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이 슬 희

(3)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도교수 서 은 지

이 논문을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21 년 8 월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간 호 학 과

이 슬 희

(4)

이슬희의 간호학 석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장 서 은 지

심 사 위 원 김 춘 자

심 사 위 원 송 주 은

아 주 대 학 교 대 학 원

2021년 06월 21일

(5)

감사의 글

제 인생에 새로운 도전이었고, 새로운 꿈을 꾸게 만들어 준 2년간의 대 학원 생활이었습니다. 간호사로 여러 해 동안 일하면서 생겼던 여러 가지 질문들의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었고, 그 여정 속 우수한 교수님들의 가르 침으로 잘 끝마칠 수 있었습니다. 학업을 마치고 논문을 완성할 수 있도 록 함께 해 주신 분들께 감사의 글을 전하고자 합니다.

이 논문을 준비하면서 정말 많은 것을 알게 되었고 배우게 되었습니다.

부족하지만 이 논문이 완성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지도해주시고, 조언해주 셨던 서은지 교수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바쁘신 와중에도 항상 신경 써주시고, 아낌없이 지도해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또한, 제 논문을 심 사해 주신 김춘자 교수님과 송주은 교수님께도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부 족한 점이 많은 제 논문을 읽어 주시고 성심성의껏 주셨던 교수님들의 피 드백과 격려 덕분에 이 논문이 완성될 수 있었습니다. 논문 마무리 과정에 바빠졌던 저를 배려해주시고 도와주신 이영진 교수님께도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아울러 학위과정 동안 많은 가르침으 로 저를 더 나은 간호사로 성장시켜주신 간호대학 유문숙 교수님, 송미숙 교수님, 현명선 교수님, 박진희 교수님, 유미애 교수님, 부선주 교수님, 배 선형 교수님, 안정아 교수님, 김희준 교수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다시 생각해보면, 대학원 과정은 일과 대학원 수 업 그리고 논문을 함께 진행하면서 힘들고 정말 쉽지 않은 시간이었습니 다. 그래도 이러한 시간을 잘 버티고 견딜 수 있었던 건 가족들과 친구들 의 응원 덕분이었습니다. 먼저, 항상 딸을 자랑스러워 해주시고 힘든 대학 원 공부를 응원해주고 지원해주신 부모님께 무한 감사드립니다. 딸의 새 로운 도전을 진정으로 축하해 주시고, 끝까지 공부에 전념할 수 있도록

(6)

지원해주시고 많은 사랑을 주신 것에 정말 감사드리고 평생 잊지 않겠습 니다. 이 배움을 통해 앞으로 더 성장하고 발전하여 도움이 필요한 곳에 서 쓰임 받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멀리서 응원과 격려의 연락을 자주 해주며 신경을 써준 우리 오빠에게도 정말 감사한 마음을 전합니다.

가족들의 응원과 사랑이 큰 힘이 되었습니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한 학기 먼저 논문을 끝마친 선배로서 좋은 정보를 아낌없이 나눠주고 힘든 시간을 같이 공감해주며 큰 힘이 되어준 지선이와 같은 시기에 논문 을 쓰면서 함께 어려움을 나누고 서로 격려하며 같이 논문을 끝마치게 된 동기 예지 선생님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논문을 완성하기까지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이외에도 멀리서 항상 응원해주고, 많은 격려 와 위로로 끝까지 공부를 마칠 수 있도록 도와준 우리 주하와 민선이, 힘 들어서 투덜대도 다 받아주면서 옆에서 큰 위로를 보내주고 격려와 사랑 을 아낌없이 준 우리 상훈이, 저의 가능성을 높게 봐주고 옆에서 응원해 준 광현 선생님, 선배로서 많은 정보와 노하우를 주시고 응원해주신 수진 선생님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모두 언급하지는 못하였지만, 이렇 게 혼자가 아닌 제 곁에서 함께 해주신 여러분 덕분에 이 논문을 잘 마무 리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여러분의 앞길에 큰 기쁨과 행복만 가득하길 늘 기도하겠습니다.

2021년 7월 논문을 마무리하며 이슬희 올림

(7)

- 국문요약 -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아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이 슬 희

(지도교수: 서 은 지)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 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에서 투약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 25일 부터 12월 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투약 오류보고의도는 김명수(2010, 2013)가 개발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 정하였고, 환자안전문화는 미국의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관리 기구(AHRQ) 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 도구(HSOPSC)를 김정은 등(2007)이 번안 한 도구, 투약오류보고태도는 Wu & Lin (2007)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간호사 평가도구와 Teng 등(2009)의 투약오류 결과에 대한 평가도구를 Hung 등(2016)이 통합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김예슬(2017)이 번안한 도 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 및 측정변수의 척도 수준에 따라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8)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26.90±3.99세이며, 성별은 여자 간호사가 108 명(89.3%)으로 많았다. 최종학력은 간호학사 이상이 106명(83.5%)으 로 많았고, 근무경력은 평균 3.88±4.26년이었다.

2. 주요 변수들의 평균점수는 투약오류보고의도가 10점 만점에서 7.51±1.63점이었고, 환자안전문화는 5점 만점에서 3.36±0.33점이었으 며, 투약오류보고태도는 6점 만점에 4.85±0.58점이었다.

3. 투약오류보고의도는 환자안전문화(r=.27, p=.003), 투약오류보고태도 (r=.27, p=.003)와 환자안전문화 하위영역 중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 (r=.27, p=.003), 부서의 안전인식 및 사건보고(r=.23, p=.013)가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 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고(F=7.80, p=.001), 설명력은 12%이었으며, 환자안전문화(β=.21, p=.018)와 투약오류보고태도(β=.22, p=.015)가 유의한 영향 요인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 보고태도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 라서 투약오류보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인식 개선 교육을 강화하여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를 증진 시켜야 한다.

