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처용가의 병행 구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처용가의 병행 구문"

Copied!
20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5)
(6)
(7)
(8)
(9)
(10)

This study analysed 14 pieces of Gorye Gayo focused on two properties of the seven textuality of text-linguistics, cohesion and coherence. So far, theories of text-linguistics have been introduced to Korea, and there have been many analyses on works of modern literature, but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on classic literature. This study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is a study on Gorye Gayo that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Devices that satisfy cohesion include recurrence, partial recurrence, and junctive expressions, and this study analysed what effects such devices that appear in Gorye Gayo have. Coherence is categorized into as follows:

coherence focusing on plots related to whole text, and partial coherence for coherence of whole text. This study found that whole coherence is in respect

(11)

to a macro structure and partial coherence to a micro structure. Therefo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Of the cohesion devices, recurrence is the most remarkable. It is suggested that recurring vocabulary contributes to better concentration. It is thought that it is intended for a text producer to keep his intention of utterance alive in cognizant space of text accepter for long memory. It can be explained as a reflection of mind to emphasize and reconfirm ' grudge' a common emotion of Gorye Gayo in spite of different subjects.

2. For Dae-yong-hyung, Jeon-jo-eung appears in Segyong-bol-gok once.

Hu-jo-eung Dae-yong-hyung is not used. It is believed that it is an intention of a text producer to express his opinion and emotion exactly in surface text.

3. For coordinate connection, only parallel connecters appear in

"Dong-dong" . It is believed that it is an intention of a text producer who thought expression using subordinate connection as more appropriate.

Various tools such as cause-effect connection, conditional connection, concessive connection, sequential connection and explanative connection are used for subordinate connection. It is thought that it is an intention of text producer to maximize effects of relations between precedent utterance and following utterance.

4.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common and different things of the 14

(12)

songs by speculating their macro structures and micro structures through an analysis on coherence of Gorye Gayo, but it did not obtain clear results.

Macro structure is formed during understanding through application of a certain mental activity to micro structure, and mainly depends on chains of propositions among generalization rules. This study found that micro structures make macro structures while making firm coherence to show subjects effectively.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대용형(pro­form), 등이 있다.

(30)
(31)
(32)
(33)
(34)

(pro­form)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T1]아시아국제기구특징

[T2] 서방국의 국제기구독점

[T3] 아시아국들의 타락과양심실종

[T4] 한국과일본의 민주주의보루구실

[T5] 한국과일본의 4가지사명

[T8] 한국과일본의 숭고한책무

[T6] 인위적 재난방지촉구

[T7] 아시아국의 인권운동자격

병렬관계

전환 전환

대조 병렬

인과 당위

부연 부연

부가 부가

도입

주제

(45)

[T5-1] 한국과일본이할일

[T5-2] 4가지역할

[T5-2.1] 망명자의

피난처제공 [T5-2.2] 경제적도움 [T5-2.4] 비정부기구제정 [T5-2.3] 안전상제정

[T5-2.2.1] 미래투자

[T5-2.3.1] 서방국에 미루지말것

[T5-2.4.1~3] 과거사례 [T5-2.1.7]

한,일의책임 [T5-2.1~6]

과거사례

[T5-3]

한,일의더많은사명과역할 [T5-2.1.8]

한,일의자각

도입

주제 부연

부연 부연 부연

병렬 병렬

부가 예시

부연

부가 부연

예시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머리시 A.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처용가의 병행 구문

3.2.6.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낟티 들리도 업스니이다 에서는’

(113)
(114)

대등접속

3.6.1.

(115)

종속접속

3.6.2.

