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5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석사학위논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심 연 희

(3)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s and Working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s

년 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심 연 희

(4)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지도교수 류 소 연

이 논문을 보건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년 월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보 건 학 과

심 연 희

(5)
(6)

목 차

표 목 차

ABSTRACT

서론

I. 1

연구의 필요성

A. 1

B. 연구 목적 3

연구방법

II. 4

연구대상

A. 4

조사방법

B. 5

분석방법

C. 7

III. 연구 결과 8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특성 분포

A. 7

일반적 특성

1. 9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

2. 11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이직의도

B. , , , 13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이직의도 수준

1. , , , 1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C. 1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

1. 15

대상자의 병원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

2. 17

D. 대상자의 특성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아직의도의 상관관계 분석 , , , , 19 대상자의 병원 특성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

1. 19

(7)

2.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간의 이직의도 상관관계 , , 2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이

3. , , ,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23

고찰

IV. 25

요약 및 결론

V. 30

참고문헌 32

부록 36

(8)

표 목 차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10 Table 2. Job related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12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14

Table 4. Comparisons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16

Table 5. Comparison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job related

characteristics 18

Table 6. Correlation coefficients of number of nurses, nursing assistants, caregivers, and doctor with turnover intention 20 Table 7. Correlations coefficients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 working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22 Table 8.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coping method nursing and working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study subjects 24

(9)

ABSTRACT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s and Working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im, Yeon-hee

Advisor: Prof. Ryu, So Yeon, M.D, Ph.D.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Health Science, Chosun University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s and work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7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n Gwangju.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mposed of general, work-related, hospital characteristics,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s,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The used statistical analysis wer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 corralation of geriatric nursing-related stress (r=0.119, p=0.016), geriatric patient-related stress (r=0.184, p<0.001), guardians-related stress (r=0.150, p=0.003), positive perspective (r=-0.109, p=0.028), self realization (r=-0.254, p<0.001), workload(r=0.142, p=0.004), conflict(r=0.258, p<0.001) and nervousness(r=0.205, p<0.001), respectively. The associated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geriatric patient-related stress ( =0.216, p=0.034), self-realization ( =-0.227, p<0.001),β β

(10)

workload ( =0.145, p=0.015), conflict ( =0.192, p<0.001), nervousness (β β β

=0.198, p=0.011), living with elderly ( =0.319, p=0.007) and religion (β β

=-0.128, p=0.040),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sult shows that perceived geriatric patient-related stress and working environment we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ir turnover intention.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to reduce the related factors that causes the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and to mak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working environment of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s.

Key words: Coping methods,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Turnover intention, Working environment,

(11)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A.

우리나라는 2000년을 기점으로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7%를 차지하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5년 13.2%, 2020년 15.7%에서 2060년에 40.4%로 급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추정된다 통계청( , 2017). 이에 따라 뇌혈관 질환 고혈압 악성 신생물, , 등과 같은 만성 질환에 관련된 노인의 비중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함께 노인 돌봄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준, 비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유은영( , 2007).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는 고령의 노인이나 노인성 질환을 앓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에게 신체 활동 또는 가사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장기요양 급여 형식의 사회보험 제도로 2001년 월부터 시작되었다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하에서 노인에 대한 요8 . 양 서비스는 급성기 병원이 아닌 노인 요양병원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장기요양, 의료서비스 수요 증대로 그에 따른 노인요양병원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년 개 병원으로 시작하여 년 전국 개 요양병원으로 약 배로 증

2002 54 2015 1,229 22.7

가하였다 건강보험심사평원( , 2017).

요양병원의 의료서비스는 단기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급성기 병원의 의료서비 스에 비해 서비스의 강도는 낮으나 장기적으로 반복적인 특징이 있다 조항석, ( , 2015).

요구되는 서비스와 대상의 차이에 따라 요양병원은 급성기 병원과는 다른 임상환경 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간호인력의 구성원에 있어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요양병, . 원의 간호인력은 노인질환자와 요양병원의 증가와 함께 수요가 급증하였다 병원에서. 간호사는 의사와 함께 환자의 질병을 관리하는데 있어 핵심인력이지만 요양병원은, 간호사가 매우 부족한 실정으로 심미라와 김계하( , 2010),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보건복 지부에서는 2008년부터 간호조무사를 요양병원의 간호 보조인력으로 인정하고 간호 조무사가 간호사를 일부 대체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허용하고 있으며 김윤미 등( , 간호사 인력의 분의 범위 내에서 간호조무사를 간호인력으로 대체할 수

2014), 3 2

있다 김명희와 정추영( , 2014).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는 간호서비스 외에 사물을 판단하는

(12)

인지기능 및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노인 및 만성 질환자들에게 필요한 식사보조, 운동보조 개인위생 간호보조 배설보조 동반산책 투약 및 검사보조 등의 일상생활, , , , , 보조업무도 포함되어 이를 수행하는데 있어 업무의 과중함을 호소하며 높은 수준의, 이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은숙( , 2009; 박영옥 등, 2009; 강순남, 2012). 우리 나라 간호사의 실제적인 이직률은 2014년 16.9%에 이르고 있며 의료기관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 9.4%, 종합병원 19.1%, 병원 18.9%, 요양병원 19.9%으로 요양병원의 이직률이 높은 편이며 박수경 등( , 2014), 지방에 소재한 병원이나 중소병원 등의 간 호사 이직률은 서울 소재 병원이나 대형병원에 비해 훨씬 높아 지방에 소재한 요양 병원의 간호인력 확보는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이윤태 등( , 2008).

간호인력의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간호인력의 이직은 단순히 조직 구성원의 순 환이라는 측면의 차원을 넘어서 양질의 인력확보에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새로운, 인력의 충원과 훈련 및 기존 근무자의 초과 근무 등에 따른 비용 지출을 증가시키고 있다 또한 이직한 간호사 자신에게도 직무 전환에 따른 스트레스 전직 비용 부가. , , 급여 상실 등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박현숙( ,

이금숙 이은희 등 한상숙

2002; , 2004; , 2007; , 2009).

기존의 연구를 통해 보고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으로는 인구학 적 특성을 비롯하여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 직무관련 스트레스 직무 만족도 소진, , , , 자존감 역할갈등 간호사의 임파워먼트 및 간호 업무성과 등이 보고되었다 조은주, , ( ,

박영옥 등 김종란과 김계하 강순남 김경숙과 박희옥

2007; , 2009; , 2010; , 2012; ,

이민우 등

2016; . 2016).