핵심어: 임상간호사,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고의도

(9)

차 례

국문요약 ⅰ

차 례 ⅲ

표 차 례 ⅴ

부록차례 ⅵ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4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7

A. 투약오류보고의도 7

B. 투약오류보고의도 영향요인 10

Ⅲ. 연구방법 16

A. 연구 설계 16

B. 연구 대상 16

C. 연구 도구 17

1. 환자안전문화 17

2. 투약오류보고태도 18

3. 투약오류보고의도 19

D. 자료 수집 방법 19

E. 자료 분석 방법 20

(10)

Ⅳ. 연구결과 21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B.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고의도 정도 23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 25 D.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관계 27

E.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9

Ⅴ. 논의 31

Ⅵ. 결론 및 제언 36

참고문헌 37

부 록 44

ABSTRACT 55

(11)

표 차례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표 2>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고의도 정도 24

<표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 26

<표 4>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관계 28

<표 5>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0

(12)

부록 차례

<부록 1> 설문지 44

<부록 2>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 49

<부록 3> 도구 승인 51

(13)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환자안전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환자를 보호하고 의료 질 향 상에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환자안전법이 2016년 시행되었다(법제처, 2016). 이에 따라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은 환자안전사고가 일어났을 때 자율 적으로 보고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법제처, 2016). 그러나 여전히 환자안전사고는 입원당 9.9%

의 발생률을 보였고, 2020년 환자안전 통계연보에 따르면 환자안전사고는 2020년 총 13,919건이 보고되어 전년대비 약 116% 증가하였으며, 그 중 투약오류가 두 번째로 많이 보고된 오류였다(의료기관평가인증원, 2021).

투약은 간호사의 업무에서 중요한 부분이며 간호수행에 있어서 위험한 영역에 해당된다(이순영, 김은경, 2012). 투약오류는 환자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문제 중 하나이며(Mortell, 2019), 입원 환자의 이환율과 사망 률의 중요한 원인으로 장기 입원을 초래할 수 있다(Vrbnjak, Denieffe, O’Gorman, & Pajnkihar, 2016). 투약오류를 최소화하여 환자안전을 보장하 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오류보고이며(Yesilyaprak & Korkmaz, 2021), 투 약오류는 발생했을 때 즉시 보고가 이루어져야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투약오류 과정을 개선하고 환자 간호의 질 을 최적화하기 위해 모든 투약오류를 보고하고 관련 개선점을 찾아야 한다 (Haw, Stubbs, & Dickens, 2014).

행위에 대한 의도는 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행위 를 예측하는 가장 영향력이 강한 지표이다(박미마, 2020). 투약오류보고의

(14)

도는 투약오류보고행동을 예측하고(Hung, Lee, Liang, & Chu, 2016), 투약 오류보고행위의 가장 핵심적인 변인이므로(박미마, 2020), 투약오류보고의 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투약오류보고행위를 증진시켜 환자안전사고를 예방 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라고 인식되고 있다(김명수, 2013). 그러나 오류보고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조직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는 오류가 발생하면 관리자의 비난 및 처벌에 대한 두려움, 오류에 대한 부끄러움 등으로 인해 투약오류보고의도가 감소할 수 있다(Ali, Saifan, Alrimawi, Atout, & Salameh, 2021). 또한 간호사 개인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두려움도 투약오류보고를 어 렵게 한다(Yung, Yu, Chu, Hou, & Tang, 2016). 이처럼 간호사가 투약오 류를 보고하는 것에는 투약오류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두려움, 책 임감 및 특성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병원조직문화, 보고시스템 및 관리자의 행동과 같은 조직적 요인이 영향을 줄 수 있다(Vrbnjak et al., 2016). 따라 서 원활한 투약오류보고를 위해서는 간호사의 오류보고에 대한 인식 개선 과 함께 투약오류보고를 장려하는 조직 환경 및 안전문화를 형성하는 것 이 필요하다(Lee, 2017).

환자안전문화는 조직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구성원의 헌신과 개인 또 는 조직의 능력을 결정짓는 가치, 태도, 지각, 능력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을 의미한다(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AHRQ], 2004).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오류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조직의 문제와 원인분석을 가능하게 한 다는 점에서 투약오류 개선에서 중요한 개념이다(김수경 등, 2016). 투약오 류보고를 위한 자원이나 방법, 가능여부 등의 환경적 장애 요인이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와 행위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박미마, 2020). 간호사 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환자안전사건 보고의도가 높았으

(15)

며(Ko & Yu, 2017), 투약오류보고가 환자안전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 한 간호업무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는 분위기 조성이 결국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를 높일 수 있었다(배진현, 김정, 2016). 따라서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인식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 러나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 및 근접오류 경험과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투약오류보고의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투약오류보고태도란 투약오류를 보고하는 행동에 대한 결과와 그 행동 의 가치를 평가하는 정도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의미하며,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투약오류보고의도를 증가시킨다고 하 였다(Hung et al., 2016). 자신이 관련이 되어 있든 아니든 오류보고 자체 를 생활의 일부로 여기고 작은 오류라도 발견하려는 습관으로 이어질 때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가 직접 보고행위로 연결될 수 있다(Sorra, Nieva, Fastman, Kaplan, Schreiber, & King, 2008). 즉,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 도의 긍정적인 변화는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져 투 약오류를 알리는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박미마, 2020). 이처럼 간호사 가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과 투약안전에 대한 관심 있는 태도를 보이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간호사의 투약오류 상황, 투약 오류 및 투약오류보고 경험과 투약오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인 반면, 투약오류보고의도에 관한 국내외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적 요인인 환자안전문화와 개인적 요인인 투약 오류보고태도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투약오 류보고 향상을 통한 투약오류 예방의 개선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한다.

(16)

B.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와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정도를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투약오류보고의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4. 대상자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17)

C. 용어의 정의

1. 환자안전문화

(A) 이론적 정의 : 환자안전문화는 조직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구성 원의 헌신과 개인 또는 조직의 능력을 결정짓는 가치, 태도, 지 각, 능력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을 의미한다(AHRQ, 2004).

(B) 조작적 정의 : 미국의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관리 기구(AHRQ)에 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도구(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OPSC)를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2007)가 번안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2 투약오류보고태도

(A) 이론적 정의 : 투약오류보고태도는 투약오류를 보고하는 행동에 대한 결과와 그 행동의 가치를 평가하는 정도에 대한 개인의 인 식을 의미한다(Hung et al., 2016).

(B)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Wu와 Lin(2007)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간호사 평가도구와 Teng, Ho와 Chen(2009)의 투약오류 결 과에 대한 평가도구를 Hung 등(2016)이 통합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김예슬(2017)이 번안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다.