(116)
(117)
(118)
(119)
(120)
(121)

A. 달이멀리 비춰주기를기원

(도입)

C.임의무사귀환 (문제해결)

달이높이돋아 밀리비취기를빎 [T1-1, 2]

시장배회와 진곳디딜까염려 [T1-3, 4]

들고 다닌것놓기바람 내가는데 저물까두려움 [T1-5, 6]

B. 남편의신변염려 (문제제기)

임에대한극진한사랑

주종관계

(122)
(123)
(124)
(125)

A. 나의삶의터전인 서경도버리겠음[T1-2](장소)

이별하기보다는삶의생계인 질삼베도버리겠음. [T2-3](수단)

C. 넓은대동강에 베내어놓음-사공

[T2-9, 10]

네각시음란함 임을배에실음-사공

[T2-11, 12]

대동강건너편꽃 배타들면꺾을것임

[T2-13, 14]

B. 구슬이바위에떨어진들 끈은 끊어지지않음

[T2-5, 6]

천년을외로이지낸들 믿음은끊어지지않음

[T2-7, 8]

이나를사랑하신다면 울면서라도따르겠음[T2-4]

(A원인-결과)

(126)
(127)
(128)
(129)
(130)

임과함께한사랑

살고싶음[T8-1] –이상 울고있음[T8-21] -현실

A.청산[T8-1, 2] F. 바다[T8-21, 22 ]

B.시름많음 자고일어나욺[T8-7, 8]

E. 돌에맞아 욺. 애증 없이욺[T8-19, 20]

머루, 다래[T8-1] 나마자기, 구조개[T8-1]

C.잉묻은장글란가지고 물아래가던새봄

[T8-9, 11]

G.애정지가다가 사슴의혜금소리들음 [T8-25~ 28]

D. 낮

[T8-13, 14] H.설진강수 조롱곳누룩 [T8-29~ 31]

난들어쩔수없음.님 사랑 [T8-32]

대조

대조

(131)
(132)
(133)
(134)
(135)

임과의영원한사랑

A. 사랑의열정과희열 정둔오늘밤

더디새기바람[T5-1.2.3]

B. 사랑의고독 도화만발하여 소춘풍[T5-4.5.6]

C. 임에게가고싶음

[T5-7.8] 이간자기있음[T5-9]

E. 영원한사랑

남산-잠자리, 옥산-베게 금수산-이불[T-5-13.14.15.16] 사양각시와약든가슴맞춤[T5-17]

D. 무절제한사랑에냉소 오리소에자러감[T5-9]

F. 영원한사랑 평생토록지내고싶음

[T5-18] 비교

(136)
(137)
(138)
(139)
(140)

A. 쌍화점에 쌍화사러감

B. 삼장사에 불켜러감

C. 드레우물에 물길러감

D. 술집에 술사러감

~내손목을쥡니다.

[T6-2, 8, 14, 20, ]

이말씀이~밖에나명들명[T6-3, 9, 15, 21 ]

~ 네말이라하리라[T6-4, 10, 16, 22, ]

그자리에나도자러가리라[T6-3, 9, 15, 21 ] 그잔데같이지저분한곳이없다[T6-3, 9, 15, 21 ].

남녀간의사랑

비교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A. 원망에찬애소 님은나를버리고갔음

[T3-1, 2] B.애소의고조

나는살기가어렵게됌 [T3-3, 4]

C. 절제와체염 잡아두고싶음 서운하면아니올까두려움

[T3-5, 6]

D. 간절한소망 그러나설온님보내준줌

가시는듯돌아오기바람 [T3-7, 8] 이별의정한

양보 조건

(149)
(150)
(151)
(152)
(153)

˙

(154)
(155)
(156)

이별한 님에대한그리움과

애련의정 송도,송축

A, B, C [T10-1, 2, 3]

비련,실연 K, L [T10-11, 12] 기원

E [T10-5]

애련 D, F, J [T10-4, 6, 10]

적요 I [T10-9]

연모 G, H [T10-7, 8] 예시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진실 ( )

의 미시 구조에서는 동작주 호미와 이에 비교되는 낫은 날 이라는 의미상의 등가성

A ‘ ’

을 가지면서 명사적 사슬을 이루고 있다 이렇게 명사적 연쇄를 이룸으로써 응결성이. 한층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169)

의 미시 구조에 대해 알아본다

B .

[T11-4]의 직접적인 비교로 보아 아버지의 무뚝뚝한 사랑을 호미로 어머니의 섬세한 사, , 랑을 낫으로 비유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T11-4]를 통하여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크다는 극적 효과를 살리는 환기 작용도 한다.

