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관련된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Intention to care COVID-19 Patients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역학과 건강증진 전공

김 태 형

(3)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관련된 요인

지도교수 이 순 영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1년 2월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 / 역학과 건강증진 전공

김 태 형

(4)

심사위원장

심사위원 심사위원

이 순 영

이 경 종 이 자 경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년 12월 09일

김태형의 보건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5)

감사의 말씀

대학병원 신경외과 수술실 간호사로서 일을 하면서 배움에 대한 갈망이 컸었 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그로 인해 좀 더 많은 것을 배우고자 대학원에 진학 하여 다니었던 시간이 엊그제 같은데 석사 학위 논문을 쓰는 것에 감회가 새 롭습니다. 많은 분들의 도움으로 작은 문턱 하나를 넘게 되었습니다. 석사 과 정을 통한 역학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운 2년의 시간이 된 것 같습니다.

부족한 저를 이끌어주신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신경외과 교수님들, 아주대 학교 보건대학원 모든 교수님들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대학원 진학에 도 움을 주신 김남영 파트장님을 비롯하여 신경외과 PA 선생님들에게 고맙고 감 사드립니다. 저와 같이 항상 대학원 생활에 대해 으쌰으쌰 힘을 냈던 박중원 선생님께 고맙습니다. 모르는 것에 대해 항상 물어보면 친절하게 알려주신 백 혜진 선생님에게도 감사드립니다. 이처럼 완성된 논문을 작성 할 수 있도록 지도 해주시고 조언 해주신 지도교수님이신 이순영 교수님과 자주 여쭤본 것 이 죄송스러울 정도로 질문에 항상 밝은 모습으로 답변 해주시고 강의 해주신 이자경 교수님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소중한 시간을 혼쾌히 내어 연구에 참여해주신 189명의 간호사 선생님과 각 부서의 파트장님들 그리고 간호본부 선생님들 에게 감사드리며 연구를 시작하고 잘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도움 주 신 모든 분들게 감사드립니다. 항상 힘이 되고 지지 해주는 친구들 강신우, 김남연, 김윤성, 최용석, 손동훈, 조항재, 임한별에게 고맙습니다.

마지막으로 저를 가장 지지하고 응원해 주는 어머니 송재진, 형 김승현과 함 께 이 작은 결실을 나누고 싶습니다. 가족들에게 항상 미안하지만 사랑한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20020년 12월 김 태 형 올림

(6)

- 국문요약 -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관련된 요인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확장 적용하여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 의도에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 는 2020년 10월 16일부터 10월 30일까지 충청남도 천안소재의 S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이며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한 후 200부를 배부하 고 응답이 미흡한 설문지를 제외한 189부를 대상으로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로 최영은, 이은숙(2019)이 개발한 간호사의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 한 지식, 태도, 감염관리활동 의도와 교육요구도의 연구의 지식, 태도 측정도 구를 사용 하였고 전재희, 이은희, 김은주(2020)의 간호전문직 자부심 측정도 구 개발에서 개발한 전문직 자부심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의도와 지각 된 행위통제는 이지연(2018)이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에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관련요인 정도 중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은 20점 만점 중 14.23±2.04로 약71%의 정답률을 보였다. 태도는 5점 척도로 전체 평균점수 4.16±0.33점, 전문직 자부심은 5점 척도로 전체 평균점수 3.37±0.53점, 지각된 행위통제는 7점 척도로 전체 평균점수 4.12±1.28점, 간 호의도는 7점 척도로 전체 평균점수 3.90±1.54점으로 나타났다.

(7)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차이는 신종호흡기감염병 및 코로나19 환자 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t=2.359, p<.020), 코로나19로부터의 보호 방법에 대해 인지한 간호사(t=2.401, p<.018),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한 교 육을 희망하는 간호사(t=2.936, p<.004)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관련된 요인들의 상관관계에서 코로나 19의 태도는 전문직 자부심(r=.324, p<.001), 지각된 행위 통제(r=.184, p=.011), 간호의도(r=.299, p=.002)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전문직 자부심은 지각 된 행위 통제(r=.277, p<.001), 간호의도(r=.34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 냈다.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지각된 행위 통제는 간호의도(r=.598,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대상자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159, p=.007),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한 교육 희망 여부(β=.145, p=.015), 전문직 자 부심(β=.117, p=.009), 지각된 행위통제(β=.779, p<.001)이었으며 42.0%의 코로 나19에 대한 간호의도 설명력을 나타냈다(F=12.344,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지각된 행위통제가 가장 큰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 환자 간호 행위를 통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중요 하다. 이에 임상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하여 불안, 스트레스, 긴장감등을 낮 추고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포함한 지각된 행위통제를 높여 결과적 으로 간호의도를 긍정적으로 변화 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지속적이고 강화시킬 수 있도록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환자 간호에 있어 충 분한 개인보호장비 지급, 지속적인 최신 프로토콜 제공, 코로나19 환자 간호 수행에 따른 노력 인정과 간호수행 후의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지원, 특별 한 보상금과 같은 물질적 지원이 지원된다면 간호사의 간호수행에 있어 자신 감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핵심어: 코로나19, 신종감염병, 계획된 행동이론, 간호의도

(8)

차 례

차례 그림 차례 표 차례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용어의 정의··· 6

Ⅱ. 문헌 고찰 ··· 10

1. 코로나19와 간호의도··· 10

2. 코로나19 간호행동에 대한 태도··· 14

3. 전문직 자부심 ··· 17

4. 계획된 행동이론 ··· 19

Ⅲ. 연구 방법 ··· 25

1. 연구 설계··· 25

2. 연구 대상··· 25

3. 연구 도구 ··· 26

4. 윤리적 고려 ··· 30

5. 자료 수집 ··· 31

6. 자료 분석 ··· 31 vi

···

···

···

iii v

(9)

Ⅳ. 연구 결과 ··· 33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3

2. 대상자의 신종 감염병 관련 특성 ··· 35

3.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 및 간호의도 정도 ··· 36

4. 일반적 특성 및 신종 감염병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와 간호의도 간의 차이 ··· 43

