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요 약 >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요 약 >"

Copied!
1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IV. 학교책무성 확보정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각국의 책무성 확보노력

- PISA 2003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 본 내용은 OECD 교육국에서 08.10.21~22일간 「How do OECD countries take stock of progress and performance in education system? evidence and issues」라는 제하로 개최한 워크숍 에서 소개된 일부내용을 정리한 것임

< 요 약 >

◇ 학교책무성 확보방안이 학생들의 인지적․비인지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o 교육시스템의 효율성 추구를 위해 최근 각국에서 추진되고 있는 교육개혁 세 가지(학 교책무성 확보, 학교단위 자율성 확대, 학교선택권 확대) 방안중 학교책무성 방안이 학 생들의 학업성취도와 비인지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PISA 2003년 자료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음

- 연구 분석에 사용된 책무성 확보방안은 총 7가지 요인임 ① 외부기관에 의한 최종시험 여부(external exit exam) ② 평가결과를 학생들의 진급․유급시 활용하는지 여부

③ 평가결과를 학생들의 그룹화(우열반 편성 등)에 활용하는지 여부 ④ 학교장에 의한 수업관찰 여부

⑤ 외부인(inspector)에 의한 수업관찰 여부

⑥ 외부시험의 평가결과를 다른 학교, 지역, 국가평균과 비교하는지 여부 ⑦ 한 달에 한번 이상 학교 내 표준화시험(standardized test) 실시여부

- 비인지적 기술은 ① 열의와 기여 ② 약물, 알코올, 결석, 등 ③ 수업시간중 소란 ④지각 o 연구결과

- 평가결과를 그룹화에 사용하는 경우와 한 달에 한번이상 표준화시험을 실시하는 것 을 제외하고 나머지 방안들은 모두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조사되었음

- 외부시험이 있는 경우에는 ‘한 달에 한번이상 표준화시험 실시’도 학업성취도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

- 책무성 확보정책은 학생들의 비인지적 기술발달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

◇ 각국의 학교책무성 확보 방안

o OECD 회원국들의 학교책무성 확보방안에 대해 소개함

- 국가시험(national exit exam), 국가수준 또는 국제수준 평가(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 외부학교평가(external evaluation-national and regional inspection of schools), 내부평가(internal evaluation-self evaluation of schools), 형성평가(formative assessment-teacher and classroom level)

1. 서 론

(2)

 학교시스템의 책무성 확보를 위한 각국의 시장중심지향 개혁노력1)

o 전 세계적으로 사회는 그들의 학교시스템에 대해 많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학생들 의 인지적(cognitive), 비인지적(non-cognitive)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효율적 으로 교육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노력을 하고 있음

- 특히, 교육재정이 각국의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현 상황에서 추가적인 재정확 보보다는 교육의 시스템차원에서의 개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최근 연구들은 추가 재정확보가 학교의 성취도 제고에 기여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 반대의 경우 도 있음을 보여줌

- 가장 보편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들이 시장중심지향적인(market-oriented) 교육 개혁방안인 ①학교의 책무성확보 ②학교단위 자율성 확대 ③학교선택권 확대임

【시장중심 지향의 세 가지 교육개혁 방안】

① 책무성 확보 - 국가시험, 시험성적에 따른 보상과 제재 ② 자율성 확보 - 학교단위까지 의사결정권 부여

③ 학교선택권 부여 - 학생, 학부모의 학교선택권 확대

- 교육성취는 한 국가의 경제성장에도 중요한 함의를 지니는데, Hanusehek and Wö βmann(2007a)2)이 1964년부터 2003년까지 실시된 36개의 평가결과와 1960년부터 2000년까지의 GDP 자료를 가지고 교육성취도와 GDP와의 관계를 규명한 바에 의하면, 좋은 교육성취를 나타낸 국가가 높은 경제성장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 혀짐

1) 시장중심지향적 개혁안에 대해 현행 학교시스템내에 있는 개인과 조직들로부터 다음과 같은 반대의견이 제시되 - 국가수준 성취도 평가 등은 시험에 대비한 좁은 교육과정 운영을 초래하고, 창의성을 저해하고 있음

며, 학생들의 교실에서의 참여를 해칠 것임

- 학교자율성 확대 역시 학교의 교장과 교사에게 너무 많은 짐을 지우며, 지역단위에서 자원의 잘못된 배분이 일어나게 될 것임

- 학교선택권 역시 가장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취약계층(the disadvantaged) 학생들에게 불 리하게 작용하고 좋은 학교들은 공부 잘하는 학생들로만 채워져 결국은 사회통합(social cohesion)을 해칠 것임

2) Hanushek Eric A., Ludger Wöβmann. The role of school improvement in economic development.