간호인력의 스트레스란 간호업무를 수행하는 동안 경험하게 되는 여러 가지 내외 적 자극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평가에 의해 나타나는 심리적 혹은 생리적 부담감으 로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말한다 박하얀· ( , 2011). 요양병원의 일상 돌봄이 끊임없 는 요구되는 상황 보호자의 무관심이나 과도한 간섭 노인질환에 대한 낮은 이해도, , , 인간관계의 보조화로 인한 갈등요인들은 간호인력들의 업무에 대한 의욕상실로 이어 져 이직의도와 이직률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강순남( , 2012).

스트레스의 대처방법은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따라 문제 상황에 직 면했을 때 개인이 행하는 대처능력을 말한다(Lazarus와 Folkman, 1984). 노인환자 를 주로 간호하는 인력에 있어 노인 간호 스트레스는 직무와 관련이 주요 스트레스 이다 그러나 인지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력에는 개인차가 있으며 대처방법도 개. 인마다 다를 있다 정배선( , 2014). 이에 요양병원 간호인력이 노인간호 과정에서 받게

(13)

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법을 알아보고 대처방법이 이직에 영향을 주는 지를 확, 인하는 것은 이직관리를 위해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의 근거는 아직.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관련된 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

업무환경은 업무를 수행하는 조직 또는 현장 분위기로서 조직이 조직체계를 유지 하는 방식 의사결정 참여와 자율성 증진을 통한 성장 기회제공 업무수행과 관련된, , 속성을 말한다(Moos, 1994). 업무수행에 따른 스트레스를 증가시킴과 함께 더 나은 업무환경을 찾아 이직을 고려하는 등의 악순환이 일어남을 알 수 있으나(Van den 박지봉 이러한 관련성은 급성기 병원의 간호사 중심으로 Berg et al, 2006; , 2015),

이루어졌고 김명숙과 박영배( . 2001; 박원숙, 2002; 서이아 등, 2003; 변비조 등, 최경선 요양병원 간호인력 대상으로 한 업무환경에 대한 연구는 미흡 2013; , 2017),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의 간호업무 수행에서 느끼는 자아실. 현 업무량 갈등 및 신경과민에 대한 심리적 업무환경 상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 .

요양병원의 인적 자원 관리에 관련된 선행 연구들 중 직무의 특성과 직무 만족 조, 직몰입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밝힌 것은 다수 있으나 강수정과 권수혜, ( ,

정하윤과 정귀임 황윤선과 조은영 최경선 노인 간호 스

2015; , 2015; , 2016; , 2017),

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 연구는 부족 한 실정이다 또한 선행 연구들이 간호사 위주로 연구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 양병원의 간호인력인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노인 요양병원의 업무환경의 특징적 성격을 이해 고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근무여건 및 인력을 확보할 계기를 마련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 B.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 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고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을 파악한다, .

둘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과 이직의도 수, , , 준을 파악한다.

(14)

셋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 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넷째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제반 특성이 통제된 상태에서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 , 처방법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

(15)

연구방법 .

연구 대상

A.

본 연구는 2016년까지 12월 기준 의료기관 평가인증원에서 인증이 확인된 광주광 역시에 소재한 병원 58개 중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 10개를 임의 선정하여 해당,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인력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 . 필요성과 목적에 대하여 설명한 후 각 병원의 간호부 과 장의 허락을 받고 구조화된( ) 설문지를 간호인력에 배부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한 간호인력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 며,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10부를 회수하였다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부. 적격한 설문지 부를 제외하고3 407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C 대학교병원 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연구에 대한 승인(CHOSUN 2017-03-017-001) 을 받은 후에 수행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월5 18일부터 월5 22일까지였다.

조사방법 B.

조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지의 구성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 성 및 직무관련 특성 20개 문항 노인 간호스트레스 개 영역, 3 23개 문항 스트레스, 대처방법 개 영역6 32문항 업무환경 개 영역, 4 10문항 이직의도 개 문항 총, 6 , 91개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성별 나이, (29세 이하, 30-39 , 40-49 , 50세 세 세 이상 교육정도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 이상 결혼상태 배우자 없음 배우자 있), ( , , ) ( , 음 노인과 동거여부 있음 없음 경제적 가족 부양책임 있음 없음 종교유무 있음), ( , ), ( , ), ( , 없음 흡연여부 유 무 음주상태 비음주 한달에 회 월), ( , ) ( , 1 / , 2-3 / ,회 월 주 회 등을 조1 ) 사하였고 직무관련 특성은 직종 간호사 간호조무사 근무형태 교대 밤번 근무자, ( , ), (3 , ,

교대 낮번 상주근무자 총 임상경력 개월 이하 개월 개월

D·E , ), (11 , 12-59 , 60-119 ,

(16)

개월 개월 이상 총 요양병원 임상경력 개월 이하 개월

20-179 , 180 ), (11 , 12-35 , 36-59 개월, 60개월 이상), 현 요양병원 임상경력(11개월 이하, 12-23개월, 24-35개월,

개월 개월 이상 급여수준 이하 만원 만원 만원 이

36-47 , 48 ), (150 , 150-199 , 200-249 , 250

상 이직경험 있다 없다), ( , ) 노인성 질환에 대한 교육 경험 있다 없다 병동 재원환자, ( , ), 수(45 , 46-90 , 91명 명 명이상 병동 간호사수 병동 간호조무사수 병동 요양보호사), , , 수 병동 의사수등을 조사하였다, .

노인 간호 스트레스 2.

본 연구에서 노인 간호 스트레스의 측정 도구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개발한 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기초로 최지윤과 이윤정(2012)이 수정 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도구는 업무 스트레스 문항 노인환자 스트레스 문항, 7 , 8 , 보호자 스트레스 문항으로 총8 23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척도는. Likert 4점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점에서 매우 그렇다 점까지 측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스트

‘ ’ 1 ‘ ’ 4 ,

레스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이 도구는 최지윤과 이윤정(2012)의 연구에서는 가 이었으며 영역별로 업무 스트레스는 노인환자 스트레스

Cronbach’s α 0.80 0.67,

는 0.74, 보호자 스트레스는 0.83이었다 본 연구의 영역별. Cronbach’s α는 업무 스트레스 0.82, 노인환자 스트레스 0.83, 보호자 스트레스 0.87이었다.

스트레스 대처방법 3.

