilt. It was a sort of time when people in England thought that they might lose the war. So, it is very aspirations. 2004 London Plan is also visionary. It is looking forward to how we can have more sustainable cities but circumstances are totally different. London is incredibly successful. It is along with New York and Tokyo one of three world cities. It is how to plan the world city.

The one big difference between two plans Is the1944 Greater London Plan goes into great detail but we do not do that because that is not the planning system we have but we do provide strategic policy framework to guide development not to dictate the development. We do development policy criteria that development has to comply with.

The other big main difference was that they did not have time to consult on the plan. 1944 Plan is a very architecturally base master plan looking at maps and drawing things on maps saying this is how should be. Using fairly traditional type town planning principles; the plan tried to reduce density, provide more green spaces, introduce green belt and constrain urban sprawl. Probably, it did not anticipate the growth of car.

The London Plan was very much based on ‘consulting’with a full range of stakeholders. We had produced a draft for the London Assembly to comment on. And then we had general public consultation. The plan was tested before an examination in public. When the London Plan was finally published we held planning school. So we could roll out the plan and explain it in more detail. What

(6)

▶▶맥뮬렌: 가장 큰 논쟁거리는 런던플랜에서 제시된 예측(projections)분야였습니다. 사람들 은 런던이 겪게 될 상황의 예측과 경향을 믿으려 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있을 성장에 대해서도 믿지 않았습니다.

또한 런던 도심에 집중될 성장의 타입에 대해 서도 회의적이었습니다. 그래서 새로운 일자리 와 성장이 도심에 집중될 것이라는 사실에 대한 다소 반대의견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반대의견 을 가진 사람들은 런던플랜을‘Zone 1’계획이 라고 불렀습니다. 그들은 런던을 성장과 외곽으 로 나누어지기를 원했습니다. 그래서 런던의 여 러 부분에 골고루 고용이 증가하기를 기대했습 니다. 이러한 견해는 런던 지자체의 관점에서는 이해가 가는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자치구가 단 지 런던의 교외 주택단지로 보이는 것을 원치 않 고 지자체 내의 직장과 경제가 발전시킬 수 있기 를 원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지자체의 입장에 서는 더욱 지속가능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지자체의 이런 견해는 시장의 원리와 차 이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런던 외곽의 자치구 에는 사무공간의 수요가 없었습니다. 저희들도 지자체의 견해를 반영하려고 하였으나 사무공간 의 수요는 너무나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무공 간 수요는 런던 도심의 시티 오브 런던(City of London)이 위치한‘중앙활동지역(Central Activities Zone)’이나 카나리와프(Canary Wharf) 그리고 웨스트민스터(Westminster) 지 역을 선호하는 성향이 있었고, 런던의 외곽인 욱 스브릿지(Uxbridge)나 크로이돈(Croydon)에 사

무공간이 위치하기를 원치 않았습니다.

양:권역별 계획은 런던플랜을 보조하는 부가 계획문서로 알고 있습니다. 런던플랜을 실행하는 데 있어 권역별 계획의 위상과 역할은 무엇입니 까?

▶▶맥뮬렌:사실상 권역별 계획(SRDFs)에 대 한 저희들의 생각은‘실행(implementation)’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권역별 계 획은 런던플랜을 실행하는 수단이며 그런 역할 을 잘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권역의 많은 파 트너들이 그들 지역에서 원하는 것에 대한 공유 의 여부는 권역별 계획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근거의 하나일 것입니다. 그래서 권역의 파트너들은 이를 수행할 리더십이 필요 하며 실행을 위한 재원(resources)을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위한 전담인력을 구 성해 권역의 현안을 반영해야 합니다.

양: 서울 도시기본계획에서도 서울을 5개 권 역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권역의 경계에 대해서 는 다소 논쟁이 있습니다만 런던플랜에 있어 5 개 권역별 계획의 경계를 나눈 기준은 무엇입니 까?

▶▶맥뮬렌:저희들도 권역의 경계를 정하는 데 있어 똑같은 논쟁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이 부분 에 대한 완벽한 해결책은 없다고 봅니다. 저희의 경우 런던의 독립된 자치구를 분할하는 권역의 경계를 만들지는 않고 몇 개의 자치구를 하나의 권역의 경계로 조성하였습니다.

(7)

was gratifying for us was that it was not seen as Abercrombie’s plan. ‘People refer to their plan’.

There were a sense of ownership in the plan. I think that is really important.

Yang: The preparation of the London Plan 2004 took four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LA

in 2000. Perhaps, you have experienced some difficulties during the process. What were main difficulties in making the plan?

