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아랍에미리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아랍에미리트"

Copied!
7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8

U n i t e d A r a b E m i r a t e s

아랍에미리트

개황

(2)

아랍에미리트

Abu Dhabi

UAE 국기

1971.12.2 연방 창립시 헌법 제 2조에 따라 제정 (가로대 세로 비율 2:1의 직사각형)

적색·녹색·백색·흑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색은 과거 역사에서 흘린 피(적색), 풍요로운 국토(녹색), 청정한 생활(백색), 전쟁(흑색)을 의미

Dubai

(3)

UAE 국장

UAE의 상징인 매(falcon)는 힘(strength)과 자애(goodness)를 의미하며, 중앙 국기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일곱 개 별은 연방을 구성하고 있는 7개 에미리트를 상징

하단의 아랍어는 ‘알이마라트 알아라비야 알무타히다’, 즉 아랍 에미리트연합(United Arab Emirates)을 의미

UAE 지도

(4)

Ⅰ. 개 관

1. 일반 개관 10

2. UAE 역사 12

Ⅱ. 정 치

1. 연방정부 구조 18

2. 정치 정세 29

3. 대외 관계 33

4. 군사 및 안보 39

Ⅲ. 경 제

1. 경제 동향 44

2. 아부다비 경제 64

3. 두바이 경제 71

4. 에너지 관련 산업 76

5. 건설 및 부동산 관련 산업 88

6. 노동 현황(노동법) 9 1

7. 통신 산업 현황 96

Ⅳ. 사회·문화

1. 개 관 98

2. 교 육 104

3. 언 론 108

4. 보건 및 의료 110

5. 문화·스포츠 112

Ⅴ. 한국-UAE 관계

1. 한국-UAE 정치·외교 관계 116

2. 한국-UAE 경제 관계 120

3. 한국-UAE 문화·교육 관계 127

4. 우리 기업 및 교민 현황 132

5. 북한-UAE 관계 135

Ⅵ. 부 록

1. 주요 인사 신상 자료 138

CONTENTS

(5)

개 관

1. 일반 개관 2. UAE 역사

I

(6)

개 관

Unit ed Ar ab Emir at es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1. 일반 개관

일 반 사 항

국 명 아랍에미리트연합국 (United Arab Emirates) ※ 연방 창립일 : 1971.12.2

수 도 아부다비 (인구 약 290만 명) ※ 두바이 (인구 약 301만 명)

면 적 83,600㎢

(한반도 면적의 약 37% 크기, 전 국토의 97%가 사막)

인 구

9,121,167명

※ 전체 인구 중 남성 6,298,294명(69%), 여성 2,822,873명 (31%)이며, 순수 UAE 국민 100만 명에 불과

종 족 아랍족, 외국인(주로 아시아계, 이란계)

공용어

아랍어 / 영어, 이란어, 힌디어, 우르드어 등이 통용 가능

※ UAE에는 약 200개 국적의 외국인이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종 교 이슬람교 약 96%(순니파 다수), 기독교 및 힌두교 약 4%

기 후 고온 다습한 사막기후 / 35~45℃(5~10월), 15~35℃(11~4월)

정 치 제 도

정부 형태

대통령중심 연방제

국가원수 : 칼리파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2009.11월 재선, 아부다비 통치자)

부통령 겸 총리 :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2011.1월 재선, 두바이 통치자)

연방 행정 구역

7개 에미리트로 구성

아부다비, 두바이, 샤르자, 아즈만, 움 알 콰인, 라스 알 카이마, 후자이라 등 7개 에미리트로 구성

※ 외교·국방 등 연방정부 소관 사항 외 사항에 대해서는 각 에미리트별로 관할

대의기구

연방평의회(40명, 임기 4년)가 유사 의회 기능 담당

※ 실질적인 입법 권한은 없고 심의 및 자문 기능만을 담당하며 정당 활동은 허용되지 않음

군사력

총 70,000명(육군 47,500명, 해군 2,500명, 공군 9,000명 등)

※ 모병제에서 18~30세 남성이 2년 동안 복무하는 징병제로 전환(2014년)

경 제

산 업

GDP 3,787억 불 경제성장률 1.3%

1인당 GDP 37,346불 소비자

물가상승률 2.1%

교역

(상품/서비스) 총 6,939억 불(수출 3,711억 불 / 수입 3,228억 불) 원유 매장량 978억 배럴 (세계 6위, 점유율 6.6%)

가스 매장량 6.09조m3 (세계 7위, 점유율 3.3%)

화폐 단위 디르함(Dirham) / 1$ = 3.67 DH

※ 인구는 UAE Federal Competitives and Statistics Authority 2016.12월 통계

※ GDP, 경제성장률, 1인당 GDP, 소비자물가상승률, 교역은 IMF Regional Economic Outlook 2017.10월 통계

※ 원유 매장량, 가스 매장량은 OPEC Annual Statistical Bulletin 2017 통계

(7)

개 관

Unit ed Ar ab Emir at es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2. UAE 역사

가. 고 대

UAE에 최초의 인류가 등장한 것은 B.C. 5500년경인 것으로 추정.

지금보다 습한 기후로 걸프만의 해수면도 높았다고 하며, 현재의 건조한 사막 기후는 B.C. 3000년경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

B.C. 2500년경부터 오아시스 지역을 중심으로 최초의 정착촌이 형성 되기 시작. 메소포타미아와 인도, 지중해, 시리아와의 해상 및 육상 무역 통로로서 역할

본격적으로 촌락이 성장하기 시작한 것은 B.C. 300년경부터이며, 그리스와 남부 아라비아로부터 갖가지 물품 수입

UAE 해변에서 발견된 B.C. 4,500~4,000년경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우바이드 양식 채색 도자기(왼쪽)와 초기 오아시스 지역 발굴 사진(오른쪽)

나. 이슬람교 전파 및 중개무역의 발달

240년에는 이란의 사산 왕조가 아라비아 동부 지역 전체를 점령. 라스 알 카이마, 움 알 콰인, 후자이라 등 UAE 각지에서 사산 왕조의 동전 및 도자기 등 발굴

630년 선지자 모하메드가 파견한 사절에 의해 이슬람교 전파

632년 모하메드 사망 후, ‘릿다 운동(Ridda Wars, 632~634)’이라 불리는 反이슬람 폭동이 대대적으로 발생하였으나, 초대 칼리프 아부바크르에 의해 진압. 특히 디바(Dibba, 오늘날의 샤르자) 지역에서는 반란 진압으로 10,000명 이상의 폭도들이 사망

인도양을 통한 아시아 및 유럽 간 비단 및 향료 중개무역 발달. 특히 줄파(Julfa, 오늘날의 라스 알 카이마) 지역은 UAE의 주요 항구이자 진주 채취 산업의 중심지로 오랜 기간 명성을 유지

다. 서구 열강의 침략

16세기에는 아라비아 반도 동남부 해안 지역에서 포르투갈과 오스만 터키 사이의 대립 고조. 포르투갈은 오만(무스카트 및 소하르), UAE(라스 알 카이마) 등 주요 항구들을 점령