스트레스 대처방법이란 개인의 자원을 초과한다고 평가되는 외적 혹은 내적 요구 들을 다루어 가는 과정으로 인지적 행동적 노력을 끊임없이 변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와 본 연구에서는 와 이 개발한

(Lazarus Folkman, 1984). Lazarus Folkman(1984)

도구를 한정석과 오가실(1990)이 번역하여 수정한 문제중심 문항 희망적 관측 문7 , 5 항 무관심 문항 사회적 지지탐색 문항 긍정적 관점 문항 긴장해소 문항으로, 6 , 7 , 4 , 3 개 유형 총 문항으로 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점 척도로 전

6 , 32 . Likert 5 ‘

혀 그렇지 않다’ 1 ’점 에서 매우 그렇다 점 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각 대처방법의 이‘ 5 ’ , 용 정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0.89였고

와 한정석과 오가실 의 연구에서는 였다 본 연

(Lazarus Folkman, 1984), (1990) 0.79 . 구의 영역별 신뢰도는 문제 중심 0.86, 희망적 관측 0.77, 무관심 0.84, 사회적 지지 탐색 0.80, 긍정적 관점 0.85, 긴장해소 0.51이었다.

(17)

4. 업무환경

업무환경은 개인이 지각하는 것으로 물리적 환경뿐만 아니라 개인 간의 상호작용, , 그 개인이 자기 일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조직이나 기관 자기 일에 영향을 미치는 정, 책적 측면까지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보수 이외의 근무조건 근무자의 책임을, ,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을 총칭하는 것으로 인적 환경과 물리적 환경 을 포함하는 것이다(Erickson et al, 2004). 업무환경 측정 도구로 Friis(1981)가 각 각의 업무환경을 자아실현(self-realization)은 나의 유능성을 알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하고 병동에서 하는 일이 자신감을 갖게 해 주며 어려운 문제 직면시 필요한 도움, , 을 얻을 수 있고 나의 지식과 경험을 병동에서 활용할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업, , 무량(workload)은 나에게 맡겨진 직무의 수가 많고 동시에 여러장소에서 나를 요구, 하는가를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하고 갈등, (conflict)은 의료진 간의 갈등으로 환자치 료가 복잡하게 되는 경우가 있으며 팀에 대한 충성과 나의 전문성에 대한 충성의 조, 화가 어려운 지의 정도를 의미하고 신경과민, (nervousness)은 지금 병동에서 불안 감 긴장을 느끼고 일하러 갈 것이 걱정되는 정도를 의미로 개발한, , WES-10(Working 을 권정애 가 번안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Environment Scale-10) (2009) .

본 연구 도구는 자아실현(self-realization) 4개 문항, 업무량(workload), 갈등

신경과민 각각 개 문항 등 개의 하위영역으로 총 문항

(conflict), (nervousness) 2 4 10

이다 본 연구의 도구는 점. 5 Like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실현이 높고 업무량, 이 많으며 갈등과 신경과민이 큰 것을 의미한다, .

이직의도 5.

이직의도는 근로자가 조직의 구성원이기를 포기하고 현 직장을 떠나려는 의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직행동으로 나타나지 않은 개인의 이직에 대한 태도나 경향을, 의미한다(Meyer and Allen, 1984). 이직의도 측정도구는 Mobley(1982)가 개발한 이 직의도 측정 도구를 병원상황과 간호사에게 적합하도록 어휘를 김미란(200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개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6 , Likert식 점 척도로 측5 정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미란. (2007)의 연구에서 도구 신뢰도 Cronbach’s α는 0.76이었다. 본 연구 이직의도의 신뢰도는

였다 Cronbach’s α 0.79 .

(18)

자료 분석 방법 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

SPSS 23.0 .

율로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이직의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 .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병원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 t test– 또는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과 이직

ANOVA , , ,

의도와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하였다 단순분석에서 이직의도와. 수준에서 관련성에 있었던 변수들을 통제된 상태에서 노인 간호 스트레스 스

p<0.1 ,

트레스 대처방법 및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 아보았다 통계 검정을 위한 유의 수준은. α=0.05로 하였다.

(19)

연구 결과 .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특성 분포 A.

일반적 특성 1.

본 연구대상자 중 여자가 96.8%였다 연령 분포는. 29세 이하는 11.1%, 30-39세는

세가 세 이상이 였다 교육정도에서는 전문대학

17.7%, 40-49 36.6%, 50 34.6% .

고등학교 대학졸업 이상 순이었으며 결혼상태에서 배우자가

37.1%, 31.9%, 31.1% ,

있는 경우가 77.1%였다 노인과 동거 여부는 동거하지 않음이. 93.1%이며 경제적 가, 족부양책임이 없는 상태가 78.8%였고 종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51.1%였다 또. 한 건강상태는 보통이 61.1%, 좋음이 30%, 나쁨이 8.1%였다 음주상태에 있어서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경우는 26.1%였고 한 달에, 2-3회 음주의 경우가 32.3%, 한 달에

회 미만이 주일에 회의 경우 순이었다

1 29.8%, 1 1 11.8% (Table 1).

(20)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 of study subjects

(N=407)

Variables Categories n %

Gender Woman 394 96.8

Man 13 3.2

Age (yr) ≤29 45 11.1

30-39 72 17.7

40-49 149 36.6

50

≥ 141 34.6

Education High school 130 31.9

College 151 37.1

University

≥ 126 31.1

Spouse Yes 314 77.1

No 93 22.9

Living with elderly Yes 28 6.9

No 378 93.1

Responsibility on Yes 89 21.2

family supporting No 320 78.8

Religion Yes 208 51.1

No 199 48.9

Health status Poor 33 8.1

Fair 248 61.1

Good 125 30.8

Drinking status No drinking 106 26.1 Less than once a month 121 29.8

2-3 times a month 131 32.3

Once a week 48 11.8

(21)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 2.

대상자들의 직무관련 특성으로 직종은 간호사가 36.3%, 간호조무사가 63.7%였다. 근무형태로는 교대가3 69.0%, 낮번 고정근무가 15.4%, 밤번 전담은 9.7%, 2교대 근 무가 6.0% 순이었다 총 임상경력으로는. 12-59개월은 40.3%, 60-119개월은 25.1%

이, 120-179개월과 180개월 이상은 11.8%, 11개월 이하는 9.3%순이었다 총 요양. 병원 경력으로는 11개월 이하는 15.4%, 12-35개월은 31.9%, 36-59개월은 24.3%, 개월 이상은 이었다 현재 근무 중인 요양병원에서의 경력으로는 개월 이

60 28.4% . 11

하은 27.1%, 12-23개월은 35.3%, 24-35개월은 14.8%, 36-47개월은 12.3%, 48개 월 이상은 10.5%였다 급여수준은. 150만원 미만은 55.7%였으며, 150-199만원

만원이 만원 이상이 순이었다 요양병원 이직경험은

21.5%, 200-249 20.8%, 250 2% .

가 이직경험이 있었으며 노인관련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대상자는 였다

51.5% , 78.2% .