NBER Working paper 12832. Cambridge, M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7

(3)

 PISA 2003년 자료를 이용한 연구

o 상기 제시된 세 가지 개혁방안들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 기 위해 2003년 PISA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3) 결과는 다음과 같음

- 세 가지 방안 모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제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특히 세 가지가 독자적으로 운영되기보다 함께 운영될 때 보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즉, 학교의 자율성확대와 학생들의 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에서는 학교 자율성의 카테고리중 교사채용에서의 자율성은 학생들의 성취도 제고에 긍정적 영향 을 미치지만, 예산자율성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단 이 경우에도 학 교의 책무성시스템(학생들 성취도평가, 수업관찰, 학교평가 등)이 담보된 학교는 더욱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임

□ 이하에서는 세 가지 방안중 학교의 책무성담보 노력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 및 각국의 책무성 담보 노력을 소개함

2. 학교의 책무성 담보정책이 학업성취도 제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 연구목적

□ 학교의 책무성 확보를 위한 각종 정책들(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국제 학업성취도 평 가, 교사수업 관찰 등)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제고와 비인지적 기술발달 (non-cognitive skills)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나. 연구 분석에 사용된 학교책무성의 범위(독립변인)

 독립변인

o 분석을 위한 독립변인은 책무성 담보를 세 가지 수준, 즉 학생수준, 교사수준, 학교수준 으로 구별하여, 각각의 수준에서 실시하고 있는 책무성 담보정책과 학업성취도간의 관 계를 규명하였음

o 각각의 수준에서의 독립변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3) Ludger Wöβmann, Elke LüDEMANN, Gabriela Schütz, Martin R. West : School Accountability, Autonomy, Choice, and the Levels of Student Achievement : International Evidence from PISA 2003, OECD paper, 2007

(4)

[표 1] 학생․교사․학교수준별 독립변인

수준 학생수준 교사수준 학교수준

독 립 변 인

외부기관에 의한 최종시험의 존재여부(external exit exam)

학교장에 의한 수업 관찰 여부

외부시험(external exit exam)의 평가결과 비교=다른 학교, 지역, 국가평균

평가결과를 학생들의

유급․진급에 활용 외부인사(inspector)에 의한 수업 관찰 여부 평가결과를 학생들의 성적에

따른 반편성(grouping)에 활용 한 달에 한번 이상 표준화시험 (standardized test)을 실시

※ 국가 간 비교를 위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15개의 학생관련 요소와 16 개의 가족요소, 9개의 기타요소들이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음

 독립변인 선정 이유

o (외부시험) 학교 내 시험은 학생들간 성적이 상호 비교되어 다른 학생들의 성적을 방해하거나 공부를 하지 않는 방향으로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반해, 외부시험 은 학교간 성적비교로 인해 학생들에게 공부를 열심히 하고자 하는 다른 동기를 불러일 으키고, 전국단위에서의 본인 성적을 가늠할 수 있어 학생들에게 진로, 상급학교 진학에 있어 좋은 바로미터로 작용됨

- 외부시험은 학교가 보다 효율적인 방안으로 자원을 활용하도록 하는데도 유리함.

즉, 교사는 본인이 익숙하고 편리한 방식대로 가르치기 보다는 학생들에게 보다 유리한 교수방법을 찾아 활용하게 될 것이며, 자신의 관심사보다 학생들의 성취도 제 고에 보다 많은 관심을 쏟게 될 것이기 때문임

- 또한 교육운영에 있어 자율권이 부여된 학교의 경우, 외부시험에 어떠한 문제가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적어도 성취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중요한 사항은 모두 가르쳐야 할 의무가 발생함

o (수업관찰) 동료교사나 교장에 의한 수업관찰보다 외부인들에 의한 수업관찰이 보다 교 사들에게 동기부여를 제공하며 좀 더 좋은 수업을 하도록 이끌게 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성취도 제고로 연결됨

o (평가결과 비교) 외부시험(external exit exam)의 자기학교 성적을 다른 학교, 지역평 균, 국가평균과 비교하여 학교개선의 자료로 활용함으로써 학교 내 구성원의 동기 부여 및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기대됨

- 영국, 프랑스 등은 학생들의 성취도평가 결과를 리그테이블(league table)로 만들어 발간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재정적 지원 또는 제재 등과 같은 보상의 근거로 활용하 기도 함

(5)