5.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와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 ··· 53

6.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4

Ⅴ. 고찰 ··· 56

Ⅵ. 결론 및 제언 ··· 69

참고문헌 ··· 73

부 록 ··· 91

ABSTRACT ··· 110

(10)

그림 차례

〔그림 1〕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관계 모형(Ajzen, 2005)··· 20

〔그림 2〕본 연구의 연구모형 ··· 24

(11)

표 차례

<표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4

<표 2>. 대상자의 신종감염병 관련 특성 ····························································· 35

<표 3>.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 37

<표 4>. 대상자의 코로나19 간호행동에 대한 태도········································· 39

<표 5>. 대상자의 전문직 자부심··············································································· 41

<표 6>.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42

<표 7>. 대상자의 코로나19에 대한 간호의도···················································· 42

<표 8>.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지식 차이······································· 44

<표 9>.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간호행동 태도 차이····················· 46

<표 10>.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전문직 자부심 차이······································· 48

<표 11>.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지각된 행위 통제 차이······················································································································ 50

(12)

<표 1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 차이··················· 52

<표 13>.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 통제 및 간호의도 관계 ································································································ 53

<표 14>.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행위 통제가 간호의 도에 미치는 영향 ·························································································· 55

(13)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세계화와 국제 교류 증가로 새로운 형태의 전염병의 국내 유입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경제적인 수준은 날로 심각하며 다양해지고 있다(신호 준, 구원회, 백민호, 2015). 우리나라는 1990년대 후반부터 국외에서 유입되는 감염병이 증가하고 있으며(질병관리본부, 2017)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0년 이 후 매 년 300~400여명이 신고 되고 있다(질병관리본부, 2018). 이처럼 발생시 기, 전파 경로, 감염력 예측이 어려우며 예방, 치료 수단이 없는 신종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으며 감염 차단을 위한 효과적인 조치 또한 필요할 것 이다(Oh, 2008).

2019년 12월 새롭게 발생한 신종호흡기감염병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이하 코로나19)은 중국 후베이 성 우한의 화난 남중국해 산물시장으로 부터 원인 불명의 폐렴이 발생한 후 3개월이 되기도 전인 3월 11일에 약 114개국으 로 감염이 확산되었고, 4,000명 이상이 사망하였다. 이에 WHO는 2020년 3월 11일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세계적 대유행(pandemic)을 발표하였다(WHO, 2020).

우리나라는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발생한 이후 2 월 14일까지 총 28명의 환자가 발생하였으며(KCDC, 2020). 이후 대구 신천지 및 이태원 클럽 등의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 2020년 5월 9일 코로나19 감염 병 위기단계를 심각 수준으로 발령하였다. 확진된 환자 수는 10,897명(19주차 (2020.5.3~2020.5.9)) 확진자 98명), 사망자 수는 256명(19주차 사망자 6명)으로 나타났다(KCDC, 2020). 현재까지도 현재 진행형이며,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로 인한 사망자 수는 5,000만명을 넘어섰다(KCDC, 2020).

(14)

코로나19의 전파경로는 SARS 및 MERS와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사 람 간 밀접접촉에 의한 전파로 발생하며 기침이나 재채기와 같은 호흡기 비 말, 오염된 물건의 접촉 후에 눈, 코, 입을 통한 감염이다. 이에 코로나19은 MERS사태와 같이 병원 내 의료진들 중에 간호사는 감염될 위험성이 상대적으 로 높을 것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MW), 2016). 이는 병원인력의 30~50%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사가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감염예방 및 감염관리활동을 수행해야 하며, 필수적인 인력이 라 할 수 있다(최영은, 이은숙, 2019). 감염병 지식 부족은 대만에서 발생한 SARS 환자간호거부를 일으키는 한 가지 요소로 작용 할 수도 있으며(Nai-Ying Ko, Ming-Chu Feng, Dan-Ying Chiu, Mei-Hsin Wu, 2004) Ajzen의 계획된 행 위통제 이론에 따르면 지식은 간호사의 지각된 행동통제로 작용하며 환자를 돌보는 의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말하였다(Ajzen, 1991). 이에 지식정 도 및 태도 실무능력에 대한 파악은 교육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자료가 된 다(박계성, 2006).

오랜 시간 언론을 통해 보도되는 신종호흡기감염병인 코로나19의 확진과 사 망 소식은 사회적 불안과 공포를 증가시켰고, 의심 및 확진 환자와 밀접한 접 촉을 하는 간호사들의 불안과 스트레스를 증가시켰다(KCDC, 2020). 실제 SARS 환자 및 MERS 환자를 경험한 간호사는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다(김현진, 박호란, 2017). 이는 신종 감염병 환자 간호 시 스트레스, 불안, 심리적 갈등, 과도한 긴장감등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식 될 것이며(전경자, 최은숙, 2016.) 간호사들의 신종 감염병 환자 거부로 이어질수 있으며 곧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Shiao, Koh, Lo, Lim, & Guo, 2007).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 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신종 감염병에 대해 발생 기전, 전파 양상, 치료법등이 명확하게 밝혀진 게 없어 간호의도가 부정적인 것은 예측이 충분히 가능하다. 이번 코로나19 발생과 같이 전 세계적으로 팬 데믹 상황에 직면한 것처럼 간호사의 자발적인 간호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15)

을 밝혀내 강조함으로써 신종 감염병 대유행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신종감염병 발생이나 유행으로 특수한 재난 상황에선 간호사들의 긍정적 직 업관과 전문가로서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추현심, 2001). 이에 전 문직 간호사로서 소명감, 자신감 및 책임감을 가지며 자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그러함은 간호 대상자에게 전인적이고 질적인 간호를 제공 할 수 있 다(Macintosh J, 2003).

