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 연구"

Copied!
6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석 사 학 위 논 문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 연구

- TH/EX 이동에서의 결속조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 어 교 육 전 공

임 희 전

(2)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 연구

- TH/EX 이동에서의 결속조건

지 도 교 수 윤 종 열

이 논 문 을 석 사 학 위 청 구 논문으로 제출함

2001년 12 월 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 어 교 육 전 공

임 희 전

2 0 0 1

(3)

임 희 전의

석사학위 청구논문을 인준함

2001년 12 월 일

심 사 위 원 장 ꄫ

심 사 위 원 ꄫ

심 사 위 원 ꄫ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4)

목 차

제1장 서 론 ···

1

제2장 선행연구 ··· 5

2.1 Chomsky(1981)의 이중 목적어 구문 분석 ··· 5

2.2 Larson(1988)의 Double Object Constructions 분석 ··· 9

2.2.1 이중 목적어 구문에 나타나는 비대칭성 ···9

2.2.2 V Raising ···13

2.2.3 이중 목적어 구문의 구조 ···16

2.2.4 격할당 ···18

2.3 Chomsky(1999)의 TH/EX 이동 ···21

2.3.1 주제화와 추출(Thematization and Extraction) ···21

2.3.2 과중 명사구 전이(Heavy NP Shift)와 VP-부가 ···23

2.4 주정훈(2001)의 최소이론에서 본 이중 목적어 구조 분석 ···28

2.4.1 Larson (1988)의 이중 목적어 분석의 문제점 ···28

2.4.2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의 TH/EX 이론 적용 ···31

2.4.3 고유격(Inherent Case)의 폐지 ···34

제3장 TH/EX 이동과 결속조건 적용 ···38

3.1 이중목적어 구문에서의 TH/EX 이동의 문제점 ···38

3.2 TH/EX 이동에서의 결속조건 ···44

제4장 결론 ···50

참 고 문 헌 ···53

ABSTRACT ···56

(5)

1 . 서 론

본 논문은 영어의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어 구문의 특성을 살펴보고 여 격구문과 이중 목적어 구문을 최소주의 입장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 에는 일반타동사와 다른 특성을 가진 수여동사(dative verb)가 있다. 영 어에서의 수여동사는 두가지 형태의 구문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여격구 문(oblique dative construction)으로 (1)과 같이 간접목적어 전치사 순으 로 나타나며, 다음으로 이중 목적어 구문(double object construction)은 (2)와 같이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순으로 나타난다. (2)에서 볼 수 있듯 이 영어의 이중 목적어는 다른 일반적인 타동사와 달리 간접목적어와 직 접목적어라는 두 개의 목적어를 지니고 있어 통사적으로 특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생성문법 내에서 이중 목적어 구문은 어떤 이론을 유지하는 데 항상 어려움을 안겨주는 부분이었다. 특히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어구문의 관련성 문제, 격할당(Case assignment) 문제, 구구조 설정 (constituency)의 문제, 두 목적어 간의 영역 비대칭(domain asymmetry) 의 문제 등은 계속해서 연구가 되고 있는 부분이다.

(1) John gave a book to Mary.

(2) John gave Mary a book.

(6)

우선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어 구문의 관련성 문제는 이중 목적어와 여 격구문의 기저구조를 어떻게 볼 것이냐에 초점이 맞춰져서 연구되어왔 다.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어 구문의 관련성에 관한 문제는 이중 목적어 구문이 여격구문이 단일한 논항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기저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이중 목적어 구문이 여격구문에서 이중 목적어 구문으로 으로 또는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여격구문으로 도출되었다는 도출적 접 근과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어 구문이 서로 별개의 논항구조를 가지고 있 다는 어휘적 접근이 있다.

다음으로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논의가 되고 있는 것은 이중 목적어 구문의 격할당 문제이다. 기존의 Chomsky(1981)와 Larson(1988)은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고유격(Inherent Case)을 도입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에 서 생겨나는 격할당 문제를 해결하였다. 하지만 고유격 도입은 통사적으 로 많은 무리가 있으며, 최근 주정훈(2001)의 논문에서는 고유격의 폐지 를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가장 많은 논의가 되는 것은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 대한 것이 다.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Larson(1988)은 동사구 외곽구조를 설정하고 이중 목적어구문을 여격구문으로부터의 수 동화 도출로 보았다. Larson 이후에도 이중 목적어 구문의 해석에서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의 비대칭성은 반드시 해 결해야할 과제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 언급한 것과 같은 여러 가지 통사적 문제점을 가

(7)

지고 있는 이중 목적어 구문과 여격구문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하여 재검토하며 기본적으로 최소주의입장을 수용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에 Chomsky(1999)의 주제화 추출(Thematization and Extraction)을 도입하 여 여격구문에서 이중 목적어 구문을 도출한 주정훈의 분석을 받아들였 다. 더 나아가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TH/EX 이동의 도입할 때 생겨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이것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세부 내용을 간략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본 1장에서는 영어의 이중 목적어 구문과 여격구문이 가지는 통사적인 특징들과 여러 논의점들을 이야기하고 이중 목적어 구문의 연구의 필요 성과 본 논문의 연구 방향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다음 2장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의 기존의 연구들을 재검토하였다.

Chomsky(1981)는 격이론에 의하여 격을 할당받을 수 없는 직접목적어에 대하여 고유격을 부여함으로써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나타나는 격부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Larson(1988)은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을 해결하고자 수동 화도출을 도입하였다. 이때까지 Chomsky(1981)와 Larson(1988)은 지배 결속이론에 의하여 이중 목적어구문을 LF 현상에서 해결하였다. 하지만 이에 대하여 주정훈(2001)은 Chomsky(1999)의 TH/EX 이론을 도입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을 해결하였으며 기존에 Chomsky(1981)와 Larson(1988)이 이중 목적어 구문을 LF로 본 반면에 이중 목적어 구문 을 PF 현상으로 보았다.

(8)

다음으로 3장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TH/EX 이동현상을 도입하 였을 때 생겨나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그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TH/EX 이동 현상에서의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는 주장을 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본 논문에 대한 결론으로 끝맺으려 한다.

(9)

2 . 선 행 연 구

2.1 Chomsky(1981)의 이중 목적어 구문 분석

Chomsky(1981)는 모든 영어문장은 격여과(case filter)1)에 의하여 명사 구가 어떠한 격도 부여받지 않으면 부적격한 문장이 되며, 격은 지배 (government)라는 조건 하에서 부여된다고 보았다. 또한 격이론(case theory)에 의해서 인접조건(adjacency condition)2)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중 목적어 구문인 아래의 (1)와 같은 문장은 하나 의 동사에 의하여 하나의 목적격이 주어지는 일반적인 타동사 구문의 격 부여 방식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장구조를 지니고 있다. V(gave)가 np1인 him에 목적격을 줌으로써 him의 격부여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np2인 them은 V로부터 격을 받을 수 없으므로 기존의 격부여 방식으로 는 격을 부여할 수 있는 격할당자(case assigner)가 없어 np2인 them은 격을 받을 수 없으며 (1)와 같은 문장은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어야 하지

1) 격여과

아무런 격표시도 없는 외현적 (즉, 음성적으로 영이 아닌)명사구를 포함하는 문 장은 부적격하다. (Chomsky, 1981)

2) Chomsky(1981:94)는 명사구는 격부여자(case assigner)에 지배될 뿐만 아니라 인접해 있어야 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것을 인접조건이라고 하였다.

