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집트 역사와 현대 정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이집트 역사와 현대 정치"

Copied!
5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이집트 역사와 현대 정치

파라오에서 민중혁명까지

정용칠 Chung Yong-chil 한.아랍소사이어티 사무총장

ycchung54@hanmail.net, 010- 9025- 5025, 02- 551-7130

(2)

I.고대 이집트 파라오 왕조

가. 개요

ㅇ BC8000년부터 나일강 유역에 농경생활 시작, 최초의 고대문명 탄생

ㅇ BC3100년 Menes왕이 최초로 남북 이집트를 통합 카이로 근교 멤피스에 도읍을 정한 이후 BC332년 알렉산더 대왕의 이집트 정복까지

약2800년 지속

ㅇ 고대 파라오 왕조는 30개 왕조가 흥망을 반복하였으며 통상 고 왕조, 중왕조, 신왕조 시기로 구분

- 고왕조(BC3100-BC2040 약 1000년간) : 10개의 왕조가 부침하는 동안 약 40명의 왕이 통치

- 중왕조(BC2040-BC1567 약 500년간) : 7개 왕조, 30명의 왕이 통치 - 신왕조(BC1567-BC332 약 1200년간) : 13개 왕조(18-30왕조)가 부침하는 기간 중 약 80명의 왕이 통치

(3)
(4)

나. 고왕조 시기 (BC3100 – BC2040)

ㅇ 이 왕조의 Menes왕은 최초의 파라오로서 남북 이집트 통합 후 멤피스를 도읍(BC3100 경)으로 정함

ㅇ 3왕조 Zozer왕은 공사장 Imhotep(임호텝)의 도움으로 사카라에 최초의 계단식 피라미드 건축하고 시나이 반도 정벌

ㅇ 4왕조 Khufu 왕, Khabre왕, Menkaure왕은 기자 피라미드 건축 ㅇ 5왕조 Unas왕부터 피라미드에 문자를 기록하기 시작

- 5왕조 기간 중 리비아, 누비아, 시나이 등을 정벌한 기록 - 태양신 Ra를 숭배한 기록 등

ㅇ 6왕조부터 왕권이 쇠퇴하여 7-10 왕조 기간중에는 지방 세력들이 할거

(5)
(6)

giza

(7)

다. 중왕조 시기(BC2040 – BC1567)

ㅇ 11왕조는 Menthuhotep 2세는 남북 이집트를 재통합 ㅇ 12왕조 시기에 국가체제 정비, 국력이 신장

- Senusert 3세는 지방족벌들을 평정하고 강력한 중앙집권 확립 - 12왕조 기간 중 리비아, 누비아, 시나이, 시리아 정벌

- 12왕조 시대부터 왕과 왕위 계승자간 공동통치 관행 대두 ㅇ 13-17 왕조는 획소스 등 외세의 침입으로 쇠퇴기

라. 신왕조 및 후기왕조 시기(BC1567 – BC332)

ㅇ 18왕조부터 국력이 다시 융성하여 동쪽으로 유프라테스강, 남쪽으로 수단지역까지 지배

- Hatshepsut 여왕은 테베(룩소) 지역에 최초의 신전건축 - 투트모세 3세는 룩소신전, Memnon 거상 등 건축

- 아멘호텝 4세는 아케타텐지역으로 일시 천도하고 전통적

Amun(태양신) 숭배에서 벗어나 Aten신을 숭배 (제사장 그룹과 갈등을 피하고 정치에 무관심

(8)

- 아멘호텝 4세와 왕비 Nefertiti 사이에 태어난 Tutankhamun 왕이 요절하고 그 뒤를 이은 Ay 왕도 단명, 람세스 1세 등 장군들이 왕위 계승(18왕조 멸망)

ㅇ 19왕조는 국력을 정비, 신전 건축등을 통해 고도의 문화 창달

- 19왕조의 Seti 1세는 아시아지역 정벌, 아비도스(Abydos) 신전 등 건축 ㅇ Ramses 2세(Seti 1세의 아들)는 힛타이트족의 침입을 격퇴하고

Abu Simbel 신전 건축

ㅇ 20왕조는 아시아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함에 따라 왕권이 약해진 반면 제사장의 권한이 강화

ㅇ 22왕조에 이르러 왕권은 델타(나일강 하류) 지역만 미치고 나일강 상류는 제사장들이 관할

ㅇ 25왕조 시기 아시리아 침입 후 국력쇠퇴 ㅇ 27-30 왕조기간 페르시아 속국으로 전락 - 페르시아 출신 파라오가 지배

(9)