병동입원 환자수는 46-90명이 54.4%, 91명 이상이 36.3%, 45명 이하가 9.3%였다. 같이 근무하는 병동의 간호사수는 5.96±1.88 ,명 간호조무사수는 10.35±3.99 ,명 요양 보호사수는 7.70±4.00 ,명 의사수는 4.35±2.67명이였다(Table 2).

(22)

Table 2. Job related characteristics study subjects

(N=407)

Variables Categories N %

Position Nursing assistant 258 63.7

Nurse 147 36.3

Shift pattern of duties 3 shifts 278 69.0 Nightly Dedication 39 9.7

2 shifts 24 6.0

Day duty 62 15.4

Total career (months) ≤11 38 9.3

12-59 164 40.3

60-119 102 25.1

120-179 48 11.8

180

≥ 48 11.8

Carriers in long-term care hospital ≤11 61 15.4

(months) 12-35 126 31.9

36-59 96 24.3

60

≥ 112 28.4

Carriers in current hospital ≤11 106 27.1

(months) 12-23 138 35.3

24-35 58 14.8

36-47 48 12.3

48

≥ 41 10.5

Salary (104 won) <150 225 55.7

150-199 87 21.5

200-249 84 20.8

250

≥ 8 2.0

Turnover experience Yes 209 51.5

No 197 48.5

Experience of education for Yes 312 78.2

geriatric diseases No 87 21.8

Yes 312 78.2

No. of inpatients in ward ≤45 37 9.3

46-90 216 54.4

91

≥ 114 36.3

No. of nurses 5.96±1.88*

No. of nursing assistants 10.35±3.99*

No. of caregivers 7.70±4.00*

No. of doctor 4.35±2.67*

*Mean & Standard deviation

(23)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이직의도

B. , , ,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이직의도 수준

1. , ,

대상자들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는 업무 스트레스는 2.75±0.45 ,점 노인환자 스트레 스의 수준은 2.93±0.47점이고 보호자 스트레스는, 2.93±0.51점이었다 스트레스 대. 처방법으로는 문제중심은 3.35±0.59 ,점 희망적 관측은 2.68±0.70 ,점 무관심은

점 사회적 지지탐색은 점 긍정적 관점은 점 긴장해

2.54±0.74 , 2.72±0.62 , 2.99±0.78 ,

소는 2.61±0.73점이었다 업무환경에 대해서는 자아실현은. 3.12±0.52 ,점 업무량은

점이었고 갈등은 점 신경과민은 점이었다

3.28±0.52 , 2.67±0.61 , 3.03±0.43 . 이직의도 의 수준은 3.13±0.65점이었다(Table 3).

(24)

Table 3. Descriptive statistics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 work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N=407)

Variables Min Mix M±SD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Geriatric nursing-related

stress 1.29 4.00 2.75±0.45

Geriatric patient-related

stress 1.50 4.00 2.93±0.47

Guardians-related stress 1.25 4.00 2.93±0.51 Coping method

Problem-based coping 1.86 5.00 3.35±0.59 Hopeful perspective 1.00 5.00 2.68±0.70 Indifference 1.00 5.00 2.54±0.74 Social support 1.29 5.00 2.72±0.62 Positive perspective 1.00 5.00 2.99±0.78 Relaxation of tension 1.00 5.00 2.61±0.73 Working environment

Self realization 1.75 4.25 3.12±0.52 Workload 2.00 5.00 3.28±0.52 Conflict 1.00 4.50 2.67±0.61 Nervousness 2.00 5.00 3.03±0.43 Turnover intention 1.33 5.00 3.13±0.65

(25)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C.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를 비교한 결과, 성별에서 여자는 점 남자는 점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직 3.15±0.65 , 2.39±0.58

의도가 높았다(p=0.012). 노인과 동거여부에 따른 이직의도는 동거하지 않음이

점 동거함에 점보다 높았다 종교가 없는 경우

3.16±0.65 , 2.85±0.70 (p=0.015).

점으로 종교가 있는 경우 점으로 종교에 따른 이직의도는 유의

3.24±0.63 3.05±0.67

한 차이가 있었다(p=0.004). 연령 교육정도 결혼상태 경제적 가족 부양책임 건강, , , , 상태 음주상태와는 이직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Table 4).

(26)

Table 4. Comparisons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Categories Turnover intention

M±SD p

Gender Woman 3.15±0.65 0.012

Man 2.39±0.58

Age (yr) ≤29 3.17±0.72 0.199

30-39 3.22±0.70

40-49 3.18±0.66

50

≥ 3.05±0.60

Education High school 3.11±0.65 0.698 College 3.13±0.63

University

≥ 3.18±0.69

Spouse Yes 3.13±0.62 0.742

No 3.16±0.75

Living with elderly Yes 2.85±0.70 0.015

No 3.16±0.65

Responsibility on Yes 3.22±0.72 0.230 family supporting No 3.12±0.63

Religion Yes 3.05±0.67 0.004

No 3.24±0.63

Health status Poor 3.33±0.64 0.055

Fair 3.16±0.65

Good 3.05±0.66

Drinking status No drinking 3.09±0.61 0.380 Less than once a month 3.23±0.70

2-3 times a month 3.11±0.65

Once a week 3.12±0.64

(27)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 2.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를 비교한 결과 총 임상경력에서, 11개월 이하는 2.78±0.73 , 12-59점 개월은 3.19±0.62 , 60-119점 개월은 3.19±0.66 ,점

개월은 점 개월 이상은 점으로 이직의도가 통계적

120-179 3.23±0.72 , 180 3.07±0.53

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6). 직종별 근무형태 총 요양병원 경력 현 요양, , , 병원 경력 급여 요양병원 이직경험 노인관련교육 병동 입원환자수에 따라 구분하, , , , 여 조사한 결과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Table 5).

(28)

Table 5. Comparisons of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job related characteristics Variables Categories Turnover intention

M±SD p Position Nursing assistant 3.11±0.64 0.224

Nurse 3.19±0.67

Shift pattern of duties 3 shifts 3.16±0.65 0.345 Nightly Dedication 3.07±0.69

2 shifts 3.31±0.69 Day duty 3.05±0.63

Total career (months) ≤11 2.78±0.73 0.006 12-59 3.19±0.62

60-119 3.19±0.66 120-179 3.23±0.72

180

≥ 3.07±0.53

Carriers in long-term care hospital ≤11 2.96±0.73 0.055

(months) 12-35 3.23±0.61

36-59 3.18±0.63 60

≥ 3.12±0.66

Carriers in current hospital ≤11 3.03±0.68 0.249

(months) 12-23 3.17±0.65

24-35 3.22±0.64 36-47 3.24±0.61

48

≥ 3.15±0.68

Salary (104 won) <150 3.11±0.64 0.781 150-199 3.19±0.64

200-249 3.15±0.71 250

≥ 3.19±0.50

Turnover experience Yes 3.16±0.67 0.596

No 3.12±0.64

Experience of education for geriatric Yes 3.17±0.66 0.156

diseases No 3.06±0.62

No. of inpatients in ward ≤45 3.09±0.61 0.626 46-90 3.18±0.70

91

≥ 3.12±0.58

(29)

대상자의 특성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이

D. , , , ,

직의도의 상관관계 분석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 1.