*John read quickly [np the book].과 같은 문장이 비문법적인 것은 격부여자인 동 사와 명사구 사이에 부사가 있어 인접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각각의 명사구 가 격을 부여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10)

만 영어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으로 (1)와 같은 문장이 문법적인 문장 으로 여겨진다. Chomsky(1981)가 제시한 일반적인 격이론에 의하여서는 (1)과 같은 문장은 해결되어 질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중 목 적어 구문의 격부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homsky(1981)는 고유격이 라는 새로운 격을 고안해 내었다. 즉 이중 목적어 구문 (1)의 np2는 동사 에게 지배되지만 인접해 있지 않아서 격할당의 조건들 중 하나인 인접조 건을 어기게 되어 격을 할당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격이론에 Chomsky(1981)는 구조격(structure Case)과 함 께 고유격(inherent case)3)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명사구가 고유격을 갖 는다는 것은 그것이 곧 기저부에서 격을 부여받는다는 말과 같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명사구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에서 첫 번째 명사구는 ‘구 조적으로’ 격을 부여받지만, 두 번째 명사구는 ‘본유적으로’ 목적격을 부 여받는다고 가정하였다. 이것은(1)과 같은 구조에서 np1은 ‘구조적으로’

격을 부여받는 반면, np2는 ‘본유적으로’ 목적격을 부여받는다는 것을 의 미한다.

(1) John gave [np1 him][np2 them]

3) 고유격은 D-구조에서 의미역과 함께 부여되는 격으로, 의미역 부여와 관계없이 S-구조에서 부여되는 구조격과 대조된다. 구조격과 마찬가지로 고유격도 격 부여 자에 의해 지배되어야만 하나, 구조격과는 달리 인접조건이 만족되지 않아도 부여 될 수 있는 격이 고유격이다. 고유격은 일률성 조건(uniformity condition)에 따라 격부여자에 의해 의미역을 부여받는 명사구에만 부여될 수 있다.

(11)

Chomsky(1981)가 (1)와 같은 복잡한 격표시 이론의 제안은 이중 목적 어 구문의 수동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 또한 설명하였다. (2)와 같은 수동형의 D-구조를 살펴보면 np1은 본유적으로 어떠한 격을 부여 받지 못하므로 격이 없는 상태이며 np2는 기저부에서 목적격을 부여받는 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동 규칙이 적용되어 Mary가 전치된 후에 (3)와 같은 S-구조 도출되는 것이다.

(2) np was given [np1 Mary][np2 the book]

(3) Mary was given np2 [the book, +목적격]

(3)에서 Mary는 시제절의 주어이므로 S-구조에서 구조적으로 주격을 부여받게 된다. 그리고 Mary의 명사구 흔적인 np2는 타동사가 아닌 형 용사적 수동분사의 지배를 받고 있으므로 격을 부여받지 못한다. 따라서 (3)에서 Mary는 구조적으로 주격을 부여받고, the book은 본유적으로 목 적격을 부여받으며, np-흔적은 격을 지니지 않는다. 어휘적 명사구인 Mary와 the book에 모두 격을 지니게 되므로 격여과를 위반하지 않으 며, 또한 np-흔적은 격을 부여받지 못하므로 명사구 흔적조건을 위반하 지 않는다.

Chomsky(1981)는 위와 같이 이중 목적어의 격할당을 위하여 Mary가 구조격을 받고 the book이 본유적으로 격을 할당받음으로써 이중 목적어 의 격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즉, Chomsky는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12)

구조격 외에 고유격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격할당 기제는 명사구에 대한 형식적 인허기제인 격할당이 격할당자의 의미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어 한 동사가 구조격과 고유격을 동시에 할당 한다는 가정은 이중 목적어 동사 외에 다른 동사들에는 필요 없는 가정 이므로 문법에서 큼 부담을 가져온다.

(13)

2.2 Larson(1988)의 이 중 목적 어 구 문 분석

2.2.1 이중 목적 어 구문에 나타나는 비대칭성

Barss and Lasnik(1986)은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나타나는 비대칭성을 지적하였다. 대용어 결속, 양화사 결속, 약교차, 우월성, each... the other, 부정극성표현의 인가에서 보이는 두 개의 목적어 사이 비대칭성 (asymmetry) 현상을 지적하고 여격구문에서는 직접목적어가 간접 목적 어를 비대칭적으로 성분통어4)하는 반면,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는 간접목

4) Larson(1988)은 여격구문의 비대칭성에 대하여서 이야기하였다. Barss and Lasnik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서는 간접목적어가 직접목적어를 비대칭적으로 성분통어하는 반면 여격구문에서는 직접목적어가 간접 목적어를 비 대칭적으로 성분통어한다. (Larson, 1988: 338)

ⅰ) 대용어 결속 (anaphor binding)

a. I presented/showed Mary to herself.

b. *I presented/showed herself to Mary.

ⅱ) 우위 조건 (Superiority Effect)

a. Which check did you send to who?

b. *Whom did you send which check to?

ⅲ) 양화사 결속 (quantifier binding)

a. I gave/sent every checki to itsi owner.

b.??I gave/sent hisi check to everyi owner.

ⅳ) 약교차 효과 (Weak Crossover Effect) a. Which checki did you send to itsi owner?

b. *Which workeri did you send hisi check to?

ⅴ) "Each ... the other"구문 ("Each ... the other" Construction) a. I sent each boy to other's parents..

(14)

적어가 직접목적어를 비대칭적으로 성분통어 한다는 사실을 관찰하였다.

(4) 대용사 결속 (Anaphor Binding) a. I showed Mary herself.

b. * I showed herself Mary.

(5) 우위 조건 (Superiority Effect)

a. Who did you give which paycheck?

b. *Which paycheck did you give who?

(6) 양화사 결속 (Quantifier Binding) a. I gave every worker his paycheck.

b. *I gave its paycheck every worker.

(7) 약교차 효과 (Weak Crossover Effect) a. Which man did you send his paycheck?

b. *Whose paycheck did you send his mother?

b.*I sent the other's check to each other.

ⅵ) 부정극성어휘 "any" (Negative Polarity Item "any") a. I sent no presents to any of the children..

b.*I sent any of the packages to none of the children.

(15)

(8) "Each ... the other"구문 ("Each ... the other" Construction) a. I showed each man the other's socks.

b. *I showed the other's friend each man .

(9) 부정극성어휘 "any" (Negative Polarity Item "any") a. I showed no one anything.

b. *I showed anyone nothing.

우선 (4)의 대용사 결속을 살펴보자. himself와 같은 대용사(anaphor) 가 그 선행사에게 성분통어(c-command)되어야 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같은 사실은 Chomsky (1981)가 제안한 결속 이론(Binding Theory)으로 설명된다. 결속 원리 (A)는 (ⅰ), (ⅱ)와 같이 정의된다.

(10) (ⅰ) 결속 원리 (A)

대용사는 그 결속영역 안에서 결속되어야 한다. (An anaphor must bound within its binding domain.)

(ⅱ) 결속

α가 β를 결속하려면, α와 β가 동일지표되고 α가 β를 성분통 어해야 한다. (α binds β, if α and β are coindexed and α c-commands β.)

(16)

따라서 (4b)에서 직접목적어 NP1이 간접목적어 NP2를 성분통어하지 못하므로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5)의 우위 조건을 살펴보면 wh-phrase는 일반적으로 기저 구조에서 자신을 성분통어하는 다른 wh-phrase를 넘어서 이동할 수 없 으므로 (5b)의 문장은 비문법적인 문장이 되며 이중 목적어는 우위조건 에 의하여 비대칭성을 보여주고 있다.

(6b)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는 수량형용사가 표층구조에서 그것을 결 속하는 대명사를 성분통어해야 하는데 every worker가 its paycheck을 성분통어하지 못함으로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나타난다.

(7b)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는 기저구조에서 대명사를 담고 있는 NP 에 의해 성분통어되는 wh-phrase는 wh-와 그 대명사가 서로 관계가 있 을 경우 그 NP를 넘어서 이동할 수 없으므로 whose paycheck가 his mother를 넘어서 이동하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8b)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는 Each... other... 구문에서는 each-phrase가 other-phrase를 성분통어할 때만에 Each.... other 구문으 로 사용될 수 있다. 즉 (8b)은 each man이 the other's friend를 성분통 어하지 못하므로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9b)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는 부정극성어휘 "any"가 부정을 나타내 는 용어로부터 성분통어 되어야 하는데, (9b)의 문장에서는 any가 nothing으로부터 성분통어 되지 못하므로 비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4)에서 (9)의 예문을 통하여 Barss and Lasnik(1986)은 이중 목적어

(17)

구문의 비대칭성을 이야기하였고, Larson(1988)은 기존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분석으로는 위에서 Barss and Lasnik(1986)이 지적한 비대 칭성을 설명할 수 없다고 보고 새로운 제안을 하였다.