18세기에는 영국이 동인도주식회사를 앞세워 이 지역의 패권국으로 부상. 동인도주식회사는 1722년 이란의 사파비드 왕조가 아프간족에 의해 멸망하고 1724년 오만의 야리바 왕조가 몰락하면서 걸프지역에 힘의 공백 상태가 발생하자, 이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약 2세기 동안 패권 장악

(8)

개 관

Unit ed Ar ab Emir at es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라. 바니 야스 부족의 성장

18세기 초, ① 라스 알 카이마 지역을 근거지로 하는 까와심(Qawasim) 부족, ② 아부다비 내륙의 리와(Liwa) 오아시스를 근거지로 하는 바니 야스(Bani Yas) 부족, ③ 오만 지역에서 발흥한 알 부사이드(Al Busaid) 부족이 걸프지역의 3대 중심 세력으로 등장. 바니 야스 부족은 여타 부족과 달리 영국 세력에 우호적 태도를 견지하며 세력 확장

1793년 바니 야스 부족의 알 부 팔라흐(Al Bu Falah) 가문은 알 나흐얀

(Al Nahyan)家를 세우고 부족국가 수립 → 아부다비 에미리트로 발전

19세기 초에는 바니 야스 부족의 알 부 팔라사(Al Bu Falasah) 가문이 두바이에 정착하여 알 막툼(Al Maktoum)家를 세우고 부족국가 수립 → 두바이 에미리트로 발전

반면 영국에 대해 비우호적이었던 까와심 부족은 19세기 영국의 지배에 지속적으로 항거하였으나 패배하면서 샤르자, 라스 알 카이마, 후자이라 등 3개 에미리트로 분화

마. 걸프지역 영국보호령 휴전국가연합

(Trucial States)

성립

1818년 영국은 후자이라, 라스 알 카이마, 움 알 콰인, 아즈만, 샤르자, 두바이, 아부다비의 에미리트 통치자들과 ‘영구해상평화조약’을 체결 하고, 이 지역을 ‘걸프지역 영국보호령 휴전국가연합’으로 명명 - 대형 선박 건조 및 해안에 요새 신축을 금지하는 한편, 영국의 승인

없이 다른 나라와 독립적인 관계를 맺을 수 없도록 규정

19세기 말에는 프랑스·독일·러시아 등 열강의 걸프지역 진출이 가시화되자 1892년 각 에미리트들은 영국과 배타협정(Exclusive Agreement)을 체결하고 영국의 보호령으로 귀속

※ 배타협정 주요 내용 : 영국의 동의 없이 에미리트 영토 양도 및 외교관계 수립을 금지하는 한편, 영국의 외국의 침략(지상 또는 해상)으로부터 각 에미리트를 보호

바. 연방국가 창설

1952년 영국 정부 주도 하에 7개 부족 통치자로 구성된 ‘걸프지역 영국보호령연합위원회’를 설립, ‘연합국가’ 건국 시도

1968년 영국이 1971년까지 군대를 전원 철수키로 결정함에 따라 1968.2월 카타르 및 바레인을 포함한 9개 에미리트 간 연방최고회의

(Supreme Council of Rulers) 결성에 합의하였으나, 카타르와 바레인은 연합 협상에서 중도 탈퇴하여 독립국가 선포

1971년 영국이 휴전 토후국과의 모든 조약을 종결함에 따라 1971.12.2 라스 알 카이마 에미리트를 제외한 6개 에미리트로 구성된

‘아랍에미리트연합국’ 창설

- UAE 잠정헌법을 제정하고 아부다비 에미리트 통치자인 셰이크 자이드가 대통령에, 두바이 에미리트 통치자인 셰이크 라시드가 부통령에 취임

- 자이드 대통령의 설득으로 라스 알 카이마도 1972년 UAE 합류

1994년 미국, 1995년 프랑스와 방위 조약을 체결하고 아프간(2001) 및 이라크(2003) 군사작전을 지원하는 등 우호적 관계 유지

2004.11월 자이드 국왕(대통령) 사망으로 당시 왕세자(장남) 칼리파가 UAE 대통령직 승계

- 이복동생 모하메드는 왕세제에 지명

칼리파 대통령 알 막툼 부통령 모하메드 왕세제

(9)

정 치

1. 연방정부 구조 2. 정치 정세 3. 대외 관계 4. 군사 및 안보

II

(10)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1. 연방정부 구조

행 정 부 입 법 부 사 법 부

【대통령】

• 국가원수 / 임기 5년 - 연방최고회의에서 선출

• 관례적으로 아부다비 통치자가 선출되며 UAE 통합군 총사령관 겸직

• 연임 지속에 의한 사실상의 종신제 / 절대적 권한 보유

【연방총리】

• 내각의 수반 / 임기 5년

• 대통령의 제청 및 연방 최고회의 동의로 선출

• 관례적으로 두바이 통치자가 선출되며 부통령직 겸직

【내 각】

• 연방 총리가 제청, 연방최고회의에서 선출

• 법안 발의 / 연방 예산 승인 / 연방정부 감독

• 에미리트 간 권력구조에 따라 각료 배분

• 2009.5월, 2014.7월, 2016.2월, 2017.10월 부분 개각 단행

【연방평의회】

임기 : 4년

선출 : 각 에미리트가 임명 - 2006.12월 정원의 50%

(20명)를 선거에 의해 처음 선출함으로써 선거제도 도입 - 2011.9월 2차 선거,

2015.10월 3차 선거 실시

구성 : 40명

- 에미리트별 인구 구성 비율에 따라 아부다비 8명, 두바이 8명, 샤르자 6명, 라스 알 카이마 6명, 움 알 콰인 4명, 후자이라 4명, 아즈만 4명으로 구성 ※ 단순한 자문기구로

내각에서 제출한 법안 심의 및 국제조약 비준 - 명목상 의회와 유사한 기능을 담당할 뿐, 입법 기능이나 행정부에 대한 견제 기능은 약함

【연방최고법원】

연방최고회의가 임명한 5명의 재판관으로 구성 - 주로 에미리트 간 분쟁 및

각 에미리트와 연방 정부 간 분쟁 조정

【기타 법원】

두바이와 라스 알 카이마 에미리트는 별도 3심제를 운영하며, 여타 에미리트들은 2심제를 운영하고 3심으로 연방 최고법원(아부다비 소재) 을 활용

- 연방최고법원 내에 국가 안보위협 사건을 다루는 안보법정을 운영

이슬람교도 간 종교 관련 사건은 샤리아 법원에서 헌법 대신 이슬람법을 근거로 재판

그 밖에 각 에미리트별로 민사법원 내 임차 분쟁 중재센터, 중재법정 등 운영

연방최고회의

• UAE 최고의사결정기구

•7개 에미리트 통치권자들로 구성 - 의장 : 대통령(아부다비 통치자)

•대통령 및 총리 내각 선출/입법권

칼리파 대통령 아부다비 통치자 겸

UAE 군총사령관 (故 자이드 대통령의 장남)

모하메드 부통령 겸 총리 두바이 통치자 겸 국방장관

부 총 리 (2명) 싸이프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내무부 장관 겸임) 만수르 빈 자이드 알 나흐얀

(대통령실 장관 겸임)

내 각 (각료 31명)