대상자의 직무관련 특성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이직의도는 병동간, 호사수 병동 간호조무사수 병동 요양보호사수 병동 의사수는 통계적으로 이직의도, , , 와 상관관계가 없었다(Table 6).

(30)

Table 6. Correlation coefficients of number of nurses, nursing assistants, caregivers, and doctor with turnover intention

Variables

No. of nurses No. of nursing assistants   No. of caregivers  No. of doctor

No. of nursing assistants 0.548 (<0.001) No. of caregivers 0.677

(<0.001)

0.468 (<0.001) No. of doctor 0.308

(<0.001)

0.358 (<0.001)

0.209 (<0.001) Turnover intention 0.064

(0.199)

0.012 (0.809)

0.005 (0.925)

0.011 (0.832) Data were shown as correlation coefficients(p-value).

(31)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과 이직의도 간 상관관계

2. , ,

이직의도와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간, , 상관관계 분석 결과 노인, 간호 스트레스인 업무 스트레스(r=0.119, p=0.016), 노인환자 스트레스(r=0.184,

보호자 스트레스 은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고 대처방

p<0.001), (r=0.150, p=0.003) ,

법인 긍정적 관점(r=-0.109, p=0.028)은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다 업무환경인 자아실현. (r=-0.254, p<0.001)에서는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음의 관계가 있었고 업무량, (r=0.142, p=0.004), 갈등(r=0.258, p<0.001), 신경과 민(r=0.205, p<0.001)은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다 대처방. 법 영역 중 문제중심 희망적 관측 무관심 사회적 지지탐색 신경과민은 이직의도와, , , , 상관관계가 없었다(Table 7).

(32)

Table 7. Correlation coefficients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 working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Variables (p)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Coping method Working environment

V1 V2 V3 V4 V5 V6 V7 V8 V9 V10 V11 V12 V13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V2 0.600

(<0.001)

V3 0.517

(<0.001)

0.731 (<0.001)

Coping method V4 0.075

(0.133)

0.187 (<0.001)

0.022 (<0.001)

V5 -0.53

(0.288)

0.073 (0.142)

0.079 (0.114)

0.238 (<0.001) V6 -0.082

(0.101)

-0.025 (0.618)

-0.026 (0.605)

0.121 (0.015)

0.630 (<0.001)

V7 0.049

(0.322)

0.037 (0.453)

0.046 (0.360)

0.246 (<0.001)

0.482 (<0.001)

0.537 (<0.001)

V8 0.002

(0.974)

0.069 (0.168)

0.107 (0.032)

0.471 (<0.001)

0.329 (<0.001)

0.324 (<0.001)

0.423 (<0.001) V9 -0.014

(0.778)

0.017 (0.732)

0.521 (0.032)

0.133 (0.007)

0.370 (<0.001)

0.360 (<0.001)

0.455 (<0.001)

0.313 (<0.001) Working

environment

V10 0.017 (0.727)

0.061 (0.221)

0.026 (0.602)

0.252 (<0.001)

0.045 (0.368)

0.011 (0.829)

0.154 (0.002)

0.226 (<0.001)

0.113 (0.023) V11 -0.031

(0.535)

0.040 (0.424)

0.026 (0.596)

0.125 (0.012)

0.130 (0.009)

0.105 (0.035)

0.047 (0.345)

0.086 (0.085)

0.009 (0.863)

-0.055 (0.275) V12 0.154

(0.002)

0.161 (0.001)

0.196 (<0.001)

0.036 (0.472)

0.113 (0.023)

0.164 (0.001)

0.063 (0.205)

0.029 (0.566)

0.118 (0.018)

-0.129 (0.010)

0.089 (0.075) V13 0.178

(<0.001)

0.026 (0.601)

0.020 (0.695)

-0.098 (0.049)

0.077 (0.123)

0.098 (0.050)

0.055 (0.272)

-0.172 (0.001)

-0.017 (0.737)

-0.068 (0.177)

0.045 (0.368)

0.243 (<0.001) Turnover

intention

0.119 (0.016)

0.184 (<0.001)

0.150 (0.003)

0.030 (0.552)

0.059 (0.239)

0.008 (0.879)

0.017 (0.737)

-0.109 (0.028)

0.044 (0.381)

-0.254 (<0.001)

0.142 (0.004)

0.258 (<0.001)

0.205 (<0.001)

V1 : Geriatric nursing-relatedstress; V2: Geriatric patient-relatedstress; V : Guardians-related stress; V 4: Problem-based coping; V5: Hopeful perspective V6: Indifference; V7: Social support; V8: Positive perspective; V9: Relaxation of tension; V10: Self realization; V11: Workload;V12: Conflict;V13: Nervousness Data were shown as correlation coefficients(p-value).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

3. , , ,

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이직의도 관련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 스트레스 중 노인환자 스트레스가, ( =0.216, p=0.034)β 이직의도와 유 의한 관련이 있었고 업무환경은 자아실현, ( =-0.227, p<0.001),β 업무량( =0.145,β

갈등 신경과민 과 이직의도와 유의

p=0.015), ( =0.192, p<0.001),β ( =0.198, p=0.011)β

한 관련이 있었다 즉 노인환자 스트레스와 업무량 갈등 신경과민 영역의 수준이. , , 증가할수록 이직의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아실현 정도가 증가할수록 이직의도, 가는 감소하였다 이 밖에 일반적 특성 중 노인과 동거하지 않음이 동거함에 비해 이. 직의도와 관련성이 있었고( =0.319, p=0.007),β 종교가 없는 경우가 종교가 있는 경우 에 비해 이직의도와 관련성( =-0.128, p=0.040)β 에 유의한 통계적 관련이 있었다 노. 인 간호 스트레스 영역 중 업무 스트레스 대처방법 영역 중 긍정적 관점 일반적 특, , 성인 성별 총 임상경력 건강상태 독립변수들 간의 상관성은 없었다, , (Table 8).