2.2.2 V Raising

Larson(1988)은 Chomsky(1981)의 제안을 변형시켜서 (10)와 같은 전 치사 여격구문의 구조를 가정한다. 그리고 이중 목적어 구문은 여격구문 으로부터 통사적으로 도출하는 도출적 설명(derivational account)을 제안 한다. Larson이 제시한 (11)의 구조는 동사가 또 다른 VP 보충어로 취 하는 동사구 외곽구조(VP-shell structure)5)를 형성하고 있다.

5) Larson(1988)에 의하면, 동사구 외곽구조의 설정은 다음의 두 원리의 자연스런 귀결이라고 한다. 원리 2에 따라 논항들을 실현시켜 보면, 의미역 위계상 가장 낮 은 목표(GOAL) 논항 to Mary가 먼저 구구조에서 가장 낮은 논항자리인 V의 보 충어 자리에 실현되고, 그 다음으로 대상(THEME) 명사구 a book이 V의 지정어 자리에 실현된다. 그리고 나면, 논항자리가 둘뿐인 단순 VP 투사에서는 가능한 모 든 논항자리가 모두 소요되므로 여격구문이나 이중 목적어 구문과 같이 논항이 세 개인 동사들이 원리 1을 충족시키면서 행위자(AGENT) 명사구를 실현시키려 면 VP의 또다른 층위가 필요하게 되어 동사구외곽구조가 필연적으로 생성된다고 보았다.

ⅰ) 원리 1

α가 술어이고 β가 α의 논항이면, β는 α의 투사 내에 실현되어야 한다.

(If α is a predicate and β is an argument of α, then β must be realized within a projection headed by α)

ⅱ) 원리 2

a. 어떤 동사 α가 θ1, θ2, ... , θn과 같은 의미역을 할당할 수 있다면, 의

(18)

(11) a. John sent a letter to Mary.

b. V

SpecV' V'

V VP

e NP V'

a letter V PP

send to Mary

(11b)에서 동사구 send a letter to Mary는 엄격하게 이분지 구조를 이 루고 있다. empty V가 VP를 보충어로 취하고 있으며 하위동사구는 send가 핵이고 a letter는 지정어 위치를 차지하며 보충어는 to Mary이

미역 위계상 가장 낮은 의미역은 구구조에서도 가장 낮은 논항자리에 실현 되고, 그 다음 낮은 의미역은 그 다음 낮은 논항 자리에 실현되고, 마지막 의미역까지 이런 방식으로 실현된다. (If a verb α determines θ-role θ1, θ2, ... , θn, then the lowest role on the Thematic Hierarchy is assigned to the lowest argument in constituent structure, the next lowest role to the next lowest argument, and so on.)

b. 의미역 위계(Thematic Hierarchy)

행위자 > 대상 > 목표 > 사격(태도, 장소 시간 …)

AGENT > THEME > GOAL > OBLIQUE (Manner, Place, Time)

(19)

며 send-to-Mary가 술어를 형성하여 내부주어 a letter를 서술하고 있다.

이 VP가 다시 John이라는 외부주어에 대한 서술을 하게 되어 (11a)가 형성되는 것이다. 물론 John a letter send to Mary는 영어의 적형문이 아니므로 send가 empty V로 상승해야 한다.

(12) VP

SpecV' V'

V' NP

send NP V'

a letter V PP

t to Mary

동사상승은 Infl, V, NP에 대해 요구되어지는 격과 일치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V는 시제(tense)와 일 치(agreement)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Infl에 의해 지배되는 투사의 핵이 되어야 하고 명사의 격은 지배에 의해서 부여된다고 가정하면 (12) 에서 V는 I에 의해 지배되는 투사의 핵이 아니므로 lower SpecV'에서는 NP a letter는 격을 받을 수 없으므로 동사의 빈 범주로의 핵이동은 설

(20)

명이 된다. 동사는 따라서 동사 자신과 명사에 대한 두 가지 요구조건 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이동한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2.2 .3 이 중 목 적 어 구 문 의 구 조

Larson(1988)은 전치사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어 구문을 변형적으로 연결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Larson은 영어에서는 여격구문과 이중 목적 어 사이의 관계가 다소 불규칙적이지만 아주 규칙적인 언어들도 존재한 다는 사실은 이 둘 사이에 무언가 변형규칙이 존재할 것임을 암시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의하여 Larson은 전치사 여격구문 변형규칙 을 적용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을 만들어 내려고 하였다. Larson은 이중 목적어 구문화(dative Shift)를 수동화(Passivization)와 동일한 과정으로 보고, 단지 차이점은 수동태의 적용영역이 IP인 반면, 이중 목적어 구문 의 적용영역은 VP라고 보았다. 따라서 이중 목적어 구문화도 Bruzio의 일반화(Burzio's generation)의 적용을 받아6), 하위 V의 지정어 자리에 있던 대상 명사구는 강등(demotion)되어 V'의 부가어로 실현되고, 전치 사 to가 없어지면서 격을 압수 당한(suppressed) 명사구는 격을 받기 위 해 대상 명사구가 있다가 이동하면서 비워 놓은 하위 V의 지정어 자리

6) Burzio의 일반화(Burzio's generalization)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i) 외부논항을 결여하는 동사는 대격을 할당할 수 없고, 대격을 할당할 수 없는 동사는 외부논항에 의미역 표시할 수 없다. (A verb which lacks an external argument fails to assign Accusative Case, and a verb which fails to assign Accusative Case fails to theta-mark an external argument.) (Burzio 1986)

(21)

로 이동한다는 것이다. (13)는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여격구문으로부터 도출된 이중 목적어 구문의 구조이다. 따라서 먼저 하위 VP에만 수동변 형을 적용시키면, VP의 주어 a letter는 하위 V'에 부가되고 a letter의 NP 자리는 빈자리 e로 남아 (13)와 같이 된다.

(13)

VP

SpecV' V'

V VP

e NP V'

Mary V' NP

V NP a letter

send e

첫 번째로 수동태는 목적어에 격을 부여하지 못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간접목적어에게 주어지는 격이 흡수된다고 가정하고, to는 순수하게 격 부여의 역할만 한다고 보면 (13)에서 send가 to를 흡수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주어에 할당된 의미역이 강등되어 부가어로 나타나고

(22)

주어위치는 비의미역 위치로 된다. 즉 PP인 "to Mary" 내에 남아 있는 전치사 to는 동사 send에 의해 흡수되고 Mary만 a letter가 있던 빈자리 e로 이동해 가면 (13)이 된다. 마지막으로 동사 send가 상위 V의 자리로 상승하여 (14)와 같이 된다.

(14)

VP

SpecV' V'

V VP

send NP V'

Mary V' NP

V NP a letter

t e

2.2 .4 격 할 당

Larson(1988)은 직접목적어의 격은 부가된 위치에서 부여되는 것으로

(23)

가정한다. 외곽명사구(Outer NP)에 대한 격 부여를 위해서는 V' 재분석 (V' Reanalysis)7)이 이용된다. 격할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모든 이 동이 이루어진 (13)의 예문을 다시 살펴보자 여기서 가장 하위의 V'는 [v' t e]의 구조이다. t는 동사가 상승하고 남긴 흔적이고 e는 명사이동의 흔적이다. 의미역 배당이 이 구조에서 이루어진다는 가정을 받아들인다 면 수여동사의 두 개의 의미역 중에서 하나만 할당되고 있다. 따라서 하 위 V'는 채워지지 않은 의미역이 하나 있기 때문에 V' 재분석에 의하여 V'는 V로 재분석된다. 따라서 직접목적어 구조는 [v' V NP]가 되며 a letter는 이러한 관계 속에서 격을 부여하게 된다.

