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주제화와 추출(Thematization and Extraction)

문서에서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 연구 (페이지 25-0)

2.3 Chomsky(1999)의 TH/EX 이동

2.3.1 주제화와 추출(Thematization and Extraction)

Chomsky(1999:16-21)는 "Derivation by Phase"에서 주제화 추출 (Thematization and Extraction)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TH/EX 이동은 기존의 동사인상과 같은 이동형상을 LF에서의 이동이 서 (17a)의 ②와 같이 "several packages"가 동사 "were" 다음으로 이동 한다. 최소이론에서는 바로 이 경우에 주어 위치에 허사-there가 병합됨 으로 말미암아 이 허사-there와 "several packages"가 장거리 일치점검 을 받게 된다. 허사-there와 "several packages"가 장거리 일치점검을 받 은 후 (17b)에서는 "several packages"가 문장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 이다. (17b)에서의 이동이 TH/EX인데 여기서 TH/EX 이동은 특별한 의 미를 갖지 않고 이동하는 음운작용으로 가정하고 있다.

② ①

(17) a. There were several packages placed t on the table.

b. There were t placed on the table several (large) packages.

(주정훈, 2001:27)

(18) a. Someone placed several packages on the table.

b. Several packages were placed on the table. (주정훈, 2001:27)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위 (17a,b)는 (17a,b)는 먼저 (18a)와 같은 타동 사 구조에서, (18b)와 같은 수동변형이 적용된 후, 이 문장에 there가 최 초어휘 선택에서 선택되어 문장의 앞에 병합되면, 허사-there와 제휴어 several packages간에 장거리 일치자질 점검으로 점검을 마친 후 다음과 같은 Thematization and Extraction의 음운작용을 받게 되어 (17b)와 같 은 문장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19) a. TH/EX applies at the level of the verbal phrase, which we may presume to be "vP"(a light verb marking unaccusative / passive), a weak phase only; the smallest relevant strong phase is the next high CP or v*P (Chomsky, 1999: 18)

b. TH/EX moves EN rightward or leftward leaving a copy without phonological features, presumably adjunction to vP and substitution in SPEC-v, respectively, if a weak phase has a phonological counterpart to EPP (Chomsky, 1999: 18)

(19)에서 Chomsky(1999)가 TH/EX 이동에 대하여 이야기한 것을 살 펴보면 명제구(phase)를 "강 명제구(strong phase)"와 "약 명제구(weak phase)"로 구분하였는데, 그 이전까지는 수동구문의 주어, 비-대격 동사 구 전이(Heavy NP Shift)8), 우측전위(Right Dislocation), 외치 8) 과중명사구전이

외치변형((Extraposition transformation)의 일종으로써 동사에 인접한 명사구가 관계절 등 특정의 수식어구를 포함하여 그 길이가 길어질 때 이 명사구를 문장의 말미로 이동하는 규칙을 말한다.

(Extraposition) 등은 분명히 통사적 현상이다. 그리나 Chomsky(1988)는 아래 (20)와 (21)의 예문에서도 it에 주어진 의미역이 전위(dislocation)된 자리나, 외치(Extraposition)된 자리로 그대로 이동해 갔기 때문에 it와 동일한 의미역과 격을 나누어 갖는다고 보았다.

(20) a. I donated that old book that I liked to the library.

b. I donated it to the library that old book that I liked.

Right Dislocation

(21) a. I doubt that he is innocent very much.

b. I doubt it very much that he is innocent.

Extraposition

또한, 다음 (22)의 여격구문에서 직접목적어인 과중명사구(Heavy NP) 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도 동일한 비-의미역 위치인 VP부가에 의해 이 동한다고 주장한다.

(22) a. ?I gave everything that he demanded to him.

b. I gave him everything that he demanded.

Heavy NP-Shift

Chomsky(1998)은 Larson(1988)이 제시한 경술어 인상만으로는 과중명 사구 전이의 문제를 모두 해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VP-부가 (VP-Adjunction)구조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이 VP-부가는 우 측전위(Right Dislocation), 외치, 과중 명사구 전이 등 세 가지 통사적 변화를 모두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보았다.

Larson(1988)의 분석과 VP-부가 구조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23) a. v*P

Spec v*'

John v* VP

t NP V'

V' DP

V PP a letter

send (to) Mary

b. v*P

Spec V*

John v* VP

t NP V'

(to) Maryi V' NP

V NPi a letter

send

③ ②

Larson(1988)에 의하면, 위 (23a)에서 하위 VP 주어가 ①의 이동으로 V'에 부가되고, 그 다음 (23b)에서 ②의 이동으로 여격목적어 "to Mary"

