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삼킴장애 세미나 3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삼킴장애 세미나 3주"

Copied!
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삼킴장애 세미나 3주

- 삼킴의 해부학적 구조 (2)-

언어치료학과

변해원

(2)

개 요

 삼킴 근육과 뇌신경의 작용

 신경학적 삼킴 조절

 나이에 따른 삼킴의 변화

(3)

3. 삼킴 근육과 뇌신경의 작용

3.1 구강준비단계와 구강단계

- 3.1.1 안면신경 : 상악골과 하악골에 부착된 하부 안면 근육들을 지배함.

(4)

볼근 (그림 1-17)

1. 음식이 치아를 가로질러 움직일 때 입술을 다물게 하고 볼을 평평하게 함.

2. 삼킴작용시 입술의 움직임에 관여함.

(5)

3.1.2 삼차신경 – 씹기 동작을 위한 주요 근육들을 지배함

씹기의 주요근육들은 교근, 관자근, 날개근으로 측두골의 나비뼈날개에 부착됨(표1-6)

(6)

3.1.3 설하 신경: 구강준비단계에서 음식을 씹기 위해서는 혀가 아래턱과 함께 측면 회전동작을 함. 이 때 혀 내재근들이 설하신경에 의해 지배됨

(7)

3.2 인두 단계

비강 인두에서 5개의 근육들이 음식덩이에 대해여 연구개 또는 근육성 입천장의 위치를 정한다.

(8)

 턱 아래에는 설골과 연결되어 후두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설골상근이 있음 - 설하신경, 삼차신경, 안면신경이 지배

(9)

 미주신경과 부신경은 근육성 인두를 지배함

- 인두의 위, 중간, 아래 수축근들은 삼킴 동안 음식덩이가 식도를 향해 갈 수 있도록 작용함

(10)

 미주신경의 되돌이후두신경은 후두의 내재근을 지배함

(11)

4 신경학적 삼킴 조절

 중추신경에서 조절되는 삼킴작용은 소뇌를 감싸고 있는 천막을 중심으로 천막상 부위와 천막하 부위로 나누어짐.

1. 천막상 부위에 의한 조절 : 전두엽의 감각운동피절에 의한 것 2. 천막하부위/뇌간에 의한 조절: 고립로핵, 의문핵에 의한 것

 대뇌의 피질과 피질하 영역은 삼킴을 위한 중요한 신경로를 담당함 - 삼킴은 뇌의 영역이 활성화 되면서 일어남 (뇌손상시 삼킴장애)

 뇌간은 주로 인두단계와 식도단계의 불수의적인 삼킴을 담당함 - Tip. 뇌간의 주요역할이 생명중추

(12)

4.1 뇌간의 구조

 뇌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척수와 연결

중뇌, 교, 연수로 구성됨

 주요부위

1. 피개: 후각신경과 시각신경을 제외한 삼킴과 관련된 뇌신경핵이 위치함

(13)

4.2 뇌신경

표1-13과 표1-14만 외울 것.

(14)

4.3 뇌간 연수에서 이루어지는 불수의적인 인두 및 식도삼킴의 조절

 인두삼킴은 뇌신경의 구심성 섬유활동에 의해 시작됨

 삼킴작용은 말초자극으로부터의 반사가 시작되지 않는 한 수의적 노력만으로 삼킴을 일으키지 못함

(15)

4.4 대뇌피질과 변연피질계에서 조절되는 수의 및 불수의적인 구강식사 동작

 상부운동신경과 하부운동신경을 통해서 모든 근육운동이 발생됨

1. 상부운동신경 : 대뇌의 운동피질로부터 척수까지의 신경경로(=피질척수로) 2. 하부운동신경 : 대뇌신경

* 삼킴, 말하기 등의 안면과 구강의 근육은 피질척수로가 아닌 피질연수로를 통해 전달됨

*피질연수로 : 대뇌의 피질에서 뇌간으로 연결됨. 연수에서 하부운동신경과 연결되어 안면, 구강 근육으로 도달됨.

(16)

자연스러운 삼킴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적절한 근육만 활성화 되고, 정확한 수축, 이완이 필요함 – 소뇌와 기저핵이 담당

뇌간에서 기침 등의 반사가 개시됨.

(17)

 영장류 등에서 감각운동새피질과 변연피질은 씹기와 삼킴의 결합 동작에 영향을 미침.

(18)

5. 나이에 따른 삼킴의 변화

5.1 영유아의 삼킴과 관련된 구조

- 유아는 볼과 혀가 작은 구강을 가득 채우고 있음 – 자동 빨기가 가능 - 설골과 후두가 성인보다 높게 위치하여 기도를 보호함

- 후두덮게와 연구개가 가깝게 위치하여 젖을 혀의 기저부에서 식도까지 안전하게 통과 가능

- 영유아의 인두삼킴은 성인과 비슷하지만 후두 상승의 폭이 작음

- 후두가 혀의 기저부의 위치와 유사하여 상승운동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 - 고개를 뒤로 기울여 음식을 삼키면

흡인(음식물이 들어감)의 가능성이 높음

(19)

5.2 노화에 따른 삼킴의 변화

 노인은 삼킴장애의 잠재적 위험이 있음

1. 구강단계에서의 차이

- 음식덩이를 혀 밑에 담는 자세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임

- 정상성인 : 구강기를 시작할 때 혀 끝 물기 자세로 음식이 위치

- 노인 : 음식덩이를 입 안 바닥에 물고 있으므로 구강에 잔류물이 더 많음

2. 인두단계에서의 차이

- 음식을 삼키고 난 후 인두에 남아 있는 음식의 양이 증가되는 경향

(20)

3. 식도 단계에서의 차이

- 노화에 따라 식도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기능은 쇠퇴함.

- 식도 통과시간이 길어지고 식도에 남은 음식의 양도 증가함.

(21)

삼킴장애 가이드라인

PDF 참조(심혈관 센터발간 - 삼킴장애 개괄)

(22)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질의 응답

참조

관련 문서

∗ Focus on means to alter the way that crime is depicted in the mass media- 언론에서 범죄에 대한 정확한 방식으로 보도할 필요성이 있다.

특수한

[r]

즉, 핵이 분열함에 따라 각 형태발생물질의 양과 비율이 다양한 핵 유전자의 전사를 선택적으로 활성화 하고, 이들 유전자가 유충과 성체 파리 의

생물체에 대한 방사선 조사부위에 따라 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조사받은 부위와 주변의 조직 및 기관간에는 상호작용이 있으나 장해는 대부분의 경우 조사받은

Böcher, 2008, Integrated Rural Development Policy In Germany and its Potentials for new Modes of Forest Governance, Institute of Forest, Environmental, and

주택시장 과열의 확산 : 블루칩에서 관리종목인 다세대주택까지 매수

유연한 데이터의 이동성 | 엔터프라이즈 수준의 클라우드 향 데이터 서비스 | 운영 및 관리 통합... 데이터베이스 인프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