그렇다면 동사가 목적격을 두 번 할당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가 발 생한다. 여기서 Larson(1988)은 일반적으로 타동사가 두 개의 목적격을 부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나는 구조격이며 또 하나는 고유격이다. 이 중 목적어 구문은 이 두개의 격이 분리되어 각각 다른 명사에 부여된 경 우라고 보았다. 반면에 일반 타동사는 그 둘이 (15)와 같이 결합되어 하 나의 목적어에 동시에 부여된다고 가정하였다. 즉 Larson(1988)은 동사 가 Infl의 지배를 받을 때 동사를 통하여 구조적 목적격(Structure Objective Case)을 부여한다고 보았으며 또한 동사는 순수하게 어휘적 자질로서 내부논항에 고유목적격(Inherent Objective Case)을 부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주장에 의하여 Larson은 이중 목적어 구 문이 (16)와 같이 격부여가 된다고 보았다. 다시 말하자면 Larson은 (16)

7) V' 재분석

α가 방출되지 않은 내부 의미역을 하나 포함하고 있는 V'인 경우 α는 V로 재분석될 수 있다. (Let α be a phrase [v'…] whose θ-grid contains one undischarged internal θ-role. Then α may be reanalysis as [v…])

(24)

과 같은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v' t e]가 V' 재분석되어 a letter에게 고유격을 준다고 설명한다.

(15) IP

DP I'

John I VP 구조격

V DP

내재격 Kissed Mary

(16) IP

DP I'

He I VP

Spec 지배 V'

V 구조격 VP

send DP V' 내재격

Mary V' →V DP V DPi a letter

t e

(25)

2 .3 C ho m sky (1 9 9 9 )의 TH /E X 이 동

2.3.1 주제화와 추출(Thematization and Extraction)

Chomsky(1999:16-21)는 "Derivation by Phase"에서 주제화 추출 (Thematization and Extraction)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TH/EX 이동은 기존의 동사인상과 같은 이동형상을 LF에서의 이동이 아닌 PF에서의 이동형상으로 보았으며 영어문장에서 모든 자질을 점검 받은 요소는 TH/EX 이동에 의하여 특별한 의미를 갖지 않고 이동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주제화와 추출에 대한 특징을 예문 (17)을 통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a)는 수동문 구조로써 "several packages"가 주어의 위치로 ①과 같이 이동했다가 There-merge에 밀려 서 (17a)의 ②와 같이 "several packages"가 동사 "were" 다음으로 이동 한다. 최소이론에서는 바로 이 경우에 주어 위치에 허사-there가 병합됨 으로 말미암아 이 허사-there와 "several packages"가 장거리 일치점검 을 받게 된다. 허사-there와 "several packages"가 장거리 일치점검을 받 은 후 (17b)에서는 "several packages"가 문장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 이다. (17b)에서의 이동이 TH/EX인데 여기서 TH/EX 이동은 특별한 의 미를 갖지 않고 이동하는 음운작용으로 가정하고 있다.

② ①

(17) a. There were several packages placed t on the table.

b. There were t placed on the table several (large) packages.

(주정훈, 2001:27)

(26)

(18) a. Someone placed several packages on the table.

b. Several packages were placed on the table. (주정훈, 2001:27)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위 (17a,b)는 (17a,b)는 먼저 (18a)와 같은 타동 사 구조에서, (18b)와 같은 수동변형이 적용된 후, 이 문장에 there가 최 초어휘 선택에서 선택되어 문장의 앞에 병합되면, 허사-there와 제휴어 several packages간에 장거리 일치자질 점검으로 점검을 마친 후 다음과 같은 Thematization and Extraction의 음운작용을 받게 되어 (17b)와 같 은 문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19) a. TH/EX applies at the level of the verbal phrase, which we may presume to be "vP"(a light verb marking unaccusative / passive), a weak phase only; the smallest relevant strong phase is the next high CP or v*P (Chomsky, 1999: 18)

b. TH/EX moves EN rightward or leftward leaving a copy without phonological features, presumably adjunction to vP and substitution in SPEC-v, respectively, if a weak phase has a phonological counterpart to EPP (Chomsky, 1999: 18)

(27)

(19)에서 Chomsky(1999)가 TH/EX 이동에 대하여 이야기한 것을 살 펴보면 명제구(phase)를 "강 명제구(strong phase)"와 "약 명제구(weak phase)"로 구분하였는데, 그 이전까지는 수동구문의 주어, 비-대격 동사 (unaccusative verb)의 주어는 경동사구(vP)가 그 자리에서 의미역을 받 는 타동사 구조의 주어만 허용했기 때문에 경동사구(vP)의 주어 위치에 나타날 수 없었다. 그러나 Chomsky(1999: 18)에서 명제구(phase)를 "강 명제구(strong phase)"와 "약 명제구(weak phase)"로 구분한 후, 강 명제 구(v*P)는 종전과 같이 타동사구조 및 기저구조에서 동사가 주어를 가질 수 있는 구조로 가정하였으며, 약 명제구에는 먼저 수동의 경우 be를 첨 가시킨 후, 목적어를 Spec-v에 인상하게 했다. 또 나아가 위에서 언급된 EN도 수동문과 같이 약 명제구 좌우에 부가되도록 허용했다. 이점이 Chomsky(1999)의 통사구조에 전혀 새로운 개념으로 나타났다.

2.3 .2 과 중 명 사 구 전 이 와 V P -부 가

과중 명사구 전이에 대하여 Chomsky(1981)는 통사적인 변화가 아닌 PF의 문체변화로 보았으며 Chomsky(1988)에서 또한 과중 명사구 전이 에 대하여 LF 쪽이 아닌 PF의 문체변화로 다루었다. 그러나 과중 명사 구 전이(Heavy NP Shift)8), 우측전위(Right Dislocation), 외치 8) 과중명사구전이

외치변형((Extraposition transformation)의 일종으로써 동사에 인접한 명사구가 관계절 등 특정의 수식어구를 포함하여 그 길이가 길어질 때 이 명사구를 문장의 말미로 이동하는 규칙을 말한다.

(28)

(Extraposition) 등은 분명히 통사적 현상이다. 그리나 Chomsky(1988)는 아래 (20)와 (21)의 예문에서도 it에 주어진 의미역이 전위(dislocation)된 자리나, 외치(Extraposition)된 자리로 그대로 이동해 갔기 때문에 it와 동일한 의미역과 격을 나누어 갖는다고 보았다.

(20) a. I donated that old book that I liked to the library.

b. I donated it to the library that old book that I liked.

Right Dislocation

(21) a. I doubt that he is innocent very much.

b. I doubt it very much that he is innocent.

Extraposition

또한, 다음 (22)의 여격구문에서 직접목적어인 과중명사구(Heavy NP) 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도 동일한 비-의미역 위치인 VP부가에 의해 이 동한다고 주장한다.

(22) a. ?I gave everything that he demanded to him.

b. I gave him everything that he demanded.

Heavy NP-Shift

(29)

Chomsky(1998)은 Larson(1988)이 제시한 경술어 인상만으로는 과중명 사구 전이의 문제를 모두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VP-부가 (VP-Adjunction)구조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 VP-부가는 우 측전위(Right Dislocation), 외치, 과중 명사구 전이 등 세 가지 통사적 변화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보았다.

Larson(1988)의 분석과 VP-부가 구조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23) a. v*P

Spec v*'

John v* VP

t NP V'

V' DP

V PP a letter

send (to) Mary

(30)

b. v*P

Spec V*

John v* VP

t NP V'

(to) Maryi V' NP

V NPi a letter

send

③ ②

Larson(1988)에 의하면, 위 (23a)에서 하위 VP 주어가 ①의 이동으로 V'에 부가되고, 그 다음 (23b)에서 ②의 이동으로 여격목적어 "to Mary"

가 a letter가 남긴 흔적에 대입된 다음, ③의 이동으로 동사 V가 v*에 인상된다. 하지만 VP의 부가는 흔히 허용되지만 V'의 부가는 매우 특 수하기 때문에 (23a)에서 VP의 지정어 "a letter"가 동사의 지정어 위치 에서 V'에 부가될 수 없다. 그리고, "a letter"가 갖고 있던 원래의 격과 의미역 대신에 새로운 격과 의미역을 받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또 한 여격목적어 "to Mary"가 a letter가 남긴 흔적의 자리에 이동하여 대 입하는 것 또한 큰 무리가 있다고 본다. 이 방법은 초기 변형문법에서 사용한 수동구문 형성과정이다. 그런데 이 수동구문 형성과정은 더 이상

(31)

문법이론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Chomsky(1998)는 주어 명사 와 목적어 명사를 서로 바꾸는 초기 수동변형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신하는 이론으로 VP-부가 구조가 가장 적절한 이론이라 고 보았다.