(170)

아소 님하’를 첨가함으로 B와 C은 어머니의'

(171)

부모님공양

A. 촌부의생활 B. 촌부의정서

방아찧기 [T14-1]

밥짓기 [T14-2]

부모님께드림 [T14-3]

남은밥먹음 [T14-4] 예시

(172)
(173)

동작주는 방아로 찧은 알곡으로 밥을 짓는다.

그런데 그 밥의 모양은 거칠다고 했으니 이로 보아 가난한 농가에서 급히 찧은 잡곡이 라고 생각된다. B의 미시 구조는 다음과 같다.

(174)
(175)
(176)

군신간 연정의 주제 구조 4.4.

군신간 연정의 주제를 가진 고려가요는 「정과정」 한 편 뿐이다 이에 대한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논해보겠다.

정과정

4.4.1.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결론 .

본 연구는 고려가요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로서 일곱 가지 텍스트성 구비 요건 중 응결성과 응집성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되는가를 분석하는 (textuality)

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 동안 텍스트언어학 이론이 우리 나라에 도입되어 문학과의. 학제 간 연구로서 현대문학 작품들에 대해서는 비교적 많은 성과들이 있었지만 고전, 문학 작품 분석은 아직 미약한 형편이며 특히 고려가요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크다고 생각한다.

언어의 표면에 드러나는 형식적인 요건인 응결성을 갖추기 위한 장치로는 일반적으 로 회기(recurrence), 부분회기(partial recurrence), 병행구문(parallelism), 환언 (paraphrase), 생략(ellipsis), 대용형(pro­form), 접속표현(junctive expressions) 등이 동원되는데 고려가요에서는 이들 장치들이 어떠한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회기 현상 1.1.

서경별곡에서는 ‘대동강 이’ 2 ,회 ‘샤공아 가’ 2 ,회 ‘몰라셔 가’ 2회 나타난다. 각각 이별의 장소 대동강 와 이별의 원인 제공자 샤공( ) ( ), 원망의 심정 몰라셔 을 회기( ) 하고 있다.

가시리에서는 ‘가시리잇고 가’ 3 , ‘회 나 이’ 5회 나타난다. 이별의 설움과 설움 의 정서를 증폭시켜주는 여음을 회기하고 있다.

이상곡에서는 ‘죵죵 벽력霹靂 함타무간生 陷墮無間’과 ‘고대셔 싀여딜 내 모 미 가’ 2회 회기되었는데 이는 다른 임을 사랑하지 않겠다는 자신의 주장을 강조하려, 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만전춘에서는 어름우희댓닙자리보와님과나와어러주글. , ‘ 만뎡 이’ 2회, ‘넉시라도님을녀닛경景너기다니 가’ 2 ,회 ‘남산南山애자리보와옥 산玉山을벼여누어 와’ ‘금슈산 錦繡山니블안해사향麝香가시를아나누어 가’ 각각 2회

(189)

회기되었다 여기에서의 회기는 이별 없이 지내는 세상을 동경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마음을 수용자의 인지 공간에 인식시켜 주려는 의도로 보인다.

정석가에서 회기되었는데 이것은

임과의 관계를 지속시키고자 하는 의지 표 명으로 사용되었다.

청산별곡에서는 ‘우니노라 울어라 가/ ’ 5회 나타난다. 새를 내세워 텍스트 생산자의 처절한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정과정에서는 나 가. ‘ ’ 3회 회기되었는데 이는 나를 수 용자의 기억 속에 활성화시켜 인지시키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동동에서는 복 덕 약 보름 가배 가 회기되었다 임에 대한 송도와 장수 그리고‘ , , , , ’ . 보름 가배를 맞을 때마다 임의 상실을 확연히 직감하면서 그리움을 회기를 통해 나타, 내고 있다.