Hatshepsut 여왕

Hatshepsut 신전

(10)

Menthuhotep 2

(11)

Nefertiti 왕비

(12)
(13)

Ramses 2세

(14)

II. 그리스 로마시대

가. Ptolemies 왕조(BC332 – BC30)

ㅇ 알렉산더의 이집트 정복 후 Ptolemy 장군을 이집트 총독으로 임명하고 알렉산드리아에 새로운 수도건설

- 알렉산드리아는 헬레니즘 문명의 중심지로 발전 - 파윰을 농업 중심지로 개발

- Ptolpmies 왕조의 해군은 지중해 및 홍해의 해상권 장악

- Ptolemies 왕조는 국가통합 차원에서 파라오시대의 건축 양식을 답습한 신전을 건축 (Dendarah, Philae, Edfu 지역)하고 파라오 시대의 이집트 신들을 모방한 그리스 신화 도입

(15)

Ptolpmies 1 Ptolpmies 9

(16)

The_Roman_Theatre_in_Alexandria

(17)

Sphinx in_Alexandria

(18)

Philae 신전-

파라오 양식과 그리스 양식의 혼합

Edfu 신전의 벽화

그리스 양식과 파라오 양식의 혼합

(19)

나. 로마 제국시대 (BC30 – AD337)

ㅇ 로마황제 옥타비아누스가 로마장군 안토니우스와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톨레미 왕조의 마지막 왕 ; Ptolemy 9세)의 연합군을 Actium해전에서 물리치고 이집트를 정복하여 로마의 속국으로 합병 (BC30)

ㅇ 이집트는 로마의 식량 공급기지 및 로마와 인도간의 중계무역지로 부상

ㅇ 기독교의 유입으로 콥틱어 사용이 유행하고 수도원이 건축 됨 - 콘스탄틴 황제의 기독교 포교승인 (AD321)

ㅇ 이집트에 대한 지배권이 동로마제국(콘스탄티노풀)로 넘어간 후 리비아, 누비아, 페르시아 등의 침입이 5-6세기까지 지속

(20)

Coptic 교회 Copitc 교황

(21)

III. 이슬람시대

가. 이슬람군의 이집트 정복 (640-969)

ㅇ 칼리프 Umar의 명령으로 Amr Ibn Alas가 지휘하는 이슬람군이 동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있던 이집트를 정복 (AD640)

ㅇ 이후 우마이야 왕조(다마스커스) 압바스왕조(바그다드) 등으로부터 파견된 이슬람 총독이 이집트 지배

- 이 기간 중 많은 콥틱 교도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아랍어가 콥틱어를 대체

- Tulun 총독 시기에는 바그다드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반독립적 세력 형성 (Tulun 왕조)

나. 파티마 왕조의 이집트 지배 (969-1171)

ㅇ 파티마 왕조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사위인 알리(예언자의 딸 파티마와 결혼)를 정통 칼리프로 인정하는 시아파 이슬람 왕조로서 순니파

우마이야 및 압바스왕조의 칼리프 승계에 도전하였으며 969년 이집트를 정복

(22)

- 초기에는 파티마왕조의 칼리프들이 직접 이집트를 통치하였으나 후기에는 군출신 총독을 파견

- 알렉산드리아에서 카이로도 천도

다. 아유브(Ayyub) 왕조 (1171-1252)

ㅇ 이집트를 침입한 십자군에 대항하기 위해 셀주크 터키의 술탄이 파견한 Salah Al-Din이 십자군을 물리친 후 이집트 지역을 실질적으로 지배 - 파티마 왕조를 폐지하고 압바스 왕조를 정통 칼리프 승계자로 인정 (시아파 척결)

- 십자군의 공격에 대해 카이로 주변 Citadel 축조(십자군은 Damietta, Mansurah 지역 점령)

(23)

십자군 전쟁

(24)

라. 마믈루크(Mamluk) 왕조 (1250 – 1517)

ㅇ 아유브 왕조는 십자군에 대항하기 위해 터키계 노예 출신인 Mamluk 족을 수비대로 활용했으나 Mamluk 족의 반란으로 몰락(1250)

ㅇ Mamluk의 장군 Baybar(후에 Sultan 직위에 오름)는 몽고군의 침입을 격퇴하고 십자군 세력, Ayyub 왕조잔당, 아르메니아, 누비아 등을 정벌한 후 순니 무슬림의 보호자 역할 수행