(18)

3. 투약오류보고의도

(A) 이론적 정의 : 투약오류보고의도는 자신이나 타인이 발생시킨 투약오류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하는 의향을 의미한다(김명수, 2013).

(B) 조작적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류보고의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명수(2010)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를 김명수(2013)의 연구에서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맞게 수정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의미한 다.

(19)

Ⅱ. 문헌 고찰

A. 투약오류보고의도

투약오류는 “의료 전문가, 환자 또는 소비자가 약물을 관리하는 동안 부적절한 약물 사용 또는 환자 피해의 원인이 되거나 유발할 수 있는 예 방 가능한 사건"으로 정의하고 있다(National Coordinating Council for Medication Error Reporting and Prevention[NCC MERP], 2017). 환자안 전보고학습시스템(KOPS)이 2020년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전년대비 투약 오류 보고건수가 527건(13.9%)이 증가하였다. 또한 투약오류가 낙상에 이 어 31.1%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병원 내 투약 오류 관리의 중요성은 더욱더 증가하고 있다.

정확한 투약은 환자의 치료에 대한 최상의 결과를 보장하기 위한 중요 한 과정이다(Ayorinde & Alabi, 2019). 그렇기 때문에 투약오류는 단순한 간호사 개인의 실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하고(이은경, 정춘화, 전혜진, 2010), 환자에게 직접적인 피해와 고통 을 주고 입원 기간 연장과 기존 질병의 악화를 초래하는 등의 문제를 일 으킬 수 있다(구미지, 2021). 그렇기 때문에 투약오류를 최소화하여 환자안 전을 보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이를 위한 중요한 요소는 오류보고이 다(Yesilyaprak & Korkmaz, 2021). 투약오류는 발생했을 때 즉시 보고가 이루어져야 원인을 파악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다(김은경, 강민아, 김희정, 2007). 간호사는 약물의 준비와 투여를 직접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투약 오류를 발견하고 보고하는데 누구보다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의료인이다(정 선영, 김영혜, 강인순, 손현미, 2013). 따라서 간호사는 투약오류 과정을

(20)

개선하고 환자 치료의 질을 최적화하기 위해 모든 투약오류를 즉시 보고 해야 한다(Haw et al., 2014).

실제 임상현장에서 투약오류보고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것에 대하여 민 감하기 때문에 행위의 직접적인 결정인자인 의도를 통해 투약오류보고를 증진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김명수, 2015;

Tabak & Fleishman, 2011; Williams, Phipps, & Ashcroft, 2015). 의도는 개인 행위에 대한 의지로써, 특정 행위를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자발 성과 함께 행동이행 가능성에 대한 생각 또는 계획을 의미한다(Ajzen, 2005). 투약오류보고의도는 자신이나 타인이 발생시킨 투약오류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하는 의향으로(김명수, 2013), 실제적인 투약오류보고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결정요인이다(박미마, 2020). 즉, 투약오류보고 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투약오류보고행위를 증진시켜 환자안전사고를 예 방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다(김명수, 2013).

투약오류보고의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실제 투약오류보고 증가로 이어진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투약오류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과 익명의 오류보 고시스템을 통한 의도 향상 등이 있다. 오류에 대한 개별교육, 실제 사례 와 개선 방안 홍보, 보고에 대한 직접 보상 등으로 구성된 오류보고 촉진 전략이 간호사의 오류보고태도와 행위를 증진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었지 만 오류보고의도는 유의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았다(김명수, 2010). 이는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보상 전략으로 인해 단기간에 보고 행위가 증가하였 으나 오류보고의도를 변화시키기에는 비교적 기간이 짧았다는 한계가 있 어 장기화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 였다(김명수, 2010). 또한 오류보고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투약오류보고 의도를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실제 투약오류보고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 었다(Williams et al., 2015). 투약오류보고 시 익명성을 보장하고 보고 시

(21)

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전산화된 오류보고시스템은 간호사의 오류보고행위 가 습관화되도록 도움을 주었고(김명수, 2012),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와 의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오류보고행위를 증진시켰다(김명수, 2010).

때문에 현실적이고 관리 가능한 익명보고시스템은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 에 대한 의지를 높이는 방법으로 유용하다고 하였다(Almutary & Lewis, 2012).

반면에 박미마(2020)의 연구에서는 환자안전보고시스템의 활용성 인식 은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직접적인 영향 요인이 아니었지만, 간호사의 투약 오류보고장애인 두려움과 부정적인 관리자의 반응을 통제할 수 있다면 투 약오류보고의도가 높아지고 그에 따라 투약오류보고행위가 높아졌음을 확 인하였다. 이와 같이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들을 함께 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22)

B. 투약오류보고의도 영향요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영향요인으로 병원조직문화, 보고시스템 및 관리자 의 행동과 같은 조직적 요인과 간호사의 투약오류로 인한 부정적인 결과 에 대한 두려움, 책임감 및 특성과 같은 개인적 요인이 보고되었다 (Vrbnjak et al., 2016). 간호조직문화 중 업무지향문화와 수평적 의사소통 은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를 향상시켰다(배진현, 김정, 2016). Ko와 Yu (2017)의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는 투약오류보고의도와 관련성을 보였 고 관리자의 코칭에 따라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간호사가 인식하는 조직 내 안전 분위기 및 심리적 안전감의 수준이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쳤다(문선영, 2020; 이현영, 2019). 조직적 요인 뿐만 아니라 개인적 요인으로 간호사 개인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보고에 대한 내용을 명확하게 하고 다른 사 람들도 오류보고를 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도록 하여 투약오류보고의도를 향상시켰다(김예슬, 2017; Hung et al., 2016; Williams et al., 2015; Yung et al., 2016). 또한 동료의 투약오류보고태도, 관리자의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보고통제가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며(Hung et al., 2016), 간호사 스스로의 행동 통제와 사회적 기대에 대한 인식이 간호 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 영향요인이었다(Tabak & Fleishman, 2011). 또한 비난에 대한 우려, 소송 및 법적 조치에 대한 두려움이 간호사가 투약오류 를 보고하려는 의지에 영향을 주었다(Almutary & Lewis, 2012).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 펴보면, 연령(김명수, 2015; 전숙희, 김은정, 2017), 성별(이현영, 2019), 결 혼상태와 근무경력(김명수, 2016), 교육수준(이현영, 2019; Chegini et al., 2020), 투약오류 관련 교육 참여 횟수(문선영, 2020), 한 달 내 본인 또는

(23)

타인의 투약오류 경험 유무(문선영, 2020; 이현영, 2019) 등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조직적, 개인적 주요 요인으로 나타난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태도에 대해 살펴보겠 다.