국방장관은 총리가 겸임

•국무장관 15명(특임장관 12명, 무임소장관 3명 등)

※ 연방정부와 별도로 각 에미리트별로 독자적인 행정 조직을 갖고 있어 외교·군사 등 연방정부 소관 외의 업무에 대해서는 에미리트 통치자가 전적으로 결정

연방평의회(의회)

•의장 : 아말 알 쿠바이시

•의원 : 총 40명 (임명 20, 선출 20)

알 나흐얀家

•칼리파 대통령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

•연방정부 예산의

알 막툼家

•모하메드 부통령 겸 총리

함단 두바이 왕세자

•금융· 비즈니스·관광

최고법원 연방최고회의에서

임명하는 5명의 심판관으로 구성

아부다비 두바이

(11)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가. 연방최고회의(Federal Supreme Council)

UAE 헌법이 명시한 최고 행정 및 입법 기관으로서 UAE 7개 에미리트 통치자(부재시는 부통치자 또는 차기 계승자가 대행)로 구성되고, 의장은 아부다비 통치자 겸 연방 대통령이 맡음

외교·안보·국적·통화·교육·노동·통신·공중보건 등 연방의 중요 문제에 관한 정책을 결정하고, 법률 제정 및 칙령 발표, 국제협약을 최종 인준하는 기관

UAE 대통령(임기 5년) 및 부통령, 내각 등을 선출하고 연방총리와 연방대법원 판사를 지명. 연방 총리 임명 및 사퇴 동의권을 가지며 최고회의 의장의 발의로 총리 사임 요청 가능

현안에 대한 의사결정 방식은 다수결을 따르나 중대한 사안은 두바이와 아부다비를 포함한 총 5표 이상으로 결정

※ 아부다비와 두바이는 각각 거부권 보유

연방최고회의는 연1회 공식 회의를 개최하고 필요에 따라 비공식 회의를 개최

The Supreme Council

His Highness Sheikh Khalifa bin Zayed Al Nahyan President of the United Arab Emirates

His Highness Sheikh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Ruler of Emirate of Dubai

His Highness Sheikh Sultan bin Mohammed Al Qasimi Ruler of Emirate of Sharjah

His Highness Sheikh Humaid bin Rashid Al Nuaimi Ruler of Emirate of Ajman

His Highness Sheikh Saud bin Rashid Al Mu’alla Ruler of Emirate of Umm Al Quwain

His Highness Sheikh Saud bin Saqr Al Qasimi Ruler of Emirate of Ras Al Khaimah

His Highness Sheikh Hamad bin Mohammed Al Sharqi Ruler of Emirate of Al Fujairah

(12)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각 에미리트별 왕세자

에미리트 이 름

아부다비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제 겸 UAE 통합군 부총사령관

(H. H. Sheikh Mohammed bin Zayed Al-Nahyan, Crown Prince of Abu Dhabi and Deputy Supreme Commander of the UAE Armed Forces)

두바이

함단 빈 모하메드 알 막툼 두바이 왕세자

(H.H. Sheikh Hamdan bin Mohammed Al-Maktoum, Crown Prince of Dubai)

샤르자

술탄 빈 모하메드 빈 술탄 알 까시미 샤르자 왕세자 겸 부통치자 (H. H. Sheikh Sultan bin Mohammed bin Sultan Al-Qassimi, Crown Prince and Deputy Ruler of Sharjah)

라스 알 카이마

모하메드 빈 싸우드 알 까시 라스 알 카이마 왕세자

(H. H. Sheikh Mohammed bin Saud Al-Qassimi, Crown Prince of Ras Al-Khaimah)

후자이라

모하메드 빈 하마드 알 샤르끼 후자이라 왕세자

(H. H. Sheikh Mohammed bin Hamad Al-Sharqi, Crown Prince of Fujairah)

움 알 콰인

라시드 빈 싸우드 알 물라 움 알 콰인 왕세자

(H. H. Sheikh Rashid bin Saud Al-Mualla, Crown Prince of Umm Al-Qaiwain)

아즈만

암마르 빈 후마이드 알 누아이미 아즈만 왕세자

(H. H. Sheikh Ammarbin Humaid Al-Nuaimi, Crown Prince of Ajman)

※ 現 통치자 사망시 자동적으로 통치자직 승계

나. 연방 내각

1) 개 요

1971년 연방 창립 시 18개 부처로 출범한 이래 그간 10차례의 개각을 통해 현재 16개 부처 장관, 3명의 국무장관(Minister for State), 12명의 특임장관으로 구성

- 총리(국방장관 겸임), 부총리 2명(각각 내무부 및 대통령실 장관 겸임), 장관 28명 등 31명의 각료와 내각 사무총장으로 구성

※ 특임장관 12명은 외교, 국제협력, 국방, 재무, 행복, 청소년, 공공교육, 고등교육 및 고급기술, 관용, 식량안보, 첨단과학, 인공지능 등 각 1명으로 구성

각 에미리트 간 권력구조에 따라 각료 배분(각 에미리트별 최소 1명의 각료 배정) ※ 각 에미리트는 연방정부와 별도로 독자적인 행정 조직을 갖고 있어 외교·군사 등

연방정부 소관 외의 업무에 대해서는 각 에미리트 통치자가 결정권 보유

각료회의는 매주 1회 개최하며, 총리는 필요 또는 각료의 발의에 따라 비정기 회의 개최 가능

주요 사안에 대한 결정은 다수결로 하며, 동수일 경우에는 총리가 결정권 보유

2) 연방 내각의 주요 권한

연방 관련 법안 연방평의회(FNC) 제출 및 연방평의회 의결을 거친 법안 연방최고회의 상정

연방 예산안 편성

연방 법률 시행에 필요한 관련 규정 발표 및 시행 감독

연방 국제협약 이행 감독

연방정부 감독/공무원 임명 및 해고

(13)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각료 명단 (2017.10월 부분 개각)

연 번 직 위 성 명

1 총리 겸 국방장관

* 두바이 통치자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2 부총리 겸 내무장관

* 칼리파 대통령의 이복동생 Saif bin Zayed Al Nahyan

3

부총리 겸 대통령실 장관

*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의 친동생

Mansour bin Zayed Al Nahyan

4

재무부 장관

* 두바이 부통치자, 모하메드 두바이 통치자의 친형

Hamdan bin Rashid Al Maktoum

5

외교국제협력부 장관

*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의 막내동생

Abdullah bin Zayed Al Nahyan

6 내각미래부 장관 Mohammed bin Abdullah Al Gergawi 7 경제부 장관 Sultan bin Saeed Al Mansouri

8 보건예방부 장관 겸

연방평의회(FNC) 특임장관 Abdul Rahman bin Mohammed Al Owais 9 에너지산업부 장관 Suhail bin Mohammed Al Mazroui 10 교육부 장관 Hussain bin Ibrahim Al Hammadi 11 사회기반개발부 장관 Abdullah bin Mohammed Al Nuaimi 12 법무부 장관 Sultan bin Saeed Al Badi

13 문화지식개발부 (女)