간호전문직관은 전문직으로서 의무, 책임감, 신념에 영향을 미치며(윤은자, 권영미, 안옥희, 2005)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수행시 간호사가 받는 스트레스와 간호의도에도 영향을 미친다(오남희, 2016). 또한 간호사의 확고한 전문직관은 긍정적 이미지와 자신의 일에 대한 가치, 전문성, 진료 분야의 전문성 등에 있 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다(Baek Hc, Kim-Godwin YS, 2007). 따라서 전문직 자부심이란 지식 및 기술적 능력을 갖춘 전문인들에 의한 해당 분야에 서 중요하며 사회적 공헌을 하는 것으로, 간호사의 전문직 자부심은 다양한 요인과 함께 간호사의 본질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라 할 수 있으며 간호전문직 자부심을 간호사의 내재된 규범으로서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은 Ajzen(1985)에 의 해 제안되었는데, 복잡한 인간의 행위 를 예측하기 위한 이론으로 사회·심리 학 분야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 간호학 분야에서 다양한 건강 행동를 파악하 기 위한 이론적 기틀로 활용되었다.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태도(attitude toward the behavior),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지각된 행위 통제 (perceived behavioral control)의 세가지 요인으로 의도와 연관되어 있으며 의도는 행동을 예측하도록 하는 가능성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행동이 가져오 게 할 결과 가능성과 행동의 다른 속성들을 의미하는 행동 믿음에 대한 선호 하거나 선호하지 않는다는 태도를 갖게 한다. 다른 사람들의 규범적 기대를 의미하는 규범적 믿음이 있고 이는 인지된 사회적 압력 혹은 주관적 규범이라

(16)

는 결과를 가져오게 한다. 통제 믿음은 인지된 행동 통제를 가져오게 하는데, 인지된 행동 통제란 행동을 쉽게 혹은 어렵게 할 수 있을 것이란 의미를 갖고 있다.(Ajzen, 2002, 2005). 이러한 노력은 인간 행동을 예측하는 능력의 향상 과 설명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에 코로나19의 원인 및 잠복기, 전파 경로 및 판정기준, 증상 및 치료, 격리 및 해제 등의 지식 변수 요인)을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인지된 행동 통제의 선행적 요인으로 추가하여 기존의 TPB 모델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지식은 개인이 간호수행에 있어 정보에 입각 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린다고 할 수 있으며(Ajzen, 1977) 이는 주어진 행동 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이 중요한 선행 사항이므로 TPB 모델의 구성 요소를 주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들의 코로나19 환 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 되는 지식(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을 치료 행위의 결과에 대한 믿음, 간호사로써 규범적 믿음, 그리고 치료 행위에 대한 확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지식은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 고 인지된 행동 통제의 선행 요인으로 보고자 했다. 또한 간호사들의 내재된 규범과 순응동기로서의 간호 전문직 자부심을 주관적 규범으로 적용 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확장 적용하여 대학병원의 근무 중인 간 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의 관계 를 파악하고 계획된 행동이론 구성요소 중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신종감염병 및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17)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 및 확장하여 간호사의 코로나19 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의 관계를 파악하고 계 획된 행동이론 구성요소와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 제, 간호의도의 정도를 파악한다.

둘째,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및 신종 감염병 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 간호의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셋째,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 제와 간호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간호사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한다.

(18)

3. 용어의 정의

1. 코로나19

1) 이론적 정의: 코로나바이러스는 알파, 베타, 감마 및 델타의 4개의 속 (genus)으로 나뉘며, 인체감염을 일으키는 사람 코로나바이러스(human coronavirus; HCoV)와 포유동물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코로나바이러스로 나뉘 어진다.

2) 조작적 정의: 본 연구에서 코로나19은 HCoV-OC43, HCoV-HKU1, SARS-CoV, MERS-CoV인 베타 코로나바이러스가 호흡기를 침범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말한다(pediatric infection& vaccine, 2020).

2)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1) 이론적 정의: 대상자 자신이 코로나19의 원인 및 잠복기, 전파경로 및 판 정기준, 증상 및 치료, 격리 및 해제방법 등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을 말한다 (질병관리본부, 2020).

2) 조작적 정의: 코로나19 환자 간호수행에 있어 정보에 입각하고 신중한 결정을 내리게 하는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정도를 의미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최영은, 이은숙(2019)이 개발한 도구를 토대로 코로나19 대 응지침을 참고하여 수정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 의 코로나19에 지식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19)

3)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1) 이론적 정의: 대상자 자신이 코로나19에 대해 개인이 갖는 긍정적, 부정 적 평가이며 태도 자체보다 행위에 대한 긍정 혹은 부정적 태도를 의미한다 (Ajzen, 2005). 이에 예방수칙, 유증상자 예방수칙, 행동수칙에 대해 알고 있 으며 예방 하려 하는 행동에 대한 태도이다 (질병관리본부, 2020).

2) 조작적 정의: 태도는 특정 행위에 대해 개인이 갖는 긍정적, 부정적 평 가이며 태도 자체보다 행위에 대한 태도이며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해 지각 하는 태도를 의미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Park(2006)의 도구를 Kim(2017)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최영은, 이은숙(201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 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점수 가 높을수록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말한다.

4) 전문직 자부심

1) 이론적 정의: 전문직은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고 고도의 지식 및 기술적 차원의 사회적 공헌을 하는 직업을 말하며(Ghadirian F, Salsali M, Cheraghi MA ,2014), 자부심은 명예의 개념과 밀접하며, 자아존중감, 자기평가, 자기존 중, 그리고 사회적인식과 존중들을 의미한다(.Steinvorth U, 2016)

2) 조작적 정의: 간호사의 전문직으로 간호에 대한 신념, 관념 및 인상, 간 호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 간호수행 및 직업 자체에 대한 의식적인 견해를 의

(20)

미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재희, 이은희, 김은주(2020)이 개발한 간호 전문직 자부심 측정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사의 전문직 자부심이 높음을 의미한다.

5) 지각된 행위통제

1) 이론적 정의: 지각된 행위통제는 특정 행위를 수행함에 있어 느끼는 용 이함 또는 어려움에 대한 지각이며 선행 요인인 통제신념에 영향을 받는다 (Ajzen, 2005).

2) 조작적 정의: 코로나 19에 대한 치료 행동, 예방 행동 지식을 알고 이를 실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의미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혜라 등(2005) 의 도구를 이지연(2018)이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코로나19의 환자 간호 를 수행하는데 있어 자신감을 느끼며 간호 수행이 용이하다고 지각함을 의미 하며, 코로나19 환자 간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이 강함을 의미 한다.