다. 연구결과

 책무성 담보정책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

o 국가 간 비교는 네 개의 변인(외부시험 존재, 유급․진급시 평가활용, 우열반 편성시 평 가활용, 학교장에 의한 수업관찰)에 대해서만 이루어졌으며, 학교간 비교는 전체 변인 에 대해 이루어졌음. 종속변인으로는 PISA 2003 수학점수가 활용되었음(결과 : 표 2)

[표 2] 책무성 담보를 위한 독립변인별 PISA 2003 수학점수 평균

o 유급 또는 진급시 평가결과를 활용하는 국가의 학생들이 그렇지 않는 국가의 학생들보 다 유의미하게 성취도 결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남

- 이러한 제도가 없는 덴마크, 아이슬란드는 이러한 제도가 있는 벨기에, 캐나다, 핀란드, 그리스, 네덜란드, 스페인 보다 낮은 점수를 보임

o 학생들 수준에 맞는 교수활동을 위해 평가결과를 반편성에 활용하는 경우는 오히려 이 러한 활용을 하지 않는 국가에 비해 낮은 성취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음

- 성적에 따른 능력별 편성은 교수 학습자료 및 방법의 개선 등과 함께 실시되어 야 함을 시사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6)

o 교장, 외부인에 의해 교사의 수업이 관찰되는 경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보다 좋은 것 으로 나타났음

-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은 수업관찰이 거의 없으며, 체코, 슬로바키아, 폴란드, 뉴질랜드, 미국 등은 거의 모든 학교에서 시행한다고 응답

o 성취도 평가결과를 다른 학교 또는 지역 및 국가의 평균과 비교하는 문제와 관련 국가 간 비교는 어려웠으며, 학교수준에서의 비교만 가능하였음. 성취도 평가결과 비교는 헝가리, 뉴질랜드, 영국, 미국 등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정책인데, 이들 학교들이 그렇지 않은 학교보다 더 좋은 성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 남

o (3)번열은 국가 간 변수들을 무시하고 country fixed effects를 추가했을 때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결과는 달라지지 않음

o (4)번열은 학교 내에서 적어도 한 달에 한번 이상 표준화시험을 실시하는 경우 결과 들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외부시험이 있으면서 교내 표준화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외부시험이 없고 표준화 시험만 실시하는 경우는 오히려 학생들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남

- 결국 표준화시험은 외부시험을 통해 국가차원의 교육의 목표와 기준을 명확히 제시해 줄때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림 1] 외부시험과 학교 내 표준화시험

(7)

o 결국 동 연구를 통해 학생성취도는 책무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이 증명됨

- 효과정도는 국가수준의 성취도평가, 평가결과의 유급․진급시 활용, 교장의 수업관찰, 외부인의 수업관찰, 학교평가결과를 다른 학교․지역․국가와 비교하는 순으로 수학점 수 평균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결과를 우열반 편성하는데 활용하는 경 우가 그렇지 않은 것에 비하여 수학점수 평균이 더 낮게 나타난 것으로 조사됨

[그림 2] 책무성 담보를 위한 각 정책별의 효과

3. 학교의 책무성 담보정책이 비인지적 기술발달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가. 책무성 담보 정책과 비인지적 기술(non-cognitive skills)과의 관계

□ 행동, 습관, 태도 등을 포괄하는 비인지적 기술(non-cognitive skills)은 인지적 능력 (cognitive abilities) 못지않게 노동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왔으나, 각종 교육정책이 비인지적 기술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적음

(8)

□ 학생들의 비인지적 발달과 관련한 학교의 역할에 대해서는 찬․반 견해가 존재함

o 긍정적인 견해: 학생들의 인지발달을 위해 동기 부여된 학교들은 보다 효율적으로 학교자 원을 관리․운영함으로써 다른 분야의 발달도 함께 촉진하게 됨

o 부정적인 견해: 학교가 학생들의 인지적 발달에 보다 많은 자원을 투입할수록 학생들의 다른 영역 발달에는 관심이 덜 가게 되며 결국 인지발달의 강조는 다른 분야에서의 성장을 저해함

□ 일반적으로는 시장지향의 교육개혁이 학생들의 비인지적 기술발달을 저해한다는 믿음을 가져 왔으나, 오히려 최근의 한 연구에서는 높은 수준의 교육적 성취는 비인지적 기술도 향상 시키며 인지적 능력과 유사하게 임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제시된 바 있음