ㅇ Mamluk 왕조 시대에는 터키어가 널리 사용되었으며 내정은 불안정 하였으나 대외관계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대체로 안정유지

마. 오토만 터키의 지배 (1517 – 1805)

ㅇ 오토만 왕조의 Salim 1세가 Mamluk 왕조를 멸하고 이집트 정복(1517) - 오토만 왕조에서 파견한 총독 파샤(Pasha)가 이집트 지배(후기에는 군출신 귀족 Bay들이 사병의 힘을 토대로 Pasha의 권위에 도전) - 이집트는 문화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쇠퇴하였으나 이슬람 종교 중심지로서 중요성 확보

(25)

IV. 근대 이후

가. 19세기의 변천

ㅇ 프랑스의 이집트 지배(1798 - 1801) - 나폴레옹의 이집트 정복 (1798)

- 프랑스 고고학자들에 의한 ‘Rosetta Stone’ 발견(1799) 등 많은 고고학적 유물 · 유적발굴

* Rosetta Stone의 발견으로 문자의 해독으로 고대 이집트 역사가 세상의 빛을 보게 됨

ㅇ 이집트 근대왕조 성립

- 무함마드 알리(Muhammad Ali 1769 – 1849)는 원래 프랑스의 이집트 침입에 대항하기 위해 오토만 터키 왕조에서 파견한 군인이었으나 이집트 정착 후 정치, 군사, 경제개혁 단행

· 근대 이집트 건설의 기초를 닦고 수단정벌(1820) 팔레스타인 지역 및 아라비아 반도 파병 등을 통해 세력 확장

(26)

코가 없어진 스핑크스

(27)

Roseta Stone

(28)

Ali Mosque Citadel 성곽 ; 무함마드 알리 축조

(29)

- 알리의 장손 이스마일(Ismail the Magnificent, 1863-79)은 대규모 국토개발계획(수에즈운하 건설, 철도, 통신, 관개수로 등)을 추진

함으로써 외채가 누적(1875년 영국 정부는 수에즈 운하 주식 43%매입) - 1876년 외채 상환 불능상태에 따라 공채정리 위원회(영,불,독,이,오)에 의한 국가 재정관리 실시 (식민지화의 길 재촉)

ㅇ 영국의 군사점령과 통치 (1882 – 1936)

- 1882 영국군의 알렉산드리아 상륙 (민족주의 그룹이 주도한

알렉산드리아 反英 폭동진압 명분) 및 카이로 점령 이후 영국 총영사에 의한 실질상의 국정 수행

- 1914 영국 보호령 (protectorate) 선포

- Wafd 당 (Saad Zgloul 등이 주도)의 범 이슬람주의, 입헌제 운동 (1919혁명)

- 1922년 영국으로부터 독립쟁취, 국제연맹가입(1936년까지 영국의 실질적 지배 계속)

(30)

Ismail the Magnificent

(31)

**** 아이다[Aida]

-1869년 수에즈 운하 개통을 기념하기 위해 카이로에 건립된 오페라 극장 개관 낙성 식을 위해 작곡

10만 프랑의 작곡료을 받고 작곡한 베르디의 대표적인 작품

- 1871년 크리스마스 이브, 세계 각국의 귀빈이 초대된 가운데 초연 - 왕의 의뢰로 작품의 줄거리를 찾다가

이집트의 고고학자 마리에트가 멤피스에서

신전 발굴시 제단 밑에 남녀의 해골이 발굴되었던 일을 힌트로 하여 여기에 여러 사건을 첨가시켜 줄거리 창안

- 로클이 프랑스어 대본으로 만들고

- 기슬란쪼니가 이탈리아어로 고친 대본을 바탕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이집트의 무장 라다메스(Radames)와 포로인

이디오피아의 공주 아이다(Aida)와의 슬픈 사랑을 다룬 작품

(32)
(33)

나. 독립 이후

ㅇ 2차 세계 대전시 영국을 도와 연합군에 참전 - 1942년 Al Alamayn 전투에서 독일군 침공저지 ㅇ 1948년 제1차 중동전쟁(이스라엘 독립전쟁) 참전

- 1947년 UN의 팔레스타인 분할결의안에 반대한 아랍국가들(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은 1948.5.14 이스라엘을 공격하였으나 패배

