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계획된 행동이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7)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Action, TPB)는 행위를 인간의 완전한 의지적 통제(Volitional control) 아래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TPB는 지각된 행 위통제 개념을 소개함으로써 완전한 의지적 통제 하에 있는 행위뿐만 아니라 개인의 자발적 의지대로 수행할 수 없는 행위까지도 예측하는데 유용한 이론 으로 평가받고 있다(Armitage & Conner, 2001).

계획된 행위이론(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은 인간 행동의 결 정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이론이며 합리적 행위이론(Theory of Reasoned Action: TRA)에서 확장 발전된 것이다. TPB는 TRA의 주요 구 성요소인 태도와 주관적 규범에 지각된 행위통제(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BC) 요인을 추가한 것으로 자신의 통제 하에 있지 않은 행동의도 또는 행동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Lam et al, 2004). 따라서 Ajzen(1991)이 TPB에서 제시한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 결정요인은 태 도,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위통제이다. TPB는 개인이 특정 행동에 대하여 보다 더 호의적 또는 긍정적 태도를 가지면 가질수록, 행동과 관련하여 중요 한 사람들의 압력이 크면 클수록, 그리고 행동수행에 대해 본인의 통제력에 대한 확인이 크면 클수록 특정 행동을 수행하기 위한 개인의 의도가 더욱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보여진다(Kim, 2012). TPB는 건강관련 행동으로서 금연 행위(Jin, 2001), 섭식행동(이민규 등, 2001), 예방접종 행위(유석조 등, 2010), 음주행동(심성욱 등, 2008)등의 관한 연구가 있었으며 이외에 안전에 관하여 음주운전에 대한 의도(한덕웅, 2001), 안전벨트 수행의도(Simsekoglu et al, 2008)등 인간의 다양한 행동에 적용되어 왔으며 그 타당성과 이론의 유용성이 검증된 바 있다(손영곤 등, 2012). TPB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인 간의 행위는 의도와 지각된 행위통제에 직간접적인 연관성이 있다. 의도는 세 가지의 핵심 요인인 행위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와 관련 성이 있다.(Ajzen, 2005). 의도를 예측하는 세 가지 결정요인은 각각의 신념 (belief)을 기초로 한 선행 요인을 가진다. 이와 같은 내용을 도식화 하면 <그 림1>과 같다.

<그림1.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한 관계 모형(Ajzen, 2005)>

행위에 대한 태도는 특정 행위에 대해 개인이 갖는 긍정적, 부정적 평가이 며 태도 자체보다 행위에 대한 태도를 강조한다(Ajzen, 2005). 주관적 규범은 특정 행위를 수행하거나 또는 수행하지 않는데 있어 개인이 주관적으로 느끼 는 사회적인 압력이다. 지각된 행위통제는 행위 수행의 용이함 및 어려움에 대한 지각이며 방해 및 촉진 요인에 대한 스스로의 조절인식을 포함하고 있는 개념이다(Ajzen, 2005). 하지만 TPB가 기존 행동이론들에 비해 행동 의도나 실질적 행동 예측을 위한 보다 우수한 이론으로 나타났지만(Lam, 2004) 특정 상황에서는 TPB의 세 주요 구성요소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이외에 지식(Ko et al., 2004), 도덕적 규범(차동필, 2010), 습관(송민호 등, 2014)등의 변수들이 구성요소에 추가될 때 행동 의도 및 행동 예측력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an et al, 2010). 이러한 TPB의 한계에 대해 지적이 제 기 되면서 TPB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주요 세 가지 요인인 태도, 주관적 규 범, 지각된 행위통제 이외에 추가적으로 행동 의도나 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측되는 다른 변인들을 포함한 확장된 계획행동 모델을 검증하는 많은 연구들이 시행되어졌다.

TPB는 다양한 상황에 맞게 변형되었고(Perugini, 2001; Han et al, 2010;

Bansal et al, 1999) 이러한 노력은 기존의 TPB보다 특정 상황에서 인간 행동 을 예측하는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호주에서의 헌혈에 대한 의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기존의 TPB 모델에서 신념에 대한 요소로서 지식을 적용한 결과 헌 혈에 대한 지식이 주관적 규범, 자기 효능감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냈으며 이에 대한 선행 요소로서 작용한다고 말하였다(Michael Jay Polonsky, 2013). . 지식은 개인이 간호수행에 있어 정보에 입각하고 신중한 결 정을 내린다고 할 수 있으며(Ajzen, 1977) 이는 주어진 행동을 수행하는 것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이 중요한 선행 사항이므로 TPB 모델의 구성 요소를 주도 해야 함을 시사한다.