(32)

2.4 주정훈(2001)의 최소이론에서 본 이중 목적어 구조 분석

2.4 .1 L a rso n (1 988 )의 이 중 목 적 어 분 석 의 문 제 점

주정훈은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분석에는 GB-이론상으로 보아 도 풀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24)에서 ①의 이동으로

"a letter"가 우측으로 V'에 부가되는 것에 대해서는 GB-이론상에서도 아무런 이론적 근거가 없다고 보았다. 그 뿐만 아니라 PP인 "to Mary"

에서 "Mary"만 ②의 이동으로 "a letter"가 있던 NP1의 흔적으로 이동한 다. 특히 흔적이 남은 자리에 어떤 요소가 이동한다는 것을 정당화할 방 법이 없다.

(24) VP

SpecV' V'

V VP

e NP V'

Mary V' NP V NP a letter send e

(33)

(24)에서 ①과 ②의 두 개의 NP 이동은 격을 필요로 하는 이동이 아 닌 아무런 이유가 없는 이동이기 때문이다. 두 NP를 옮겨 놓는 이유가 단순히 초기 수동구조와 같이 주어와 목적어 위치에 나타난 명사를 서로 바꾼다고 했는데, 왜 VP 내에 나타난 두 명사를 수동구조처럼 바꾸어야 만 하는지 그 이유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주정훈(2001)은 Larson(1988)의 이 분석은 최소주의 이론에 전혀 맞지 않을 뿐만 아니라 GB-이론에서도 그 타당성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에 이제 제거되어야할 이론이라도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분석방법은 너무 복잡하고, 원 어민의 언어직관과는 거리가 먼 것 같이 생각되나, Chomsky는 그의 최 소이론에서 엄밀양분법과 결속이론에 묶인 요소는 이동할 수 없다는 점 만 인정하여 Larson의 분석방법을 인정했던 것이다.

위와 같이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분석은 첫째로, 너무 복 잡하고, 둘째, 그의 분석은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 사이에 나타난 결속 현상을 지적하면서 전통적인 여격이동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이 분석은 Barss and Lasnik(1986)에 근거한 것으로 직접목적어와 간접목적어 사이 가 결속조건에 묶이게 되면 여격이동이나, 두 목적어의 자리바꿈 (scrambling)을 허락하지 않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왜냐하면 선행사가 대용어나 대명사 뒤에 나타나면 당연히 비문이 되기 때문이다.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구문은 (1)에서 제시된 여격구조에 대용어 결속(anaphor binding), 양화사 결속(quantifier binding), 부정극어 (negative polarity) 등의 결속 조건이 표면적으로 부과된 구조일 뿐이다.

(34)

다음은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결속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격이동(dative movement)가 두 목적어의 자리바꿈(scrambling)이 나타 난 예문이다.

(25) a. I gave one of Johni's books to Johni.

b. I gave Johni one of Johni's books.

c. I gave Johni one of hisi books.

d. *I gave one of hisi books to Johni.

(25a,b)에서 두 개의 "John"이 동일지표로 결속되어 있고 "강조의 의 미"가 포함될 경우에는 두 개의 John은 서로 자리바꿈을 하는 것이 허용 된다. 결론적으로, 주정훈(2001)은 Larson(1988)의 관찰과 분석은 여격이 동이나 이중 목적어 구문의 생성과는 통사적으로 전혀 상관없는 표면적 인 결속현상을 분석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이 두 구문의 외적구조, 또는 표층구조에 대용어, 양화사, 부정극어 등의 결속조건을 부과시킨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결속조건이 부과되면, 두 목적어의 이동은 자동적으로 비문을 유발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주정훈은 만일 그와 같은 결속조건이 부과되지 않은 여격구조나 이중 목적어 구조 가 존재한다면 두 목적어 사이에 자리바꿈은 자유롭다고 주장하는 것이 다.

(35)

2.4 .2 이 중 목 적 어 구 문 에 서 의 T H /E X 이 론 적 용

주정훈(2001)은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분석은 나름대로 타당성을 갖고 있는 듯 하지만 최소이론의 입장에서 본다면 몇 가지 문 제점을 안고 있다고 보았다. Larson의 이중 목적어 구조는 능격 술어 (ergative predicates)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 대 일의 접합점 해석 (interface interpretation)에 맞지 않는다. Chomsky(1999)에서 V가 v*로 이동하는 것을 통사적 이동이 아닌 음운부문의 작용(operation of phonological component)에 의한 이동이라고 가정하기 때문에, 이 가정을 따른다면 V는 이제 음운부문의 작용에 의해 어휘형성을 위한 가시적/비 가시적 이동을 해야만 한다. 하지만 이 때 V는 그것의 Spec을 주어로 인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V의 위치에 있는 동사는 접합점 해석을 내릴 수 있는 동사가 아니기 때문에, 주어에 주격(nominative case)을 부여하 기 위해서는 형태 음운론적(morphophonemics derivation) 이동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가정하면 이중 목적어 구조에서 vP, VP를 각각 독립된 절로 가정하지 않아야 하며, 또한 VP 내에서 V의 주어였던 논항은 V가 v*에 인상되면 바로 그 논항을 목적어로 재분석하지 말아야 한다.9) 9) 주정훈은 이중 목적어 구문의 분석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 같은 전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첫째, 이분지(Binary Branching) 구조를 준수하며, 둘째, 동사의 내적의미역 (Internal θ-role)은 V의 위치에서는 부분적으로 확인하고, v*의 위치에서 완전히 결정되게 하여 한 논항 이 주어/목적어라는 이중의 역할을 부여받지 않도록 한다. 셋째, 주어 위치의 DP는 오직 v*P의 Spec에서 AGENT theta-role을 갖는 것이 구조적으로 반영 될 수 있다. (주정훈, 2001:125)

(36)

(26) a.

v*P

Spec v* v*의 위치에서는 접

합점 해석이 가능함 John v* VP

VB

gave DP V' morphophonemic

derivation a book V PP

② tgave P DP

to Mary

V의 위치에서는 접합 점 해석이 불가능함.

(37)

b. a weak version of interface interpretation (약-접합점 해석)

v*P

Spec v*

John v* VP

(VB)

gave DP V'

morphophonemic a book V PP derivation

[e] to Mary

② ①

c. John gave a book to Mary.

위 (26a,b)에서 ①, ②의 이동이 "음운부문"에서 나타나는 형태 음운론 적 유도과정이라고 할 때, 두 가지 새로운 가정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V(gave)의 엄밀 하위범주(strict subcategorization)에 의해서 그것(gave) 의 보어는 부분적으로 먼저 확인하지만 VP의 Spec에 위치한 "a book"을 V(gave)의 주어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구조에 나타 나는 동사는 접합점 해석을 내릴 수 있는 동사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38)

정문이 되려면 "a book was given to Mary"가 되어야 하나 그렇지 않 기 때문이다. 둘째, ①의 이동에 의해 V가 v*에 인상되는 과정은 동사 V(gave)는 그것의 의미역에서 보면 반드시 두 개의 보어를 소유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①의 이동으로 v*에 인상되었을 때 비로소 동사

"gave"는 형태 음운론적으로 완벽한 동사가 되어 통사적 주어를 요구하 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종전과 같이 VP 내에서 "a book"이 "gave"의 주 어가 되었다가 "gave"가 v*에 이동하면 주어였던 "a book"가 목적어가 된다는 가정을 버릴 수가 있다. 이렇게 (26a)의 구조에 VB가 적용되면, (26b)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26c)와 같은 문장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완 벽한 구조가 된다.