1) 환자안전문화

2004년 AHRQ에서 발표한 Hospital on Patient Safety Culture의 정의에 따르면, 환자안전이란 “의료서비스 전달과정 중에 발생한 환자의 부상이나 사고로부터의 예방”을 뜻한다. 또한 AHRQ(2004)에서는 환자안전문화란 “조 직의 안전한 관리를 위한 구성원의 헌신과 개인 또는 조직의 능력을 결정짓 는 가치, 태도, 지각, 능력 그리고 행동 양식의 산물이다”라고 정의하고 있 다. 환자안전문화는 기술적인 부분을 포함하여 환자안전을 위한 시스템적 체계 및 정책과 절차, 효율적인 인력관리와 리더십,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강조되는 개념이다(임선애, 박민정, 2018).

병원 내의 환자안전문화 구축은 환자안전과 관련된 사항들의 보고와 학 습을 증가시키고, 안전사고 재발을 잠재적으로 감소시키며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엄격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NPSA], 2006). 또한 환자안전문화를 인식하는 것은 보다 안전한 의 료 환경을 만들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들 중 하나로, 의료오류의 발생을 감 소시키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와 관련해 조직의 문제와 원인 분석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과제이다(김수경 등, 2016). 따라서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조직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 에 대한 수준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개선 활동을 수행하고, 효과 평가를 지

(24)

속적으로 해야 한다(하수진, 이민주, 2019).

환자안전에 관한 이슈들을 개방적으로 논의하고, 체계적인 방안을 모색 하기에 앞서 환자안전에 대한 조직 문화적인 분석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하 는데(김정은 등, 2007), 이를 위한 중요한 요소는 오류보고이다(Yesilyaprak

& Korkmaz, 2021). 오류보고를 비판하지 않는 조직의 환자안전문화가 직원 간의 신뢰 구축에 기여하고 투약오류보고를 장려할 수 있다(Ko & Yu, 2017). 현재의 환자안전문화는 오류가 발생했을 때 보고자를 비난하기보다 오류보고를 통해 발생한 사고를 알려 사고가 일어나게 된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책을 찾아 오류가 재발하지 않도록 병원시스템을 바꾸는 방향으로 나아 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오류보고에 대한 두려움을 줄여 오류보고를 증진시 켜야 한다(여태화, 2016).

5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와 오류보고의도의 상관관 계를 연구한 Ko와 Yu (2017)의 연구에서 오류 원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을 위한 관리자의 적절한 코칭 행동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간호사의 인 식이 개선되며 그에 따라 오류보고의도가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투약오류보고가 간호업무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는 분위기 조성이 결국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를 높일 수 있었고(배진현, 김정, 2016), 간 호사가 인식하는 조직 내의 안전 분위기 및 심리적 안전감의 수준이 높을수 록 투약오류보고의도가 높아졌다(문선영, 2020; 이현영, 2019). 전숙희와 김 은정(2017)의 연구에서는 환자안전문화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근접오류보고 의향이 유의하게 높아졌고, 특히 환자안전문화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환자안 전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조직학습과 과오에 대한 피드백과 의사소통이 보 고의향에 영향을 미쳤다. 박미마(2020)의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 식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요인은 아니었지만, 간호사들의 투 약오류보고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25)

이란의 공공 의료기관 응급실 간호사 대상으로 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에 대하여 확인한 Chegini, Kakemam, Jafarabadi와 Janati (2020)의 연구에서 높은 수준의 환자안전문화를 인식하고 있는 간호사는 오류를 보고 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간호사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 킴으로써 조직 내에서 환자의 안전을 위한 오류보고를 촉진할 수 있다고 하 였다. 중국의 3차 병원 간호사 대상의 Yang와 Liu (2021)의 연구에서는 환 자안전문화의 하위 차원 중 조직학습과 조직의 환자안전 관리 지원 수준은 근접오류보고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학습의 긍정적인 효과는 근접오류보고의도를 개선하여 조직의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미국의 요양원 간호사 대상의 Farag, Vogelsmeier, Knox, Perkhounkova와 Burant (2020)의 연구에서 오류보고의 중요성에 대한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비처벌적 환경을 조성하는 간호 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안전문화를 조성 하여 근접오류를 보고하려는 간호사의 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투약오류보고태도

행위에 대한 태도는 행위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로, 특정 행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 또는 긍정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선호 정도를 의미하며 (Ajzen, 2005), 투약오류보고태도란 투약오류를 보고하는 행동에 대한 결 과와 그 행동의 가치를 평가하는 정도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의미한다 (Hung et al., 2016). 간호사는 환자에게 직접적으로 간호 수행을 하기 때 문에 간호사는 사고 예방을 위하여 환자의 안전을 관리하고 파악하고 있 어야 하며(박소정, 강지연, 이영옥, 2012), 환자 가까이에서 안전사고를 직 접 경험하기 때문에 특히 사고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가 중요하다(고

(26)

유미, 김주성, 2018).

하지만 간호사는 오류에 대한 책임감, 오류로 인한 결과에 대한 죄책 감, 두려움을 느끼며(Sarvadikar, Prescott, & Williams, 2010), 오류에 대 한 다른 간호사의 비난이나 보고에 대한 부담감, 보고목적에 대한 불확실 성, 사소한 오류의 무시, 평가활용 우려 등의 이류로 오류보고를 어려워한 다(Haw et al., 2014). 또한 간호사 개인이 오류보고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거나 오류보고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되면 오류보고가 잘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 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Yung et al., 2016). 간호사가 본인의 오류보고 가 의미 있게 다루어져 의료 환경의 개선으로 이어졌다는 것을 인식할 때 긍정적인 변화를 보인다고 하였으며(Wallace, 2010),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는 투약오류를 알리고 현재를 더 나은 상황으로 변화를 시 켜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박미마, 2020).