가 a letter가 남긴 흔적에 대입된 다음, ③의 이동으로 동사 V가 v*에 인상된다. 하지만 VP의 부가는 흔히 허용되지만 V'의 부가는 매우 특 수하기 때문에 (23a)에서 VP의 지정어 "a letter"가 동사의 지정어 위치 에서 V'에 부가될 수 없다. 그리고, "a letter"가 갖고 있던 원래의 격과 의미역 대신에 새로운 격과 의미역을 받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 또 한 여격목적어 "to Mary"가 a letter가 남긴 흔적의 자리에 이동하여 대 입하는 것 또한 큰 무리가 있다고 본다. 이 방법은 초기 변형문법에서 사용한 수동구문 형성과정이다. 그런데 이 수동구문 형성과정은 더 이상

문법이론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Chomsky(1998)는 주어 명사 와 목적어 명사를 서로 바꾸는 초기 수동변형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신하는 이론으로 VP-부가 구조가 가장 적절한 이론이라 고 보았다.

2.4 주정훈(2001)의 최소이론에서 본 이중 목적어 구조 분석

2.4 .1 L a rso n (1 988 )의 이 중 목 적 어 분 석 의 문 제 점

주정훈은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분석에는 GB-이론상으로 보아 도 풀 수 없는 문제점들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24)에서 ①의 이동으로

"a letter"가 우측으로 V'에 부가되는 것에 대해서는 GB-이론상에서도 아무런 이론적 근거가 없다고 보았다. 그 뿐만 아니라 PP인 "to Mary"

에서 "Mary"만 ②의 이동으로 "a letter"가 있던 NP1의 흔적으로 이동한 다. 특히 흔적이 남은 자리에 어떤 요소가 이동한다는 것을 정당화할 방 법이 없다.

(24) VP

SpecV' V'

V VP

e NP V'

Mary V' NP V NP a letter send e

(24)에서 ①과 ②의 두 개의 NP 이동은 격을 필요로 하는 이동이 아 결속(anaphor binding), 양화사 결속(quantifier binding), 부정극어 (negative polarity) 등의 결속 조건이 표면적으로 부과된 구조일 뿐이다.

다음은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가 결속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격이동(dative movement)가 두 목적어의 자리바꿈(scrambling)이 나타 난 예문이다.

(25) a. I gave one of Johni's books to Johni.

b. I gave Johni one of Johni's books.

c. I gave Johni one of hisi books.

d. *I gave one of hisi books to Johni.

(25a,b)에서 두 개의 "John"이 동일지표로 결속되어 있고 "강조의 의 미"가 포함될 경우에는 두 개의 John은 서로 자리바꿈을 하는 것이 허용 된다. 결론적으로, 주정훈(2001)은 Larson(1988)의 관찰과 분석은 여격이 동이나 이중 목적어 구문의 생성과는 통사적으로 전혀 상관없는 표면적 인 결속현상을 분석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이 두 구문의 외적구조, 또는 표층구조에 대용어, 양화사, 부정극어 등의 결속조건을 부과시킨 것에 불과하다. 이와 같은 결속조건이 부과되면, 두 목적어의 이동은 자동적으로 비문을 유발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주정훈은 만일 그와 같은 결속조건이 부과되지 않은 여격구조나 이중 목적어 구조 가 존재한다면 두 목적어 사이에 자리바꿈은 자유롭다고 주장하는 것이 다.

2.4 .2 이 중 목 적 어 구 문 에 서 의 T H /E X 이 론 적 용

주정훈(2001)은 Larson(1988)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분석은 나름대로 타당성을 갖고 있는 듯 하지만 최소이론의 입장에서 본다면 몇 가지 문 제점을 안고 있다고 보았다. Larson의 이중 목적어 구조는 능격 술어 (ergative predicates)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 대 일의 접합점 해석 (interface interpretation)에 맞지 않는다. Chomsky(1999)에서 V가 v*로 이동하는 것을 통사적 이동이 아닌 음운부문의 작용(operation of 기 위해서는 형태 음운론적(morphophonemics derivation) 이동을 해야 한다. 이와 같이 가정하면 이중 목적어 구조에서 vP, VP를 각각 독립된

(26) a.

v*P

Spec v* v*의 위치에서는 접

합점 해석이 가능함 John v* VP

VB

gave DP V' morphophonemic

derivation a book V PP

② tgave P DP

to Mary

V의 위치에서는 접합 점 해석이 불가능함.

b. a weak version of interface interpretation (약-접합점 해석)

v*P

Spec v*

John v* VP

(VB)

gave DP V'

morphophonemic a book V PP derivation

[e] to Mary

② ①

c. John gave a book to Mary.