▶▶McMullen: The big controversy was over projections. People just did not believe the projections

and the trends. They did not believe that there will be so many growth. They did not believe the type of growth concentrated in the centre. So there were some resistance to the fact that most of jobs and new growth will be located in Central London.

They labled it a Zone 1 plan. They wanted that growth to be more split up to the outer London area. So each bit of London would have urban employment growth. That is understandable from the point of view of boroughs. They do not want to be seen just as dormitories. They want to be able to have local jobs and develop local economies. They thought that this way is more sustainable in their point of view.

I can see that this is not the way the market works. There is not demand for office development in outer London. We have been trying tothat but the demand was just too flat. Offices want to be co- located in the Central Activities Zone(CAZ), in the City of London, Canary Wharf and close to Westminster. They do not want to be in Uxbridge and Croydon.

Yang: As the London Plan specified, the five Sub-Regional Development Frameworks(SRDFs) are

not statutory planning documents. They are supplementary planning documents. What is the status of the five SRDFs in implementing the London Plan

▶▶McMullen: In fact, our further thinking on Sub-Regional Development Frameworks(SRDFs), is

that they must be very much based on ‘implementation’. I would say SRDFs are a tool. They can work very well. One of the key criteria working well is if those partners have shared what they want for their areas. So they need to be prepared to give their leadership and to make sure that resources are available. They need to dedicate staff to this work, so that it reflects what they want to be in the framework.

(8)

런던의 경우 권역의 이런 특징이 권역의 데이 터를 수집하고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에 대한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하였습니다. 파이 의 조각처럼 방사형(radial)을 가진 권역의 경계 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는 교통인프라 측면에 서도 사리에 맞습니다. 왜냐하면, 주요 교통의 흐름이 런던의 외곽에서 런던의 도심으로 이동 한 후 다시 외곽으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대부 분의 사람들은 환상형(orbital)이 아닌 방사형으 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런던의 5개 권역은 공간적 크기로 볼 때 비슷 합니다. 개발의 측면에서는 북동부와 남동부가 개발의 기회가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 면, 이 지역은 ‘탬즈게이트웨이(Thames Gateway)’지역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지 역은 많은 산업유휴지(brownfield)가 있습니다.

그리고 교통의 요충지인 워털루, 빅토리아, 유스 톤역 주변은 많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권역의 경계와 관련하여 또 다른 주목할 만한 점은 주택공사(Housing Corporation)가 사용한 경계와 아주 비슷하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런던 의 권역과 주택공사가 미래의 투자를 위한 지역 은 아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 다. 이 점이 런던플랜과 권역의 주택정책과 서로 시너지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본질적으로, 현재 권역의 경계를 나눈 것은 권역별 계획의‘실행(implementation)’에 그 목 적이 있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권역경계는 일단 권역의 여러 당사자들이 동의만 한다면 어떠한 형태의 경계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

서 우리가 시도한 방법은 지역자치구, 비즈니스 커뮤니티, 지역의 커뮤니티와 자율단체, 건강과 주택 단체 등으로 구성된 권역 파트너십과 함께 권역을 만드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몇 개 권역은 파트너십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익숙하게 운영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자치구 끼리 서로 돕고 강한 유대감을 조성하는 공통된 역사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웃한 자치구와 서 로 협조하지 못하는 권역은 어떤 이유가 있으리 라 생각합니다. 그것은 아마도 복잡한 정치적 상 황을 가진 자치구 간의 견해 차이라든지 이웃의 자치구를 둘러보지 않는 너무 자기 자치구 중심 적인 것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권역과 관련하여 어떤 파트너십은 운영이 잘 되고 다른 파트너십은 운영이 잘 되지 않는 이유 는 다양합니다. 이 문제와 관련해서 중요한 핵심 은 결국‘리더십’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으로 좀 더 비전을 가진 자치구의 리더나 혹은 대표이 사를 가진 한두 개의 자치구가 중심이 되어 실현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쉬운 일은 아니지만 함 께 파트너십을 통해 일한다는 것은 당연한 결과 입니다. 왜냐하면 자치구 스스로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양: 5개의 권역별 계획은 각 권역의 전략적

목표와 권역의 여러 도시계획 현안에 대한 상세 한 설명과 전략적 방향제시 그리고 이를 바탕으 로 한‘실행지침’(Action)을 각 현안에 대해 제 시하고 있습니다. 이 실행지침은 런던의 도시계 획에 있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 간의 많은 협력

(9)

Yang: The Seoul Plan also has five sub-regions. There is, however, controversial discussion on the

boundary of the five sub-regions. What criteria you applied to divide the five sub-regions in the London Plan?