사모곡에 나타난 ‘어머님 티 괴시리 업세라 의 회기는 어머니의 사랑이 지중하’ 다는 중심의미를 재강조하고 있다. 처용가에서 성대 처용아바‘ , , 열병대신 의 회기는’ 처용아비가 열병대신을 제거함으로써 신라가 태평성대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유구곡에서 회기는 비둘기의 울음소리보다는 뻐꾸기의 울음소리를 더 좋아한다는 중 심 의미를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상저가에 나타난 회기 히야해 라는 조흥구를 두 번 반복함으로써 균형을 유지하‘ ’ 려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임을 알 수 있다.

(190)

병행 구문 1.2.

정읍사에서는 ‘-ㄹ세라 가 나타났는데 이는 남편의 행동에 대한 조바심과 불안감’ , 을 표현한 병행 구문이다 서경별곡에서는. ‘-ㄴ다 형을 매개로 하여 병행 구문을 이’ 루고 있는데 이는 속마음을 내비치지 않으면서도 임을 붙잡아 두려는 심사와 사공을, 원망하면서 역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곡에서 ‘-기약이잇가 는’ 2회 회기되는 데 이것은

쌍화점에서는 ‘-가고신 과’ ‘-내 손목을 쥐여이다 가 각 연마다 나타나 있다’ . 이는 가는 곳마다 그 집 아비가 손목을 쥐었다는 사실을 말하고 있으며, ‘-이 말

미 ~들명날명 과’ ‘~네 마리라호리라 는 이 말을 물어내는 인물이 뒤에 나타나 앞’ 의 장소와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어 자족적 텍스트가 되기에 충분하다.

정석가에서는 ‘-이다 가 여러 개의 병행 구문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텍스트 생산’ 자가 이별 없는 사랑을 간절히 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사모곡에 나타난 업세. , ‘ 라 는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지중하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처용가’ . 에서는 ‘- / ’애 에 를 매개로 병행 구문을 잇닿게 하여 처용의 얼굴을 묘사했다.

마지막으로 상저가에서는 여럿 가운데 하나를 예로 들거나 선택하는 뜻으로 쓰이는 보조사 ‘- ’나 를 매개로 하여 방해 와 밥 이라는 의미 내용을 나타내고 있다‘ ’ ‘ ’ .

환언 현상 1.3.

서경별곡에서 ‘셔경 은’ ‘셔울, 닷곤, 쇼셩경 으로’ 환언되었는데 ‘셔경, 셔울, 닷곤 쇼셩경 등은 동일한 내용을 반복 표현하면서 등가적 관계를 가진 것이다 텍, ’ . 스트 생산자는 이 노래의 무대를 재수용하여 환언함으로써 의미 상승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 샤공 은’ ‘네가시 에서’ ‘ ’네 로, ‘네가시 는’ ‘고즐 로’ 환원되어 나타났 다 즉 사공의 각시는 대동강 건너편에 있는 음란한 꽃으로 나타난 것이다 마지막 연. .

(191)

에서 임의 변심에 대한 강렬한 질투의 감정까지 드러내는 부분은 그만큼 상황이 절망 적이라는 것을 말해 주고 있다.

만전춘에서는 ‘여흘 이’ ‘소 로’ 환언되었다. ‘소( )’沼 가 얼면 ‘여흘 이’ 좋다 는 것은 ‘소 의 차선책으로’ ‘여흘 을 택한 것이다’ . 의미 내용을 반복하여 강조한 것이다 남산은 잠자리 옥산은 베개 금수산은 이불로 환언되었다. , , .

쌍화점에서는 ‘긔잔 는’ ‘긔자리예 가 환언되어 나타난 것이다’ . 둘 다 잠자리 라는 공간이며 등가적 관계를 가진다.

정과정에서 ‘과 와’ ’허물 도 환언 관계다‘ . 자기는 임금 주위의 신하들의 참언 때문에 적소에서 외로움을 달래고 있다며 자기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환언을 통해 나타내고 있다.

동동에서 ‘님 은’ ‘등불 ․욋곶 녹사님․ ’ 등으로 환원되었다. ‘자신의 신세 는’ 빗  보리수 젓가락 등으로 환원되었다 임에 대한 그리움이 투영된 사

‘ , ( ), ( )’楮 .