6) 간호의도

1) 이론적 정의: 간호의도는 환자를 간호하고자 하는 간호사의 의지로 간호 행위 수행을 얼마나 자발적으로 하는지에 대한 의사이다(이종경, 2001; 정선영 등, 2015).

(21)

2) 조작적 정의: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간호수행에 있어 자발적으로 간호 에 참여 또는 마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혜라 등 (2005)이 개발한 “SARS 환자 간호의도 예측도구”를 이지연(2018)이 신종 감 염병 환자 간호의도 측정을 위하여 수정 및 보완한 도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점수가 높을수록 간호 사의 코로나19에 대한 간호의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22)

Ⅱ. 문헌 고찰

1. 코로나19와 간호의도

신종감염병은 기존 병원체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 새로운 질병 또는 이전에 알고 있던 감염병으로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새로운 지역에서 유행하는 감염 병을 일컫는다(KCDC, 2014). 일반적으로 세균학의 발달로 감염병의 원인이 규 명되면서 급성감염병의 위험이 감소하였으나 기후변화, 생태계 변화, 인간의 생활 습관 변화, 증가된 국제 여행 및 상업, 기술 및 산업발달등 사회적, 경제 적, 환경적 요소가 다양하게 변화하면서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Morse, 1995; Oaks et al., 1992) 오늘날의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와 같은 신종바이러 스에 의한 신종감염병의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위협 요인은 활발한 국제 교 류로 인해 더욱 가중 될 것이며 따라서 신종감염병의 출현 또한 증가될 것이 라 예상할 수 있다.

새롭게 발생한 신종호흡기감염병인 코로나19는 2019년 12월, 중국 후베이 성 우한의 화난 남중국해 산물시장으로 부터 원인 불명의 폐렴 증상으로 부터 발생하여 우한 폐렴이라고 불리었으나, 2020년 1월 7일 중국질병통제센터 (Center for Disease Control)에서 시행한 인후 면봉 샘플에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SARS 바이러스 및 MERS 바이러스 와는 다르지만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밝혔다(Gralinski LE, MEnachery VD, 2019, KimJY, 2020). WHO는 이에 의한 질병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로 명명하였으며(WHO, 2020), 우리나라는 코로나19로 정의하 였다.

코로나19 감염 증상은 약 5.2일의 배양 기간 후에 나타난다(Q. Li, X. Guan, P. Wu, X. Wang, L. Zhou, Y, 2020). 코로나19 증상의 발병에서 사망까지의

(23)

기간은 6일에서 41일 이며, 평균 14일 정도가 나타났다(W. Wang, J. Tang, F.

Wei, 2020]. 이러한 기간은 환자의 연령과 환자의 면역계 상태에 따라 다르며, 70세 미만의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70세 이상의 환자에서 더 짧았다(W.

Wang, J. Tang, F. Wei, 2020).

코로나19의 가장 흔한 증상은 열, 기침 및 피로이며 다른 증상으로는 가래 생성, 두통, 조혈, 설사, 호흡곤란 및 림프구 감소증, 기타 상부 호흡기증상이 있다(L.L. Ren, Y.M. Wang, Z.Q. Wu, Z.C. Xiang, L. Guo, T. Xu, 2020).

경증 증상이 있는 환자는 양성 징후가 나타나지 않을수 있으며, 심한 상태 의 환자는 호흡곤란, 폐의 축축한 찰과상, 호흡 음 약화, 타악기의 둔탁함, 촉 각 언어 떨림의 증가 또는 감소 등을 가질 수 있다(MMR, 2020). 그리고 코로 나19로 감염된 환자는 더 높은 백혈구 수, 비정상 호흡기 발견 및 증가된 혈 장 전 염증성 사이토 카인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또한 C-반응성 단백 질이 평균 16.16mg/L 으로 정상범위(0-10 mg/L)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높은 적혈구 침강속도 및 D- 이량체도 관찰 되었다(J. Lei, J. Li, X. Li, 2020).

코로나바이러스의 전파는 살아있는 동물이 일상적으로 판매되는 우한시에서 발생하여 동물원성 근원일 가능성에 대해 말하였다. 초기에는 코로나19의 매 개체가 될 수 있는 두 종류의 뱀을 발견하였으나 포유류와 조류 이외의 코로 나 바이러스 매개체에 대한 일관된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M. Bassetti, A.

Vena, D. Roberto Giacobbe, 2020,W. Ji, W. Wang, X. Zhao, J. Zai, X. Li, 2020). 코로나19의 게놈 서열 분석에선 2개의 박쥐 유래 중증급성호흡기증후 군(SARS)와 코로나바이러스에서 88%의 동일성을 보여 주었는데 이러한 결과 는 포유류가 코로나19과 인간 사이의 매개체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을 나타 내주었다. 따라서 코로나19가 인간, 박쥐 및 야생 동물을 감염시키는 SARS-CoV를 포함한 베타 코로나 바이러스 속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 을 알 수 있다(N. Zhu, D. Zhang, W. Wang, X. Li, B. Yang, J. Song, 2020).

사람과 사람 간의 전파는 우한의 시장을 방문하지 않은 가족과 사람들 사이에

(24)

서 발생한 사례에 의해 뒷받침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주었다(W.G. Carlos, C.S. Dela Cruz, B. Cao, S. Pasnick, S. Jamil, 2020, P. Wu, X. Hao, E.H.Y.

Lau, J.Y. Wong, K.S.M. Leung, J.T. Wu, 2020). 사람 대 사람의 전염은 주로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또는 감염된 개체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퍼지는 물 방울을 통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양성 유무의 진단 방법은 병원성 증거 중 하나가 확인 된 경우 이다(WHO, 2020). 호흡기 또는 혈액 샘플에서 핵산에 대한 실시간 PCR 테스 트로 2019-nCoV에 양성이 나오거나(Li L, Ren MJ, Zhang YY, Li WQ, Zhao HY, Liang LC, 2020). 바이러스성 유전자 시퀀싱에서 확인한다(General Office of National Health Committee, 2020).