▶▶McMullen: We have the same argument over where to draw the boundaries. The thing is that there

is never a perfect solution. Our case is that what ever boundary you had that will be made of full boroughs we did not -divide up boroughs. That makes it easier in terms of collecting data and being able to monitoring what is happening. We have gone to radial sub-regions like pieces of pie. It makes sense in terms of transport. Because main transport movement are from outer to inner central London back again. Most people move in radial patterns rather than the orbital flow around the London.

The sub-regions are about the same in size spatially. In terms of development, there will be many more opportunities in north-eastand south-east because it is around Thames Gateway. There are a lot of brown field sites. And around some of major transport nodes - trains from Waterloo, Victoria, Euston - we have seen that a lot of development has taken place in those areas.

And the other thing about the sub regional boundaries which makes sense is that it is very similar to the boundaries which are used by the Housing Corporation. So there is another strong tie between our sub-regions and the way the Housing Corporation is looking at locations for future investment. So we feel that there is a synergy between the London Plan and the Housing in sub-regions.

Essentially, we are doing this to make sense the plan for implementation purposes. In some way whatever boundary you choose is appropriate as long as once you have agreed them and everybody else has signed up to them then you can make it happen. So one of the ways we are trying to do that is to build sub-regions is to work with sub-regional partnerships made up of local boroughs, business community, some of community and voluntary organizations, health authority, housing authority and so on. So they can all work together. And some sub-regions work quite well. People understand the meaning of partnerships and are used to working in that way. They have a common history that helps them to build up a strong bond. And other sub-regions there maybe some reasons why one borough does not get on with its neighbouring borough. There might be differences in political complexion. It may be they are more self-contained they have never looked outside their boundaries.

There are a whole variety of reasons why in some areas partnership is better than others. I think that key issue comes down to ‘leadership’. Usually, it takes one and two boroughs where you have a chief executive or leader of council who just has more vision and realizes that it makes much more

(10)

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다소 이상적인 실 행지침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맥뮬렌: 런던계획의 실행지침 정책을 작성 하는 데 있어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이것은 하고 저것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결정적인 태도 로 명령해서는 안 된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바 람직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많은 방법이 있습 니다. 하나의 방안이 모든 상황에 적합할 수는 없습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는 것이 우리가 이루고자 하는 것이며 우리가 원하는 결과입니 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권역의 당사자들과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뭔가 많은 성과를 만들 수 있고 많은 일들을 해 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만약 우리가 다음 기회에 권역별 계획 을 작성하게 된다면, 아마도 시작점은 GLA 그 룹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일 것입니다. 예 를 들면 런던교통국(TfL), 런던개발청(LDA), 주택공사(Housing Corporation)가 권역에 이런 것들을 투자하고자 하는데 당신들은 권역에 무 엇을 투자할 것입니까?, 그리고 권역이 이런 투 자가 일어날 수 있도록 어떻게 협조할 것입니 까? 같은 질문을 하며 조율의 과정을 거칠 것입 니다.

이러한 방법들이 아마도 우리가 경험을 통해 서 배운 권역의 협조를 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 합니다. 이런 과정은 권역별 계획의 과정을 위한 부분이며 함께 일하는 유대감을 형성하는 파트 너십을 만드는 한 부분입니다. 그러나 쉬운 과정

은 아닙니다. 몇몇 런던 내의 자치구는 런던시장 에게 아주 화를 내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자치구 들이 그들 스스로 일을 하기만 원하는 경향이 있 기 때문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은 우리가 함께 협조하여 일할 때, 모두가 혜택 을 받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 니다.

우리는 상호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런 던의 자치구인 바넷(Barnet)과 일해 왔습니다.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바넷의 관계자들 은 주위의 자치구와 협조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 었습니다. 시작의 초기이지만 바넷에서 일어나 는 일들이 이웃 자치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깨 달았습니다. 그래서 이웃 자치구는 바넷과 대화 를 시작하였습니다. 바넷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 은 일들이 이웃의 해로우(Harrow) 자치구에 많 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깨달아 현재 이 두 자치 구는 아주 협조적인 관계를 가지며 일을 함께 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 두 자치구는 교통현안과 학교대책에 대한 공조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해로우 지 역에 사는 주민이 자녀들을 해로우 지역에만 보 내겠다고 생각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학부모들 은 자녀들을 통학가능한 거리에 있는 최고의 학 교에 보내기를 원합니다. 그래서 자치구의 경계 는 그렇게 큰 의미를 가지지 못합니다. 비슷한 사례로, 건강시설과 관련해서도 건강서비스의 구조적 조정을 통한 많은 변화가 건강서비스 제 공자에 의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이는 건강시설, 커뮤니티조언센터, 교육시설을 자치구가 함께

(11)

sense. It is harder but it makes much more sense working in partnership because one borough can not solve all its problems on its own.