물은 ‘곳고리새 꾀꼬리새( ), 수릿날 아침 약, 황화’ 등으로 환언되었다. 이러한 환언 이 지니는 의미의 차이는 환언과 관련된 등장인물의 정서적 성격적 특징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사모곡에서는 아버지와 어버이는 동일 대상을 가리키는 다른 표현으로 의미 내용을 반복하는 환언으로 나타냈다 어머니 사랑의 위대함을 강조하기 위한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인 것이다.

처용가에서는 ‘綠李야 는’ ‘외야자 의 환언이다’ . 이것은 의미 상승의 효과가 있 으며 환언되는 내용은 등가적 관계를 가진다, .

생략 현상 1.4.

서경별곡에서는 주어 ‘나는 과’ 목적어 ‘님을 이’ , 그리고 ‘질삼베’ 다음에 목 적격 조사 를 이 생략되었다 이것은 텍스트의 간결성 유지를 위한 것이다‘ ’ . .

가시리에서는 주어 ‘나는 과 목적어의’ ‘님을 이 자주 생략되었다’ . 이것은 이별

(192)

의 대상자가 너와 나이기 때문에 주어 명사구와 목적어 명사구를 꼭 나타낼 필요 없이 노랫말을 자연스럽게 이어나가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략은 수용자의 기대의 흐름. 을 차단하면서 강한 인지효과를 줄 수 있음은 물론 경제성도 높이는 효과를 거둔다, .

청산별곡의 ‘이링공뎌링공야나즈란디내와손뎌 와’ ‘오리도가리도업슨바므란엇 디호리라 에서는 주어 명사구가 생략되었다’ . 이유는 앞 연에서 이미 주어 명사구

나도 가 나타나 있기 때문이다

‘ ’ .

정과정에서는 ‘ ’내 와 ‘산접동새’ 사이에 비교격 조사 ‘ ’와 가 생략되었다. 이 것은 격조사를 생략함으로써 표현의 압축성과 간결미를 유지하며 시적 운율을 유지하 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사모곡에서는 목적어 ‘나를 또는’ ‘자식을 이 생략되었다’ . 어버이의 사랑은 자식 사랑이기 때문에 꼭 나타낼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대용형 1.5.

대용형은 서경별곡에서 전조응이 1회 나타난다 후조응 대용형은 사용되지 않았다. . 표층 텍스트에서 자신의 주장과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 도라고 생각된다.

접속 표현 1.6.

접속 표현 중 대등접속은 동동에서만 병렬관계 접속이 나타난다 발화 의도를 나타. 내기 위해서는 종속접속에 의한 문장 표현이 더 적합한 것으로 여긴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라고 생각된다.

종속접속은 인과관계 접속 조건관계 접속 양보관계 접속 순차관계 접속 설명관‘ , , , , 계 접속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전술 언급인 선행 발화와 후술 언급인 후행 발’ . 화와의 관계에 따른 효과를 최대화하려는 텍스트 생산자의 의도로 여겨진다.

(193)

텍스트 안에서의 의의의 연속성이라고 할 수 있는

2. 응집성은 텍스트 전체에 관련되

는 주제 구조를 중심으로 한 응집성이 있을 수 있고 전체 텍스트의 응집성을 이루기, 위한 부분 응집성이 있을 수 있는데 전체 응집성은 바로 거시 구조 주제 구조 라 할, ( ) 수 있고 부분 응집성은 미시 구조라 할 수 있다, .