현재 코로나19 감염의 확산에 따라 다양한 치료를 시행하였다. 아직까지 코 로나19 감염의 치료법에 대한 항 바이러스 약물 또는 백신은 없는 상태이다.

사용 가능한 유일한 옵션은 Nucleoside 유사체와 같은 광범위한 항 바이러스 약물과 항 바이러스가 이용 가능해질 때까지 바이러스 감염을 약화시킬 수 있 는 HIV-단백질 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다(MMR, 2020). Neuraminidasse 억제 제, 펩티드 (EK1), RNA 합성 억제제, 코로나19 감염 치료를 위한 새로운 화학 요법 약물을 식별하기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환자는 효과적인 격리 및 보호 조건을 갖춘 지정된 병원에서 치료해야 하며, 의심되는 사례는 싱글 룸에서 별도로 처리해야하며, 확인 된 사례는 같은 병동에 입원해야하며, 중요한 경우엔 가능한 ICU에 입원 해야 한다(MMR, 2020).

코로나19의 발생은 2020년 1월 29일 중국 본토에서 5,974건의 코로나 바이 러스 사례와 132명의 사망자를 보고하였으며 (National Health Commiss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20). 태국, 일본, 우리나라 등에서도 감염이 확인되었다(Gralinski LE, MEnachery VD, 2019, KimJY, 2020). 초기에는 SARS 및 MERS 보다는 덜 심각하게 생각 되었으나 급속도로 증가하며 감염 발생이

(25)

질병 및 인간 대 인간 전염의 양상이 증가함에 따라서 SARS 및 MERS보다 감 염성이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로 확인된 후 채 3개월이 되기도 전인 3월 11일에 약 114개국으로 감염이 확산되었고, 4,000명 이상이 사망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에 WHO는 2020년 3월 11일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세계 적 대유행(pandemic)을 발표하였다(WHO, 2020). 이는 1968년 홍콩 독감, 2009 년의 신종플루에 이어 세 번째이였으며, WHO 이전의 페스트, 콜레라에 준하 는 또는 그 이상의 위험성을 의미하는 것을 나타낸다.

2020년 5월, 219개국, 543만 명 이상의 감염자를 발생시키며 전 세계로 확산 되었으며, 코로나19의 빠른 확산과 영향력 증가로 SARS보다 더 큰 영향을 주 고 있다(정영식 등, 2020). 이처럼 신종감염병의 발생 위험성은 증가하며 이에 따른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함을 보여주며(KCDC, 2016) 감염병 환자의 최 일선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행위에 대한 두려움과 걱정은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국내의 경우 2015년 5월 MERS 확진환자가 처음 발생 후 의료기관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된 것을 볼 수 있었고 신종감염병 전파의 특성상 지역 사회 감염은 드물고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유행이 확산 되는 경우에 감염 확산 을 막고 감염에 노출될 확률이 높은 의료인 사이에서 직접적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의 대응 및 간호의도는 중요 할 것이다(전경자, 최은숙, 2016).

간호의도는 간호사가 환자에 대한 간호행위 수행을 얼마나 자발적으로 하는 지에 대한 의지이다(이종경, 2001). 간호의도를 파악하는 것은 신종감염병 대 유행과 같은 위기 상황속에서 간호사의 불안, 스트레스를 낮추거나 간호의 질 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호의도에 대한 선행연구 에 따르면 간호사의 불안감, 피로도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간호의 질이 저하된다는 결과(이명준, 윤석한, 조영채, 2015)가 있었으며 MERS 당시에도 간호사 인력의 부족으로 비자발적으로 관련부서에 배치되거나 타 병원으로 파 견되는 일이 발생하여 두려움과 스트레스가 증가한(전경자, 최은숙, 2016) 연

(26)

구와 비자발적으로 중환자실, 응급실과 같은 고위험 부서에 근무하는 경우에 도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을 더 크게 나타나는(Chen et al., 2005; Stryra et al., 2008) 연구들이 있었다. 이와 같이 신종감염병은 숙련되고 전문적인 간호인력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자발적인 간호의도를 파악 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신종 감염병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MERS, 신종인플루엔자, SARS 등의 질병으로 국한 되어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소 또한 간호사의 경 험 및 인식(Chen et al., 2005; Khalid et al., 2016), 보호장구 착용의도(김경남, 이옥철, 2016), 감염관리 인식(김미자, 2017)등에 국한되어 있다. 이에 현재까지 도 발생하고 있는 코로나19와 간호의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2. 코로나19 간호행동에 대한 태도

합리적행위이론(TRA)에 따르면 인간의 의지적인 행위는 그 행위를 수행하 고자 하는 신념, 태도, 의도를 통해 예측하며, 의도는 행위 결정에 가장 주요 한 인자이며 하려는 의도만 있으면 인간은 그 행위를 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Ajzen & Fishbein, 1980). 이에 행위에 대한 태도는 행위 신념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정 행위 수행 시 나타나는 결과에 대한 믿음이다(Ajzen, 2005).

Allport는 태도란 정신적, 신경적 준비상태로서 경험을 통해 조직되고 관련 된 모든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개인의 행동에 직접적 혹은 역동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윤혜상, 한미경, 1998, 재인용). 태도의 구성요소 에 대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학설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태도는 어떠한 일정 한 조직구조 내지는 체계를 갖고 있고 또한 그 조직구조는 대체로 3가지 구성 요소들로 조직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모든 학자들의 공통된 견해이다.