Yang: The five Sub-Regional Development Frameworks provides ‘Action’policies that deal with cross-cutting issues in the sub-regions. The ‘Action’policies d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 operation amongst various stakeholders. It seems very idealistic policies. Could you tell me about the

‘Action’policies in the five SRDFs.

▶▶McMullen: I think that some ways we have to be very careful not to seem to dictate ‘you should do this’and ‘you should not do that’. But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which you can get desirable outcomes. One size does not fit for all circumstances. So having a sense of this is what we trying to achieve and this is outcome we want but let’s work together how we do it. We can make a lot of difference and get a lot of things done.

And I think that next time when we write these documents our starting point will be this is what GLA Group can bring: This is what Transport for London(TfL), London Development Agency(LDA), Housing Corporation will do, these are the investment we are going to make in your sub-regions. What do you want to bring to party?, How can you help to make sure this is happens. I think that way probably we have learned from our experience. It is a part of a process and a part of trying to build up partnerships;

trying to bind them to work together. It is not going to be easy. Some boroughs resent the Mayor very much because they want to do things themselves. I think that probably the best way is by doing and showing that if we work together we all will have benefits.

We have been working very well with ‘London Borough of Barnet’where we feel that they have a good cooperative approach. A lot of developments are taking place in Barnet. They realised in order to be successful they need to work together with neighbouring boroughs. That is still at an early stage. They realised that what they are doing in Barnet has an implication what happens next door to Brent. So they have started a two way dialogue with London Borough of Brent. And a lot of things happening in Barnet have an implication for Harrow. So these two boroughs are now working together much more collaboratively. They are thinking about what they can do in terms of transport issues and school provision.

Because someone living in Harrow does not say I am not going to send my child to Harrow school.

They want to send their child to the best school within easy reach. The borough boundary is not relevant.

(12)

사용할 수 있도록 위치시키는 것입니다. 이러한 일을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지만, 사람들이 좀 더 통합된 방법으로 생각한다면 결국에는 좋은 결과를 거둘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양: 그리고 독립적인 법률적 위상을 가지는

‘런던플랜’과‘권역별 계획’그리고‘자치구계 획’사이의 조율은 어떻게 합니까?

▶▶맥뮬렌:런던플랜(London Plan)과 권역별 계 획(SRDFs)은 우리가 통제할 수 있는 두 요소입 니다. 하지만, 런던플랜과 권역별 계획에 비해 자 치구계획에 대한 통제는 다소 약합니다. 그리고 자치구가 새롭게 도입된 도시계획시스템(Local Development Frameworks)의 준비가 너무 늦어 저희는 물론 자치구 자체에서도 많이 당황하고 있 습 니 다 . 자 치 구 는 ‘ 개 발 계 획 문 서 (Development Plan Documents)’를 3년 내에 작 성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준비과정에서 벌써 1년은 지나가 버린 상태입니다. 저의 생각으 로는 자치구가 개발계획문서를 완성하는 데 최소 한 3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상황이 저희들을 난처하게 만들고 있 습니다. 왜냐하면, 런던플랜을 실행하기 위해서 는 런던 내의 자치구계획를 고려해야 하고 런던 플랜의 정책이 자치구에 새롭게 도입된 자치구계 발계획(Local Development Frameworks)에 반 영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자치구차원 (borough-level)과 지역차원(regional level)에 서 전략적 방향의 일치성(general conforminty)

을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현재의 상황은 우리 의 통제 밖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런던파견중앙 정부(Government Office for London)와 협조하 여 자치구가 속도를 내도록 하고 있지만 아주 힘 든 실정입니다.

양:별도로 작성된 5개 권역별 계획은 물론이 고 런던플랜에서는 계획의 실행과정에서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협력과 협상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런 현상은 영국의 도시 계획에 있어서도 공통적인 현상인 것 같습니다.

이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복잡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권역별 계획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 닌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서 말씀해 주십시오.

▶▶맥뮬렌:그렇습니다. 권역의 여러 파트너와 협조하는 것은 아주 복잡한 과정입니다. 런던플 랜과 권역별 계획을 만들고 있는 저희 팀들은 이러한 형태의 일에 경험이 아주 많다고 생각합 니다.

이와 관련해서 예를 들면, 산업용지의 해제와 관련된 정책을 소개할 때, 처음으로 우리가 하는 일은 납득할 만한 관련 증거를 모으는 일입니다.