장 응집성 분석에서는

Ⅳ 고려가요의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를 분석하였는데 이의 분, 석을 위해 먼저 문장 간의 의미관계를 논리적인 관계에 따라 인과관계 비교관계 대‘ , , 조관계 예시관계 부연관계 조건관계 양보관계 병렬관계 전환관계 도입관계 등으, , , , , , , ’ 로 나누었다 그리고 문장 및 단락 간의 의미 관계를 문장과 개념들의 관계구조로 나. 타내어 거시구조를 먼저 분석하고 이어서 미시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전해지고 있는 고려가요들은 논자마다 작품의 해석에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어떤 규범이나 이념 혹은 종교적 승화를 노래했다기보다는 인간의 정감 중에서 도 주로 남녀간의 애정 이별 어버이 사모 군신간의 연정 주술성 내포 등의 주제 구, , , , 조를 진솔하게 표출해 내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 거시 구조는 미시 구조에 어떤 정신적 활동을 적용시킴으로써 이해하는 동안에 형성되는데 거시 구조의 일반화 규칙 중 주로 명제의 연쇄에 의지하고 있었다 작품마, . 다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미시 구조들이 단단한 응집성을 이루면서 거시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고려가요가 갖는 형태상의 특징은 현재 남아있는 작품들로 볼 때 단련체, (單聯 와 분련체 로 양분된다 그러데 민요를 제외한 고전시가들이 일반적으로 갖

) ( ) .

體 分聯體

고 있는 정제된 형식에 비하면 형식이 비교적 자유롭다 그리고 연과 연 사이에 독특, . 한 후렴구 등의 삽입도 그 특징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한 형식의 정제나. 규범에서 자유로웠던 만큼 구전 과정에서의 변형이나 혼성도 쉽게 이루어졌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응집성 분석은 생산자의 의도성과 수용자의 용인성을 파악하고 텍스트의 의 미화 과정을 분석하는 데 아주 유용하다는 것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고려가요는 생.

(194)

산자의 의도성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다 앞으로 이 방면에 대한 연구는 텍스트언어학. 에서도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정성 분석에도 유용한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고려가요의 텍스트 생산자가 어떤 의도를 가지고 어떻게 의미작용을 수행하고 수용자에게 읽혀지는가 하는 것을 분석해 내기 위한 시도로서, 응결성 분석에서는 응결성 장치를 통하여 응집성 분석에서는 거시 구조와 미시 구조, 를 통하여 텍스트의 생산자와 수용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작업. 은 텍스트를 분석하고 그 의미 작용을 체계화하는 기초 작업이 됨은 물론 고려가요, , 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넓히며 장차 현재 소통되고 있는 동일 장르, 의 텍스트와 비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텍스트성의 여러 장치를 통하여 고려가요를 분석하다 보면 시 텍스트의 해석, , 에 있어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실의 통화 행. 위 속에서 발휘되는 텍스트성의 여러 특성들이 시 텍스트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 을 의미한다.

특히 시 텍스트에는 비문, (非文)과 시적 허용으로 인하여 응결성의 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의의의 불연속성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압축 비유 상징 감정이. , , , 입 연상수법으로 인하여 정보성이 높은 발화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 , 텍스트언어학적 방법의 적용 가능성이 다른 어느 유형의 텍스트들보다 더 높다 하겠 다.

다만 텍스트언어학적 방법이 문학적 언어가 갖는 특수한 미학적 효과의 측면에 대, 해서 아직은 만족할 만한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문학 텍스트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의 한계이자 또한 이 논문의 한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미해결에 대해서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보완할 과제로 남겨 둔다.

(195)
(196)
(197)
(198)
(199)
(200)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hypermedia and multi-sensory experience of new media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n

Basic construction of axial-lead tubular plastic-film dielectric capacitors Floyd 책 383쪽 그림 9.12. Polyester-film capacitors: (a) axial lead; (b) radial lead (Courtes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Lucia jig, leaf gauge, and cotton roll among the anterior deprogramming devices being used to induce the centric

Furthermore, if desirable teachers' images and teaching methods that American, English cultures have like as this study showed are added to English education

It seems to be very meaningful that Geomungo encounters with the electronic devices in the early 21st century when small traditional Korean music ensembles and soloists are

This study shows that the root cause of suicide is based on social and legal exclusion and proposes that suicide prevention measures should be aimed at social cohesion

This study aims to analyse various psychological elements inherent in adolescents and to identify what effect art activities using collage have on mental

This study focuses on the overall survival(OS) and the re-recurrence free survival (RFS) rates for patients according to the Milan criteria status at the time of recurrence 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