코로나19와 같은 특정 사건이나 질병에 대한 태도 혹은 개인의 입장, 질병

(27)

에 대한 지식 등은 신체건강 및 건강증진행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 (Jeong, Cho, & Yoo, 2009). 코로나19는 신종감염병으로서 많은 사람이 감염 되거나 사망하는 문제를 발생시켰으며 이러한 소식은 사회적으로 불안과 공포 를 야기시켰다. 의료기관에서 의료행위를 수행하는 의료진 또한 불안과 스트 레스가 증가 되었으며 SARS 환자 및 MERS 환자를 경험한 간호사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았다는 선행연구(김현진, 박호란, 2017), 결과와 마찬가지로 새롭게 발생한 코로나19 또한 중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보인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예방을 위해 여러 가지 조치가 시행되어졌다. 양성 환자와 밀접한 접촉, 의심스러운 노출을 가진 사람은 마지막 접촉일 또는 환경 노출로부터 시작되는 14일의 건강관찰 기간을 가지며 (KCBC, 2020), 기침, 숨가쁨 또는 설사와 같은 증상, 특히 열,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게 하였다. 우발적 접촉에 노 출 된 사람, 의심되거나 확인된 환자에 대한 낮은 수준의 노출, 즉 일상 활동 을 수행 할 때 잠재적인 증상을 확인한 사람에 대해서는 접촉 감시를 수행하 였다. 확진된 환자는 우선적으로 N95마스크를 착용 하며, 대체적으로는 일회 용 수술용 마스크를 사용하게 하였으며(MMR, 2020). 감염 의심자는 병원으로 이동시 대중 교통을 이용하지 말고, 구급차 또는 개인 차량을 선택하고, 병원 으로 가는 도중 환기를 위해 차량 창문을 열도록 하였다(MMR, 2020). 길을 걷 거나 병원에서 대기 할 때는 다른 사람(1m 이상)을 멀리 하고 마스크를 착용 하며(MMR, 2020) 의심되는 경우 병원에 방문하기 전에 지역사회 또는 질병관 리본부에 알리며, 사용된 차량은 500mg/L 염소 함유 소독제로 청소하고 소독 해야 하며 환기를 위해 창문을 열도록 했다(MMR, 2020). 살아있거나 죽은 동 물 또는 박쥐, 다른 야생 동물과의 긴밀한 접촉은 피하며(J.A. Jaimes, J.K.

Millet, A.E. Stout, N.M. Andre, G.R. Whittaker, 2020,D.S. Hui, E. IA, T.A.

Madani, F. Ntoumi, R. Kock, O. Dar, 2020), 가능한 불필요한 여행을 자제 하

(28)

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티슈 나 소매로 입과 코를 가리도록 하였다(C.

Huang, Y. Wang, X. Li, L. Ren, J. Zhao, Y. Hu, 2020). 그리고 적어도 30초 동안 비누와 물로 손을 씻으며, 비누와 물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알코올 기 반 손 소독제를 사용하도록 하였다(KCDC, 2020).

이처럼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노력들이 있었으며 앞선 선행연구 결 과에 나타난 것과 같이 신종감염병 환자에 대해 간호수행 하는 간호사들의 스 트레스, 불안, 심리적 갈등, 과도한 긴장감등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으로(전경 자, 최은숙, 2016), 인식 되는 것을 방지하며 환자 거부로 이어질 수 있는 상 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 적용하여 주 요 변수들이 행동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예로 헌혈의도(Robinson NG et al. 2008; Lemmens KP et al. 2005)에 대 한 연구에서 다양한 유형의 주관적 규범, 헌혈에 따른 후회감, 헌혈 지식등을 포함한 헌혈의도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지식은 행동 결정에 있 어 영향을 미치며 헌혈 과정의 잘못된 이해를 개선시켜 헌혈에 대해 쉽게 접 근 하여 헌혈을 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증가시키고 의도 또한 간접적으로 영향 을 미친다 하였다. 즉, 계획된 행동이론의 선행요인인 태도, 자기효능감, 주관 적규범은 모두 사람들의 이해와 관련이 있으며 지식은 앞선 선행요인에 대해 강화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보았다. 이에 대해 지식이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Shiao, Koh, Lo, Lim, & Guo, 2007), 하나의 요인으로 생각되는 태 도에 대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며 미치는 영 향요인을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29)

3. 전문직 자부심

간호 전문직 자부심은 간호사가 자신의 업무를 지속적이며, 성공적으로 수 행하면서 느끼는 긍정적 감정이며, 간호사의 지위를 향상시키고 간호사의 역 할을 확고히 하고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신념과 관련이 있다(전재희, 이은희, 김은주, 2020). 전문직 자부심(professional pride)을 가진 사람은 업무에 있어 전문적일 뿐만 아니라 선의의 감정을 가지고 품질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자신 의 일에 대해 만족하고, 다른 사람 또한 전문직 자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일에 헌신하는 사람에 대해 신뢰, 긍정적인 인식 등을 보여주며, 이러한 긍정적인 반응은 다시금 매우 큰 동기부여가 된다(Honingh M, Trommel W, Brandsen T.

Thijs Jansen, Gabriël van den Brink, 2012).

전문직 자부심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이나 자신의 업무를 귀하게 생각하며 업적이나 특성을 공개적으로 주장한다(Honingh M, Trommel W, Brandsen T.

Thijs Jansen, Gabriël van den Brink, 2012). 또한 자신의 성공에 대한 자부심 은 업적을 위한 긍정적인 행동을 유발하고(Herrald MM, Tomaka J, 2012), 진 실하고 뿌리 깊은 자부심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Tracy JL, 2007).

우리나라보다 MERS 사태를 먼저 경험한 사우디아라비아 경우 당시 감염노 출 고위험 부서에서 근무한 117명의 의료진 중 96%가 두려움과 불안을 느꼈 음에도 의료진의 94%가 자신의 직업적, 윤리적 의무로 환자를 돌봐야 하는 책 임감을 느꼈다고 답하였다(Khalid, Khalid, Qabajah, Barnard & Qushmaq, 2016). 선행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의무, 책임감 및 신 념은 SARS, 인플루엔자, 에볼라 등 감염병 환자를 돌보는 데 있어 영향을 주 는 요인으로 제시되어 있어(Damery et al.,2010; Kim & Choi, 2016b) 전문직관 은 규범적 신념이 사회적 압력이나 주관적인 규범을 초래 하는 것을 미루어 볼 때 동료 간호사와 타 의료인의 기대에 따른 간호사의 내재된 규범으로 볼

(30)

수 있다. 이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선행요인인 주관적 규범으로서 작용 할 것 으로 보여진다. 선행연구(Michael Jay Polonsky, 2013)에서 지식이 높은 사람은 사회적규범이 강할 것이며 긍정적인 태도 또한 나타낼 것으로 말하였다. 이에 간호사라는 전문직으로써 지식과 코로나19 환자 간호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알 아야 할 것이며 이는 전문직 자부심이 높이는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문직관 뿐 아니라 자신의 직업에 대한 자부심 또한 중요하고 필요하 다.