이를 위해 연구를 진행합니다. 그리고 연구와 관 련된 핵심관련자들에게 연구의 방향을 보고합니 다. 또한 연구 진행을 지속적으로 알리기 위해 지도그룹(steering group)을 만듭니다. 이런 과 정에서 종종 우리는 매우 최신 자료들을 접하고, 다루게 됩니다. 이런 높은 수준의 연구의 결과에 권역의 파트너들은 만족해 합니다. 연구과정에

(13)

Similarly, with health facilities a lot of change is taking place by health providers trying to restructure their better primary health care. However there are opportunities to make co-locate health facilities and other community advice facilities and maybe some education facilities. It is hard to do but if people are able to think that way in a more integrated way then in the end, all is much better.

Yang: How do you co-ordinate between The London Plan, UDP(or Local Development

Frameworks) and the SRDFs?

▶▶McMullen: In terms of two of their elements we have control over London Plan and over the Sub-

Regional Development Frameworks(SRDFs). We have less control over what boroughs do. That has been frustrating aspects for us and boroughs because they have been so slow. It was expected that they have their DPDs done in three years. There is one year gone through the process. I think that probably it will take them at least another three years.

That is annoying because we have to work with boroughs in order to implement the London Plan.

We have to get policies embedded in their Local Development Frameworks(LDFs). We have to make sure that there is general conformity at the local and regional level. That is outside our control at the moment. We are with Government Office for London(GoL) trying to get boroughs to move faster but they find it very difficult.

Yang: The private-public partnerships, community involvement, and co-oper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have been emphasized throughout the London Plan and five SRDFs. In particular, the five SRDFs reiterate these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in the sub-regional level in the ‘Action’

policies. It requires time, resources and strong political leadership. Could tell me about this?

▶▶McMullen: Yes it is but it is no so much complicated. It is time consuming process. But I think

that people in my team are very experienced in this form of working. So they know, for instance, they want to introduce policies to do with the release of industrial land. The starting point is that we have good evidence for this. So we would think about commissioning research. We would talk to a core group of people about what the research brief ought to be. We commissioned work. We set up steering group to make sure we kept people informed this as research going head. Quite often we are dealing with cutting edge information as a way of working. People are happy to be involved because

(14)

서 참고그룹(reference group)을 종종 사용합니 다. 이를 통해 많은 영역의 사람들과 정보를 공 유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를 많은 사람에게 알릴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최종 연구결과를 출 간하고 세미나나 언론을 통해 알립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정책이 완성되는 것 입니다.

또한 우리는 런던의 자치구, 비즈니스 커뮤니 티, 커뮤니티, 자발적인 단체(voluntary sectors) 에게도 알립니다. 이러한 방식에는 당사자들의 역량이 없고 조직되어 있지 않고 분절되어 있다 는 문제점도 있지만 긴밀한 연계를 가지고 런던 파견중앙정부(GoL)와 대화하며 일하고 있습니 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양한 이해당사자들로 부터 구성된 런던 권역 파트너들과 함께 일하고 영향력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데비 맥뮬렌의 주요 저서

GLA. 2004. The London Plan, London, GLA GLA. 1999. London's Housing Capacity, London, GLA GLA. 2000. 'Homes for a World City', London, GLA

(15)

of the high status of the work. We quite often use reference groups with our research. So we can share the information with a wider group of people to make sure they are kept informed. And then we publish research. And we would try to disseminate it through seminars and the press. And then we try to introduce policies.

We talk to boroughs, business communities, community, and voluntary sectors about it. That is a bit more problematic because there are not powerful. They are not well organised, They are more fragmented. We talk to Government Office for London(GoL) that we have quite good link. That is we trying to work with different stakeholder and how we extend our influence across different stakeholders in London.

참조

관련 문서

[r]

Almost all Indian movies contain five to six different singing and

Almost all Indian movies contain five to six different singing and

나는 이것이 고객구분보다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다양성 선택에 근거하기 때문에 이를 다양성 근거의 포지셔닝(vari ety based positioning)이라고 부른다... 예를

This paper chooses the market status of ‘Smart London Plan (SLP)’ as the starting point which is expected as silo system. The second stage is expected to facilitate

공갂의 기능이나 방향을 명시하기 위해서, 행동의 포인트가 되는 중요한 부분에 형태와 색찿 등을 특화 시켜서

디자읶 주도의 기업이 되는 것은 단순히 아름다운 제품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 이 아니라 고객들에게 긍정적 정서의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우리주변의 브랜드와 변하지 않는 디자인을 찾아 봅시다 2.. 변하지 않는 초세대 디자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