* 전 연방평의회(FNC) 특임장관 Noura bint Mohammed Al Kaabi 14 기후변화환경부 장관 Thani bin Ahmed Al Zeyoudi 15 인적자원·자국민화부 장관 Nasser bin Thani Al Hameli 16 지역개발부 장관 (女) Hessa bint Eisa Bu Humaid 17 국무장관 Sultan bin Ahmed Al Jaber 18 국무장관 (女) Maitha bint Salem Al Shamsi

19 국무장관 Zaki Anwar Nusseibeh

20 관용 특임장관

* 전 문화지식개발부 장관 Nahyan bin Mubarak Al Nahyan 21 외교 특임장관 Anwar bin Mohammed Gargash 22 재무 특임장관 Obaid bin Humaid Al Tayer 23 국제협력 특임장관 (女) Reem bint Ibrahim Al Hashimi 24 국방 특임장관 Mohammed bin Ahmad Al Bawardi 25 공공교육 특임장관 (女) Jameela bint Salem Al Muhairi

26 고등교육·고급기술 특임장관 Ahmad bin Abdullah Humaid Belhoul Al Falasi

27 행복 특임장관 (女) Ohood bint Khalfan Al Roumi 28 청소년 특임장관 (女) Shamma bint Suhail Al Mazrui

29 식량안보 특임장관 (女) Mariam bint Mohammed Saeed Hareb Al Mehairi

30 첨단과학 특임장관 (女) Sara bint Yousef Al Amiri 31 인공지능 특임장관 Omar bin Sultan Al Olama

* 내각 사무총장 Abdullah Mohammad Saeed bin Touq

(14)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다. 아부다비 집행이사회

(Executive Council)

아부다비 집행이사회는 아부다비 통치자의 역할과 권한 집행을 지원하는 기관

집행이사회는 매주 1회 모임을 갖고 아부다비 정부의 주요 현안(정부 주도 프로젝트 추진 방향, 공공서비스 향상 방안)에 대해 협의

집행이사회 의장은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이며, 위원은 아부다비 정부 주요 기관장(Chairman of Department, 장관급에 해당)으로 구성되며 아부다비 통치자에 의해 임명

- 현재 모하메드 왕세제 포함 아부다비 주요 부처 장관급 18명으로 구성 - 아부다비 집행이사회 행정청장 : 칼둔 무바락(Khaldoun Mubarak)

집행이사회(Executive Council)와 집행위원회(Executive Committee) 관계 - 집행위원회는 집행이사회에서 제출한 주요 프로젝트 관련한 제반

추진 방향(협상 및 시행 방향, 소요 예산)을 검토해 그 결과를 집행이사회에 제출하며, 아부다비 정부가 추진하는 주요 프로젝트 전반을 관리 하고 감독

- 집행위원회는 경제발전 소위(Economic Development Sub Committee), 사회발전 소위(Social Development Sub Committee), 기반시설 및 환경 소위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Sub Committee) 등 산하기관 조직으로 구성 ※ 아부다비 자문이사회(Abu Dhabi National Consultation Council, 주요 부족

및 가족 대표 60여 명)가 연방 차원의 연방평의회 기능과 유사한 지방 의회 역할 수행

집행이사회 명단 (2017.9월 개편)

연번 성 명 이사회 직위 비 고

1 Mohamed bin Zayed Al Nahyan 의장 아부다비 왕세제 2 Hazza bin Zayed Al Nahyan 부의장 前 국가안보보좌관 3 Hamed bin Zayed Al Nahyan 위원 왕세제실 위원장 4 Mohammed bin Khalifa Al Nahyan 위원

5 Theyab bin Mohamed bin Zayed Al

Nahyan 위원 아부다비

교통부 의장 6 Sultan bin Tahnoon Al Nahyan 위원

7 Ahmed Mubarak Al Mazrouei 사무총장

8 Khaldoun Khalifa Al Mubarak 위원 아부다비 행정청 의장 9 Jassim Mohammed Buatabh Al Zaabi 위원 아부다비

집행위원회 의장

10 Mugheer Khamis Al Khaili 위원 아부다비

지역개발청 의장 11 Mohammed Khalfan Al Rumaithi 위원 아부다비 경찰청장 12 Riyad Abdulrahman Al Mubarak 위원 아부다비

재정부 의장 13 Abdullah bin Mohammed Al Hamed 위원 아부다비

보건청 의장

14 Ali Rashid Al Nuaimi 위원 아부다비

교육지식청 의장

15 Awaidha Murshed Al Marar 위원 아부다비

에너지청 의장

16 Saif Mohamed AL Hajeri 위원 아부다비

경제개발청 의장 17 Falah Mohammad Al Ahbabi 위원 아부다비 도시개발·

지방자치청 의장 18 Mohammad Khalifa Al Mubarak 위원 아부다비

문화관광청 의장

(15)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2. 정치 정세

가. 1971년 연방 창립 이래, 각 에미리트 간 화합을 통한 안정적 정국 유지

최대 에미리트인 아부다비의 통치자 故 자이드 대통령의 개인적 신망과 석유 수입의 에미리트 간 적절한 안배를 통해 전체 연방의 화합 유지

안정된 정치 환경을 기반으로 원유 수익을 기간산업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사회보장제도를 확충하여 1990년대 후반부터는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의 무역·금융·통신·교통·관광 중심지로 부상

1996.5월 연방최고회의는 정식 헌법 채택 및 아부다비를 수도로 공식 확정 - 1997.12월 두바이 관할 군대를 통합사령부 지휘 체계 하에 편입하기로 결정, 실질적인 UAE 군의 통합 확보 및 아부다비 에미리트의 지도력 강화 - 석유 수입이 풍부한 아부다비(전체 석유 매장량의 94% 차지)를 제외한

나머지 6개 에미리트는 아부다비의 지원에 의존

2004.11월 자이드 초대 대통령 사망 이후 장남 칼리파의 대통령직 승계 - 칼리파 대통령은 1969년부터 아부다비 왕세자였으며 자이드 대통령의 건강이 악화되면서 실질적으로 국정을 운영해 온바, 칼리파의 권력 승계는 당연한 것으로 인식

※ 관례상 최대 에미리트인 아부다비 통치자가 연방 대통령직을, 두바이 에미리트 통치자가 연방 부통령 겸 총리직을 수임하며, 각 에미리트 통치자 사망시 왕세자가 권력 계승

2011년 아랍의 봄(Arab Spring) 이래 중동 정세 격변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국내 불안 상황 없이 안정적 정세 유지

- 2014년 들어 테러대처법 개정 및 테러자금 세탁방지법 제정 등 관련 법·제도를 강화하는 한편, 국내 알 이슬라흐(Al-Islah , 아랍어로 ‘개혁’) 등 무슬림형제단 연계 급진 이슬람 세력에 대한 강력 단속 유지 중 - 다만, 아랍에미리트 내 극단주의 세력이 소수이고 동조세력이 많지

His Highness Sheikh Mohamed bin Zayed Al Nahyan Crown Prince of Abu Dhabi. Deputy Supreme Commander of the UAE Armed Forces and Chairman of the Abu Dhabi Executive Council