종합병원 간호사 대상의 연구에서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 가 긍정적일수록 투약오류보고의도가 유의하게 높았다(김예슬, 2017). 그 러나 박미마(2020)의 연구에서는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도가 의도에 직 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실제 투약오류보고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 인으로 나타났다. 오류보고 촉진전략을 통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 된 실험연구인 김명수(2010)의 연구에서 오류보고에 대한 익명성이 철저 히 보장되는 시스템과 오류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더 나아가 오류보고행위 를 하게 하는 직접적인 촉진전략이 되었다. 투약오류보고의도는 오류 자 체나 오류보고에 대한 개인의 생각이나 판단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김명수, 2012) 투약오류보고에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투약오류보 고를 일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호사의 인식 개선을 위한

(27)

병원 조직의 노력이 중요하다(김명수, 2015).

대만의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간호사 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투약오류를 보고하려는 의 도가 증가하였고(Hung et al., 2016), 인도네시아의 병원 간호사 대상의 연구에서는 환자안전사고를 보고하는 것에 대한 태도는 환자안전사고를 보고하려는 간호사의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Ekayani, Wardhani,

& Rachmi, 2017). 또한 영국의 병원 약사의 약물안전사고를 보고하는 것 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는 약물안전사고를 보고하려는 의도를 향상 시켰으며, 사고보고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고를 보고하는 것에 대한 개인적인 자신감과 보고를 통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하다고 하였다(Williams et al., 2015).

(28)

Ⅲ.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태도 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 다.

B.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대학병원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아래의 선정기준에 따라 편의표집하였다.

(1) 투약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간호사 (내과병동, 외과병동, 중환 자실, 특수부서 등)

(2)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3)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설문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간호사

6개월 미만의 신규간호사는 부서와 근무 형태에 적응하는 기간으로 임상수행능력과 직무에 대한 준비가 다른 경력간호사와 차이가 있으므로 6개월 이상의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박현정, 2015). 또한 수간호 사 이상의 관리자는 투약 관련 업무를 직접 수행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외 하고 실제 투약 업무를 수행하는 임상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29)

본 연구를 위해 요구되는 적정 대상자수는 G-power 3.1.9.2를 이용하 여 회귀분석에 필요한 표본수를 산출하였다. 유의수준(α) 0.05, 다중 회귀 분석을 위한 효과크기(f2) 0.15, 검정력(1-β) 0.80, 예측 요인의 수 10개(환 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일반적 특성 8개)로 산정한 결과, 필요한 최소 표본수 118명으로 산출되었으며, 탈락률 10%를 감안하여 연구대상 자는 총 130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 130부(100%)가 회수되었고, 응답이 부적절한 설문지 9부를 제외하고 최종 121부의 자료를 분석에 포 함하였다.

C. 연구 도구

본 연구의 도구는 원저자의 허락을 구한 뒤 구조화된 설문지로 구성 하여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문항, 투약오류보고의도 3문 항, 환자안전문화 44문항, 투약오류보고태도 6문항으로 총 65문항이었다.

1.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문화는 미국의 보건의료 연구 및 질 관리 기구(AHRQ)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 도구(HSOPSC)를 김정은 등(2007)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AHRQ(2004)에 서 최초 개발된 도구는 69문항이었으나 44문항으로 재구성하여 AHRQ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다. 이 도구는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 ‘병원의 환자안전문화’, ‘부서의 안전인식 및 사고보고’ 3개의 영역의 42문항, ‘환자 의 안전도’ 1문항, ‘보고된 사건 횟수’ 1문항까지 총 44개 문항으로 구성되

(30)

어 있다. 3개 영역의 42문항은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 다’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평균 점수가 높 을수록 환자안전문화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환자의 안전도’ 문항은

‘아주 나쁘다’ 1점에서부터 ‘아주 훌륭하다’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응 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부서에서 느끼는 전반적인 환자안전도를 의미한다.

‘보고된 사건 횟수’ 문항은 0회, 1-2회, 3-5회, 6-10회, 11-20회, 21회 이상 의 보기 중에서 응답하도록 되어 있고, 지난 1년간 투약오류를 포함한 낙 상, 검사오류, 수술오류 등의 환자안전사건을 보고한 횟수를 의미한다. 개 발당시 AHRQ(2004)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α=.78이었고, 김정은 등 (2007)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91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89이었다.

2.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고태도는 Wu와 Lin (2007)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간호사 평가도구와 Teng 등(2009)의 투약오류 결과에 대한 평가도구를 Hung 등 (2016)이 통합하여 수정·보완한 도구를 김예슬(2017)이 번안한 도구를 사 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간호사 평가’ 4문항 과 ‘투약오류 결과 평가’ 2문항의 총 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해 ‘매우 그렇지 않다’ 1점에서부터 ‘매우 그렇다’ 6점까지 Likert 6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평균 점수가 높을수록 투약오류보고태도 가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Hung et al., 2016) 도구의 신뢰도 는 Cronbach’s α=.91이었고, 김예슬(2017)의 연구에서는 Cronbach’s α=.88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90이었다.

(31)

3. 투약오류보고의도

투약오류보고의도는 김명수(2010, 2013)가 개발 및 수정한 투약오류보 고의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자신의 투약오류보고, 타 인의 투약오류보고, 투약오류에 대한 정보 교환의 3개의 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 문항에 대해 ‘절대로 하지 않을 것이다’ 0점에서부터 ‘꼭 할 것이다’의 10점까지 시각적 상사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평균 점 수가 높을수록 투약오류보고의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김명수(201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86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Cronbach's α=.82이었다.

D. 자료 수집 방법

본 연구의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1월 25일부터 12월 2일까지였다.

본 연구 진행에 앞서 연구의 모든 진행과 내용을 본 연구자가 기관연구윤 리심의위원회(Interna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를 거쳐 승인을 받 았다(AJIRB-SBR-SUR-20-458). 자료수집을 위해 본 연구자가 병원의 간 호본부에 방문하여 연구목적과 취지, 윤리적인 부분을 설명한 후 자료수 집을 승인받았다.