ㅇ 1952년 Gamal Abdul Naser 중령 주도의 자유장교단 혁명 - 왕정폐지, 이집트 아랍 공화국 선포

- 약 2300년간에 걸친 이민족 지배 종지부 ㅇ 1952년 Naser 대통령, 수에즈 운하 국유화

- 영,불 및 이스라엘의 이집트 공격으로 제2차 중동전쟁 발발,

유엔(미,소)의 중재로 휴전 (아랍의 자존심 회복, Naser 대통령은 아랍 민족주의 영웅으로 부상)

(34)

Gamal Abdul Naser

Anwal Sadat

(35)

ㅇ 1958년 이집트-시리아, 이랍연방공화국 결성 (1961년 시리아 탈퇴) ㅇ 1967년 6일전쟁 (제13차 중동전쟁)

- 소련의 자원을 받은 시리아, 이집트, 요르단이 군사동맹을 체결하고 팔레스타인을 지원, 이스라엘의 Tiran항 봉쇄 조치를 취하자 미,영의 지원을 받은 이스라엘이 이집트 등을 기습 공격,

-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 가자지구, 요르단강 서안 (West Bank) 및 골란고원 점령

ㅇ 1970년 사다트 대통령 취임(Naser 대통령 병으로 사망) - 사다트 대통령은 친서방 온건노선으로 선회)

ㅇ 1970년 이스라엘 – 이집트 휴전 ㅇ 1973년 10월 전쟁(제4차 중동전쟁)

- 시나이 반도 등 회복을 위해 이집트, 시리아 군대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였으나 이스라엘은 3주만에 전세를 역전시켜 수에즈운하를 건너 이집트에 진격하고 다마스커스 20마일 부근까지 육박

(36)

ㅇ 이집트, 이스라엘 관계 정상화 - 1978년 캠프데이비드 협정

- 1979년 이집트, 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

- 1989년 시나이 반도에서 이스라엘군 철수 완료 ㅇ 1981.10 무바라크 대통령 취임 (사다트 대통령 피살)

- 무바라크는 나세르의 아랍민족주의와 사다트의 친서구주의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는 중도주의를 지향

ㅇ 1991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대항, 걸프전 참전

- 이집트, 이스라엘 평화협정 체결이래 이집트는 아랍권으로부터 소외당했으나, 걸프전 참전계기 아랍의 중심으로 재부상(1979년 평화협정 체결당시 아랍측은 아랍연맹 본부를 카이로에서 튀니지로 옮겼으나 걸프전직 후 아랍연맹 본부를 다시 카이로로 옮김)

ㅇ 1997년 룩소 테러사건 발생 (외국인 58명 희생)

(37)

ㅇ 1999년 이집트 최대 이슬람 과격단체 Gamat Islamiya, 대정부 투쟁 종식 선언

ㅇ 1999년 무바라크 대통령 4선 당선 (6년 임기) ㅇ 2005년 무바라크 대통령 5선 당선

ㅇ 2011.2.11 ‘쿠샤리 혁명’으로 무바라크 하야

ㅇ 2011.3.19 대통령 임기 4년 중임제를 골자로한 신헌법 국민투표 통과 - 무바라크 및 두 아들 재판 시작

** 민중혁명의 배경

근본 원인 : 장기독재의 폐해- 인권탄압, 기득권층의 부패,

물가상승으로 인한 생활고,

차남 가말 무바라크의 정권 세습 시도

2011년 실업률 12%, 부패지수 : 178개국 중 98위

(38)
(39)

시청 앞의 방위군

(40)

V. 한국 이집트 관계

한국에 대한 기본 정책

- 친북 정책 유지, 1970년대 중반까지- 1967년, 1973년 중동전쟁 시 북한의 이집트 지원

- 1970년 대 중반 이후 대 한국 정책 변화 이집트의 친 서방정책의 일환

-공식적으로 한국, 북한 중립 태도 - 1995년 한국과 외교관계 수립 양국간 협력관계 더욱 긴밀

- 2010년 수교 15주년 기념 오페라 아이다 교환공연

(41)

관계 연표

1961.12.5 영사관계 수립

1962. 5.1 카이로에 한국 총영사관 개설 1991. 8.19 서울에 이집트 총영사관 개설 1995. 4.13 한이집트 대사관계 수교

주요협정

1988 항공협정

1989 문화, 과학, 기술 협력 협정 1994 이중관세 방지 협정

1987 투자보장 협장

외교관, 관용여권 사증 면제 협정

(42)

대 이집트 개발협력 사업

양국 수교 이후 주요 협력 대상국으로 분류

-

3,859만불 지원 (1995- 2005년까지) - 건설 및 국토 개발 프로젝트 13건 - 개발조사 3건

- 연수생 초청 363명 - 전문가 파견 29명 - 봉사단 파견 265명 - 한국학 지원 사업

(43)