주정훈의 논문에서는 Larson(1988)의 분석은 적어도 최소이론의 개념 에 맞지 않는다고 보았고, 이중 목적어 구조에서 단일 보어 가설(Single Complement Hypothesis)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하면 "약-접합점 해 석"인 (26b)과 같은 분석을 유지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정 하에서 (26b)의 구조를 이중 목적어 구조 분석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4 .3 고 유 격 (In h e re n t C a se )의 폐 지

주정훈은 이중 목적어 구조가 제시되었을 때, 어느 것이 진정한 기저 구조인가 하는 문제를 논의하면서 고유격의 불필요성에 대하여 이야기하 였다. 주정훈은 (27a)이 (27b)의 기저구조라고 가정하였다.

(39)

(27) a. I gave a book to Mary.

b. I gave Mary a book.

위 (27a)에서 "a book"은 동사 "gave"의 직접목적어이다. 그러므로

"gave" 동사 바로 다음에 나타난다. 반면 "to Mary"는 "gave" 동사의 하 위범주자질, 즉 의미역에 의해서 반드시 나타나야 하는 간접목적어이며 직접목적어 다음에 나타난다. 주정훈은 일반적으로 영어의 여격구문에서 는 직접목적어 다음에 간접목적어가 나타나지만 언어에 따라서는 간접 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대명사인가, 일반명사인가에 따라, 그 순서가 달 리 나타나므로 이 두 목적어의 어순은 선택적이고, 수의적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최소이론의 점검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것은, 어떤 어순이 기저 구조(underlying structure)이며 가장 경제적인가 하는 것을 입증해야 한 다. (27a)는 어순 그대로, 구조격에 의해서 모두 일치점검을 받을 수 있 기 때문에, 점검을 받기 위해서 특별한 다른 조건이나 이론이 필요 없다.

Chomsky(1998, 1999)의 이론에서 본다면, 앞 (27a)에서 "to Mary"는 구 조격을 받고 그 자리에서 점검을 마치기 때문에 여격이동으로 (27b)에서

"Mary"는 TH/EX, 또는 Dislocation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27a)는 주어진 문장에서 "gave"가 "a book"을 탐색자(Probe)와 목표 요소(Goal)로써 점검을 받는데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은 없다. 따라서 (27a)를 심층구조로 보는 것이며, (27b)는 여격이동이 적용되어 "to Mary"의 전치사 "to"가 동사 "gave"에 흡수되거나 삭제되어야 하고, 논 리적으로 직접목적어 뒤에 나타난 간접목적어가 "give" 동사와 직접목적

(40)

어 "a book" 사이로 이동했기 때문에 전통문법에서 이 이동된 목적어에 간접목적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런 이유 때문에 주정훈(2001)은 (27b)가 (27a)에서 유도되어 나온 구조로 가정한다.

위 (27a,b)를 수형도로 나타내면 다음 (28a,b)와 같다. 아래 (28a)에서 PP인 "to Mary"가 여격이동(dative movement)되면 (28b)처럼 VP에 좌 측부가(Left VP-Adjunction)된다.

(27a)를 이중 목적어 구조의 기저구조로 가정하면 직접목적어 "a book"과 여격목적어 "to Mary"는 필요한 점검을 모두 마친 구조가 된다.

그러므로 "to Mary"는 더 이상 받을 점검이 없기 때문에, TH/EX에 의 해서, 의미의 변화가 없이 좌측 전이(Left Dislocation)로, (28b)에서 ②와 같이 VP에 좌측 부가되면 완벽한 이중 목적어 구조가 완성된다.

(28) a. TP Spec T'

T v*P Dative Movement John v*

② v* VP

gave

DP1 V' a book V PP morphophonemic [e] P DP2

derivation ①

to Mary

(41)

b. TP Spec T' John

T v*P tJohn v*'

v* VP

gave = VP-Adjunction

DP VP

Mary

DP V'

a book V PP [e] t(to Mary)

② ①

그러나 반대로 앞 (27b)이 심층구조가 된다고 가정하면 DP2에 부여 할 "고유격(inherent case)"이라는 또 하나의 이론적 장치를 필요로 하고, 또 이것은 단일 보어 가설(Single Complement Hypothesis)을 유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이다.

(42)

3 . T H / E X 이 동 과 결 속 조 건 적 용

3 .1 이 중 목 적 어 구 문 에 서 의 T H /E X 이 동 의 문 제 점

주정훈(2001)의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중 목적어 구문 분석에서의 Chomsky(1981)의 고유격 설정과 Larson(1988)의 수동화 도출에서 통사 적으로 생겨나는 문제점들과 부담을 해결하고 Chomsky(1998.1999)의 TH/EX 이론을 이용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을 해석하였다. 주정훈은 이중 목적어 구문의 여격이동을 받아들이고 여격이동에 TH/EX 이동을 도입 함으로써 최소주의적 입장에서 이중 목적어 구문을 해석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이중 목적어와 여격구문이 다른 기저구조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하나의 기저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봄으로써 보다 경제적으로 이중 목적 어 구문을 설명하였으며 Larson이 제시한 수동화 도출의 여러 문제점들 을 지적하고 이중 목적어 구문의 수동화 도출로 인하여 생겨나는 부담을 없애고,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고유격을 폐지함으로써 Chomsky(1981)의 고유격 설정에서 생겨나는 부담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주정훈의 논문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 연구에서 해결해야만 하는 Barss and Lasnik(1986)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 현상에 대 하여 통사적으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물론 주정훈의 논문에서도 이중 목 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 대하여 이야기 한바가 있다. 주정훈은 기존의 이중 목적어 연구에서 Barss and Lasnik(1986)의 비대칭성 현상을 해결 하려는 노력은 두 구문의 외적구조, 또는 표층구조에 대용어, 양화사, 부

(43)

정극어 들의 결속조건을 부과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속조건이 부과되면, 두 목적어의 이동은 자동적으로 비문을 유발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하였을 뿐(주정훈,2001:61), 주정훈의 논문에 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 대하여 통사적으로 명확하게 설명 하고 있지 않다. 즉 주정훈의 논문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을 최소주의 입장에서 TH/EX 이동현상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중 목적어의 비대 칭성에 대하여 통사적으로 설명을 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주정훈의 논문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을 여격이동인 TH/EX 이동현 상에 의하여 도출된다고 보았다. 여격구문에서 격 자질과 모든 자질이 점검되어지고 TH/ EX 이동이 일어나서 이중 목적어 구문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격이동이 TH/EX 이동에 의한 것이라면 이동이 있기 전에 모 든 자질이 점검되며, TH/EX 이동이 이루어진 후에 나타나는 비문법적인 문장 또한 어떻게 생겨나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주정 훈의 논문에서는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비대칭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문법적인 문장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그렇다면 주정훈이 제시한 TH/EX 이동으로 Barss and Lasnik(1986) 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의 비대칭적 문장을 설명할 때 어떠한 문제가 생 겨나는지 살펴보도록 하고자 한다. 우선 주정훈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문의 TH/EX 이동을 (1)의 예문을 통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자. (1b)의 이중 목적어 구문은 여격구문인 (1a)로부터 여격이동을 통하여 도출되었 다. (1c)의 수형도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a book"은 V(gave)로부터 격 을 받으며 "Mary"는 전치사 to로부터 격을 받아 격자질을 점검 받게 되

(44)

고 격 자질을 점검 받은 후 TH/EX 이동을 하게 되어 (1b)와 같은 이중 목적어 구문을 형성하는 것이다.

(1) a. John gave a book to Mary.

b. John gave Mary a book.

c. TP

Spec T' John

T v*P

tJohn v*'

v* VP

gave = VP-Adjunction

DP VP

Mary

DP V'

a book V PP

[e] t(to Mary)

(45)

그렇다면 위와 같은 주정훈의 여격이동의 이론으로 Barss and Lasnik(1986)의 비대칭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2) a. John showed Mary to herself.

b. *John showed herself Mary.