□ 여기에서는 학교의 책무성 담보정책과 학생들의 비인지적 기술발달 정도에 대한 영향 분석결 과를 소개함

나. 분석에 사용된 비인지적 기술 및 동 연구의 한계

□ 동 연구에서의 비인지적 기술은 크게 네 가지 요소로 분류되었음

o morale and commitment(학교장 응답) : 학생들의 학업에의 열망과 협력

o non-disruptive behaviour(학교장 응답) : 결석, 수업방해, 존경심 부재, 알코올, 약물, 다른 학생 협박 및 괴롭힘

o discipline climate(학생 응답) : 수업시간에 발생하는 소란과 무질서한 행위 o tardiness(학생 응답) : 지각

□ 연구의 한계

o 상기 요소들은 학생들의 장기적인 성과와 연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매우 흥미 롭기는 하나, 모든 비인지적 요소들을 커버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social skills를 측정 하는 요소가 없다는 한계가 있음

o 아울러, 학교장 및 학생의 주관적인 응답에 기초하였으므로, 각국별로 문화적 차이에 따 른 응답기준이 다를 수 있고, 학교장의 경우 자신의 학교가 보다 좋은 방향으로 해석 되기를 바라는 차원에서 긍정적인 응답을 하거나, 학생들의 경우 본인들이 학교에 늦게 오 는 것을 인정하기 꺼려하는 경향도 있을 수 있음

o 따라서 동 연구에서는 국가 간 비교가 아닌 학교차원의 비교를 하도록 설계하였음 ※ 지각(tardiness)은 학생차원 분석 실시

(9)

다. 연구결과

[표 3] 책무성 담보를 위한 각 정책과 비인지적 기술

□ 교장 또는 외부인사가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는 학교의 경우 학생들은 더 높은 의욕 (morale)과 기여, 보다 나은 행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남

o 학교의 성취를 다른 학교의 성취와 비교하는 경우 학생들의 의욕과 기여가 더 높아짐

o 평가결과를 우열반 편성에 활용하는 경우 학생들의 지각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바, 이는 수업이 재미있게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결국, 학업성취의 개선을 포기한 대가로 보 여짐

o 결과적으로 학교의 책무성 담보정책이 학생들의 비인지적 기술 발달과 부(負)의 관계를 갖는 증거는 없으며, 오히려 이러한 정책들이 비인지적 기술발달과 정(正) 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음

(10)

4. OECD 회원국의 책무성 담보를 위한 각종 방안

가. 국가시험(National Examinations)

□ National Examinations란 상급단계에 진급하거나 특정 직업을 갖기 위한 사전단계로서 한 단계의 공부를 완료했음을 입증하는 국가시험을 말함.

o 동 시험은 대부분 교육과정 위주의 시험으로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지식과 기술을 습 득했는지를 측정함

□ 중학교과정 국가시험

o 스코틀랜드 SD(Standard Grade), 영국․웨일즈․북아일랜드 GCSE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등에서 실시

< GCSE 개요 >

- 성적은 A(최고)에서 G(실패)까지 분류, 9개 과목을 시험

- 과정 이수 실패시 그 과목은 U(Unclassified)로 표기되어 해당 certificate에 등재되지 않 음

- 상급학교에서 A-Level을 이수하고자 한다면 최소 5개 과목 이상에서 A~C까지의 성적을 받아야 하며, 특히, A-Level에서 이수하고자 하는 과목은 반드시 C이상 받았어야 함

- 대부분의 대학은 수학과 영어에서 최소 C이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따라서, C를 받지 못한 경우 다시 시험을 치러야 함

□ 고등학교과정 국가시험

o 12~13년간의 교육을 마친 18-19세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으로 matriculation examination 또는 school leaving examination이라고 하며, 유럽에서 광범위하게 실시

o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했어야 하는 지식, 기술을 제대로 습득했는지 측정하는 것으로 직장에 들어가거나 대학에 진학할 때 필요

< 시험 사례 >

Baccalaureate(프랑스), General Certificate of Secondary Education and Advanced-levels(영 국), State of New York's Regents Exam, State of North Carolina's End of Grade(Year) Exam, Massachusetts Comprehensive Assessment System Exam(미국), Matura(Matur, Maturita, Maturitat 등으로 불림)(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체코, 이태리, 핀란드, 폴란드, 슬로베니 아, 스위스, 리히텐스테인)

o 일본은 교육과정에 기반한 국가시험(national curriculum based exit examination)이 없으나, 대학별 고사를 치러야 하며, 대학에 따라 대학적성시험(aptitude test)를 치러야 하는 경 우도 있음

(11)

