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효자, 충신, 열녀의 이야기를 담은 언해본 『삼강행실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 효자, 충신, 열녀의 이야기를 담은 언해본 『삼강행실도』"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어사

제11주

자료를 통한 중세국어 이해하기

2009년 2학기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2)

 효자, 충신, 열녀의 이야기를 담은 언해본 『삼강행실도』

세종이 설순(偰循)에게 명하여 중국과 우리나라에

서 삼강(三綱: 忠, 孝, 烈)에 뛰어났던 인물 110명

씩의 이야기를 판화, 한문 기사(記事), 시(詩)와 찬

(贊)을 붙여 세종 16년(1434)에 간행한 『삼강행

실도』를 훈민정음 창제 후 그 대상을 각각 35명씩

으로 줄이고 난상(欄上)에 언해를 붙여 성종 21년

(1490)에 3권 1책으로 간행한 책

(3)

《三綱行實圖》의 선행 형태

남송대 趙子固(조자고)의 《二十四孝圖》

1346년 權溥(권보) 일가의《孝行錄》

• 권준(權準)이 《二十四孝圖》를 만들어 아버지 권보에게 올리자 권보는 38 명을 추가해 총 62명에 대하여 사위인 李齊賢(이제현)이 찬(讚)을 붙여 편찬

• 고려 충목왕 때 권보(權溥)와 그의 아들 준(準)이 효행에 관한 기록을 모 아 엮은 책. 1책. 목판본. 고려 말에 초판이 나왔으며 1428년(세종 10) 설순(律循) 등이 개정하여 중간하였다. 초간본에는 이제현(李齊賢)의 서 (序)가 있고, 후에 권근(權近)이 주해(註解)와 발문(跋文)을 달았다. 권보 가 노경에 들게 되자, 아들 준(準) 이 화공(怜工)에게 명하여 24효도(二 十四孝圖)를 그리게 한 뒤 그것을 이제현에게 주면서 찬(贊)을 지어 달 라 부탁하여 아버지를 위안하였다. 이에 권보도 38효행을 골라 이제현 으로부터 찬을 지어받았는데, 전 24찬은 12구(句), 후 38찬은 8구로 되 어 있다. 이 책은 효행설화에 대한 최초의 집대성으로, 아이들에게 노래 로 불러 외우도록 하여 효도를 고취하는 자료로 삼았다. 규장각도서․장 서각도서 등에 있다.(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이는 모두 중국의 사례를 싣고 있음

(4)

《三綱行實圖》의 편찬(1)

세종 10년(1428)

[09월] 진주 사람 김화(金禾)가 그 아비를 살해

[10월] 변계량(卞季良)이 《孝行錄》의 반포를 건 의 세종은 설순(偰循)에게 재편집을 지시

세종 13년(1431)

[11월] 설순에게 《충신도》 안에 정몽주(鄭夢周)

와 길재(吉再)의 얼굴을 그리고 찬(贊)을 짓도록 명

(5)

《三綱行實圖》의 편찬(2)

세종 14년(1432)

[06월] 집현전에서 《三綱行實圖》를 편찬하여 서 문(序文)과 전문(箋文)을 더불어 올림

세종 15년(1433)

[02월] 대제학 정초(鄭招)가 명을 받들어 발미(跋 尾)를 지어 올림

세종 16년(1434)

[04월] 《三綱行實圖》를 인쇄∙반포하고 이를 가 르치도록 하고자 윤회(尹淮)가 지은 교서(敎書)를 발표

[11월]《三綱行實圖》를 종친 신하에게 하사하고 각 도(道)에 반사(頒賜)

● 총 3권 3책의 한문본 《三綱行實圖》

(6)

《三綱行實圖》의 편찬(3)

세종 26년(1444)

[02월] 정창손(鄭昌孫)에게 《三綱行實圖》를 언문으로 번역할 것을 하교

성종 12년(1481)

[3∙4월] 언문으로 된 《三綱行實圖烈女圖 》를 인쇄해 반 사(頒賜)

성종 20년(1489)

허침(許琛)과 정석견(鄭錫堅)에게 《三綱行實圖》의 산 정을 명함

성종 21년(1490)

인원을 각각 110명에서 35명씩으로 줄이고 난상(欄上) 에 언해를 붙인 언해본 《三綱行實圖》를 경성의 오부(五 部)와 팔도의 군현(郡縣)에 반사

● 총 3권 1책의 언해본 《三綱行實圖》

(7)