H. H. Sheikh Hazza bin Zayed Al Nahyan

Vice Chairman of the Abu Dhabi Executive Council

H. H. Sheikh Hamed bin Zayed Al Nahyan

Chairman of Abu Dhabi Crown Prince's Court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Sheikh Theyab bin Mohamed bin Zayed Al Nahyan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Transport

H. E. Dr. Ahmed Mubarak Al Mazrouei

Secretary-General of the Executive Council

H.E. Jassim Mohammed Buatabh Al Zaabi

Chairman of Abu Dhabi Executive Office

H. E. Major General Mohammed Khalifan Al Romaithi Commander-in-Chief of Abu Dhabi Police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Sheikh Abdulla bin Mohamed Al Hamed

Chairman of the Health Department and a member of the Execu71

tive Council

H. E. Eng. Awaidha Murshed Al Marar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Energy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l

H.H. Sheikh Mohammed bin Khalifa Al Nahyan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Sheikh Sultan bin Tahnoon Al Nahyan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Khaldoun Khalifa Al Mubarak Chairman of the Executive Affairs Authority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E. Dr. Mugheer Khamis Al Khaili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Community Development and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Riyad Abdulrahman Al Mubarak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Finance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Falah Mohammad Al Ahbabi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Municipalities

H. E. Saif Mohamed Al Hajeri Chairman of Department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H. E. Mohammad Khalifa Al Mubarak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Culture H.E. Dr. Ali Rashid Al Nuaimi Chairma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Knowledge and a member of the Executive Council

(16)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상대적으로 낙후된 에미리트 북부 지역에 대한 사회 인프라 및 복지 지원 등으로 안정 유지

나. 안정적인 연방 통합

2009.11월 칼리파 대통령은 2009~2014년간 대통령직 연임에 성공 - UAE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5년이나 지속적인 연임에 의한 종신제 예상

2009.12.2 칼리파 대통령은 건국 38주년 계기 대국민 연설을 통해

‘연방의 통합 강화’를 집권 2기 최대 국정운영 과제로 천명

- 특히 건국 전후 세대인 30~40대가 UAE 주요 정치세력으로 부상하고 있는바, 베두윈의 ‘부족 의식’이 아닌 연방국가의 ‘국민 의식’ 속에서 성장한 이들을 중심으로 연방 통합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 아울러 연방정부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면서 연방정부 내

각 에미리트 간 적절한 세력 균형을 모색해 나갈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연방 부통령 겸 총리로서 모하메드 두바이 통치자의 연방 정부 내 역할도 확대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자가 2014년 실질적 통치자로서의 활동을 개시한 이후에도 막툼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에게 권한을 대폭 위임하는 등 안정적 연합 체제 유지

- 법안 발의, 연방 예산 의결 등에서도 7개 에미리트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체제를 유지하고 연방평의회도 에미리트별 인구 비율에 따라 구성

다. 아부다비 : 이복형제 간 권력 및 재산 분배를 통한 안정적 왕실 운영

모하메드 왕세제의 아부다비 에미리트 내 절대적 영향력 확고

- 칼리파 대통령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심을 바탕으로 아부다비 개발 및 대규모 국책 프로젝트 등을 결정하는 최대 실권자

- 특히, UAE 연합군 부총사령관으로서 방산 및 국방 분야 등에서 지도력이 크게 확대되는 추세

2009.5월 단행된 부분개각으로 아부다비 왕실 내 부분적 세대 교체 - 동 개각을 통해 당시 40대 초반의 ‘싸이프’가 부총리 겸 내무부장관,

‘만수르(모하메드 왕세제의 친동생)’가 부총리 겸 대통령실 장관으로 임명된바, 부분적 세대교체를 통한 국정운영의 효율성 및 관리 능력 제고에 기여

2013.3월 단행된 부분 조직 개편과 개각으로 대외원조와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 개발·국제협력부를 창설하고 무임소 국무장관직 2개 신설 등을 통해 의욕적으로 신진인사 등용

2014.4월 칼리파 대통령의 건강 악화 및 공식 대외 활동 중단으로 인해 모하메드 아부다비 왕세제의 UAE 내 정책 결정권자로서의 역할 확대

2016.2월 12대 내각은 여성 각료를 8명 포함하고 유능한 젊은 인재를 적극 기용(평균연령 38세)하여 역대 가장 젊고 여성 친화적인 내각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내각의 목표로 교육·인적자원·행복·기후변화 등 미래지향적 가치 표방

2017.10월 12대 내각보다 2명 많은 31명(9명이 여성장관)으로 구성된 13대 내각이 출범한바, 기존에 없던 인공지능·첨단과학·식량안보 특임장관직을 신설하였고 신임 장관 총 6명 중 5명이 20~30대이자 3명이 여성으로 더욱 진취적인 내각으로 평가

라. 연방평의회 간접선거를 통한 점진적 민주주의 실현

2006.12월 그간 각 에미리트 통치자가 에미리트별 인구 비율에 따라 지명해 오던 연방평의회 의원 40명 중 20명에 대해 UAE 최초의 선거 실시 - 약 6,700명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에게만 투표권 허용하는 간접선거

(17)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2009.2월 연방최고회의는 연방평의회 의원 임기를 2년 연장하여 총 4년 임기제로 결정

- 연방평의회 회기 동안 각 소관 부처 장관이 직접 출두하여 법안 및 관련 정책 등을 설명하고 의원들의 자문 및 건의 사항 등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반드시 회신토록 하는 등 권한이 강화되는 추세

연방평의회 의원들의 연장된 2년 임기가 2010.12월 만료됨에 따라 2011.9월 선거를 통해 20명 선출하고, 11월 제15대 연방평의회 개원 - 연방평의회 선거시 선거인단 수를 약 13만 명으로 대폭 확대하여

UAE 내 참여민주주의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추세

2015.10월 3차 선거를 실시, 의원 정수의 절반인 20명의 당선자를 선출하였으며, 아랍에미리트 및 GCC 최초 여성 의장(Amal Al Qubaisi, 前 아부다비 교육청장)을 선출

2015.11월 치러진 3차 선거에서는 선거인단이 큰 폭으로 확대되고

(22만 명) 투표율도 높아짐에 따라 국민의 정치참여의 확대와 행정 투명성 제고라는 정부의 목표 달성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마. 두바이 권력 승계 공고화

2006.1월 모하메드 빈 라시드 알 막툼 두바이 통치자가 서거함에 따라 모하메드 두바이 왕세자가 부통령 및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로 선출 - 막툼 총리는 생전에 주로 영국 등 외국에 체류하면서 실질적인 국정

운영을 동생인 모하메드 왕세자에게 위임하였기 때문에 정책상의 큰 변화는 없는 상태

2008.2월 모하메드 두바이 통치자는 아들인 두바이 부통치자 겸 두바이 최고위원회 의장인 함단을 두바이 왕세자로 공식 임명하는 등 두바이 내 권력 구도 공고화

3. 대외 관계

가. 대외정책 기조

1) 비동맹 노선 및 역내 협력 강화

비동맹 중립정책을 통해 외세로부터 정치·경제적 독립 유지 - 국내 문제 불간섭, 주권독립 존중, 무력에 의한 점령 반대

아랍연맹(AL : Arab League) 및 이슬람협력기구(OIC : Organization of Islamic Cooperation)와의 밀접한 협력 관계를 기초로, 특히 걸프협력이사회