(34)

Table 8. The association of job stress with, geriatric, coping method nursing and working environment with turnover intention among study subjects

Variables Turnover intention

β SE P

Job stress with geriatric nursing

Geriatric nursing-related stress -0.018 0.086 0.831 Geriatric patient-related stress 0.216 0.101 0.034 Guardians-related stress 0.007 0.088 0.937 Coping method

Positive perspective -0.043 0.041 0.299 Working environment

Self realization -0.227 0.061 < 0.001 Workload 0.145 0.059 0.015 Conflict 0.192 0.053 < 0.001 Nervousness 0.198 0.074 0.008 Gender (Man/Woman) -0.333 0.176 0.059 Living with elderly (No/Yes) 0.319 0.118 0.007 Religion (Yes/No) -0.128 0.062 0.040 Total career(months) 2.45 0.000 0.952 Health status(/Good)

Poor 0.222 0.120 0.066

Fair 0.050 0.069 0.468

r²=0.190

(35)

고찰 .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과 이직, , 의도와의 관련성을 연구함으로써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이 이직을 결정함에 있어 중요 한 요인과 직접적인 결정요인을 예측하여 인력확보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간호인력의 이직의도는 점 척도로, 5 3.13±0.65점이였다 동일도구를. 이용한 선행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병인 2.98±0.81 (점 서영주. 2011), 요양병원 요양 보호사 2.75±0.68 (점 윤소영, 2013), 요양병원 간호사 3.02±0.59 (점 최경선, 2017)으 로 본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이직의도가 높은 것은 표본의 지역적 차이와 직종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간호인력의 이직은 남아있는 간호인력. 사기를 저하시키며 간호 인력의 부족으로 업무량과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신규 간, , 호사의 상대적 비율을 증가시켜 환자간호의 질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윤금숙과 김숙, ( 영, 2010). 그러므로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인력관리 중재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대상자가 보고한 노인간호 스트레스는 영역별로 업무 스트레스 2.75±0.45 점 노인환자 스트레스, 2.93±0.47 ,점 보호자 스트레스 2.93±0.51점이었다 선행연구. 에서는 노인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 2.76±0.39 ,점 노인환자 스트레스

점 보호자 스트레스 점 최지윤와 이윤정 요양병원 간호

3.03±0.44 , 3.07±0.50 ( , 2012),

사의 업무스트레스 2.74±0.39 ,점 노인환자 스트레스 2.89±0.40 ,점 보호자 스트레스 점 정배선 으로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노인 간호 스트레스의

2.91±0.44 ( , 2014) .

수준은 본 연구와 선행연구 모두 보호자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 양병원에서 일하면서 노인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한 상태에서 간호업무 를 수행 중에 보호자가 환자의 상황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여 업무에 방해가 될 때, 스트레스를 느낀다 최지윤과 이윤정( , 2013; 정배선, 2014). 노인환자의 간호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스트레스의 확인과 대응에 있어서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가 간호인 력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고 이를 대응, 할 수 있도록 하는 병원 차원의 노력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다양한 대처방식을 찾는다 그러나 발생한.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신체적 정신적 질병을 유발할 수 있어 장숙희· ( ,

(36)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을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대처방법은

2006) .

영역별로 문제중심 3.35±0.59 ,점 희망적 관점 2.68±0.70 ,점 무관심 2.54±0.74 ,점 사회적 지지탐색 2.72±0.62 ,점 긍정적 관점 2.99±0.78 ,점 긴장해소 2.61±0.73점이 었다 동일도구를 이용한 요양시설의 간호사의 대처방법은 문제중심. 3.03±0.24 ,점 희망적 관점 2.14±0.48 ,점 무관심2.24±0.37 ,점 사회적 지지탐색 2.89±0.32 ,점 긍정 적 관점 3.07±0.36 ,점 긴장해소 2.14±0.53점이며 장숙희( , 2006), 요양병원 간호사 대상으로는 문제중심 3.40±0.54 ,점 희망적 관점 2.47±0.72 ,점 무관심 2.24±0.64 ,점 사회적 지지탐색 2.59±0.53 ,점 긍정적 관점 2.95±0.74 ,점 긴장해소 2.55±0.72점이 었다 정배선( , 2014). 이들 선행 연구와 비교하였을 때 같은 요양기관에서 대처방법에, 있어 문제중심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문제중심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은 노인에 대한 이해가 높고 노인 환자 간호 경력이, 많으며 노인 관련 교육을 지속적으로 받은 간호사가 많이 사용하고 경험을 많이 한, 경력자이기 때문에 문제중심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정배선( , 2014).

본 연구에서는 업무환경 영역별로 자아실현 3.12±0.52 ,점 업무량 3.28±0.52 ,점 갈 등 2.67±0.61 ,점 신경과민 3.03±0.43점으로 업무량과 자아실현 영역의 점수가 높았 다 동일도구를 사용한 선행 연구로 연구간호사에서는 자아실현. 3.26±0.54 ,점 업무 량 3.37±0.65 ,점 갈등 2.74±0.62 ,점 신경과민 2.90±0.67점이었으며 한명숙과 최선( 하, 2017), 임상간호사 업무환경에서는 자아실현 3.13±0.47 ,점 업무량 2.95±0.34 ,점 갈등 3.01±0.56 ,점 신경과민 3.35±0.66점이었다 권정애( , 2009). 선행 연구의 연구간 호사 업무환경과 임상간호 업무환경은 요양병원의 업무 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는 것 으로 생각되며 특히 요양병원의 환자는 인지력 및 신체 기능 저하 정신적 혼미 의, , , 사소통의 어려움 등을 가진 환자가 많아 간호업무의 어려움으로 인해 업무량 영역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최미숙( , 2013). 업무환경에 대해 측정한 선행 연구가 주로 일반병원 간호사나 특수부서 근무간호사에 대해서 이루어져 동일한 업무내용을 갖는 요양병원 간의 업무환경 비교는 선행 연구의 부족으로 어려웠다 또한 요양병원. 의 직무특성이나 근무환경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요양병원의 업무환경에, 대한 파악도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따른 상관관계는 영역 중 노인환자 스트레스

와 보호자 스트레스 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r=0.184, p<0.001) (r=0.150, p=0.003)

있었고 다중회귀분석에서 노인 환자 스트레스, ( =0.216, p=0.034)β 가 이직의도와 통계 적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노인환자 스트레스는 노인 간호는 환자의 상태를 예측할.