 효자, 충신, 열녀의 이야기를 담은 언해본 『삼강행실도』

출처: 삼강행실도

(8)

[01] 閔損單衣(魯) [02] 子路負米(魯) [03] 楊香搤虎(魯) [04] 皐魚道哭(楚) [05] 陳氏養姑(漢) [06] 江革巨孝(漢) [07] 薛包洒掃(漢) [08] 孝娥抱屍(漢) [09] 黃香扇枕(漢) [10] 丁蘭刻木(漢) [11] 董永貸錢(漢) [12] 郭巨埋子(漢) [13] 元覺警父(□) [14] 孟熙得金(蜀) [15] 王裒廢詩(魏) [16] 孟宗泣竹(吳) [17] 王祥剖氷(晉) [18] 許孜埋獸(晉) [19] 王延躍魚(晉) [20] 潘綜救父(晉) [21] 黔婁嘗糞(齊) [22] 叔謙訪藥(齊) [23] 吉翂代父(梁) [24] 不害捧屍(梁) [25] 王崇止雹(後魏)[26] 孝肅圖像(隋) [27] 盧操順母(□) [28] 徐積篤行(宋) [29] 吳二免禍(宋) [30] 王薦益壽(元) [31] 劉氏孝姑(國朝)[32] 婁伯捕虎(高麗) [33] 自强伏塚(本國)[34] 石珎斷指(本國)[35] 殷保感烏(本國)

(1) 삼강행실효자도(三綱行實孝子圖)

(9)

[01] 龍逢諫死(夏) [02] 欒成鬪死(晉) [03] 石碏純臣(衛) [04] 王蠋絶脰(齊) [05] 紀信誑楚(漢) [06] 蘇武杖節(漢) [07] 朱雲折檻(漢) [08] 龔勝推印(漢) [09] 李業授命(漢) [10] 嵆紹衛帝(晉) [11] 卞門忠孝(晉) [12] 桓彛致死(晉) [13] 顔袁罵賊(唐) [14] 張許死守(唐) [15] 張興鋸死(唐) [16] 秀實奪笏(唐) [17] 演芬快死(唐) [18] 若水效死(宋) [19] 劉韐捐生(宋) [20]傅察植立(宋) [21] 邦乂書襟(宋) [22] 岳飛涅背(宋) [23] 尹穀赴池(宋) [24] 天祥不屈(宋) [25] 枋得茹蔬(宋) [26] 和尙噀血(金) [27] 絳山葬君(金) [28] 蝦䗫自焚(金) [29] 普顔全忠(元) [30] 堤上忠烈(新羅)[31] 丕寧突陳(新羅)[32] 鄭李上䟽(高麗) [33] 夢周隕命(高麗)[34] 吉再抗節(高麗)[35] 原桂陷陳(本國)

(2) 삼강행실충신도(三綱行實忠臣圖)

(10)

[01] 伯姬逮火(宋) [02] 女宗知禮(宋) [03] 殖妻哭夫(齊) [04] 宋女不改(蔡) [05] 節女代死(漢) [06] 高行割鼻(漢) [07] 穆姜撫子(漢) [08] 貞義刎死(漢) [09] 禮宗罵卓(漢) [10] 媛姜解梏(漢) [11] 令女截耳(魏) [12] 李氏感燕(宋) [13] 崔氏見射(隋) [14] 淑英斷髮(唐) [15] 魏氏斬指(唐) [16] 李氏負骸(五代) [17] 趙氏縊輿(宋) [18] 徐氏罵死(宋) [19] 李氏縊獄(宋) [20] 雍氏同死(宋) [21] 貞婦淸風(宋) [22] 梁氏被殺(宋) [23] 明秀具棺(金) [24] 義婦臥氷(元) [25] 童氏皮面(元) [26] 王氏經死(元) [27] 朱氏懼辱(元) [28] 翠哥就烹(元) [29] 寗女貞節(國朝)[30] 彌妻啖草(百濟)[31] 崔氏奮罵(高麗)[32] 烈婦入江(高麗) [33] 林氏斷足(本國)[34] 金氏撲虎(本國)[35] 金氏同窆(本國)

(3) 삼강행실열녀도(三綱行實烈女圖)

(11)

최만리 등이 올린 반대 상소문 관련 기사 속에 나타난 내용

• 임금이 말하기를,

“전번에 김문(金汶)이 아뢰기를, ‘언문을 제작함에 불가할 것은 없습 니다.’ 하였는데, 지금은 도리어 불가하다 하고, 또 정창손(鄭昌孫)은 말하기를,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반포한 후에 충신․효자․열녀의 무 리가 나옴을 볼 수 없는 것은, 사람이 행하고 행하지 않는 것이 사람 의 자질(資質) 여하(如何)에 있기 때문입니다. 어찌 꼭 언문으로 번역 한 후에야 사람이 모두 본받을 것입니까.’ 하였으니, 이따위 말이 어찌 선비의 이치를 아는 말이겠느냐. 아무짝에도 쓸데없는 용속(庸俗)한 선비이다.” 하였다.