주정훈이 제시한 여격이동으로 살펴보면 이중 목적어 구문인 (2b)의 문장은 여격구문인 (2a)에서 도출된 것이다. (2b)는 여격구문인 (2a)를 기 저구조로하여 "to herself"가 격자질을 점검 받은 후 TH/EX 이동을 하여 (2b)와 같은 이중 목적어 구문이 도출되어진다. 주정훈이 제시한 이론에 따르면 Mary는 V(showed)에 의하여 격자질을 점검 받으며, herself는 전치사 to에 의하여 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to herself는 TH/EX 이동에 의하여 (2b)와 같은 이중 목적어 구문이 도출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2a)의 문장은 정문인 반면 (2b)의 문장은 TH/EX 이동을 거친 후 비문 법적인 문장이 됨을 알 수 있다. 위의 (2a,b)의 문장을 수형도를 통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46)

(3) a. TP Spec T'

T v*P

John v*

v* VP

showed

DP1 V'

Mary V PP [e] P DP2

to herself

b. TP Spec T' John

T v*P

tJohn v*'

v* VP showed

DP VP

herself

DP V'

Mary V PP

[e] t(to herself)

(47)

(3)의 수형도에서 보았듯이 (2b)의 문장은 (2a)을 기저구조로 하여 TH/EX 이동에 의하여 도출되어진 것이다. PF 현상인 TH/EX 이동에 의하여 (1)의 예문과 (2)의 예문이 모두 같은 이동을 하였는데 (1a)의 여 격구문에서는 (1b)과 같은 정문이 도출된 반면, (2a)에서 (2b)의 문장이 도출되었을 때는 그 문장이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나타난 것이다. 주정훈 은 위와 같이 TH/EX 이동을 통하여 도출되어진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이동현상을 거쳐서 비문법적인 문장이 나타나게 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 하지 못하고 있다. 즉 주정훈의 논문에서는 위와 같이 TH/EX 이동에 의 해 나타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 대하여 통사적으로 설명해내 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여격구문에서 TH/EX 이동을 통 하여 이중 목적어 구문이 도출된다고 보는 주정훈의 이론을 받아들이며 주정훈이 해결하지 못하는 이중 목적어의 비대칭성에 대하여 통사적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48)

3 .2 T H /E X 이 동 에 서 의 결 속 조 건

앞장에서 주정훈의 논문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주정훈은 이중 목적어 구문을 TH/EX 이동현상에 의한 여격이동으로 보 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이론보다 타당성이 있고 경제적인 설명이라 볼 수 있지만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 에 대하여 통사적인 설명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위에서 제시한 예문을 살펴보았듯이 (2a)의 여격구문에서 (2b)와 같은 비문법적인 문장이 어떻게 하여 도출될 수 있는 지에 대하 여 아무런 통사적인 설명이 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주정훈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TH/EX 이동을 받아들이 고 이중 목적어 구문의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는 이론을 제시함으로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을 해결하고자 한다.

Chomsky(1998, 1999) 이론이 나오긴 전까지의 Chomsky(1981)나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해석에서는 이동현상에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고 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중 목적어 구문의 이동현 상을 LF상에서 일어나는 이동현상으로 봄으로써 이동현상에서 결속조건 이 지켜지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주정훈은 이중 목적 어 구문이 여격구문에서 TH/EX 이동 현상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그렇 다면 이러한 PF 현상인 TH/EX 이동현상에 의하여 이동이 되는 이중 목적어 구문에 결속조건이 지켜질 수 있는지가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

(49)

다. 사실상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이 켜져야 하는 지에 대하여서는 많은 논의가 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중 목적어의 경우는 (2b)과 같이 TH/EX 이동에 의하여 이 동하였을 때 결속조건에 위배되는 경우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을 위배하고 이동을 하였을 때 이동현상에 의하여 비문법적인 문장이 형성되어지는 것은 TH/EX 이동현상에서도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는 사실을 이야기한다 고 할 수 있다. 결속조건 외에 위의 (2)의 예문에서 TH/EX 이동을 하여 서 생겨나는 비문법적인 문장들을 설명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사실을 근거해서 TH/EX 이동현상에서 또한 결속조건이 지켜 져야만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위의 (2a,b)의 예문을 통하여 TH/EX 이동에서 Barss and Lasnik(1986)에 의해 제시된 이중 목적어의 비대칭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결속조건을 지켜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모든 TH/EX 이동에서 결 속이론이 지켜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TH/EX 이동현상에서 결속조건이 지켜지지 않았음에도 이동이 일어난 후 문법적인 문장이 형성되는 경우 도 있다. 다음과 같은 (4a,b)의 예문이 그러한 경우이다. (4a,b)를 살펴보 면 TH/EX 이동에 의하여 (4b)와 같은 문장이 도출되는데 이동현상에서 결속이론이 지켜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4) a. She likes herself.

b. Herself, she likes.

(50)

(4)의 예문을 살펴보면 (4b)의 문장은 (4a)의 문장에서 TH/EX 이동에 의하여 도출되어진 것을 알 수 있다. (4a,b)의 예문의 수형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5) a. TP

Spec T' She

T v*P

DP v*

t(She)

③ v* VP

VB(liked)

② Spec V'

V DP

herself

(51)

b. CP

Spec C' Herself

C TP

Spec T' She

T v*P

Spec v*

t(she)

③ v* VP

VB(likes)

② Spec V'

V DP

① t(herself)

④ TH/EX

(5b)의 예문을 보면 주어 She는 ①과 같이 v*에 인상하여 VB를 형성 한 후 ②의 이동으로 T에 인상되면 v*P에 있는 주어 명사인 ③의 이동 으로 TP의 Spec에 인상시켜 점검을 마치며 DP는 V(liked)에 의해 격을 받으므로 격을 점검 받아 TH/EX 이동에 의하여 ④의 이동을 하게 된다.

(52)

(5b)의 경우 (3b)와 마찬가지로 TH/EX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문장에서는 선행사 "She"가 재귀대명사 "Herself"를 성분통어하지 못 하므로 Chomsky(1981)가 제시한 결속조건 A에 속하는 대용어 결속 (Anaphor Binding)을 위배한다. 이렇게 (4b)의 문장은 결속조건을 위배 하고 있음에도 문법적인 문장이 형성되는 것이다. 즉, TH/EX 이동에서 결속 조건에 위배함에도 비문법적인 문장이 아닌, 문법적인 문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4a)와 (4b)의 예문은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이 지 켜지지 않았음에도 문법적인 문장 된다. 이 예문을 통하여 필자가 위에 서 제시한 것과 같이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이 모든 경우에 지켜져 야 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필자가 주장한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이 지켜져야만 한다는 주장에 수정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위의 (5b)의 문장에서의 TH/EX 이동과 (3b)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TH/EX 이동의 차이는 무엇일까? 위의 (5b)의 문장에 서의 TH/EX 이동은 이동에 의하여 "herself"가 CP로 이동되어진다. 반 면에 (3b)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TH/EX 이동은 VP내에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3b)의 수형도와 (4b)의 수형도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을 것이 다. 우리는 여기서 TH/EX 이동이 CP로 이동하였을 때와 VP로 이동하 였을 경우에 차이가 생겨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X 이동이 (5b)와 같이 VP를 벗어나 CP로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결속조건을 위배하여도 비문법적인 문장이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3b)와 같이 VP 내에서 이동 할 경우 결속조건을 위배하면 비문법적인 문장이 형성된다. 즉 TH/EX 이동이 VP내에서 이동되어질 때는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고 이야기

(53)

할 수 있겠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사실을 바탕으로 주정훈(2001)의 이중 목적 어 구문에 TH/EX 이론을 적용시킨 분석을 받아들여 이중 목적어 구문 의 형성이 여격구조에서 TH/EX 이동에 의하여 도출되어진다고 보았으 며, 더 나아가 이중 목적어 구문의 여격이동과 같은 VP 내에서의 TH/EX 이동에서는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VP내에서의 TH/EX 이동현상에서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한다는 주장은 모든 TH/EX 이동현상에 결속조건이 지켜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TH/EX 이동이 VP 내에서 이동하였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속조건이 지켜지지 않는다는 한 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이중 목적어에서 TH/EX 이동현상이 도입될 경우 이중 목적어의 비대칭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서는 VP 내에서의 TH/EX 이동현상에서의 결속조건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54)

4. 결 론

기존의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한 지배결속이론에 의한 연구는 이중 목 적어 구문의 이동현상을 LF현상으로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최소주의적 입장에서 이중 목적어 구문의 이동 현상을 PF 현상으로 해 석하였다. 본 논문은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의 TH/EX 이동현상을 도입한 주정훈의 주장을 받아들임으로써 Chomsky(1981)의 고유격 도입과 Larson(1988)의 수동화 도출에서 통사적으로 생겨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이중 목적어 구문의 분석을 LF현상이 아닌 PF현상으로 보았 다.