□ National Examination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고 동 시험결과를 학교의 성 과를 보여주는 지표로 많은 교육전문가, 학부모, 교사들이 사용하고 있음에도, 동 시험결 과를 학교와 교사에 대한 피드백, 교사인센티브, 예산배분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보고 한 국가는 매우 적음

나. 국가수준 또는 국제수준 평가(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

□ National and International Assessment는 과정이수증명 또는 선발의 목적과 상관없이 순수하게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측정하기 위해 초등학교 마지막 또는 중등교육과정 마지 막단계에서 치러지는 시험을 의미

o 보통 학생들을 대표할 수 있는 표집이 이루어지고 모국어, 수학, 과학 등 각국에서 중요과 목으로 인식되는 몇 개 과목에 대해 실시

o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고 알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정책입안자들에게 교 육시스템의 종합적인 징후를 제시하며, 교육과정, 교수(teaching), 시험(testing)에 있 어 변화를 도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학교 교장과 교사들에게는 학교목표, 교육과정 의 적정성, 교사수행의 적합성 등에 대한 반성과 개선의 자료로 활용

□ National Assessment 사례

① The U.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NAEP)

- “the Nation's Report Card"라고도 알려져 있는 동 시험은 미국 학생들이 다양한 과목에서 무엇을 알고 있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으로 (ⅰ) 학생들의 성취도를 주 (state)별로 비교 (ⅱ) 4학년, 8학년, 12학년별로 수학, 읽기, 쓰기, 과학 기타 다른 과 목에서 학생들의 변화과정을 관찰하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음

- 1990년 이후 과목과 학년을 달리하며 7번의 시험이 실시되었음

- 일반 정규교실에서 교사의 지도하에 종이-연필 시험으로 실시되며, 각 과목에 대한 지 식뿐 아니라 과목과 관련한 이슈들에 대해 이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이 평가대상임. 더불 어 분석을 위한 배경질문(학교환경 등)이 포함되며 시험시간은 반나절을 넘지 않음

② New Zealand Education Monitoring Project(NEMP)

- 동 시험은 1995년 이후 4년(8-9살), 8학년(12-13살) 학생들을 대상으로 4년에 한 번씩 치러짐

- 한번 시험볼 때 260개 학교의 3000명의 학생들이 차출되며, 5일 동안 하루 3~4시간동 안 다양한 방법으로 시험이 실시되며, 교사들은 동 시험을 시행하기 위해 별도의 훈 련을 받음

□ International Assessment로는 PISA, TIMSS, PIRLS 등이 있으며 이들 시험은 국가 간 비 교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국별 강점과 단점을 확인하고, 학교시스템을 개선하는데 기초자 료로 활용가능

※ 국제평가 자료들을 활용하고자 할 때 유의할 사항은 각 시험들이 어떤 것은 교육과정 단위로 학 생들의 지식과 기술을 측정하고, 어떤 것은 문제해결력을 측정하며, 어떤 것은 혁신적인 역 량을 측정하고 있으므로 목적에 맞게 해석해야 한다는 것임

(12)

①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 OECD

- 동 시험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운 것을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 상황에 어떻게 적용하 는지 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역량측정시험으로 단순히 교육과정의 이해정도를 측정 하는 것이 아님

- 15살을 대상으로 3년마다 실시되며, 2000년 최초로 실시되었고 2006년에는 57개 국이 참여하였음

② TIMSS(Progress in International Reading Literacy Survey) : IEA

- 4학년생들(9살)의 읽기 성취도를 측정하며 5년마다 실시됨. 최초로 실시된 2001년 에는 41개국이, 2006년에는 50개국이 참가하였음

③ PIRLS(Trend in International Math and Science Study) : IEA

- 수학과 과학 분야에서 보통 학교에서 배우는 문항들을 이용해 학생들의 내용에 대한 습 득정도를 측정. 4학년과 8학년을 대상으로 4년에 한 번씩 치러지며 최초 시험은 1995년에 실시되었고, 2003년 51개국, 2007년 60개국이 동 시험에 참가하였음

※ 이상의 시험들은 교육시스템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학생들의 성취도와 관련 있는 다양한 변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나, National (International) Assessment의 결과를 활용하는 예는 찾아보기 어려우며 일부 교사들이 PISA시험의 항목을 교육활동에 접목시키는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음

다. 외부평가(External evaluation - national and regional inspection of schools)

□ 외부 학교평가란 학교가 수행하는 일들에 대한 책무성 담보를 위해 국가 또는 지역차원에 서 이루어지는 평가활동을 의미

o 「OECD Education at a Glance」에 의하면 오직 10개 국가만이 정규적으로 inspection 을 받을 것을 학교에 요구하고 있음