(37)

수 없고 처치를 해도 호전되는 경과를 쉽게 관찰할 수 없는 특성 은영 등, ( , 2010)으 로 인해 생긴다고 할 수 있다 보호자 스트레스는 가족과 전화연락이 안되는 경우. , 가족과의 상호정보교류가 부족한 경우 노인의 응급상황이나 죽음을 받아들이지 못, , 하는 경우에 갈등을 겪는다 장숙희( , 2006).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요양병원의 간호 인력은 환자 간호과정에서 노인환자와 보호자로부터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높게 인지 할수록 현재 직장에서 이직의도를 높게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에 있어 환자와 보호자로 인한 스트레스의 조절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대처방법과 이직의도에 따른 상관관계는 영역 중 긍정적 관점(r=-0.109, p=0.028)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으나 회귀분석에서는 대처방법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달리 일반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 련된 연구 장혜경( , 2015)에서는 사회적 지지탐색이 유의한 변인으로 제시되어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노인 간호 스트레스중 노인환자 스트레스와 문제중심. (r=0.187,

보호자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은 문제중심 긍정적 관

p=<0.001), (r=0.022, p=<0.001),

점(r=0.107, p=0.032), 긴장해소(r=0.521, p=0.032)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 는 대처방법이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더라도 노인 간호 스트레스에 대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호인력의 이직에 대한, 대책으로 스트레스의 조절과 대처방법에 대한 관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 각된다 선행 연구들이 임상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의 대처방법에 대한 연구는 적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 각된다.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에 따른 상관관계는 영역 중 자아실현(r=-0.254, p<0.001)에 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고 업무량, (r=0.142, p=0.004), 갈등

신경과민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r=0.258, p<0.001), (r=0.205, p<0.001)

있었으며 회귀분석에서 업무환경 영역 중 자아실현, ( =-0.227, p<0.001),β 업무량(β

갈등 신경과민 이 유의한

=0.145, p=0.015), ( =0.192, p<0.001),β ( =0.198, p=0.011)β

통계적 관계가 있었다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는 자아실현이 낮을수록 이. 직의도가 높고 갈등과 신경과민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 임상간호사의 업무환경과 재직의도와에서 자아실현이 높을수록 재직의도가 높고 갈등과 신경과민이 높을수록 재직의도는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권정애( , 2009). 업무환 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은 자아실현 갈등 신경과민 업무량 순으로 이직의도와, , ,

(38)

관련성이 있다 아쉽게도 요양병원 간호인력을 대상으로 한 업무환경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관련 문헌을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요양병원은 장기 노인 환자. 를 대상으로 치매 만성질환 기능치료 재활 서비스등 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 , , 으로 최미숙( , 2013), 간호인력들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중점으로 자신의 지식과 전문 기술 활용 기회제공이 적어 자아실현이 낮을수록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며 한명( 숙과 최선하, 2017), 갈등에 있어서는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동료들 간의 역할 갈등과 보호자와 노인환자와의 갈등이 클수록 이직의도가 높고 김명하( , 2008; 최정란, 노인환자를 돌보면서 갑작스런 환자 악화와 사망에 대한 불안감과 긴장감으로 2017),

신경과민이 높을 때 이직의도가 관련이 있다 생각된다 요양병원의 업무환경과 과중. 한 업무량은 환자 일상생활 돌봄과 관리 업무중점의 업무량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된다 김명하( , 2008).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이 자신의 지식과 능력 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개발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생각된 다.

이 밖에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차이를 살펴보 면 노인과 동거여부 종교유무 총 근무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과, , . 동거여부( =0.319, p=0.007)β 는 노인과 함께 살고 있는 대상자들에 비해 노인과 함께 살고 있지 않는 대상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있게 나타났으며 종교유무, 에서는 종교 없음에 비해 종교가 있을 때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 =-0.128, p=0.040)β

향력이 있게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는 연령 결혼 상태 자녀의 수 및 종교 등의. , , 특성에 따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강수정과 권수혜( 2015). 노인과의 동거 경험 이 없는 경우 이직의도가 높은 것은 노인과의 동거하지 않음으로 인해 노인의 정상 적인 노화 과정과 태도의 변화를 이해하지 못하고 노인에 대한 친밀감을 느끼지 못 하기 때문에 노인대상의 간호업무에 대한 적응이 어렵고 이로 인해 이직의도를 갖게, 되는 것이라 여겨진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단면연구 형태로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 , , 무환경이 이직의도와 관련요인의 선후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없다 둘째 광주광역시. , 일부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대상으로 국한되어 있기 때문에 전국 및 전체 규모의 요양병원 간호인력에게 일반화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요양병원. 의 간호인력으로 간호사와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실에서 요 양병원의 간호인력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과의 이직의도의 상호, ,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39)

결론적으로 이직의도는 노인 간호 스트레스중 노인환자 스트레스 업무환경 영역인, 자아실현 업무량 갈등 신경과민 노인과 동거상태 종교가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음, , , , , 을 알 수 있었다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노인환자 관리 프로그램 업무환경 개. , 선을 통해 갈등의 요소 제거하는 노력이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인력관리 를 위해서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0)

요약 및 결론 .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을 대상으로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 여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인력관리방안 수립에 기초자, 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시에 소재하고 있는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10개 요양병 원의 간호인력을 대상으로 40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 성 노인 간호 스트레스 대처방법 업무환경과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 , .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백분율 기술통계분석, , t-test 또는 ANOVA,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 간호 스트레스 중 노인환자 스트레스의 수준은 2.93±0.47점이고, 보호자 스트레스는 2.93±0.51점이었으며 업무 스트레스는, 2.75±0.45점이었다 스트. 레스 대처방법으로는 문제중심은 3.35±0.59 ,점 긍정적 관점은 2.99±0.78 ,점 사회적 지지 탐색은 2.72±0.62점으로 희망적 관측편차는, 2.68±0.70점이었으며 긴장해소는, 점이고 무관심은 점 순이었다 업무환경에 대해서는 업무량은 2.61±0.73 , 2.54±0.74 .

점이었고 자아실현은 점 신경과민은 점 갈등은

3.28±0.52 , 3.12±0.52 , 3.03±0.43 , 점이었다

2.67±0.61 . 이직의도의 수준은 3.13±0.65점이었다 이직의도와 유의한 관계. 를 보인 변수는 성별 노인과 동거 종교 총 임상경력이었다 이직의도에 대한 노인, , , . 간호 스트레스 영역별은 업무 스트레스(r=0.119, p=0.016), 노인환자 스트레스

보호자 스트레스 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r=0.184, p<0.001), (r=0.150, p=0.003)

관계가 있었고 대처방법 영역 중 긍정적 관점, (r=-0.109, p=0.028)은 통계적으로 유 의한 음에 관계가 있었다 업무환경 영역 중 자아실현. (r=-0.254, p<0.001)에서는 통 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었고 업무량, (r=0.142, p=0.004), 갈등(r=0.258,

신경과민 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가 있었다 다

p<0.001), (r=0.205, p<0.001) .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 간호 스트레스 영역 중 노인환자 스트레스가, (β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업무환경 영역 중

=0.216, p=0.034) ,

자아실현( =-0.227, p<0.001,β 업무량( =0.145, p=0.015),β 갈등( =0.192, p<0.001),β 신경과민( =0.198, p=0.011)β 과 유의한 통계적 관계에 있고 일반적 특성중 노인과 동,

(41)

거( =0.319, p=0.007),β 종교( =-0.128, p=0.040)β 가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요양병원의 간호인력은 노인환자 스트레스와 업무환경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노인환자 스트레스와 업무환경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증가하였다 따. 라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노인환자 스트레스의 관리가 필요하고, 업무환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2)

참고문헌 .