(GCC : Gulf Cooperation Council) 회원국과는 한가족이라는 인식 하에 공동 협력 체제 강화

- 다만, 2017.6월 카타르 사태 이후 GCC 결속력이 약화되어 사실상 와해된 상태이며 아랍 4개국(UAE·사우디·바레인·이집트) 간 유대 강화

막대한 석유 수익을 바탕으로 주변 중동·아랍 국가에 대한 경제 지원을 통해 이슬람권과의 우호 관계 유지

- 대외원조 규모는 1971년 연방 창립 이래 약 2,550억 디르함(약 699억 불)

이며, 아랍 및 이슬람 국가 대상 원조가 전체의 약 85% 이상 점유

UAE 체류 외국인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는 인도·파키스탄 등 서남아시아 국가들과도 원만한 유대 관계 유지

2) 친서방 노선 유지 및 외교 다변화 노력

국익 우선의 실리 외교 추진

- 북한을 포함하여 태평양 및 대서양 도서국가, 아프리카 등 미수교 국가들과 외교 관계 수립 및 원조 확대 등을 통해 자국의 위상 확대 -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 사무국 유치(2009. 6월) 등 UN을 비롯한

(18)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친미·친서방 노선 유지

- 미국·영국·프랑스·캐나다·호주 등과 군사·안보 협력 강화

최근에는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상거래 중심에서 전략적 협력으로 확대해 나가는 추세

3) 이란 핵 문제 등 안보 위협에 대해 국방 강화 및 주요 동맹국과의 안보협력 강화 추세

미국 등으로부터 미사일 등 방위 시스템 도입, 서방의 리비아 사태 대응 당시 군 장비 지원, 對 ISIS 공습 참여 등을 통해 서방과 군사적 유대 강화

시리아 사태 이후로 역내에 영향력을 확대 중인 러시아와의 방산협력 등을 통해 군사협력을 확대하는 추세

이란 핵협상 타결(2015)은 국제사회에서 표면적으로 이란 핵위협을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이로 인한 이란의 중동 내 영향력 확대 및 미국의 중동 개입 축소와 맞물려 순니파(걸프)들의 강력한 반발을 초래함에 따라 역내 불안 요소로 작용

-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강도 높은 대 이란 노선 견지 중 - 후티 반군 견제 차원에서 예멘 사태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는 등

이란의 세력 확장에 대해 강경한 태도 견지

나. 주요국과의 관계

1) GCC 관계 : 역내 균형자적 역할 모색 및 경제협력 강화 추구

1981.5월 GCC 설립 이래 적극적 참여를 통해, GCC 내 균형자적 역할 - GCC 회원국은 같은 이슬람 형제 국가라는 인식 아래, 역내 안보·

경제·정치 등 제반 분야에 있어 공동 입장 표명

GCC 차원의 노력과 병행하여 자체 안보 역량 강화 및 미·영·프 등 서방 강대국과의 양자적 군사협력 강화

그러나 카타르의 무슬림 형제단 비호로 인한 갈등이 반복되면서 최근에는 GCC의 결속이 과거에 비하여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관찰 - 카타르의 무슬림형제단 비호 여부를 둘러싸고 UAE·사우디·바레인

3개국이 2014.3월 카타르 주재 대사를 소환하는 등 일시적으로 내부적 외교 갈등 노정

- 2017.6월 재부상한 카타르와의 갈등을 계기로 UAE를 포함한 사우디·바레인·이집트 등 아랍 4개국은 카타르와의 외교관계 단절

GCC 경제협력 문제에서 다소 유보적 자세 표명

- UAE는 2008.1월 출범한 GCC 공동시장에는 가입하였으나, 통화동맹

(Monetary Union)에는 미가입

걸프협력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

창설 일자 : 1981.5.25

회 원 국 : 사우디아라비아, UAE, 카타르,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창설 배경 : 1979년 이란 혁명,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지역의 전반적인 정치·외교적 위기 상황에 공동 대응하고, 회원국 간

‘연합체적 단일 정치구조' 구축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립

2) 이란과의 관계 : 최대 잠재적 위협 요인으로 인식

이란과의 3개 도서(Greater Tunb, Lesser Tunb, Abu Musa) 분쟁

- 1971년 이래 이란이 3개 도서를 점령하고 군사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는 데 대해 UAE는 동 3개 도서에 대한 완전한 주권 회복을 주장하면서 이란-UAE 간 직접 대화 또는 국제사법재판소(ICJ)를 통해 동 분쟁을 해결해 나가자는 입장이며, 이에 대해 이란은 3개 도서 영유권에 대해서는 협상의 여지가 없다는 입장을 견지 중

(19)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최대의 잠재적 위협 요인

- 1990년 걸프전 발발 및 이후 이라크 후세인 정권 몰락과 함께 이란의 안보위협 요인이 증가하면서, 호르무즈 해협을 사이에 두고 직접 이란과 접해 있는 UAE의 안보 불안이 크게 증가

- 이란 핵문제를 비롯, 유사시 도발에 대비하고 이란에 대한 군사 억지력 확장을 위해 미국·프랑스 등과 안보협력을 강화 중

실리적 경제 관계 구축 및 이란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 기대

- 이란은 UAE의 주요 교역 파트너이자 최대 재수출 시장으로 양국 간 실질적인 경제협력을 중시(특히 약 40만 명의 이란인이 거주하는 두바이 경제의 핵심 차지)

- 아울러, 이란의 평화적 핵 개발 권리를 존중하나 국제사회의 우려와 위협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이란이 관련 당사국들과 협의해 나가야 하며 국제사회의 무력 사용을 통한 문제 해결에는 반대한다는 입장

2015년 이란 핵 협상 타결 이후 확대된 이란의 영향력 견제

- 시리아·예멘 사태 등 역내 분쟁에서의 이란의 개입 및 영향력 확대를 강력 견제하고 있으며, 특히 2016.1월 사우디의 시아파 성직자 처형으로 조장된 사우디 대 이란 간의 갈등 국면에서 사우디를 적극 지원하고 이란과의 외교관계 축소로 대응

3) 예멘과의 관계 : 군사적으로 예멘 사태 개입 중 / 이란 세력 확장 견제

UAE는 親이란계 후티 반군의 예멘 내 세력 확대 견제 차원에서 2015년 이래 사우디와 연합하여 예멘 내 군사작전 전개 중

- 30여 대 전투기와 1개 여단(1800여 명) 규모 병력 파병 ※ 2017.12월 기준 100여 명 이상의 UAE군이 전사한 것으로 추정

UAE는 원유 수송의 요로에 위치한 아덴항 등 남부 지역에 초점을 맞추고 지역 토착세력과 관계를 구축하면서 후티 반군 및 알카에다 연계 세력에 대응