□ 교육평가의 내용과 기준(contents and criteria) 및 절차

o 교육과 행정으로 구분하여 여러 가지 세부 기준을 각각의 하위요소로서 포함 (ⅰ) 교육의 질 보장(학생의 학습관점) - education/pedagogy

(ⅱ) 학교경영/운영에서의 효율성 제고 - management/administration

o 보편적으로 각국은 ‘CIPO Model(Context, Input, Process, Output)'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inspection은 전형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됨

(ⅰ) 학교에 inspection, 예정 통지 (ⅱ) 예비 inspection과 관련자료 수합 (ⅲ) inspection visit and observation (ⅳ) reporting and follow-up

o 자료는 양적․질적 자료를 모두 수합하며, 질문지, 교사, 학부모, 지역관계자, 학생 대 상 인터뷰, 수업현장 관찰, 회의, 교과서, 학교의 자기평가서, 학생 시험성적 등이 대상 임

□ 교육이 효율적이고 효과적이며 경제적일 때 성공했다고 평가(핀란드 사례)

① education is efficient : 교수(teaching)의 질이 높고, 행정과 교수(teaching) 배합, 교육시

(13)

스템의 기능, 유연성, 타이밍이 적절할 때

② education is effective : 질적․양적으로 사람들을 잘 준비시키고, 개인의 정신적 성장과 사 회, 문화, 직장생활의 개선을 가져올 때

③ education is economical : 자원이 교육목적에 맞게 최적의 방향으로 분배되고, 자원의 양이 교육서비스의 비중에 따라 확보되고, 서비스의 구조와 조직에 맞을 때

□ 결과와 활용은 각국마다 차이가 있음

o inspection을 실시하는 나라는 매년 정기적으로 보고서를 발간하며, 인터넷을 통해 대중 에게 공개하고, 일부 국가의 경우는 정보공개 여부를 평가자와 학교의 교장이 결정 하는데 따르도록 함

o 국가, 지역정부, 학교장 및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수준에서 활용됨

- 국가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거나, 실패한 학교를 찾아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거나(이 경우 follow-up inspection이 종종 실시됨), 교사의 임금과 승진, 또는 국가에 따라 학부 모와 학생들의 학교 선택 시 자료 등으로 활용

⇒ National Examination과 National Assessement와 달리, 학교평가는 상당히 활발하게 학교 및 교사의 보상에 활용되고 있음

<학교평가자들에게 요구되어지는 4가지 의무사항>

① compliance(순응) : 학교들로 하여금 건강과 안전에 대한 요구사항, 교사자격, 건 물규정, 교육과정 및 평가 등에 있어 법적 규정을 준수하도록 독려

② evaluation(평가) : 학생의 성취도 등 학교의 교육성과, 경영 및 시설운영 등에 있 어 높은 수준을 유지하도록 평가

③ promotion of development : 학교교직원들의 능력개발, 지역 유관기관들과의 관계 개선 독려

④ report and advice : 정치적 정책결정자들과 대중에게 inspection의 정보와 결 과를 통지

라. 내부평가(Internal evaluation - self evaluation of schools)

□ 내부평가는 학교 내 모든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학교의 목표를 향해 학교가 운영되고 있는지 점 검하는 기회제공 차원에서 바람직하나, 쉽게 목격되지 않으며, 어느 정도까지를 내부평 가로 볼 것인지도 명확하지 않음

※ ‘Education at a Glance'에 의하면 13개 국가만이 내부평가를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남

□ 내부 평가의 내용으로는 (ⅰ) 학교의 정책과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학교의 계획과 활 동들에 대한 장․단점 분석 (ⅱ) national curriculum에 제공된 목표들이 학교의 교육과정 운

(14)

영과 계획에 포함되었는지 여부 (ⅲ) 교사의 성과에 대해 구조화된 방식을 통한 성찰 및 성과에 대한 칭찬, 능력개발을 위한 토론 등의 기회가 교사와 교장에게 부여되는지 여 부 등이 있음

□ 평가기준․범위 및 절차와 결과 활용

o 규범(법령)으로 평가내용과 기준을 정하고 있는 나라는 거의 없으며, 학교가 각자 자신 의 평가기준 등을 정할 수 있음. 다만, 평가방법과 관련해서는 많은 국가에서 국가수준 또는 지역정부 수준에서 실시되는 평가를 준용하거나 요건을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음

o 이들 국가에서는 학교가 채택할 수 있도록 내부평가 가이드라인을 책으로 발간하고 있으나, 한 가지 방법만을 고집하고 있지는 않으며, 개별 학교들이 평가방법을 선택하도록 하고 있음