자부심(pride)은 자신을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가를 반영하는 개인 적 평가, 또는 개인의 자신의 가치에 대한 판단을 반영하는 능력의 정도로 정 의한다(Pierce JL, Gardner DG, Cummings LL, Dunham RB, 1989). 자부심은 평소의 생활 모습과 삶을 변화시키는 사회적 행동이며 중요한 감정으로(Tracy JL, Robins RW. 2007). 개인의 자부심은 본질적으로 자신의 일의 질, 적절한 존엄성 또는 가치관 및 업무성취에 대한 자기 존중감과 같은 개인의 업적에 의존한다(Bouckaert G, 2001). 즉, 자부심은 명예(honor)의 개념과 밀접하며, 자 아존중감(self-esteem), 자기평가(self-appreciation), 또는 자기 존중 (self-respect) 그리고 사회적 인식과 존중들과 유사하다(Steinvorth U, 2016).

또한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조직적 차원의 지원과 인정, 직업을 통한 인격적 성숙, 존중 및 인정의 인간관계,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책임감, 직업의 안정성 과 보람 그리고 전문적 역량 발휘라는 요인이 포함되는 것을 볼 때(Lee Bs, Eo YS, Lee MA, 2018), 전문직 자부심은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밀접한 관계라 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직 자부심에 대한 개념과 예를 소개한 저서(Honingh et al, 2012)에 나타 나는 Heyl 이라는 간호사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동기로 간호사가 된 이후 다양한 의료분야에 대한 경험과 교육 훈련 과정, 연구를 지속 하며 의료 분야에서의 다양한 직책을 통해 많은 활동을 하였는데 1980년대 당시 간호사 의 지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인 환자를 돌보는 사람들을 훈련시키

(31)

기 위한 통합 학습 프로그램을 발전시켰다. 이는 간호, 간호의 역사, 윤리 및 사회학을 통합한 프로그램 이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훗날 Heyl의 생각과 철학, 행동이 간호에 있어 전문직 자부심을 가진 예로 제시되고 있다(Honingh M, Trommel W, Brandsen T, 2012). 선행연구에서 밝힌 것과 같이 간호사의 전문직관의 확립은 간호사 스스로의 만족감을 가지게 하며 전문직관을 가지고 있을 때 의료현장서 다양 한 직종의 전문인들과 조화를 이루며 질 높은 간호의 제공과 효율적인 간호업 무를 수행 할 수 있을 것이다(권영미, 윤은자, 2007). 또한 간호전문직관은 위 기상황 대처에 있어 영향을 미치며(김미란, 2008), 간호업무수행 의도에도 영 향을 미친다(김수정, 2019). 이처럼 코로나19와 같은 새로운 신종감염병이 나 타나면서 사회적 재난의 위기관리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간호전 문인으로서 자발적인 간호의도를 가지고 질 높은 간호를 수행하기 위해선 간 호 전문직 자부심을 높이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 계획된 행동이론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Action, TPB)는 행위를 인간의 완전한 의지적 통제(Volitional control) 아래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TPB는 지각된 행 위통제 개념을 소개함으로써 완전한 의지적 통제 하에 있는 행위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발적 의지대로 수행할 수 없는 행위까지도 예측하는데 유용한 이론 으로 평가받고 있다(Armitage & Conner, 2001).

계획된 행위이론(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은 인간 행동의 결 정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이론이며 합리적 행위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TRA)에서 확장 발전된 것이다. TPB는 TRA의 주요 구 성요소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지각된 행위통제(Perceived behavioral

(32)

control: PBC) 요인을 추가한 것으로 자신의 통제 하에 있지 않은 행동의도 또는 행동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am et al, 2004). 따라서 Ajzen(1991)이 TPB에서 제시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 결정요인은 태 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이다. TPB는 개인이 특정 행동에 대하여 보다 더 호의적 또는 긍정적 태도를 가지면 가질수록, 행동과 관련하여 중요 한 사람들의 압력이 크면 클수록, 그리고 행동수행에 대해 본인의 통제력에 대한 확인이 크면 클수록 특정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의 의도가 더욱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보여진다(Kim, 2012). TPB는 건강관련 행동으로서 금연 행위(Jin, 2001), 섭식행동(이민규 등, 2001), 예방접종 행위(유석조 등, 2010), 음주행동(심성욱 등, 2008)등의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이외에 안전에 관하여 음주운전에 대한 의도(한덕웅, 2001), 안전벨트 수행의도(Simsekoglu et al, 2008)등 인간의 다양한 행동에 적용되어 왔으며 그 타당성과 이론의 유용성이 검증된 바 있다(손영곤 등, 2012). TPB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인 간의 행위는 의도와 지각된 행위통제에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의도는 세 가지의 핵심 요인인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관련 성이 있다.(Ajzen, 2005). 의도를 예측하는 세 가지 결정요인은 각각의 신념 (belief)을 기초로 한 선행 요인을 가진다. 이와 같은 내용을 도식화 하면 <그 림1>과 같다.

<그림1.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관계 모형(Ajzen, 2005)>

(33)

행위에 대한 태도는 특정 행위에 대해 개인이 갖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이 며 태도 자체보다 행위에 대한 태도를 강조한다(Ajzen, 2005). 주관적 규범은 특정 행위를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는데 있어 개인이 주관적으로 느끼 는 사회적인 압력이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행위 수행의 용이함 및 어려움에 대한 지각이며 방해 및 촉진 요인에 대한 스스로의 조절인식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다(Ajzen, 2005). 하지만 TPB가 기존 행동이론들에 비해 행동 의도나 실질적 행동 예측을 위한 보다 우수한 이론으로 나타났지만(Lam, 2004) 특정 상황에서는 TPB의 세 주요 구성요소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이외에 지식(Ko et al., 2004), 도덕적 규범(차동필, 2010), 습관(송민호 등, 2014)등의 변수들이 구성요소에 추가될 때 행동 의도 및 행동 예측력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an et al, 2010). 이러한 TPB의 한계에 대해 지적이 제 기 되면서 TPB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주요 세 가지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 범, 지각된 행위통제 이외에 추가적으로 행동 의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측되는 다른 변인들을 포함한 확장된 계획행동 모델을 검증하는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졌다.