강수정 권수혜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5;24(4):290-301.

강순남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대학원, , 201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년도 차(6 ) 요양병원 입원급여 적정성평가 결과. 2017[cited

2017. July 23].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re/diag/asmWrptPopup.do?evlCd=14&pgmid=HIRAA 030004000000.

구미옥 김매자 간호원이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 . 한국간호과학회지 1984;14(2):28-37.

권정애. 임상간호사의 업무환경과 재직의도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 , 2009.

김경숙 박희옥, . 요양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노인간호학회지. 2016;18(1):32-40.

김명숙 박영배, . 간호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쉽이 간호사의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1;31(4);598-609.

김미란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 2007;13(3):335-344.

김명하 간호인력등급과 간호업무수행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과의 관계 석사학위논. . 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2008.

김명희 정추영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간호행위 수행 실태 한국산학기술논문학회지, . . 2014;15(2):940-951.

김영애 박광옥 유선주 김문진 중소병원 간호활성화를 위한 현황조사 연구 임상간, , , . . 호연구 2009:15(1):149-165.

김윤미 이지윤 강헌철 요양병원의 간호사와 간호조무사 확보수준과 이직률이 입원환, , . 자의 건강결과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14;44(1):21-30.

김은숙 노인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 . , 학교 대학원, 2009.

김종란 김계하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간호과, . . 학 2010;22(2):1-11.

(43)

박수경 조경미 좌용권 강대욱 이예진 간호사 활동현황 실태조사 보고서 한국보, , , , . . 건사업진흥원 2014, pp2-3

박원숙 리더십 임파워먼트 간호업무성과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 · . 2002;8(2):335-346.

박영옥 이경자 조은희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친는 요인 노, , . . 인간호학회지 2009;11(1):81-89.

박지봉 노인요양병원 종사자의 노인학대 인식과 업무환경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 , 2015.

박하얀 정명실 국립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대처 유형간의 관계 성신건강, . . 과학학술지 2011;3(1):5-24

박현숙 간호사가 인지하는 역할명확성 직무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변비조 김선희 장창호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의, , . . 료복지연구 2013;5(1):105-119.

서영주 노인요양병원 간병인의 직업의식 및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련성 석. . 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 2011.

서이아 박경민 이병숙 일반간호사의 조직내 의사소통 유형과 직무만족 및 간호업, , , 무성과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3;17(2):317-332.

심미라 김계하, .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직무만족과 자존감 및 간호업무성과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010;16(4):446-454

은 영, 송경애 박오장 고성희 박명화 김진선 김영숙 이지현 노인전문간호총론, , , , , , . ( 2 )제 판 서울 현문사: , 2010.pp103-110

유은영 한국과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공간구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 . 회논문집, 2007;16(2):217-224.

윤금숙 김숙영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이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 . . 학회지. 2010;16(4):507-516.

윤소영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 , 사회복지대학원, 2013.

이금숙 단독가구 노인의 간호요구도 조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2004.

이민우 이상규 최윤수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 , . . 국병원경영학회지 2016;21(3):22-36

이은희 김현옥 장세진 노재훈 박은정 원종욱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간, , , , , .

(44)

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007;19(2):93-104.

이윤태 김정덕 이영호 강대욱 박종애 간호인력 수급 및 간호관리료 차등제 실태, , , , . 조사 대한병원학회지. 2008;37(2):65-73.

장숙희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와 호스피스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비. 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 , 2006.

장혜경 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 직무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가 이직의도에 미치. ,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 , 2015.

조은주 노인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과 소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 . , 교 대학원, 2007.

조항석 요양병원 의료정책포럼. . 2015;13(4):107-109.

정배선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 간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 . , 교 대학원, 2014.

정하윤 정귀임, .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지 2015;9(3):95-106.

최경선. 요양병원 수간호사의 감정 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영산대학교 대학원. , , 2017.

최미숙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직무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 ,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최정란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 , 영향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 , 2017.

최지윤 이윤정 간호사의 노인환자 간호에 의한 스트레스와 그 대처방법 탐색 디지, . . 털융복합연구 2012;10(8):275-286.

통계청 총조사인구 총괄. . 2017[cited 2016. Nov 1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

&parentId=A#SubCont.

한명숙 최선하, . 연구 간호사의 업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 생활환경학회지 2017;24(1)18-28

한상숙, 손인순, 김남은.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09;39(6):878-887.

한정석 오가실 만성질환아를 가진 어머니의 비통감과 이에 대응하는 정도에 관한, .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1990;18(2):73-87.

(45)

황윤선 조은영 수도권, . 200병상 이상 노인요양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6;25(3):156-16.

Erickson JI, Duffy ME, Gibbons MP, Fitzmaurice J, Ditomassi M, Jones D.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professional practice environment(E) scal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4;36(3):279-285.

Friis S. From enthusiasm to resignation in the rapeutic community: A process evaluation of mental hospital ward with the ward atmosphere scale (WAS). Journal of the Oslo City Hospital 1981;31:51-54.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PP234-250.

Meyer JP, Allen NJ. Testing the Side-Best Theory of Oragnization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2;67(1):372-378.

Mobley WH. Causes of employee turnover: A test of the Mobley, Griffeth, Hand, and Meglino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982;67(1):53-59.

Moos RH. Work Environment Scale Mannual 3rd edition. Palo Alto: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Inc. 1994,pp1-57

Van den Berg TI. Landeweerd JA, Tummers GE, Van Merode GG. A comparative study of organisational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and nurses' psychological work reactions in a hospital and nursing hom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6;43(4):491-505.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nursing students’ self-esteem, problem-solving ability,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and to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work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NICU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d optician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to allow people with disabilities to work stably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Factors influencing nurses' intention to care for patients with COVID-19: Focusing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DL and depression among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ith chronic

  Investigation of turnover comes from the job itself and in this study worked in a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Caregiver Stress, Burnout comes fr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coping made by CAD/CAM using different scanning methods.. Zirconia coping was m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