대상자가 직접 설명문을 읽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 각 설문지에는 연구목적과 방법, 기간, 자료의 익명성 및 비밀보장 등을 명시 하였고, 동의서에 서명은 하지 않고 설문지 제출을 동의한 것으로 간주하 였다. 그리고 설문에 응한 대상자에게는 소정의 답례품을 제공하였다. 대 상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한 후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32)

개인용 봉투에 넣어 밀봉한 후 밀봉된 수거함에 제출하도록 하였고, 작성 된 설문지는 일주일 후 연구자가 회수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을 유지하며 보관하였으며, 연구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PC는 암호를 설정 해서 본 연구자 외 타인이 접근할 수 없도록 관리하였다.

E.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고,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와 투약오 류보고의도는 기술통계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 차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와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4. 대상자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33)

Ⅳ. 연구 결과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평균 연령은 26.90±3.99 세였고, 성별은 ‘여자’ 108명(89.3%), ‘남자’ 13명(10.7%)으로 여자가 대부 분을 차지하였다. 결혼 여부는 ‘미혼’이 107명(88.4%)으로 많았고, ‘기혼’은 14명(11.6%)이었으며 최종학력은 ‘간호학사 이상’이 101명(83.5%)로 대부 분이었고, ‘전문학사’는 20명(16.5%)이었다. 종교 여부는 ‘있음’ 28명 (23.1%), ‘없음’ 93명(76.9%)이었다.

연구대상자의 근무경력은 평균 3.88±4.26년이었고, 근무부서는 ‘중환자 실’ 46명(38.0%), ‘응급실’ 29명(24.0%), ‘내과계 병동’ 24명(19.8%), ‘외과계 병동’ 22명(18.2%)이었다.

연구대상자의 투약오류 교육경험은 ‘있음’ 118명(97.5%)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없음’은 3명(2.5%)이었다. 투약오류 경험은 17명(14.0%)가 있 다고 하였고, 투약오류보고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는 13명(10.7%)이었다.

또한, 연구대상자 중 69명(57.0%)가 타인의 투약오류를 발견하였고, 타인 의 투약오류를 보고한 대상자는 29명(24.0%)이었다. 보고된 사건 횟수는 투약오류를 포함한 낙상, 검사오류, 수술오류 등의 환자안전사건이 보고된 횟수를 의미하며, 1-2회 66명(54.5%), 0회 36명(29.8%), 3회 이상이 19명 (15.7%) 순으로 응답하였다.

(34)

<표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N=121)

변수 구분 실수 (%) 평균±표준편차 범위

연령(세) 26.90±3.99 23-45

성별 13 (10.7)

108 (89.3)

결혼상태 미혼 107 (88.4)

기혼 14 (11.6)

최종학력 전문학사 20 (16.5)

간호학사 이상 101 (83.5)

종교 28 (23.1)

93 (76.9)

근무경력(년) 3.88±4.26 0.5-23

근무부서 내과계 병동 24 (19.8)

외과계 병동 22 (18.2)

중환자실 46 (38.0)

응급실 29 (24.0)

투약오류 교육경험 118 (97.5)

3 (2.5)

투약오류 경험 17 (14.0)

104 (86.0)

투약오류보고 경험 13 (10.7)

108 (89.3)

타인의 투약오류 발견 69 (57.0)

52 (43.0)

타인의 투약오류보고 경험 유 29 (24.0)

92 (76.0)

보고된 사건 횟수 0회 36 (29.8)

1-2회 66 (54.5)

3회 이상 19 (15.7)

(35)

B.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고의도 정도

연구대상자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 고의도의 정도는 <표 2>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의 평균점수 는 3.36±0.33점이었고, 투약오류보고태도의 평균점수는 4.85±0.58점이었으 며, 투약오류보고의도의 평균점수는 7.51±1.63점이었다.

환자안전문화의 하위영역에서는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 3.32±0.36점, 병원의 환자안전문화 3.24±0.44점, 부서의 안전인식 및 사건보고 3.66±0.46 점, 환자의 안전도는 3.35±0.63점이었다.

(36)

<표 2>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투약오류보고의도 정도 (N=121)

변수 가능점수

범위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투약오류보고의도 0-10 7.51±1.63 3.67 10.00

환자안전문화 1-5 3.36±0.33 2.59 4.18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 1-5 3.32±0.36 2.44 4.14

병원의 환자안전문화 1-5 3.24±0.44 2.08 4.36

부서의 안전인식 및 사건보고 1-5 3.66±0.46 2.38 4.50

환자의 안전도 1-5 3.35±0.63 2.00 5.00

투약오류보고태도 1-6 4.85±0.58 3.50 6.00

(37)

C.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투약오류보고 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없었다.

(38)

<표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투약오류보고의도의 차이(N=121)

변수 구분 평균±표준편차 t/F/r(p)

연령(세) 7.51±1.63 0.13(.155)

성별 8.18±1.60

1.58(.116)

7.43±1.62

결혼상태 미혼 7.52±1.61

0.25(.804)

기혼 7.40±1.83

최종학력 전문학사 7.02±1.82

-1.48(.142) 간호학사 이상 7.60±1.58

종교 7.02±1.78 -1.81(.151)

7.65±1.57

근무경력(년) 7.51±1.63 0.08(.360)

근무부서 내과계 병동 7.39±1.58

1.30(.279)

외과계 병동 7.18±1.55

중환자실 7.87±1.43

응급실 7.28±1.98

투약오류 교육경험 7.53±1.62

1.02(.308)

6.56±2.34

투약오류 경험 7.61±1.83

0.27(.784)

7.49±1.61

투약오류보고 경험 7.31±1.82

-0.47(.643)

7.53±1.61

타인의 투약오류 발견 7.47±1.55

-0.26(.796)

7.55±1.75

타인의 투약오류보고 경험 7.44±1,77 -0.26(.792)

7.53±1.59

보고된 사건 횟수 0회 7.18±1.52

1.13(.328)

1-2회 7.68±1.70

3회 이상 7.53±1.56

(39)

D.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투약오류보고의 도의 관계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투약오류보고의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는 <표 4>와 같 다. 투약오류보고의도는 환자안전문화(r=.27, p=.003)와 투약오류보고태도 (r=.27, p=.003)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의 하위영역 중에서는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r=.27, p=.003), 부서의 안전인식 및 사건보고(r=.23, p=.013)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

<표 4>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 및 투약오류보고의도 간의 관계 (N=121)

1 1.1 1.2 1.3 1.4 2 3

r(p)

1. 환자안전문화 1

1.1.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 .94 (<.001) 1

1.2. 병원의 환자안전문화 .81 (<.001)

.63 (<.001) 1

1.3. 부서의 안전인식 및 사건보고 .65 (<.001) .46

(<.001) .40 (<.001) 1

1.4. 환자의 안전도 .48

(<.001) .41 (<.001) .35

(<.001) .48 (<.001) 1

2. 투약오류보고태도 .24

(.009) .20 (<.029) .19

(.033) .21 (.020) .26

(.005) 1

3. 투약오류보고의도 .27

(.003) .27 (.003) .14

(.126) .23 (.013) .11

(.247) .27 (.003) 1

(41)

E.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 투약오류보고태도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 분석을 한 결과는 <표 5>

와 같다.