먼젓번에 임금이 정창손에게 하교하기를,

“내가 만일 언문으로 삼강행실(三綱行實)을 번역하여 민간에 반포하 면 어리석은 남녀가 모두 쉽게 깨달아서 충신․효자․열녀가 반드시 무 리로 나올 것이다.” 하였는데, 창손이 이 말로 계달한 때문에 이제 이 러한 하교가 있은 것이었다.

[世宗實錄 卷103 世宗 26年 2月 20日(更子)條]

『삼강행실도』 언해의 배경

(12)

‘ㅸ'자의 사용, 한자음 종성으로 ‘ㅇ’이 없으며, 현실한자음으로 반영 된 주음(注音)들이 출현한다. 세종대에 언해가 이루어졌다.(南廣祐 1966)

‘ㅸ, ㅭ, ㆅ’까지 나타나는 사실로 보아 원간본의 언어 사실은 초기 한 글 문헌과 비슷하다.(安秉禧 1979)

서체․필법, 번역 양식, ‘ㅇ’을 쓰지 않는 한자음 표기의 특징, 된소리 표기, ㅸ자 사용, 종성 표기, 긴 연결어미, 모음조화 등을 검토해 본 결과, 번역은 세종조에서 세조 초에 걸쳐 이루어졌다.(志部昭平 1990)

1447년의 『석보상절』과 조권(調卷)의 내용이 일치하는 부분 중 1459년의 『월인석보』에서 변화한 언어 사실을 주로 고유어의 문법 소, 어휘 사용면에서 비교해 본 결과(㉠~㉤), 언해본은 1447년~

1459년 사이에 번역되었다.(고영근 1991)

㉠여격표시어( /의그 > /의게), ㉡시간부사(즉자히>즉재), ㉢보조 적 연결어미(긔>게), ㉣한자어 표기(한글표기>한자표기 cf.미혹>迷 惑), ㉤‘ㅏ’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 연결어미의 쓰임(아>ø cf.가아>가)

언해문의 성격과 번역 시기(1)

(13)

사이시옷의 표기 경향과 어미 {-ㄹ}과 후행어와의 통합 표기 경향, 한자음 표기에서 잘못된 주음(注音) 을 공통적으로 가지며 현실음 중성을 유지하려는 경 향, 한자어 선택 및 한자음 표기 경향이 『석보상절』

보다는 『월인천강지곡』과 일치하는 점을 들어 1446년 ‘훈민정음’ 반포 이전부터 번역이 계획되어

『월인천강지곡』과 거의 동일한 방침, 거의 동일한 인물 진용에 의해 번역되어 1447년 즈음에는 원고 가 완성되었을 것이다.(鄭宇永 1999)

언해문의 성격과 번역 시기(2)

(14)

《三綱行實圖》의 판화

판화사적(版畵史的)으로 살펴볼 때 《三綱行實圖》

는 불교판화의 전통을 계승하여 유교판화의 전형 이 되었다.

《三綱行實圖》 밑그림의 작가는 조선 전기의 대 표적 화가인 安堅(안견)이다.

지그재그에 의한 상의 배치로 공간 운영이 뛰어

나고 건물, 산수, 구름 등에 의하여 장면을 구획

하거나 배경으로 삼아 여러 설화 장면을 다양한

조형세계 속에서 소화해 나갔다.