신종 감염병의 출현과 더불어 계획된 행위이론을 바탕으로 신종 감염병 환 자 간호의도를 설명한 연구들이 발표되었는데, 국내 간호사를 대상으로 SARS 환자 간호의도를 설명한 Kim et al. (2006), 대만 간호사를 대상으로 SARS 환 자 간호의도에 대한 Ko et al. (2004) 연구가 있었으나, 국내 간호사의 간호의 도를 설명한 Kim et al. (2006)의 연구에서는 실제로 SARS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비율이 4.4%로 극히 적어 간호의도에 대한 연구 파악이 어려웠으며, MERS 사태 이후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국내 간호사의 간호의도를 찾아보 기 어려웠다. 이외에 계획된 행위이론을 적용한 연구들 중 계획된 행위이론 변수중 주관적 규범이 행위 의도 예측이 가장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손영곤, 이병관, 2012; Armitage & Conner, 2001).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자기정체성, 집 단규범, 도덕적 규범과 같은 규범 변수를 추가한 연구(차동필, 2010; Mason &

White, 2008)에서 약 1~4% 정도의 행위 의도 설명력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냈 다(차동필, 2010).

간호 전문직 자부심은 간호사의 전문직으로 간호에 대한 신념, 관념 및 인 상, 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 간호수행 및 직업 자체에 대한 의식적인 견해 (윤은자 등, 2005)이며, 간호사는 전문직관에 따라 윤리적 의무와 사회적 책임 감 등으로 환자 간호에 참여해야 한다고 답한 비율이 50~70%에 달한 것(Barr et al., 2008;Damery et al., 2010: Grimes & Mendias, 2010)으로 미루어 볼 때 간호전문직관은 간호사에게 내재된 규범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간 호사들의 전문직관에 대한 요소를 추가로 적용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그 수가 매우 적었으며 간호사 대상으로 개발되어진 전문직관이 아닌 도구로 측정한 것이 대부분 이였다.

종합적으로 주관적 규범은 행위자 스스로가 행동에 대해 평가하는 것에서 나아가 그 행동에 대한 행위자 주변사람들의 평가를 의미(Ajzen, 1975)하는 것 으로 간호사의 간호수행에 대해 다른 의료진을 비롯하여 동료 간호사를 통해 평가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집단의 의견에 대해 간호사 자신이 지각하는 정도

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환자 간호라는 수행이 직업적 의무 감 및 사회적으로도 기대에 부응해야 하는 사회적 의무감을 가지는 행위로 미 루어 볼 때 간호사 자신의 사회적인 압력을 나타내는 주관적 규범에 대해 사 회적 인식과 존중에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 자부심이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PB 이론의 핵심 요소 중 주관적 규범에 간호사 대상 으로 개발되어진 간호 전문직 자부심 도구를 사용하며 간호사의 내재된 규범 및 순응 동기로서 작용 할 것으로 예측되며 간호사와 가까운 주변 사람들의 평가에 따른 간호사 자신의 지각 정도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 되어 TPB 이론 에 확장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을 확장 적용하며 최 근 국내 상황을 반영하고 다른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던 간호사의 전문직 자부심 요소를 주관적 규범에 적용하여 간호의도를 예측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행위에 대한 태도에 코로나19 태도 정도로 보았으며, 이 에 따라 간호 행위 의도 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기대 한다. 주관적 규범으로는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가 가지는 규범과 순응동기로 볼 수 있는 간호 전문직 자부심으로 보았으며, 행위 수행에 따른 용이함이나 어려움에 대해 스스로의 조절인식 하는 지각된 행위통제는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의도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지식과 간호사로서의 코로나19에 대한 자신감, 즉 간호를 수행하는 활동이나 믿음과 같은 자기효능감과 유사한 지각 된 행위통제로 보았다. 이와 같은 내용을 도식화 하면 <그림2>과 같다.

<그림2. 본 연구의 연구모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1-3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