TPB는 다양한 상황에 맞게 변형되었고(Perugini, 2001; Han et al, 2010;

Bansal et al, 1999) 이러한 노력은 기존의 TPB보다 특정 상황에서 인간 행동 을 예측하는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호주에서의 헌혈에 대한 의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기존의 TPB 모델에서 신념에 대한 요소로서 지식을 적용한 결과 헌 혈에 대한 지식이 주관적 규범, 자기 효능감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에 대한 선행 요소로서 작용한다고 말하였다(Michael Jay Polonsky, 2013). . 지식은 개인이 간호수행에 있어 정보에 입각하고 신중한 결 정을 내린다고 할 수 있으며(Ajzen, 1977) 이는 주어진 행동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이 중요한 선행 사항이므로 TPB 모델의 구성 요소를 주도 해야 함을 시사한다.

(34)

신종 감염병의 출현과 더불어 계획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 환 자 간호의도를 설명한 연구들이 발표되었는데,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SARS 환자 간호의도를 설명한 Kim et al. (2006), 대만 간호사를 대상으로 SARS 환 자 간호의도에 대한 Ko et al. (2004) 연구가 있었으나, 국내 간호사의 간호의 도를 설명한 Kim et al. (2006)의 연구에서는 실제로 SARS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비율이 4.4%로 극히 적어 간호의도에 대한 연구 파악이 어려웠으며, MERS 사태 이후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국내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찾아보 기 어려웠다. 이외에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연구들 중 계획된 행위이론 변수중 주관적 규범이 행위 의도 예측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손영곤, 이병관, 2012; Armitage & Conner, 2001).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자기정체성, 집 단규범, 도덕적 규범과 같은 규범 변수를 추가한 연구(차동필, 2010; Mason &

White, 2008)에서 약 1~4% 정도의 행위 의도 설명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냈 다(차동필, 2010).

간호 전문직 자부심은 간호사의 전문직으로 간호에 대한 신념, 관념 및 인 상, 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 간호수행 및 직업 자체에 대한 의식적인 견해 (윤은자 등, 2005)이며, 간호사는 전문직관에 따라 윤리적 의무와 사회적 책임 감 등으로 환자 간호에 참여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50~70%에 달한 것(Barr et al., 2008;Damery et al., 2010: Grimes & Mendias, 2010)으로 미루어 볼 때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에게 내재된 규범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간 호사들의 전문직관에 대한 요소를 추가로 적용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수가 매우 적었으며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되어진 전문직관이 아닌 도구로 측정한 것이 대부분 이였다.

종합적으로 주관적 규범은 행위자 스스로가 행동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서 나아가 그 행동에 대한 행위자 주변사람들의 평가를 의미(Ajzen, 1975)하는 것 으로 간호사의 간호수행에 대해 다른 의료진을 비롯하여 동료 간호사를 통해 평가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집단의 의견에 대해 간호사 자신이 지각하는 정도

(35)

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환자 간호라는 수행이 직업적 의무 감 및 사회적으로도 기대에 부응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감을 가지는 행위로 미 루어 볼 때 간호사 자신의 사회적인 압력을 나타내는 주관적 규범에 대해 사 회적 인식과 존중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 자부심이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PB 이론의 핵심 요소 중 주관적 규범에 간호사 대상 으로 개발되어진 간호 전문직 자부심 도구를 사용하며 간호사의 내재된 규범 및 순응 동기로서 작용 할 것으로 예측되며 간호사와 가까운 주변 사람들의 평가에 따른 간호사 자신의 지각 정도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 되어 TPB 이론 에 확장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확장 적용하며 최 근 국내 상황을 반영하고 다른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던 간호사의 전문직 자부심 요소를 주관적 규범에 적용하여 간호의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행위에 대한 태도에 코로나19 태도 정도로 보았으며, 이 에 따라 간호 행위 의도 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기대 한다. 주관적 규범으로는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가 가지는 규범과 순응동기로 볼 수 있는 간호 전문직 자부심으로 보았으며, 행위 수행에 따른 용이함이나 어려움에 대해 스스로의 조절인식 하는 지각된 행위통제는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의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지식과 간호사로서의 코로나19에 대한 자신감, 즉 간호를 수행하는 활동이나 믿음과 같은 자기효능감과 유사한 지각 된 행위통제로 보았다. 이와 같은 내용을 도식화 하면 <그림2>과 같다.

(36)

<그림2. 본 연구의 연구모형>

(37)

Ⅲ.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800병상 이상의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의 S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대상으로 계획된 행동이론을 확장 적용하여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의 관계를 파악하고 계획된 행동 이론 구성요소 중 코로나19 환자 간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 연구이다.

가설 1.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전문직 자부심, 지각된 행위통제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간호사의 코로나19에 대한 태도가 높을수록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간호의도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간호사의 전문직 자부심이 높을수록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간호의 도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간호사의 지각된 행위통제가 높을수록 코로나19 환자에 대한 간호 의도가 높을 것이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시 소재의 S대학병원에 재직중이며 근무년수가 만 1년 이상이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간호사 로 총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조

관련 문서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o do effective nursing that impro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early-stage lung cancer patients, nurses should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s and work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COVID-19: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Therefore, nurses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relations to resolve the needs of care between nurses and patients a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s,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stress of general hospital nurses after the epidemic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infe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In order to extract the factors of brand personality, prior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s of consumer behavior theory and psychology was performed. The

Note: Figures are estimated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y are standardized for sex and age with reference

Third, a Difference in Differences (DID) regression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scores of care services in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