- 초대 자이드 대통령 집권 시기부터 가스와 원유가 풍부한 예멘 남부 지역과 긴밀한 유대 관계 형성

2015.4월 이래 5억 6천만 불 상당의 대예멘 원조 실시

예멘이 이란의 세력권으로 편입되는 것을 극도로 경계하며 외부세력의 개입 없는 예멘 내 정치세력 간의 대화에 의한 예멘 사태 해결 지지 입장

4) 팔레스타인과의 관계 : 독립국가 창설 지지/ 주민 지원 지속 방침

중동 평화 관련 팔레스타인측의 입장을 지지하며, 중동 문제에 대한 미국의 공정한 개입 정책을 촉구

- 예루살렘을 수도로 하는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창설을 적극 지지하며, 중동 평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지지 확보 노력 계속

- 특히 정착촌 건설 중단, 불법 점령지로부터의 철수 등 이스라엘측의 평화 정착 노력이 긴요하다는 입장

하마스의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참여에도 불구하고 미·EU의 입장과 관계없이 자치정부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였으며, 트럼프 미 행정부의 예루살렘으로의 미국대사관 이전 방침에는 강력한 반대 입장 표명

5) 미국 등 서방과의 관계 : 긴밀한 안보협력 관계 유지

UAE는 걸프전의 교훈 및 이란과의 도서 분쟁 등으로 미국과의 협력 관계 중시

- 1994년 미국과의 방위협정 체결 및 미군 약 1,700여 명(대부분이 공군)의 UAE 주둔

- 2000.3월 80대의 F-16 전투기 구매 계약 체결 및 2009년 140억 불 상당의 미국산 헬기 및 미사일 구매, 2011년 35억 불 상당의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구매하는 등 미국의 주요 방산 수출 시장으로 부상 - 2014.9월 이후 미국 주도의 對ISIS 공습 작전에 참여

(20)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對이란 강경노선을 견지 중인 트럼프 행정부의 중동 정책에 대한 지지 입장 수차례 표명

단, 대미 안보 의존을 피하기 위해 영국·프랑스 등 여타 서방권과의 협력을 통해 대외 관계의 균형 유지 노력

또한 시리아 사태 개입을 계기로 역내 입지를 확대 중인 러시아와의 국방협력도 신중히 확대하는 추세

- 양국 간 국방협력협정 서명 및 대규모 무기 도입 계약 체결(2017.3월)

UAE 건국 전부터 이루어진 영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중동 평화를 위한 서방측의 지지 및 경제·통상 차원에서 EU와의 안정적인 관계 유지 추구

중동지역 안정에 있어 트럼프 미 행정부의 역할을 지속 강조하며, 중동 정세 안정을 위한 협력과 조정의 중요성에 주목

6) 지역 및 국제기구와의 관계

GCC, G-77, IAEA, IBRD, ICAO, IDB, ILO, IMF, Interpol, IOC, IPU, OIC, OPEC, UN, WTO, IRENA 등 약 50개의 기구 회원국

4. 군사 및 안보

육군 47,500명을 포함하여 총 70,000명의 병력을 보유(2017년 기준), GCC 국가 중에서는 사우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병력 유지

- 육군(47,500명), 해군(2,500명), 공군(9,000명), 대통령 경호사령부

(10,000명), 국경수비대(500명), 해안경비대(500명)

1983년 3년제 단기 사관학교를 설립하여 내국인을 선발, 장교로 양성하는 등 군 지휘부의 내국인화 정책 추진

- 걸프전 이후 외국인 용병을 단계적으로 자국민으로 대체, 외국인 용병 비율이 크게 감소(70% → 10%)

대다수 유전이 이란과 인접한 걸프만에 위치하고 있는 전략적 측면을 고려, 국방력 증강 등 군 현대화 작업에 박차

- 1989년 프랑스로부터 미라지 전투기 60여 대를 구입했으며, 2005~

2007년 미국으로부터 F-16 전투기 80대를 도입, 현재 미라지 전투기 60대를 신형 전투기로 교체 중

이란 핵협상 타결(2015)은 국제사회에서 표면적으로 이란 핵위협을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으나 이로 인한 이란의 중동 내 영향력 확대 및 미국의 중동 개입 축소 등 역내 불안 요소로 작용하여 미국·영국·

프랑스 등 서방 강대국과 안보협력 지속 강화

- 이란·북한 간 군사협력, 이란의 미사일·핵 개발 등 군사 동향 등에 민감하게 반응, UAE 위성의 80% 이상을 이란 감시에 투입

2014.9월 18~30세 남성 국민에게 9개월~2년간 의무 군복무 제도 시행 - 카타르(2013.11월)에 이어 GCC 내 두 번째 징병제 도입국

UAE는 사우디 주도 아랍연합군의 예멘 내전 개입 시 전투기 30대, 1개 여단 1800명 용병(2015.3월) 파견하여, 예멘 군 지휘·훈련·물자 및 장비 지원, 육·해·공 작전 특히 육상작전 지원, 남부 지역에 초점

(21)

Unit ed Ar ab Emir at es

정 치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국방 조직(총참모부)

통합군 총사령관 (대통령)

해군사령부

★★

해안경비대

공군사령부

★★

대통령 경호사

★★

육군사령부

★★

국경수비대

부총사령관

★★★★

(아부다비 왕세자)

국방장관 (두바이 통치자, 총리)

국방특임장관

총참모장

★★★

주요 부대 및 장비

구 분 주 요 부 대 장 비

지상군

보병여단 기갑여단 포병여단

6개 1개 1개

전 차 장갑차

야 포 다련장

560대 550대 250문 72문

해 군 함 대

전 대

1개 4개

프리키트 미사일함 경비정 지원함

2척 8척 20척

3척

공 군

전투비행단 수송대대 헬기대대

3개 1개 1개

전투기 훈련기 헬기

143대 64대 114대

(22)

Unit ed Ar ab Emir at es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경 제

III

1. 경제 동향 2. 아부다비 경제 3. 두바이 경제 4. 에너지 관련 산업 5. 건설 및 부동산 관련 산업 6. 노동 현황 (노동법) 7. 통신 산업 현황 주요 기지 현황

육군

자예드 알민하드

공군

알바틴

알 아인 알다프라

해군

제벨 알리 라시드

구 분 세 부 현 황

지 상 군 (8개 주둔지)

타리프 캠프, 알 아인 캠프, 마사피 캠프, 마나마 캠프, 알 아인 보병학교, 후자이라 캠프, 미나 자예드 캠프, 알마캄 캠프

해 군 (8개 기지)

미나 달마, 미나 자예드, 미나 라시드, 미나 칼리드(아부다비) 미나 제벨 알리(두바이), 미나 사크르, 미나 칼리드(라스 알 카이마) 코르 파칸(샤르자)

공 군 (6개 비행장)

알다프라(군용), 알민하드(군용), 두바이 공항(민군 겸용), 알바틴(민군 겸용), 알 아인 공항(민군 겸용), 샤르자 공항(민군 겸용)

(23)

Unit ed Ar ab Emir at es

경 제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1. 경제 동향

가. UAE 경제의 주요 특징

개방적 시장경제 체제

- UAE는 정치적 안정, 친기업적 시장 환경, 양질의 인프라, 주변국 시장으로의 접근 용이성 등 매력적인 투자 환경을 보유하여 2017년 세계경제포럼(WEF)의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세계 17위에 올라 아랍 국가들 중에서 가장 높은 순위 달성

