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 도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2)

사용된 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8문항, 신종감염병 관련 특 성 6문항,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20문항, 코로나19에 대한 태도 12문항, 전문 직 자부심 27문항, 지각된 행위통제 2문항, 간호의도 3문항으로 총 7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도구는 도구개발자 및 수정·보완한 자에게 전자메일을 통 해 승인을 얻은 후 사용하였다.

1)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 문항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성별, 연령, 결혼상태, 최종학력,

간호사로서의 임상경력, 소속부서, 자녀유무, 동거여부등 총 8문항으로 측정하 였다.

2) 신종감염병 관련 특성

신종감염병 관련 특성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신종호흡기감염병 및 코로나 19 환자 간호 경험,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경로, 코로나19 교육 여부, 위험성 에 대한 이해, 보호하는 방법 이해, 신종호흡기감염병에 대한 교육 희망 등 총 6문항으로 측정하였다.

3)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본 연구에서 지식의 측정도구는 Lee Bs, Eo YS, Lee MA(2018)의 도구를 토 대로 최영은, 이은숙(2019)이 개발한 측정도구를 국내·외 코로나19 관리지침 과 대응지침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도구 사용 전 도구 개발자 및 수정·보완한 자에게 전자메일을 통해 승인을 얻은 후 사용하였다.

코로나19에 대한 지식 측정의 하위요인으로는 원인 및 잠복기(Cause &

Incubation Period) 4문항, 전파경로 및 판정기준(Propagation & Critera) 4문항, 증상 및치료(Symptom & Treatment) 4문항, 격리 및 해제방법(Isolation &

Release) 8문항 이며 총 20문항으로 구성된다. 응답방식은 ‘예’,‘아니오’

로 정답은 1점, 오답은 0점으로 처리 하였으며 문항 중 1번 , 4번, 6번, 8번, 10번, 17번, 19번, 20번등 8문항은 역환산 문항으로 채점되어 각 문항에 대해 최저 0점에서 최고 20점까지로 점수가 높을수록 지식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최영은, 이은숙(2019)이 개발한 지식 측정도구의 내용 타당도 평가 지수 (Content Validity Index, CVI)는 0.8-1점으로 검증되었으며 KR-20 계수는 .68이 었다.

4) 코로나19 간호행동에 대한 태도

본 연구에서 태도의 측정도구는 Park(2006)의 도구를 Kim(2017)이 수정·보 완하여 사용하였고 최영은, 이은숙(201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으며 도구 사용 전 도구 개발자 및 수 정·보완한 자에게 전자메일을 통해 승인을 얻은 후 사용하였다.

총 12문항으로 각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되었으며, 각 문항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로 부과하여 부 정문 형태의 문항인 8번, 11번등 2문항은 역환산 하였다. 점수의 범위는 1점에 서 5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코로나19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의 미한다. Park(2006)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s α=.65가 나왔으며 수정·보완한 Kim(2017)의 연구에서 Cronbach ̀s α=.66이었으며, 최영은, 이은 숙(2019)의 연구에선 Cronbach ̀s α=.83 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 ̀s α

=.71로 나타났다.

5) 전문직 자부심

본 연구에서 전문직 자부심의 측정도구는 전재희, 이은희, 김은주(2020)가 개 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도구 사용 전 도구 개발자 및 수정·보완한 자에게 전자메일을 통해 승인을 얻은 후 사용하였다.

전문직 자부심에 대한 측정의 하위요인으로는 소명의식(Felling of vocation) 6문항, 역할만족(Role Satisfaction) 6문항, 문제해결자(Role of problem solver) 6문항, 자아성취(Self achievement) 4문항, 지속근무 의지(Willing to stay) 5문 항이며 총 27문항으로 구성된다. 각 항목은 Likert 5점 척도로 측정되며, 최소 27점에서 최고 135점으로, 점수가 높을 수록 간호 전문직 자부심 정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전재희, 이은희, 김은주(2020)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Cronbach

̀s α=.92이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Cronbach ̀s α=.93으로 나타났다.

6) 지각된 행위통제

본 연구에서 지각된 행위통제의 측정도구는 유혜라 등(2005)이 계획된 행위 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SARS 환자간호 의도예측 도구를 바탕으로 이지연 (2019)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 전 도구 개발자 및 수정·보완한 자에게 전 자메일을 통해 승인을 얻은 후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총 2문항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7점까지의 Likert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문항 수 로 나눈 평균값을 사용 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코로나19 환자 간호수행 시 자신감을 느끼며 간호 수행이 용이하다고 지각함을 의미한다. 유혜라 등 (2005)의 연구에서의 긍정적 통제신념에 대한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

=.75이였으며 본 연구의 신뢰도는 Cronbach ̀s α=.87로 나타났다.

7) 간호의도

본 연구에서 간호의도의 측정도구는 유혜라 등(2005)이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SARS 환자간호 의도예측 도구를 바탕으로 이지연(2019)이 수 정·보완한 것을 사용 전 도구 개발자 및 수정·보완한 자에게 전자메일을 통 해 승인을 얻은 후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총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7 점까지의 Likert 7점 척도로 구성 하였다. 각 문항의 점수를 합산하여 문항 수 로 나눈 평균값을 사용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코로나19 간호의도가 높음 을 의미한다.

유혜라 등(2005)의 도구를 사용한 Kim et al(2006)의 연구에서 도구의 신뢰도 는Cronbach ̀s α=.89이였으며, 이지연(2019)의 연구에선 신뢰도는 Cronbach ̀s α=.88이었다. 본 연구에서 Cronbach ̀s α=.95이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4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