다중 공선성 진단결과 Variance Inflation Factor(VIF) 값은 1.059로 10 이하이며 공차한계는 .944로 0.1이상 1.0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에 문제 가 없었다. 회귀 표준화 잔차의 정규 P-P 도표와 산점도를 확인한 결과 선형이며, 잔차의 분포가 0을 중심으로 고르게 퍼져있어 오차항의 정규성 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였다. Durbin-Watson 통계량은 1.990로 자기상관성 이 없고 Cook’s distance 통계량은 최댓값이 .094로 1.0을 초과하는 값이 없어 회귀분석의 가정을 만족하였다.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하였던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의도를 투입하여 회귀분석을 실 시한 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7.80, p=.001), 설명력은 12%이었다.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자안전문화 (β=.21, p=.018)와 투약오류보고태도(β=.22, p=.01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이 중 투약오류보고태도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표 5>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N=121)

B SE β t p

(상수) 0.96 1.68 0.57 .569

환자안전문화 1.05 0.44 .21 2.40 .018

투약오류보고태도 0.62 0.25 .22 2.48 .015

F(p) = 7.80(.001), R2 = .12, Adjusted R2 = .10

(43)

V. 논의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태도 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투약오류보고의도 증 진을 통한 투약오류 예방의 개선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 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에서 투약오류보고의도의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7.56점으 로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을 때는 75.60점이었다. Ko와 Yu (2015) 연구 에서 61.20점, Chegini 등(2020) 연구에서 68.00점, 이현영(2019) 연구에서 72.90점 등이었고, 김명수(2015) 연구에서 73.76점으로 본 연구와 유사하였 다. 환자안전 교육 횟수 또는 환자안전 교육 유무는 근접오류보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며 투약 관련 교육 참여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면, 투약 관련 교육 여부는 투약오류보고의도 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생각된다(권남규, 2018; 김은정, 2017; 문선영, 2020). 본 연구결과에서도 투약 관련 교육을 경험한 대상자가 97.5%로 대 부분이었다. 그러나 투약오류보고의도 점수는 높았지만 투약오류를 실제 로 보고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0.7%로 낮았다. 2020년 환자안전 통계 연보에 보고된 투약오류가 31.1%임을 고려하면, 높은 투약오류보고의도는 교육에 의해 높아진 옳은 행위에 대한 인식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의도가 행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투약오류와 적절한 보고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 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환자안전문화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33점으로 나 타났다. 국내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는 3.32-3.49점으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김연, 이은선, 최은영, 2013;

Han, Kim, & Seo, 2020; Ko & Yu, 2015; Lee & Oh, 2020). 2010년 의료

(44)

기관 인증 평가의 시작으로 각 병원에서 환자안전문화의 개선을 위한 노 력이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므로 점수가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 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노르웨이 중환자실 간호사 대상의 국외연구 (Vifladt, Simonsen, Lydersen, & Farup, 2016)에서는 3.53점이었다. 병원 에 사고보고에 대한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 토론문화를 만들었고,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비난 문화를 지양하기 위한 캠페인들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김수경 등, 2016). 환자안전문화 점수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상승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간호사들의 신뢰를 형성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 고 더욱 협력적인 조직 환경을 조성하는데에 기여하므로 환자안전을 위한 조직 문화를 촉진할 수 있다(김정은 등, 2007). 따라서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고 투약오류 방지를 위한 다양한 국외 교육과 정책들을 지 속적으로 적용하여 조직적인 안전문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투약오류보고태도 평균 점수는 6점 만점에 4.82점으로 나타났다. 국내 종합병원 간호사 대상의 선행연구에서는 4.96-5.00점으로 본 연구와 비슷한 수준의 긍정적인 투약오류보고태도를 가지고 있었다(김 예슬, 2017; 박미마, 2020). 또한 국외 연구에서 투약오류보고태도의 정확 한 점수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간호사가 인식하고 있는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수준이었다고 보고하였다(Hung et al., 2016; Yung et al., 2016). 이와 같은 긍정적 태도는 전 세계적으로 환자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국내에서는 의료기관평가인증제도가 도입되어 환 자안전사건에 대한 교육 및 사건보고시스템이 점차 개선되면서 간호사들 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투약오류보고태도가 긍정적인 수준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투약오류

(45)

보고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다른 많은 요소들이 투약오류보고 행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 예로, 비난이나 보고 결과에 대한 두려움은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를 방해하였고(정선영 등, 2013), 안전지향적인 조직분위기와 지지적인 업무 환경이 투약오류보고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김민정, 김명수, 2014). 따라서 간호사의 투약오류 보고태도에 집중하기 보다는 투약오류보고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도 함께 파악하여 투약오류보고태도와 같이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 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상자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환 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태도가 모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우선, 대 상자의 환자안전문화가 긍정적일수록 투약오류보고의도가 의미 있게 높아 졌다. 본 결과는 선행연구 결과와 일관된 방향이다. 높은 수준의 환자안전 문화를 경험하였거나 팀 내 심리적 안전감이 높은 경우 투약오류보고 가 능성 또는 의도가 높았다(문선영, 2020; Chegini et al., 2020, Ko & Yu, 2017). 환자안전문화가 긍정적이라는 것의 실질적인 형태로 조직 구성원 이 실수에 대해 보고하거나 질문할 때 의견을 표현하는 데 어렵지 않은 환경을 제시하고 있고, 이런 환경에서 투약오류보고행동이 촉진되었다 (Chegini et al., 2020). 또한, 유연한 조직 문화는 간호사 사이에 신뢰를 심어주고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환자의 안전과 오류보고를 촉진 하였고, 오류보고를 비판하지 않는 문화일 때 직원 간의 신뢰가 탄탄해지 면서 오류보고가 장려되었다(Ko & Yu, 2017). 그러나 간호사들이 인지하 는 투약오류보고의도 정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이를 구분하도록 판별해주는 예측요인을 규명하는 김명수(2016)의 연구에서는 환자안전문 화가 투약오류보고의도 판별예측요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조 직 내 관리자인 상사의 리더십에 따라 환자안전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아