주정훈의 이론과 같이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TH/EX 이동을 도입한 것은 최소주의적 입장에서 이중 목적어 구문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생겨나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지만, 주정훈의 이론은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문의 비대칭성 에 대하여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1)과 같이 이중 목 적어가 여격구문에서 TH/EX 이동에 의하여 도출되어질 때 결속조건을 어겼을 때 비문법적인 문장이 생겨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 못하 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TH/EX 이동현상에서 결속조건과의 관계 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55)

(1) a. John showed Mary to herself.

b. *John showed herself Mary.

위의 문장을 살펴보면 Mary는 V(showed)에 의하여 격자질을 점검받 으며 herself는 전치사 to에 의하여 격자질을 점검 받는다. 따라서 모든 자질을 점검 받은 (1a)의 문장에서 to herself는 TH/EX 이동현상에 의하 여 이동이 이루어지고 (1b)의 문장이 도출된다. 하지만 위의 문장에서도 알 수 있듯이 (1b)의 문장은 TH/EX 이동 현상을 거친 후 결속조건에 위배되어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2)의 문장은 V(likes)에 의해 격자질을 점검받은 herself가 TH/EX 이동에 의하여 이동되어 (2b)의 문장이 도출된다. (2b)의 문장은 (1b)의 문장과 다르게 결속조건을 위배함에도 문법적인 문장이 된다.

(2) a. She likes herself.

b. Herself, She likes.

(1)과 같은 이중 목적어에서 TH/EX이동이 VP내에서 이루어 질 때에 는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을 지켜야만 문법적인 문장으로 나타난 반 면 (2)과 같이 TH/EX 이동이 VP를 넘어서 CP로 일어날 때에는 결속조 건을 어겼음에도 문법적인 문장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56)

중 목적어와 같이 VP 내에서의 TH/EX 이동이 일어날 때에는 결속조건 을 지켜야만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중 목적어의 TH/EX 이동현상에서 결속조건을 지켜 야만 한다고 봄으로써 Barss and Lasnik(1986)이 제시한 이중 목적어 구 문의 비대칭성을 해결하고 TH/EX 이동과 결속조건의 관계를 이야기하 였지만 PF 현상에서 결속조건을 어겼을 때 비문법적인 문장으로 나타나 는 현상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PF 현상인 TH/EX 이동현상에 LF 현상인 결속조건을 도입하였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PF 현상 안에서 결속조건이 자유로워진다면 위의 예문 (1)에서 보여졌던 이중 목 적어 구문의 비대칭성에서 생겨나는 문제점들은 해결되어지지 못할 것이 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VP내에서의 TH/EX 이동에서 결속조건이 지 켜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57)

참고문헌

유연철 1995. 이중목적어구문의 최소이론적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윤만근 1999. 최소이론의 변천, 서울: 경진문화사

윤만근 2000. 최소이론의 변천: Derivation By Phase (Chomsky, 1999)의 해설, 서울: 경진문화사

정하선 1999. 이중서술구에 입각한 이중목적어 구문 분석. 전남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주정훈 2001. 최소이론에서 본 이중 목적어 구조.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홍은미 2001. 이중 목적어 구문에 대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Radford, A. 1981. Transformational Syntax. Cambridge University Press.

Barss, A., and H. Lasnik 1986. "A Note on Anaphor and Double Object," Linguistic Inquiry 17, 347-353.

(58)

Chomsky, N. 1980. "On Binding," Linguistic Inquiry 11, 1-46.

Chomsky, N. 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Chomsky, N. 1986a. Knowledge of Languase. : Its nature, Origin and Use. New York : Praeger.

Chomsky, N. 1986b. Barriers. Cambridge, Mass. : MIT Press.

Chomsky, N. 1993. "The Minimalist Program for Linguistic Theory". In Hale and Keyser(ed.). The view from Building 2 , 1-52 , Mass. MIT Press.

Chomsky, N. 1995. The Minimalist Program, Mass. : MIT Press.

Chomsky, N. 1998. "The Minimalist Inquires : The Framework," MIT Occasional Papers in Linguistics, Number 15.

Chomsky, N. 1999. "Derivation by Phase," MIT Occasional Papers in Linguistics, Number 18.

Haegeman, L. 1994. Introduction to Government & Binding

(59)

Theory. Cambridge, Mass., Basil Blackwell.

Jaeggli, O. 1986. "Passive". Linguistics Inquiry 17, 587-622.

Larson, R. K. 1988. "On the Double Object Construction".

Linguistics Inquiry 26, 335-391.

Larson, R. K. 1990. "Double Object Revisited: Reply to Jackendoff". Linguistics Inquiry 21, 589-632.

(60)

Abstract

An Analysis of Double Object Constructions in English

- TH/EX and Binding Theory -

Lim Hee-Jun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a new analysis of the oblique dative structure and the double object construction in the Minimalist Program. In particular, it aims at show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X and Binding Theory.

(61)

In this thesis, we generally follow Joo Chong-Hun’s(2001) TH/EX analysis on Double Object Construction. Joo Chong-Hun(2001) showed that Double Object Construction results from a kind of TH/EX proposed in Chomsky(1999).

Although the analysis in Joo(2001) could expla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in the Minimalist Program, this approach shows some problems. It couldn't explain the asymmetry problems of Double Object Construction, which was proposed by Barss and Lasnik(1986). Barss and Lasnik(1986) pointed out asymmetry facts related to morphologically complex dative verbs, passivizability asymmetry between two object, and dativizability of various double Object verbs. Therefore,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asymmetry problems, we suggest that TH/EX is strongly related to Binding Theory.

If TH/EX in a Double Object Construction violates Binding Theory, the structure is ungrammatical. But, if TH/EX violates Binding Theory in Topicalized construction, the structure is grammatical. The difference between Double Object Construction and Topicalizaion is that in Double Object Construction TH/EX is operated within the domain of VP, but

(62)

in Topicalization the movement is done within the domain of CP. That is to say, in Topicalization an element moved by TH/EX, it moves over VP.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movement of TH/EX should follow Binding Theory if the movement is done within VP.

참조

관련 문서

이러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은 1991년 에 양방향의 교육 프로그램(two-way bilingualeducation program)의 형태로까지 발전하였다... 교사의

Wide Dynamic Range Auto On/Off Mode The wide dynamic range can be set to be automatically switched ON/OFF in accordance with the intensity difference obtained by dividing an

When the camera receives commands, it notifies the sender which command buffer was used using the socket number of the ACK message. As the completion message or error message also

I2C interface functionality can be realized via software programming, and the clock frequency is 100 kHz at

본 연구자의 연구 목적은 독서․토론수업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영어 수업에서 의 독서․토론수업이 학습자들의 글쓰기 능력의 변화와 흥미도,참여도 및

지금까지 논의한 사실을 정리하자면,한국어 이중 부정문은 형식이 비교적 간 단하여,다수의 이중 부정은 어휘적 부정소로 구성된다.그런데 사실 이렇게 부 정을

Low economic strength can be embarrassed embarrassed embarrassed embarrassed embarrassed (→ embarrassing).. 예를 들어, interest는 주어 논항이

Devices that satisfy cohesion include recurrence, partial recurrence, and junctive expressions, and this study analysed what effects such devices that appear in Gor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