위 (26a,b)에서 ①, ②의 이동이 "음운부문"에서 나타나는 형태 음운론 적 유도과정이라고 할 때, 두 가지 새로운 가정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V(gave)의 엄밀 하위범주(strict subcategorization)에 의해서 그것(gave) 의 보어는 부분적으로 먼저 확인하지만 VP의 Spec에 위치한 "a book"을 V(gave)의 주어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 구조에 나타 나는 동사는 접합점 해석을 내릴 수 있는 동사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문이 되려면 "a book was given to Mary"가 되어야 하나 그렇지 않 기 때문이다. 둘째, ①의 이동에 의해 V가 v*에 인상되는 과정은 동사 V(gave)는 그것의 의미역에서 보면 반드시 두 개의 보어를 소유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①의 이동으로 v*에 인상되었을 때 비로소 동사

"gave"는 형태 음운론적으로 완벽한 동사가 되어 통사적 주어를 요구하 게 된다. 이렇게 볼 때 종전과 같이 VP 내에서 "a book"이 "gave"의 주 어가 되었다가 "gave"가 v*에 이동하면 주어였던 "a book"가 목적어가 된다는 가정을 버릴 수가 있다. 이렇게 (26a)의 구조에 VB가 적용되면, (26b)과 같은 구조를 이루고, (26c)와 같은 문장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완 벽한 구조가 된다.

주정훈의 논문에서는 Larson(1988)의 분석은 적어도 최소이론의 개념 에 맞지 않는다고 보았고, 이중 목적어 구조에서 단일 보어 가설(Single Complement Hypothesis)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고 하면 "약-접합점 해 석"인 (26b)과 같은 분석을 유지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가정 하에서 (26b)의 구조를 이중 목적어 구조 분석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2.4 .3 고 유 격 (In h e re n t C a se )의 폐 지

주정훈은 이중 목적어 구조가 제시되었을 때, 어느 것이 진정한 기저 구조인가 하는 문제를 논의하면서 고유격의 불필요성에 대하여 이야기하 였다. 주정훈은 (27a)이 (27b)의 기저구조라고 가정하였다.

(27) a. I gave a book to Mary.

Chomsky(1998, 1999)의 이론에서 본다면, 앞 (27a)에서 "to Mary"는 구 조격을 받고 그 자리에서 점검을 마치기 때문에 여격이동으로 (27b)에서

"Mary"는 TH/EX, 또는 Dislocation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27a)는 주어진 문장에서 "gave"가 "a book"을 탐색자(Probe)와 목표 요소(Goal)로써 점검을 받는데 추가적으로 필요한 것은 없다. 따라서 (27a)를 심층구조로 보는 것이며, (27b)는 여격이동이 적용되어 "to Mary"의 전치사 "to"가 동사 "gave"에 흡수되거나 삭제되어야 하고, 논 리적으로 직접목적어 뒤에 나타난 간접목적어가 "give" 동사와 직접목적

어 "a book" 사이로 이동했기 때문에 전통문법에서 이 이동된 목적어에 간접목적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런 이유 때문에 주정훈(2001)은 (27b)가 (27a)에서 유도되어 나온 구조로 가정한다.

위 (27a,b)를 수형도로 나타내면 다음 (28a,b)와 같다. 아래 (28a)에서 PP인 "to Mary"가 여격이동(dative movement)되면 (28b)처럼 VP에 좌 측부가(Left VP-Adjunction)된다.

T v*P Dative Movement John v* morphophonemic [e] P DP2

derivation ①

to Mary

b. TP Spec T' John

T v*P tJohn v*'

v* VP

gave = VP-Adjunction

DP VP

Mary

DP V'

a book V PP [e] t(to Mary)

② ①

그러나 반대로 앞 (27b)이 심층구조가 된다고 가정하면 DP2에 부여 할 "고유격(inherent case)"이라는 또 하나의 이론적 장치를 필요로 하고, 또 이것은 단일 보어 가설(Single Complement Hypothesis)을 유지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기 때문이다.

3 . T H / E X 이 동 과 결 속 조 건 적 용

3 .1 이 중 목 적 어 구 문 에 서 의 T H /E X 이 동 의 문 제 점

주정훈(2001)의 논문에서는 기존의 이중 목적어 구문 분석에서의 Chomsky(1981)의 고유격 설정과 Larson(1988)의 수동화 도출에서 통사 적으로 생겨나는 문제점들과 부담을 해결하고 Chomsky(1998.1999)의

정극어 들의 결속조건을 부과시킨 것에 불과하다고 하였으며, 이와 같은

고 격 자질을 점검 받은 후 TH/EX 이동을 하게 되어 (1b)와 같은 이중 목적어 구문을 형성하는 것이다.

(1) a. John gave a book to Mary.

b. John gave Mary a book.

c. TP

Spec T' John

T v*P

tJohn v*'

v* VP

gave = VP-Adjunction

DP VP

Mary

DP V'

a book V PP

[e] t(to Mary)

그렇다면 위와 같은 주정훈의 여격이동의 이론으로 Barss and Lasnik(1986)의 비대칭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그렇다면 위와 같은 주정훈의 여격이동의 이론으로 Barss and Lasnik(1986)의 비대칭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문서에서 영어 이중목적어 구문 연구 (페이지 2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