※ 많은 국가에서는 “European Foundation for Quality Management(EFQM)'을 활용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품질관리를 위한 9가지의 하위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음. 영국의 경 우 ‘OFSTED’와 교육부에서 발간하는 ‘Evaluation Matter and the OFSTED Handbook for Inspecting Schools', 스웨덴은 the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 에서 발간하는 [Goals, Account of Results, and Suggested Measures for Improvement], 노르웨이의 내부평가를 위한 기초가이드라인이 있음

o 질적 정보들은 교사, 학생, 학부모, 스태프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얻어지며, 양적 정보들은 각종 평가 및 통계정보를 통해 얻어짐. 교사들의 성과에 대한 평가는 교사와의 미팅, 교 장의 평가 등을 통해 얻어짐

o 다양한 각종 시험, 평가 결과들이 먼저 교사들과 교장에 의해 검토되어짐. 네덜란드의 경우 [the Diagnosis Instrument for School Improvement (DIS)], [the School Diagnosis of Primary Education - Instrument(SAS)]가 광범위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스웨덴, 스코틀랜드, 일본, 독일 등 다른 국가에서는 국가수준 성취도평가 결과를 발전과 경향(trend)에 대한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 활용함

<노르웨이 사례 >

◦ 내부평가를 위한 기초가이드라인

- 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들이 충족되고 있는지

-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맞춰 만족할 만한 목표달성을 하고 있는지 - 학교서비스를 이용하는 그룹들의 기대가 충족되는지(사용자 만족도) - 조직과 운영방법이 합리적, 경제적, 전문적인지 평가

◦ 내부평가를 위한 조사자료

- 학생/학부모 만족도 조사, 근무환경 조사, 자가 질문서 - 학교 및 교육 분야 통계 활용, 읽기, 수학, 영어 진단평가

- 노르웨이가 참가하고 있는 국제조사(TIMSS, PISA, CIVIC, PIRLS) 논의 - 목표달성 정도 등을 나타내주는 시험

- 다양한 정부/비정부 조직에 의해 제고되는 내부 또는 자가진단 가이드라인

(15)

□ 결과 활용

o 내부평가 자료는 학교 스스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므로 대부분 평가결과 를 어떻게 활용할지는 학교의 결정에 달려있음. 교사의 승진 또는 직무연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로 활용되거나 교육수요자에게 인터넷 또는 페이퍼로 자료를 발송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남

o 스코틀랜드는 국가수준 평가결과를 상세히 분석한 자료를 모든 중등단계 학교에게 제공하는 데, 여기에는 (교육여건, 학생배경 등 기타 환경 등이) 유사한 학교들을 모아 비교해 놓은 자료가 포함되어 있으며, 학교들은 유사한 학교들의 성취도자료에 근거해 자신들 학교 의 성취도 목표를 설정하도록 요구받고 있음

마. 형성평가(Formative Assessment - teacher and classroom level)

□ 형성평가는 학교수업중에 학생들의 발달정도를 점검하고, 학생들의 수요를 파악해 그에 맞춰 수업을 조정해 가기 위해 실시하는 평가임

o 학생들이 일정 과정을 마치고 난 뒤 측정하는 national assessment와 달리 교육이 이루어지 고 있는 중간 중간 실시됨으로써 학생들의 수요에 맞는 교육을 실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 용한 피드백이 될 수 있음

□ 보통 형성평가는 다음의 6가지 특성을 갖는 것으로 정리됨

o 상호작용을 권장하는 교실문화 및 평가도구

o 학습목표와 이러한 학습목표를 학생들이 어느 정도 달성했는지 추적 o 서로 다른 학습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의 활용 o 학생들의 발달정도를 점검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 활용 o 학생들의 성과에 대한 피드백과 교수방법의 수정

o 학습에 있어서 학생들의 활발한 참여

□ 형성평가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체계적으로 자료수집이 어렵다는 한계로 “Education at a Glance”나 PISA 질문에서 다루어지지 않아 왔었음

o 미국의 자료에 의하면 형성평가의 하나인 ‘rapid assessment'의 시행이 교육에의 투자확 대나 바우처 제도 등 다른 방식보다 학생들의 성취도를 제고하는데 훨씬 효과가 있다 고 함4)

o 즉, rapid assessment 활용이, 학생 1인당 비용을 10%증가시키는 것보다 4배의 효과가 있으며, voucher프로그램 운영 등 책무성을 담보하는 다른 방안들보다 6배 더 효과가 4) Yeh, Stuart S.(2007), "The Cost-Effectiveness of Five Approaches for Raising Student Achievement",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28(4), 416-436.