1976- 1978년 동산토건, 두산 건설의 전신 엘샴스 호텔, 2억불 수주

(44)

문화 체육교류

1996 앙드레 김 패션 쇼

2002 제 26회 카이로 국제 영화제 참가 2003 제 27회 카이로 국제 영화제 참가 2004 드라마 가을동화 방영

2006 제 1회 한국어 말하기 대회(아인샴스대학교 한국어과 주최)

2009 중동 아프리카 한국어 말하기 대회 - 요르단, 모로코 참가 (아인샴스 대학교 한국어과 주최)

(45)

한국학 지원사업

- 카이로 대학 아시아 연구소 한국학 관련 프로젝트 지원 (한국 정치, 경제 연구, 출판 프로젝트 지원)

- 아인샴스 대학교 한국어과 지원

(2005.9 중동지역 최초 정교학과 개설) - 국제교류 재단 교수 파견 (2명)

- KOICA 봉사단원 파견

- 한국 대사관 문화원 내 한국어 강좌 개설 (1994년 부터 운영)

(46)

• 대학 사진 카이로 대학

카이로 대학교 전경

(47)

카이로 대학의 여학생

(48)

VI. 이집트 북한 관계

기본관계

- 1963.8 양국 수교 이후 상주 대사관 설치, 긴밀한 관계 유지 - 무바라크 대통령의 북한 방문 (3회)

- 이집트 파병 –1973년 4차 중동 전쟁 시 북한 조종사 파병

- 걸프전 (1991.1) 북한의 이라크 지지, 한 이집트 수교 후 관계 소원

관계 연표

- 1958.7 주 카이로 북한 무역 대표부 설치 - 1961.11 주 카이로 북한 총영사관 개설 - 1963. 8 외교관계 수립

(49)

경제 통상 관계

- 통상 투자 관계 미약

- 이집트 곱틱 계열의 오라스콤(Orascom) 사 최근 투자 진출 - 통신(4억불), 시멘트 공장(1.15억불).

- 평양 유경 호텔 건설 (1억불)

(50)

평양의 유경 호텔

(51)

※ 아랍연맹 개관 – 카이로 소재

가. 출범 및 회원국

ㅇ 1945.3 아랍 각국의 주권 확보와 중동의 단결, 반 이스라엘 운동의 일환으로 출범

- 사무국 : 카이로

- 현 사무총장 : Amre Moussa (전 이집트 외교장관)

ㅇ 사우디아라비아, 예멘, 오만, 쿠웨이트, 바레인, 카타르, 아랍에미리트,팔레 스타인

이라크, 시리아, 레바논, 요르단, 이집트, 수단, 리비아, 모로코, 알제리, 튀니지, 모리타니, 소말리아, 지부티, 코모로(22개국)

나. 조직

ㅇ 연 1회 정상회의 개최

ㅇ 연 2회 개최되는 각료급이사회 산하에 정치· 경제, 군사, 인권 등 11개 상임위원회 구성

ㅇ 주요 문제에 대해서는 회권국 2/3의 찬성으로 결정

(52)

다.주요 활동

ㅇ 이스라엘 건국(1948) 및 이집트 혁명(1952) 이후 “범아랍주의”에 기초한 정치, 군사 분야의 활동에 중점

ㅇ 회원국간 이해관계가 달라 주요 정치문제에 대해 단합된 모습을 보여주는데 한계 노정

ㅇ 아랍 대 이스라엘 냉전 구도에서

대외적으로 아랍이미지 강화의 역할 평가

(이집트 및 사우디아라비아가 주요 리더 역할)

참조

관련 문서

Modern House by Ali Nassar Traditional House by Hassan Fathy vs... Ali Nassar Villa &

네페르티티(미인이

• 대규모 사회조직이 확대되는 현대사회, 팽창하는 국가 조직을 이끌기 위해 민주주의 국가에서 엘리트 집단이 등장. = 엘리트들이 관리하는 중앙정부 혹은

 다른 접근은

05 현대 기업상황에서 트라팔가

우리들 관원은 관칙을 엄수하고 사범 명령에 복종함..

 - 인간의 모든 사회적, 문화적, 지적 삶의 양식이 의미 작용체계와 커뮤니케 이션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며 이러한 기호체계는 접근 가능하다는 데서 출발한다.

서쪽에서 본 서북쪽 성곽 모습 서북쪽 성벽 목책열과 부강시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