(46)

이러한 결과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환자안전문화는 팀워크, 관리자의 리더 십, 의사소통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큰 개념이기 때문 에 각각의 요소들을 살펴보는 것은 투약오류보고의도 증진 전략수립에 도 움이 될 수 있다. 즉, 상위 조직 개념인 전체 병원의 조직문화 수준을 개 선하는 중재보다는 본인이 현재 속해 있는 부서 내 조직문화를 먼저 개선 하는 접근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개 선시키고 이에 따라 투약오류보고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직접 접촉하며 함 께 일하는 부서 내 동료 및 관리자의 오류보고에 대한 인식 개선 전략을 시행하고, 오류보고 후 건설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부서 내 환자 안전문화를 조성하는 것이 우선 전략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투약오류보고 의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간호사가 투약오류를 보고하려는 의도가 큰 경향이 있다고 나타난 선행연구와 일치 하는 결과이다(김예슬, 2017; Hung et al., 2016). 또한 사고보고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간호사의 주사바늘자상사고 보고에 대한 태도가 긍 정적일수록 보고의도가 높았으며, 환자안전사고보고에 대한 태도의 긍정 적인 변화는 환자안전사고를 보고하려는 의도를 향상시켰다(김태린, 2020;

Ekayani et al., 2017; Williams et al., 2015). 김혜선(2011) 연구에서는 간 호사의 안전사고보고에 대한 태도 중 개선 효과에 대한 신념과 지식 정도 가 높을수록 안전사고보고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행위에 대한 태도는 행위의도를 변화시켜 직접적인 행동으로 이어지게 한다고 하였다 (Ajzen, 2005). Sorra 등(2008)의 연구에서는 오류보고 자체를 생활의 일 부로 여기고 작은 오류라도 발견하려는 습관으로 이어질 때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오류보고로 연결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가 오류보고 행위의 증가로

(47)

이어지는 직접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는 오류에 대한 다 른 간호사의 비난이나 보고에 대한 부담감, 보고목적에 대한 불확실성, 사 소한 오류의 무시, 평가활용 우려 등의 이유로 오류보고를 어려워하며, 오 류보고의 장애로 느끼는 두려움 및 부담감을 줄이는 것은 오류보고에 대 한 태도를 변화시켜 보고의 필요성을 더 느끼게 하였다(Haw et al., 2014). 따라서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투약 관련 교육과 익명성 및 접근성이 확보된 투약오류보고시스템을 구축 등은 투약오류보 고에 대한 긍정적인 습관 형성과 장애물 제거의 두 가지 방향을 모두 증 진시킬 수 있는 노력이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상간호사들의 투약오류 보고의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투약오류보고를 촉진시키기 위한 조직의 환자안전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 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인식 개선 교육과 시스템 형 성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개인과 조직의 노력은 임 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를 증진시키고, 투약안전을 위한 강화된 실 무전략개발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8)

VI.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일 대학병원에서 투약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 임상간호사 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태도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미 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투약오류보고 향상을 통한 투약오류 예방의 개선책 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임상간호사가 인식하는 환자안전문화와 투약오류보고태 도가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조직 의 환자안전문화를 유지 및 개선하고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에 대한 태도 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임상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 향상시키 고 이를 통해 실제적인 투약오류보고행위를 증진시켜 투약오류를 예방하 는데 중요함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 투약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투약오류보고의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조직적, 개인적 요인을 모 두 고려한 통합적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 형태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 호사들을 대상으로 투약오류보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49)

참고문헌

고유미, 김주성 (2018). 간호사의 사건보고와 안전분위기 인지에 대한 융 합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4), 443-452.

구미지 (2021). 환자안전사고 보고서를 통한 간호사 투약오류 분석. 임상 간호연구, 27(1), 109-119.

권남규 (2018).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근접오류 보고의향과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

구.

김명수 (2010). 오류보고 촉진전략이 간호사의 오류보고에 대한 태도, 환 자안전문화, 오류보고의도 및 보고율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 지, 40(2), 172-181.

김명수 (2013). 간호사가 인지한 투약오류관리풍토와 오류보고의도의 관계 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 성인간호학회지, 25(6), 633-643.

김명수 (2015). 투약오류보고장애요인과 투약오류보고의도의 관계에서수간 호사의 안전 관련 변혁적 리더십의 매개 완충효과. 성인간호학회 지, 27(6), 673-683.

김명수 (2016). 간호사의 투약오류보고의도에 대한 조직요인의 판별예측 력.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41(2), 155-164.

김민정, 김명수 (2014). 간호사가 인식한 조직의 특성과 투약오류보고장애 요인간의 정준상관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5(2), 979-988.

김수경, 이상일, 이진이, 박정수, 강신희, 고은비, 최솔지, 조애정 (2016).

환자안전체계 구축 기반연구. 연구결과보고서, 1(2), 1-122.

김연, 이은선, 최은영 (2013).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병원경영학회지, 18(3), 27-42.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death and the ethical attitude to Do-Not-Resuscitate (DNR) among some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t;Parkssijeon&gt; has literature educational value, in which national desires to overcome defeat at Byeongjahoran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atisfaction and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fter compulsory certifica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assisted implantation of Cartistem®, an articular cartil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self-confidence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in a team-teaching

In conclusion, escape from daily life, physical fitness and he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important fun factors influencing teacher

This report intends to suggest a proper direction for Korean art curriculum by recognizing how Eisner's attitude toward art education has affected Korean

Pusposes: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 between knowledge, awareness and practice on nosocomial infec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and affecting factors