Yeh, Stuart S.(2008), "The Cost-Effectiveness of Comprehensive School Reform and Rapid Assessment", Education Policy Analysis Archives, Vol.16, No. 13, June 30.

(16)

있는 것으로 보고됨.

※ ‘rapid assessment'란 일주일에 2~5차례 수학이나 읽기와 같은 과목에 적용하는 간단한 질문지로 판단을 요하지 않는(non-judgmental) 질문을 통해 학업정도를 측정

(17)

【형성평가의 사례】

◦ The traffic light

- 영국에서 King's-Medway-Oxforshire Formative Assessment Project(KMOFAP)을 하고 있는 교사들은 traffic light technique을 개발하였음. 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새로운 개 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도록 하는 것임. 수업중에 학생들이 어느 정도 개념을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한 교사들은 학생들로 하여금 그들이 이해한 정도에 따라 녹색(이해), 황색(이해했다고 생각하지만 확실하지 않음), 적색(이해 못함) 사인을 들도 록 함. 이 technique은 많은 영국학교에서 행해지고 있으며, 교사들은 황색을 든 학생 들과 수업중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적색을 든 학생들과는 수업 후에 남아 공부를 한 다고 함

◦ Thinking time instead of hands up

- 몇몇 학교에서는 ‘손들지 않기(no hands up)’를 수업시간에 실행하고 있었음. 이는 교사 가 이제부터 ‘손들지 않기'를 실시한다고 얘기하고, 질문을 던진 후 3초에서 몇 분까 지 학생들에게 생각할 시간을 부여한 뒤 얼마의 시간이 지나면 학생을 불러 응답하게 하 는 것임.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생각할 침묵의 시간을 주는 것이 처음에는 쉽지 않다고 하면 서,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사용한 뒤부터 학생들의 응답의 질이 매우 좋아졌다고 밝히 고 있음

◦ Portfolios, logbooks and rubrics

- Portfolios와 logbooks는 학생과 교사 간에 서면으로 대화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함.

Portfolios는 덴마크와 캐나다에서는 꽤 보편적인 방식이며, 이보다는 덜 하지만 스코 틀랜드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음. Portfolios와 logbooks에 학생들은 그들이 했던 프로 젝트의 결과, 잘된 점 등을 적거나 또는 반대로 어려웠던 점이나 더 일이 필요한 것들을 적 을 수 있음. 학생들은 또 학습과정에 대한 성찰을 적도록 요구받을 수도 있음. Portfolios 는 자녀들이 무엇을 배우고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역 할도 함으로써 학부모와 교사, 학부모와 자녀관 대화의 기초자료가 됨. 또한 어떤 방식으로 자녀의 학습을 도울 수 있을지에 대한 자료도 됨

- Rubrics는 학생 스스로 자기가 수행한 프로젝트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체 크리스트임. 학생들은 자신들의 일을 스스로 평가하는데 이 자료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스스 로 평가를 통해 보다 프로젝트를 개선시켜 나가고 있었음

(주OECD대표부 구 연희 과장)

참조

관련 문서

정부는 2.12 대책으로 대변할 수 있는 다양한 미분양주택 해소대책을 시행하였 다 이러한 미분양해소대책은.. 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미분양주택 해소는

중단기적으로는 기존 중공업부문의 침체가 일정부분 지속되는 가운데 경공업 을 중심으로 생산활동이 정상화되어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 광공업부문 의 비율은

창조계층 전반적으로는 서울, 대전, 경기에서 이들의 직장이 집적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계통의 거주자 대비 근로자 비중 역시 작기, 기자, 출판전문가와 마찬

본 연구에서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은 첫째, 국토공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모형 체계, 둘째, 국토정책의 다양한

이로 인해 ‘부분적으로 정비해야할 문제점을 안고 있는 기존시가지내 주택지 (이하 일반문제주거지역으로 함)’에 관해서도 점차 정비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왔..

Industrial Location Policy on the Outbound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Korea..

내셔널트러스트에 대한 연구와 개발제한구역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정책수단 과 운영실태 분석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개발제한구역의 보전과

o 노동생산성은 인적․물적자본에 대한 투자 및 기업의욕 그리고 R&amp;D 투자 및 외국인 직접투자 등에 의한 총요소생산성 증감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