(15)

陳띤氏:씨 ·나·히 ·열 여·스·세 남진 어·러 그 남지·니 防  禦:    저·긔 닐·오·  防 禦 ·는 軍군 마·기·라 내 죽사·

리·  :몯:내 :알리·니 兄 弟:뗴 :업·고 늘·근 ·어미·  :네 孝

· 道:  ·다 그·리·호·리 ·다 果:과然  :몯 도·라·오나· 

·싀·어미·  ·나·날 ·새·  ·  孝· 道: · ·야 乃:내終 : 내 다  남진 ·  · ·디 :업더·니 제 父:뿌母: ㅣ 다  남진 얼·유·려 커·늘 닐·오·  남진   저·긔 늘·근 ·어미·로 맛·뎌·

늘 그·리·호려 ·호·니  ·  늘·근 ·어미·  ·치다·가 乃:내終  :내

<誠庵本 孝子 5a>

몯 ·며  · 그  :오녀  ·고 고·티·면 어·드·리 世·셰間간·

애  ·니리·오  ·고 주·구·려 커·늘 두·리·여 :몯 얼·이·니 ·싀

·어미·  ·스·므 여·듧 · ·  孝· 道: · 다·가 죽거·늘 받·

과 집·과 :다 · ·라 무·드·니 일·후·믈 孝· 婦: ㅣ·라  ·니·

孝· 婦: ·는 孝· 道: ·   :겨지·비·라 <誠庵本 孝子 5b>

효자도 陳氏養姑(漢)

(16)

翰· 林림學· 士:  崔최婁 伯· ·  水: 原  戶: 長· ·  아· ·리러·니 ·나 히 ·열다· ·신 저·긔 아·비 山산行  ·갯다·가 :범 믈·여·늘 ·가·아 자·보·려  ·니 · 어·미 말·이더·니 婁: 伯· ·이 닐·오·  아·  怨 讐 를 아·니 가· ·리 ·가  · 고 ·즉자·히 :돗·귀 :메·오 자괴 바·다 가·니 :버·미  ·마 · 브르 먹·고 누· 거·늘 바  ·드·러·가·아 구·지주·  :네 내 아·비·  머·그·니 ·내 모·로·매 너·를 머·구리·

라 · 야·   ·리 :젓·고 업:데어·늘 :베·텨 ·  ··아 아·  · ·콰 · ·와 :내·야 그

·르·세 :담·고 :버·믜 고·기·란 도·  다·마 :내·해 묻·고 아·비 묻·고 侍·씨墓·모 :사 더·니  ·  흐   <誠庵本 孝子 32a>

· ·얫거·늘 아·비 ·와 ·그·를 이·푸·  披피榛즌· ·야 到· 孝· 子: 廬려·호·니 개욤 나모 헤·오 孝· 子: 廬려·에 :오·니 情 多다感:감· ·야 淚· 無무窮 ·이 로·다  ·데 感:감動: ·호·미 :만· ·야 · ·므·리 다  :업도·다 負: 土:토· ·야 日· 加가塚· 上·  ·  ·니   ·지·여 ·나·날 무·덤 우·희 올·이 ·니 知·디音 · 은 明 月· 淸 風 ·이시·니·라 :아· ·시 ·닌  ·  · ·와  ·    ·미시·니·

라 生 則·즉養:  ·고 死: 則·즉守· ·  ·니 사·랏거·든 이받·고 죽거·든 디·킈  ·니 誰 謂· 孝· 無무始·시終 ·고 ·뉘 닐·오·  孝 道: ㅣ 乃:내終  :업·다

· 더·뇨 :다 입·고 믄·득 :몯 보·니·라 婁: 伯· ·이 居거喪   ·고 :버·믜 고·기·

  :다 머·그니·라 <誠庵本 孝子 32b>

효자도 婁伯捕虎(高麗)

참조

관련 문서

내가 대통령에 출마한 이유는 첫째 지금 국민들이 절망하는 대한민국에 절망하는 , , 현장에서 어떻게 희망을 가지고 살아날지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이 나라고 생각하기 때

▶ someday라는 미래를 나타내는 말이 있으므로 빈칸에는 미래를 나타 내는 말이 들어가야 한다4. A: Mandy는

꼭 기간내 작성을 해주시고, 환불 계좌를 다시 한번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한 방향으로

필자가 아는 한 길들이기의 대상은 정부자체(taming

二叔反流言.. 계인 주공과 성왕의 역사적 사실을 빌려 자신의 고뇌를 밝히고 군주의 은총을 감성에 호소하였다. 동기야 어찌 되었건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 인지, 어떻게 살아야 할지 되돌아보아야 하는 것이다.. 이름 있는 대기업도

심체가 본선하다는 것에 어찌 이론(異論)이 있을 수 있겠습니까. 본선한 심에 순선한 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만물의 영장이 되어서 사람이면 누구나 다 요순이 될

전화위복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