- 주요 석유 공급국으로 UAE의 거시경제지표들은 석유 가격 변동과 세계 석유 수요 변동에 밀접하게 영향을 받음

※ 국제유가 하락 ⇨ 재정수입 감소 ⇨ 재정지출 감소 ⇨ 경기 둔화

개별 에미리트 중심

- UAE는 왕정 부족국가의 연합체인 관계로 통화·관세 등 거시경제 부문을 제외한 실물경제 부문은 각 에미리트별로 자치권 인정 - 에미리트별로 기업 등록, 사업규제, 인프라 확충, 투자 유치 등을

독자적으로 시행하며, 두바이와 아부다비는 각자의 계획에 따라 경쟁적으로 투자

※ 경쟁적 투자 사례

① 두바이 제벨 알리 자유구역·항만에서 50km 떨어진 지역에 아부다비 칼리파 자유구역 및 신항만 조성

② 공항 간 130km 떨어진 두바이(에미리츠항공)와 아부다비(에티하드항공)가 노선 확충 경쟁

에미리트별 경제력의 큰 격차

- 석유가스 자원 유무, 인구 규모, 해외투자 유치 성공 여부에 따라 경제발전에 큰 격차

- 아부다비는 UAE의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의 94%를 보유하고 있어 1인당 실질 GDP가 약 7만 3천 불에 이를 정도로 넉넉한 경제여건 향유

- 두바이도 유통 물류서비스·교통·관광·금융 및 부동산 개발 중심으로 개방적인 경제구조를 갖춰 1인당 GDP가 약 3만 8천 불 이상으로 선진국 수준에 도달

- 아즈만, 움 알 콰인, 라스 알 카이마, 후자이라 등 북부 에미리트는 부존자원과 산업기반이 빈약하여 저개발 상태

탈석유 경제다변화 정책 추진

- 아부다비는 석유 부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2008년 ‘아부다비 경제 비전 2030’을 수립하고 경제다변화 정책을 적극 추진 중 (중점 육성 부문 : 항공, 반도체, 1차 금속, 석유화학, 관광, 의료)

※ 2016년 기준 전체 경제에서 GDP 대비 석유 부문 31.1%, 비석유 부문 68.9%

- (아부다비) 석유 49.2% 對 비석유 50.8% (두바이) 석유 1.7% 對 비석유 98.3%

- 두바이는 아부다비와는 달리 석유가스 자원이 거의 없어 일찍부터 무역과 서비스 중심으로 경제를 발전시켜 왔고, 외자 유치를 통해 각종 야심찬 부동산 개발 사업 진행 중

(24)

Unit ed Ar ab Emir at es

경 제

2018 아랍에미리트 개황

UAE 경제 활동별 GDP 비중

(단위 : %)

구 분 2012 2013 2014 2015 2016

석유 부문 32.1 31.3 30.4 30.9 31.1

비석유 부문 67.9 68.7 69.6 69.1 68.9

- 농·수·축산업 0.7 0.6 0.6 0.6 0.6

- 제조업 7.8 7.9 7.8 8.3 8.5

- 전기·수도업 3.1 3.0 3.0 3.2 3.3

- 건설업 9.0 9.0 9.3 9.2 9.2

- 도소매·무역업 11.4 11.7 11.4 10.9 10.6

- 교통·물류 6.1 6.0 6.2 6.3 6.6

- 숙박·음식 1.8 2.0 2.0 2.0 2.0

- 정보·통신 2.7 2.6 2.8 2.8 2.8

- 금융·보험 6.5 6.7 6.9 6.7 6.4

- 부동산 5.8 5.6 5.9 5.8 5.7

- 전문·과학·기술 2.8 2.8 2.8 2.7 2.7

- 관리·지원 1.8 1.8 1.8 1.8 1.7

- 행정·국방 5.5 5.8 5.9 5.7 5.5

- 교육 1.0 1.0 1.0 1.0 0.9

- 보건·사회사업 0.9 1.0 1.1 1.3 1.4

- 예술·여가 0.5 0.4 0.4 0.5 0.6

- 가정 서비스 등 0.4 0.5 0.5 0.6 0.7

출처 : UAE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소비 및 재수출 중심의 무역

- 2016년 기준으로 연간 상품 수입 물량의 31%(2016년 수입액 1,893억 불, 재수출 587억 불)을 중동지역 및 인도 등에 재수출

※ UAE 내에 40여 개의 자유구역(Free Zone)을 설정하여 중동 아프리카 지역을 대상으로 중계무역을 육성하고, 상업공간 확충을 통해 역내 전시·소비센터 역할 수행 - 상품 재수출액은 2014년 648억 불로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후

다소 둔화(2015년 603억 불, 2016년 587억 불)

UAE 상품 수입액 및 재수출

(단위 : 억 불)

구 분

2

012 2013 2014 2015 2016

수 입 1,819 1,867 1,898 1,843 1,893

재수출 596 633 648 603 587

(재수출 비중) 32.8% 33.9% 34.1% 32.7% 31.0%

출처 : UAE Federal Competi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

외국 인력 의존

- UAE 전체 인구 중 자국 인구는 11.5%에 불과하여 경제·산업 발전에 필요한 대부분의 인력을 외국 인력에 의존

- 정부·공기업·민간기업 등 모든 분야에서 선진국(영국· 미국·프랑스 등) 전문가들이 상위직을 점유하고 있고, 인도·아랍 지역 출신이 중간관리자 역할

- 연방통계청(Federal Competiveness and Statistics Authority)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15세 이상의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 비율(고용률)은 자국민이 44.2%에 불과한 반면, 외국인은 취업을 전제로 한 거주비자 발급이 이뤄지고 있어 외국인은 82.3%의 높은 고용률 보이고 있음

※ 실업률(2016) : 전체 1.6%, 자국민 6.9%, 외국인 1.4%

나. 그간의 경제 동향

UAE 경제는 2000년대 중반, 고유가에 따른 막대한 원유 수익과 비즈니스 우호적 환경 조성, 두바이 건설 붐 등을 통해 고성장 달성 ※ 2000~2007년 실질 성장률(IMF) : (2000) 12.3% (2001) 1.3% (2002) 2.5%

(2003) 8.8% (2004) 9.6% (2005) 4.9% (2006) 9.8% (2007) 3.2%

2008~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기도 했으나, 2011년 ‘아랍의 봄’ 이후 상대적으로 안전한 지역(safe-heaven)으로 인식되어 해외투자 유치 증가, 교역·관광·물류 부문의 강세 등에 힘입어 경기회복세로 전환

참조

관련 문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00 lux 조건 하에 동영상 촬영을 진행하 고, 모든 동영상 촬영이 끝난 후 Noldus의 Ethovision(ver. 8.0)으 로 mouse가 open arms에 머문 시간과 mouse가 open

[r]

멘토링 과정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지일관 자신 감과참을성을 가지고 끈질기게 멘토링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된 멘토링에 진지하고 헌신적으로

The new energy strategy, announced in the presence of Sheikh Hamdan bin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Crown Prince of Dubai, aims to increase the contribution

coordinated Sr(1), 8-foldcoordinated Sr(2), and 4-fold-coordinated Al 3+ cation sites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